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685U - 차량용 파워 트레인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워 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685U
KR19990031685U KR2019970044430U KR19970044430U KR19990031685U KR 19990031685 U KR19990031685 U KR 19990031685U KR 2019970044430 U KR2019970044430 U KR 2019970044430U KR 19970044430 U KR19970044430 U KR 19970044430U KR 19990031685 U KR19990031685 U KR 199900316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ransfer drive
clutch
power train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685U/ko
Publication of KR19990031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685U/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를 저감시키고 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 길이를 축소시켜 컴팩트화 및 동력 손실 저감으로 연비를 향상시키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파워 트레인은 링기어와 캐리어가 공유되는 라비뉴 타입의 유성기어를 3개의 제1,2,3클러치와 2개의 제1,2브레이크 및 1개의 일방향 클러치로 제어하여 전진 4속과 후진 1속을 실현하여;
이렇게 실현된 회전 동력이 링기어에 연결되는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와, 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 종감속 장치, 차동장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드라이브 샤프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클러치, 제1브레이크, 일방향 클러치를 일체로 형성되는 캐리어에 설치하고,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를 유성기어와 제2클러치 사이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파워 트레인
본 고안은 차량용 파워 트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부품을 공유케 하여 부품수를 절감시키면서 보다 컴팩트화를 실현하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파워 트레인이라 하면, 엔진에서 발생된 회전 동력을 변속기에서 토오크 변환시켜 추진축을 통하여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일련의 장치들을 군집을 일컫는다.
그리고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엔진에서 발생되어 토오크 컨버터에서 토오크 변환된 회전 동력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성기어(pg)와 마찰요소인 제1,2브레이크(b1,b2)와 일방향 클러치(owc), 그리고 제1,2,3클러치(c1,c2,c3)로 구성되는 다단 변속 장치에서 다단으로 변속시켜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51)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51)는 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53)에 장착된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55)와 다른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57)를 통하여 종감속 기어(59) 및 차동장치(61)를 통하여 구동축(63,65)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유성기어는 라비뉴 타입으로서, 링기어(r)와 캐리어(ca)를 공유하도록 구성되며, 제1,2,3클러치(c1,c2,c3)에 의하여 엔진의 회전 동력을 각각 싱글측 선기어(s1), 더블측 선기어(s2), 캐리어(ca)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가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량용 파워 트레인은 캐리어에 제1브레이크, 일방향 클러치 제3클러치가 각각 연결되는 데, 제3클러치는 별도의 동력 전달부재로 캐리어에 연결되므로 부품수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가 유성기어와 제3클러치 사이에 위치하므로 대형화되고, 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의 길이가 길어져 동력 손실로 연비를 악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를 저감시키고 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 길이를 축소시켜 컴팩트화 및 동력 손실 저감으로 연비를 향상시키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하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관련하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입력축 3,9: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 5: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 7:트랜스퍼 드리븐 기어 11:종감속 기어 13:차동장치 15,17:드라이브 샤프트 B1,B2:제1,2브레이크 C1,C2,C3:제1,2,3클러치 OWC:일방향 클러치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파워 트레인은 링기어와 캐리어가 공유되는 라비뉴 타입의 유성기어를 3개의 제1,2,3클러치와 2개의 제1,2브레이크 및 1개의 일방향 클러치로 제어하여 전진 4속과 후진 1속을 실현하여;
이렇게 실현된 회전 동력이 링기어에 연결되는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와, 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 종감속 장치, 차동장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드라이브 샤프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클러치, 제1브레이크, 일방향 클러치를 일체로 형성되는 캐리어에 설치하고,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를 유성기어와 제2클러치 사이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은 제1,2,3클러치와 제1,2브레이크 및 일방향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작동 및 해방시켜 전진 4속과 후진 1속을 실현하고, 아울러 일체화된 캐리어는 부품수를 절감시키며,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는 종감속 장치와 차동장치측에 인접하기 때문에 트랜스퍼 샤프트의 길이를 축소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하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의 구성도로서, 엔진(미도시)에서 발생되고 토오크 컨버터(미도시)에서 토오크 변환된 회전 동력을 다단으로 변속시켜 구동륜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입력축(1)이 배치되고, 이에는 제1,2,3클러치(C1,C2,C3)가 설치되어, 유성기어의 싱글측 선기어(S1)와 더블측 선기어(S2), 캐리어(CA)측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성기어는 캐리어(CA)와 링기어(R)를 공유하는 라비뉴 타입으로 구성된다. 또 유성기어의 캐리어(CA)와 싱글측 선기어(S1)에는 제1,2브레이크(B1,B2)가 각각 설치되어, 이들을 반력요소로 작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CA)에는 이의 일측 회전 방향만을 제한하는 일방향 클러치(OW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캐리어(CA)는 상기한 제1브레이크(B1), 제3클러치(C3), 일방향 클러치(OWC)에 공통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기어(R)는 트랜스퍼 드라이 기어(3)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고정 연결되고, 싱글측 선기어(S1)에 치우친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3)는 유성기어와 제2클러치(C2)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3)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5)에 구비된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7)와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9), 종감속 기어(11), 차동장치(13)를 통하여 드라이브 샤프트(15,17)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상호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은 제1,2,3클러치(C1,C2,C3)와 제1,2브레이크(B1,B2) 및 일방향 클러치(OWC)가 선택적으로 작동 및 해방되면서 입력축(1)으로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전진 4속과 후진 1 속의 회전 동력으로 자동 변속을 실현하여 링기어(R)로 출력한다.
이렇게 실현된 회전 동력은 링기어(R)에 고정 연결된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3), 이에 치합된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7), 이가 장착된 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5), 이에 장착된 다른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9)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되는 회전 동력은 종감속 기어(11), 차동장치(13)를 통하여 드라이브 샤프트(15,17)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동력을 전달할 때 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5)의 전장이 축소되므로 이에서의 동력 손실이 절감된다. 따라서 그만큼 연비가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파워 트레인은 제1,2,3클러치와 제1,2브레이크 및 일방향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작동 및 해방시켜 전진 4속과 후진 1속을 실현하고, 아울러 일체화된 캐리어는 부품수를 절감시키고,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는 종감속 장치와 차동장치측에 인접하기 때문에 트랜스퍼 샤프트의 길이를 축소시키므로 컴팩트화 및 동력 손실 저감으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링기어와 캐리어가 공유되는 라비뉴 타입의 유성기어를 3개의 제1,2,3클러치와 2개의 제1,2브레이크 및 1개의 일방향 클러치로 제어하여 전진 4속과 후진 1속을 실현하고,
    상기와 같이 실현된 회전 동력이 링기어에 연결되는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와, 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랜스퍼 드라이브 샤프트, 종감속 장치, 차동장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드라이브 샤프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에 있어서,
    상기 제3클러치, 제1브레이크, 일방향 클러치를 일체로 형성되는 캐리어에 설치하고,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를 유성기어와 제2클러치사이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링기어는 싱글측 선기어에 치우친 상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트레인.
KR2019970044430U 1997-12-31 1997-12-31 차량용 파워 트레인 KR199900316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430U KR19990031685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파워 트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430U KR19990031685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파워 트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685U true KR19990031685U (ko) 1999-07-26

Family

ID=6969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430U KR19990031685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파워 트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68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4960B1 (ko) 차량용자동변속기의파워트레인
KR100302789B1 (ko) 차량용자동변속기의파워트레인
US7156768B2 (en) Multi-stage transmission
KR10020495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US5700223A (en) Power train of five-speed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020495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9980049765A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018307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장치
KR19990031685U (ko) 차량용 파워 트레인
KR100302752B1 (ko) 차량용자동변속기의파워트레인
KR100302756B1 (ko) 차량용자동변속기의파워트레인
KR10021710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25657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256582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21710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411031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222542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26255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24207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22254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260187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302753B1 (ko) 차량용자동변속기의파워트레인
KR10025444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24207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302757B1 (ko) 차량용자동변속기의파워트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