KR19990032360A - Automobi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utomobile having same - Google Patents

Automobi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utomobile hav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360A
KR19990032360A KR1019970053392A KR19970053392A KR19990032360A KR 19990032360 A KR19990032360 A KR 19990032360A KR 1019970053392 A KR1019970053392 A KR 1019970053392A KR 19970053392 A KR19970053392 A KR 19970053392A KR 19990032360 A KR19990032360 A KR 19990032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ngine
nozzle
sens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최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숙 filed Critical 최경숙
Priority to KR1019970053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360A/en
Publication of KR1999003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360A/en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화재방지장치를 갖는 자동차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화재바지장치는 자동차에 설치되며 소화액을 담는 소화용기와; 자동차 보닛에 설치되며 소화용기와 연결되어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과; 자동차에 설치되어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가 연결되며 노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Disclosed is a vehicle having a fire protection device. Automobile fire p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r and a fire extinguishing container containing a digestive fluid; A nozzle installed in the car bonnet and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container for spraying extinguishing liquid; A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to sens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The sensor is connect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nozzl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eature can not only extinguish the fire generated in the automobile, but also prevent the fire from occurring in the automobile.

Description

자동차 화재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차Automobi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utomobile having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장방지장치를 갖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 vehicle having a cosmetic prevention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용차, 버스, 화물차 등이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는 구동원으로 휘발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이 설치되기도 하며, 연료전지나 배터리의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기가 설치되기도 한다.Generally, automobiles include cars, buses, vans and the like. In such vehicles, an engine using fossil fuel such as gasoline may be installed as a driving source, and an electric motor driven by electricity of a fuel cell or a battery may be installed.

자동차는 엔진이 과열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자동차 중에서 휘발유를 사용하는 승용차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ngine may overheat or fire may occur due to external shocks. As an example, a gasoline-powered car among various cars is described as follows.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 뒷부분에는 연료탱크(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승용차 앞부분에는 엔진(20)이 설치되어 있다. 연료탱크(10)의 연료는 연료공급파이프(30)를 따라 연료필터(40)에 공급되며, 연료필터(40)의 연료는 연료펌프(미도시)에 의하여 엔진(20)으로 공급된다. 만약, 이러한 연료계통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연료가 누출되는 상태에서 엔진(20)이 과열되거나 전기계통(미도시)에 문제가 발생되면 자동차에는 화재가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소화기(미도시)를 자동차 내에 비치하고 화재가 발생된 부분에 운전자가 소화로 직접 진화하였다.Referring to FIG. 1, a fuel tank 10 is installed at a rear portion of a vehicle, and an engine 20 is installed at a front portion of a passenger vehicle. The fuel of the fuel tank 10 is supplied to the fuel filter 40 along the fuel supply pipe 30, and the fuel of the fuel filter 40 is supplied to the engine 20 by a fuel pump (not shown). If the engine 20 is overheated or a problem occurs in the electric system (not shown) in a state in which fuel is leaked from any part of the fuel system, a fire occurs in the automobile.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 fire extinguisher (not shown) is provided in a vehicle, and the driver directly extinguishes fire extinguishing at a portion where a fire occurs.

한편, 연료의 누출현상은 오래된 자동차에서 많이 발생되지만, 교통사고에서도 많이 발생된다. 교통사고갈 발생되었을 때는 운전자 및 승객이 자동차로부터 정상적으로 탈출할 수 없으며, 차내에 비치된 소화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자동차의 화재는 사람의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akage of fuel is often generated in old cars, but also in traffic accidents. When a traffic accident occurs, the driver and passenger cannot escape from the vehicle normally, and the fire extinguisher provided in the vehicle cannot be normally used, so the fire of the vehicle can endanger a person's lif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진화하거나 화재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화재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obi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which can extinguish a fire generated in an automobile or prevent a fire in advance.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진화하거나 화재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화재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차를 구현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obile fire protection apparatus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which can extinguish a fire generated in an automobile or prevent a fire in advance.

도1은 종래에 따른 자동차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conventional vehicle.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화재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차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vehic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소화액이 보닛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되다.Figure 3 is a partial incision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digestive fluid is installed on the bonnet.

도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연료탱크 30 : 연료공급파이프10: fuel tank 30: fuel supply pipe

40 : 연료필터 100 : 몸체40: fuel filter 100: body

110 : 에진룸 111 : 보닛110: Ejin Room 111: Bonnet

220 : 벨브 230 : 소화파이프220: valve 230: fire extinguishing pipe

240 : 노즐240 nozz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화재방지장치는 : 자동차의 몸체, 자동차의 엔진, 자동차의 에너지공급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소화액을 담는 용기와;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 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특성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가 연결되며,상기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용기의 소화액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obile fire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body of the vehicle, the engine of the vehicle, the energy supply means of the vehicle and a container containing a digestive fluid; A nozzl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and the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container to spray the extinguishing liquid; A sensor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and the nozzle and detecting a physical and / or chemical characteristic of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and the nozzle; The sensor is connecte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body, engin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the nozzle and the control means for the extinguishing liquid of the container is sprayed from the nozzle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do.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장치를 갖는 자동차는 ;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공급수단을 갖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소화액을 담는 용기와;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특성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가 연결되며,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용기의 소화액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utomobile having a fir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automobile having a body, an engine installed on the body, and an energy supply 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gine, comprising: a container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and the energy supply means and containing a digestive liquid; A nozzl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and the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container to spray the extinguishing liquid; A senso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and the nozzle,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and / or chemical properties of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and the nozzle; The sensor is connected, and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ody, engin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the nozzle further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the extinguishing liquid of the container is injected from the nozzle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It is done.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자도차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eature can not only extinguish the fire generated in the own vehicle, but also prevent the fire from occurring in the automobi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화재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의 주요 구성부분을 크게 나누면 보디와 새시로 나눌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기 보디와 새시를 몸체로 포함한다.As is well known, the major components of a car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body and the chassi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cludes the body and the chassis as a body.

도 2를 참조하면, 엔진(20)은 몸체(100)에 형성된 엔진룸(1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엔진룸(110)은 보닛(111)에 의하여 덮여 있다. 연료탱크(10)는 몸체(100)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연료탱크(10)의 연료는 연료공급파이프(30)를 따라 연료필터(40)에 공급된다. 연료필터(40)의 연료는 연료펌프(미도시)에 의하여 엔진(20)에 공급된다.Referring to FIG. 2, the engine 20 is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110 formed in the body 100, and the engine room 110 is covered by the bonnet 111. The fuel tank 10 is installed behind the body 100, and the fuel of the fuel tank 10 is supplied to the fuel filter 40 along the fuel supply pipe 30. The fuel of the fuel filter 40 is supplied to the engine 20 by a fuel pump (not shown).

상기 보닛(111) 내측에는 소화액이 담긴 용기(210)와, 소화액 분사용 노즐(240)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240)과 용기(210)는 소화파이프(2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노즐(240)과 소화파이프(23) 사이에는 벨브(220)가 설치되어 있다. 벨브(220)는 제어기(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기에는 엔진(20)과 보닛(111)에 각각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 충격센서(미도시), 냄새센서(미도시)가 함께 연결되어 있다.Inside the bonnet 111, a container 210 containing a digestive liquid and a nozzle 240 for extinguishing liquid injection are provided. The nozzle 240 and the container 210 are connected by the fire extinguishing pipe 230, and a valve 220 is installed between the nozzle 240 an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23. The valve 220 is connec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The controll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an impact sensor (not shown), and an odor sensor (not shown)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engine 20 and the bonnet 111. Are connected together.

제어기는 온도센서, 충격센서, 냄새센서의 온도, 충격력, 냄새를 감지하고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의 벨브(220)를 개방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보닛(111)에는 노즐(240)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어기는 상기 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화재의 위험이 있는 부분 및/또는 화재가 발생된 부분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있는 벨브(220)를 개방하여 용기(210)에 있는 소화액이 노즐(240)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ler detects and considers the temperature, impact force, and smell of the temperature sensor, impact sensor, and odor sensor, and opens the valve 220 in an appropriate position. In more detail, since the nozzles 240 ar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bonnet 111, the controller may inject the extinguishing liquid to a part that is at risk of fire and / or a part where a fire is generated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Opening the valve 220 in a proper position so that the extinguishing liquid in the container 210 can be injected through the nozzle 240.

이와 같이, 노즐(240)을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액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과열된 부분만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며, 누출의 연료가 발화되지 않도록 할뿐만 아니라, 발생된 화재를 효과적으로 소화할 수 있다.As such, the extinguishing liquid sprayed through the nozzle 240 effectively cools only the overheated portion so that a fire does not occur, and not only prevents the fuel of leakage from being ignited, but also effectively extinguish the generated fir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장치를 갖는 자동차의 화재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A fire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having a fir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as follows.

자동차의 연료계통에서 연료가 누출되면 누출된 연료는 기화되며 냄새센서는 기화된 냄새를 감지하여 제어기에 전달한다. 제어기는 냄새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운전자에게 연료가 누출됨을 계기판(미도시)에 있는 램프(미도시)를 통하여 알리고 명령을 기다린다. 만약, 냄새센서의 신호가 운전자에게 알릴 필요가 없는 황급한 신호라면 제어기는 적절한 위치의 밸브(220)를 열어 소화액을 분사시킨다.When fuel leaks from the vehicle's fuel system, the leaked fuel is vaporized and the odor sensor detects the vaporized odor and delivers it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informs the driver of the fuel leakage through the lamp (not shown) on the instrument panel (not shown) and waits for a command based on the signal of the odor sensor. If the signal of the odor sensor is a urgent signal that does not need to be notified to the driver, the controller opens the valve 220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inject the extinguishing liquid.

자동차가 충돌되면 충격센서는 그 충격력을 제어기에 전달한다. 제어기는 충격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운전자에게 연료가 누출될 수 있으을 계기판에 있는 램프를 통하여 알리고 명령을 기다린다. 만약, 충격센서의 신호가 운전자에게 알릴 필요가 없는 황급한 신호라면 제어기는 적절한 위치의 벨브(220)를 열어 소화액을 분사시킨다.When the vehicle crashes, the impact sensor transmits the impact force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informs the driver through a lamp in the instrument cluster and waits for a command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shock sensor. If the signal of the shock sensor is a urgent signal that does not need to be notified to the driver, the controller opens the valve 220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inject the extinguishing fluid.

자동차가 과열되면 온도센서는 그 온도를 제어기에 전달한다. 제어기는 온도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운전자에게 엔진의 과열을 계기판에 있는 램프를 통하여 알리고 명령을 기다린다. 만약, 온도센서의 신호가 운전자에게 알릴 필요가 없는 황급한 신호라면 제어기는 적절한 위치의 벨브(220)를 열어 소화액을 분사시킨다.When the car is overheated, the temperature sensor sends the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informs the driver of the engine overheating via the lamp on the instrument panel and waits for a command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or. If the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a urgent signal that does not need to inform the driver, the controller opens the valve 220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inject the extinguishing liquid.

첨부된 참조 도면에 의해 설명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충분히 이해하여 유시한 형태의 화재방지장치를 갖는 자동차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y the accompanying reference drawings are only one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implement a vehicle having a fir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type.

예를 들면, 자동차가 충돌되어 보닛(111)이 찌그러지면, 보닛(111)에 설치된 노즐(240)을 통하여 적절한 부분에 소화액이 분사될 수 없으므로, 상기 용기(210)와 노즐(240)은 엔진(20)을 비롯하여 연료탱크(10), 연료필터(40) 등 여러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용기(210)와 노즐(240)은 자동차의 종류 및 제작형태에 따라 적절한 곳에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the bonnet 111 is crushed, since the extinguishing liquid cannot be injected through the nozzle 240 installed in the bonnet 111, the container 210 and the nozzle 240 are engines. In addition to the 20, the fuel tank 10 and the fuel filter 40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laces. That is, the container 210 and the nozzle 240 may be manufactured and installed in an appropriate place according to the type and manufacturing form of the vehicle.

그리고, 상기 용기(210)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보닛(111')은 종래의 보닛(111)과는 달리 2개의 철판(112, 113)이 겹쳐져 만들어 졌으며, 그 사이에는 소화액아 담기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액(114)이 담긴 보닛(111')에는 노즐(240)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닛(111')과 노즐(240)과 사이에는 벨브(220)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2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Referring to FIG. 3, the bonnet 111 ′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two iron plates 112 and 113 overlapping with each other, unlike the conventional bonnet 111, and a space for containing a digestive liquid is provided therebetween. have. Referring to FIG. 4, a nozzle 240 is installed at the bonnet 111 ′ containing the extinguishing liquid 114, and a valve 220 is installed between the bonnet 111 ′ and the nozzle 240.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화재장지장치를 갖는 자동차는 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과열된 부분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누출된 연료가 발화되지 않도록 할뿐만 아니라, 발생된 화재를 소화할 수 있다.The vehicle having the fire sto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ol the overheated portion so that a fire does not occur in the automobile, and not only prevent the leaked fuel from igniting, but also can extinguish the generated fire.

Claims (6)

자동차의 몸체, 자동차의 엔진, 자동차의 에너지공급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소화액을 담는 용기와;A container which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a body of the vehicle, an engine of the vehicle, and an energy supply means of the vehicle and contains a digestive liquid;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과;A nozzl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and the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container to spray the extinguishing liquid;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 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특성을 감지하는 센서와;A sensor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and the nozzle and detecting a physical and / or chemical characteristic of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and the nozzle; 상기 센서가 연결되며,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용기의 소화액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화재방지 장치.The sensor is connected, and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ody, engin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the nozzle is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for the extinguishing liquid of the container is injected from the nozzle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Car fire protec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기는 상기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을 덮는 보닛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화재방지장치.The vessel is a vehicle fir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net covering the engine room in which the engine is install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용기와 노즐 사이에 설치된 벨브와, 상기 센서와 상기 벨브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벨브를 개폐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화재방지장치.The control means includes a valve install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nozzl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valve to open and close the valve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공급수단을 갖는 자동차에 있어서,In a vehicle having a body, an engine installed in the body, and an energy supply 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gine,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소화액을 담는 용기와;A container which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and the energy supply means and contains the extinguishing liquid;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과;A nozzl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and the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container to spray the extinguishing liquid;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특성을 감지하는 센서와;A senso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and the nozzle,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and / or chemical properties of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engine, th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and the nozzle; 상기 센서가 연결되며, 상기 몸체, 엔진, 에너지공급수단, 용기, 노즐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용기의 소화액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재방지장치를 갖는 자동차.The sensor is connected, and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ody, engine, energy supply means, the container, the nozzle further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the extinguishing liquid of the container is injected from the nozzle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Cars with fire protectio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용기는 상기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을 덮은 보닛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지장치를 갖는 자동차.The container has a fir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net covering the engine room in which the engine is installed.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용기와 노즐 사이에 설치된 벨브와, 상기 센서와 상기 벨브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벨브를 개폐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지장치를 갖는 자동차.And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valve install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nozzl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valve to open and close the valve based on a signal of the sensor.
KR1019970053392A 1997-10-17 1997-10-17 Automobi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utomobile having same KR199900323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392A KR19990032360A (en) 1997-10-17 1997-10-17 Automobi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utomobil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392A KR19990032360A (en) 1997-10-17 1997-10-17 Automobi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utomobile hav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60A true KR19990032360A (en) 1999-05-15

Family

ID=6604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392A KR19990032360A (en) 1997-10-17 1997-10-17 Automobi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utomobile hav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36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01B1 (en) * 2000-11-13 2003-08-27 학교법인 호서학원 A fire extinguisher for fighting a tank fire
KR100494486B1 (en) * 2002-06-04 2005-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Extinguishing apparatus for a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01B1 (en) * 2000-11-13 2003-08-27 학교법인 호서학원 A fire extinguisher for fighting a tank fire
KR100494486B1 (en) * 2002-06-04 2005-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Extinguishing apparatus for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2735A1 (e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 in battery of vehicle
US11602650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for vehicle
CN102826069B (en) Post-vehicle-collision fireproof anti-theft system and method
KR19990032360A (en) Automobile fire protection device and automobile having same
CN112451875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vehicle tires
KR19980023219A (en) Vehicle Engine Room Fire Extinguisher
KR100559624B1 (en) System for preventing a fire in engine-room for auto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343750Y1 (en) Engine Room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of Car
KR0182496B1 (en) Engine room fire auto-extinguishing apparatus
KR200300639Y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car
KR0132587Y1 (en) Fuel cut device for automobiles
KR20120009050A (en) The extinguishing fire apparatus for engine room ofvehicle
RU2747586C1 (en) Vehicle washer reservoir, preventing fire in the engine compartment during an emergency
KR20100082535A (en) Fire fighting system for car
KR0134316Y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KR20220116884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tinguishing fire in an engine room of a car
KR0142750B1 (en) A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a car
KR0162072B1 (en) Fuel auto-returning device at a car accident
KR19980056719A (en) Vehicle fire extinguishing device
KR200156274Y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vehicle engine compartment
KR19990027287A (en) Fuel injection hole of car
KR200149177Y1 (en) Airbag module
KR20230002198U (en) Washer fluid injection system to prevent fire in the car engine room
KR19980053221U (en) Side impact protection device of car
KR19980022165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