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589U -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589U
KR19990031589U KR2019970044334U KR19970044334U KR19990031589U KR 19990031589 U KR19990031589 U KR 19990031589U KR 2019970044334 U KR2019970044334 U KR 2019970044334U KR 19970044334 U KR19970044334 U KR 19970044334U KR 19990031589 U KR19990031589 U KR 199900315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main body
locking means
hoo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7351Y1 (ko
Inventor
지준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4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35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5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내측에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리 구획된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개폐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도아; 본체와 상기 도아에 상응 구비되며 상기 도아가 상기 본체에 대해 상시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로킹수단; 그리고 상기 로킹수단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해제수단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유아나 어린이들이 필요이상으로 도아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냉기의 손실과 그에 따른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며,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필요이상으로 도아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냉기의 손실과 그에 따른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며,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비되어 있으며, 도아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냉장고는 저장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리, 저장토록 냉동실과 냉장실로 양분 설치되며 도아에 의해 개폐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는 함체형상을 갖는다.
냉장고의 본체(10) 내부는 보관될 음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격리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된다.
한편, 냉장고의 본체(10)는 각 저장실을 밀폐하는 한쌍의 도아(또는 단일의 도아)(20)(30)에 의해 밀폐되며, 도아(20)(30)의 전면 적당한 곳에는 파지부(21) (31)가 배치된다.
따라서, 파지부(21)(31)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아(20)(30)를 개방한 후, 그 내부에 대해 저장된 음식물을 입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호기심이 많고 장난을 좋아하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각 저장실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장난삼아 자주 도아(20)(30)를 열게 되어 내부의 냉기가 손실되고, 또, 그에 따라 필요이상의 소비전력이 증가되며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냉장고의 도아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의 각 저장실을 밀폐하는 도아에 대해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는 잠금장치를 구비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들이 필요이상으로 도아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여, 냉기의 손실과 그에 따른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며, 또,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냉장고의 측면도
도 3의 a는 도 2의 요부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3의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 3의 c는 본 고안에 따른 해제수단인 자석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냉장고의 본체 20,30; 도아
21,31; 파지부 40; 로킹수단
41; 걸림돌기 42; 내곡홈
43; 가이드홈 44; 후크부재
45; 탄성부재 50; 해제수단
M; 자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에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리 구획된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개폐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도아; 본체와 상기 도아에 상응 구비되며 상기 도아가 상기 본체에 대해 상시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로킹수단; 그리고 상기 로킹수단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해제수단으로 구비된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냉장고를 보인 측면도 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보인 확대 단면도 로써, 종래와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재번호를 사용한다.
부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로킹수단 및 해제수단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40과 50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10) 내측에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획 설치될 것이다.
또, 상기 본체(1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도아(20)(30)에 의해 밀폐되고, 도아(20)(30)의 적당한 곳에는 파지부(21)(31)가 종래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다만, 본 고안에서의 특징부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도아(20)(30)에는 상기 본체(10)에 대해 도아(20)(30)의 잠금상태를 상시 유지하는 로킹수단(40)이 구비되고, 그 로킹수단(40)은 해제수단(50)에 의해 선택적으로 해제 된다는 점이다.
상기 로킹수단(40)은 도 3과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면 일측에 일체로 돌출된 걸림돌기(41), 상기 걸림돌기(41)와 상응하는 상기 도아(20)(30)의 내측에 형성되며 가이드홈(43)을 갖춘 내곡홈(42), 상기 내곡홈(42)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후크부재(44),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44)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45)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부재(44)는 자성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부재(44)는 비 자성체로 구비되되 그 일측에는 자석(M)이 인서트 되며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제수단(50)은 도 3의 c와 같이, 상기 후크부재(44)에 대해 도아(20)(30)의 외측에서 자력에 의해 동작되도록 자석으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로킹수단(40)에 대해 해제수단(50)의 기능을 하는 자석(M)은 걸림부재(44)를 탄지하는 상기 탄성부재(45)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강력한 자성을 갖는 것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본 고안의 동작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이 상태는 상기 내곡홈(4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상기 후크부재(44)는 그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홈(43)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돌기(41)에 걸림 지지된 도아(20)(30)의 폐쇄상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는, 상기 후크부재(44)는 탄성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잡아당겨지는 힘이 부여되어 상기 걸림돌기(41)에 대해 상기 후크부재(44)의 걸림상태가 지속되는 상태라 할수 있다.
이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대해 피 보관물인 음식물 등을 입출시에는, 상기 걸림돌기(41)가 돌출된 곳과 상응하는 상기 도아(20) (30)의 외측에 대해 도 3의 b와 같이 해제수단(50)의 기능을 하는 자석(M)을 밀착시킨다.
따라서, 해제수단의 기능을 하는 상기 자석(M)의 자력에 의해 상기 후크부재(44)는 일점 화살표와 같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탄성부재(45)를 인장시킨다.
그러므로, 타방향으로 후크부재(44)가 회전되며 상기 걸림돌기(41)로부터 상기 후크부재(44)가 이탈되어 상기 도아(20)(30)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자석의 자력에 의해 후크부재(44)를 회전시키려면, 자석의 자력은 탄성부재(45)의 탄성복원력 보다 상당히 커야 할 것이다.
또한, 도아(20)(30)를 폐쇄할 때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해제수단(50)의 자석을 도아(20)(30)의 외측에 대해 부착한 상태, 즉, 탄성부재(45)를 인장시킨 상태에서 도아(20)(30)를 폐쇄한 후, 도아로부터 자석을 떼어내며 폐쇄할 수 있지만, 도아(20)(30)로부터 자석(M)을 떼어낸 상태에서 도아를 폐쇄하여도, 후크부재(44)의 경사면이 걸림돌기(41)의 경사면과 슬라이딩 마찰되며 걸림돌기(41)에 대해 후크부재(44)가 걸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또는 잠금장치)가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또는 어른들)들 만이 열쇠의 기능을 하는 자석을 이용하며 필요에 따라 도아를 개폐하며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호기심이 많고 장난을 좋아하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각 저장실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장난삼아 자주 도아를 열게 되어 내부의 냉기가 손실되고, 또, 그에 따라 필요이상의 소비전력이 증가되며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저하시켰던 문제점은 적극적으로 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이 적용된 냉장고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필요이상으로 도아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냉기의 손실과 그에 따른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며,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일예로들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원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내측에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리 구획된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개폐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도아;
    본체와 상기 도아에 상응 구비되며 상기 도아가 상기 본체에 대해 상시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로킹수단; 그리고 상기 로킹수단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해제수단으로 구비된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본체의 전면 일측에 일체로 돌출된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와 상응하는 상기 도아의 내측에 형성되며 가이드홈을 갖춘 내곡홈; 상기 내곡홈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후크부재;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된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자성체로 구비된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비 자성체로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자석이 부착된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
KR2019970044334U 1997-12-31 1997-12-31 냉장고의도아개폐장치 KR200217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334U KR200217351Y1 (ko) 1997-12-31 1997-12-31 냉장고의도아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334U KR200217351Y1 (ko) 1997-12-31 1997-12-31 냉장고의도아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589U true KR19990031589U (ko) 1999-07-26
KR200217351Y1 KR200217351Y1 (ko) 2001-04-02

Family

ID=5389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334U KR200217351Y1 (ko) 1997-12-31 1997-12-31 냉장고의도아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3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236A (ko) * 2016-10-12 2018-04-20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236A (ko) * 2016-10-12 2018-04-20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351Y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281Y1 (ko) 냉장고용 도어의 홀딩장치
US5810462A (en) Rotary shelf in a refrigerator
US2807841A (en) Cabinet closure and sealing arrangement
JP2005351617A (ja) 冷蔵庫用扉開放防止装置
KR200217351Y1 (ko) 냉장고의도아개폐장치
KR970007503B1 (ko) 냉장고의 도어잠금장치
KR19990012722A (ko) 냉장고
KR200239624Y1 (ko) 냉장고의도아개폐장치
JPH04225774A (ja) 冷蔵庫等の扉装置
KR19990027030U (ko) 냉장고의 도아 개폐장치
KR101269270B1 (ko) 냉장고의 홈바도어 개폐구조
KR0119897Y1 (ko) 냉장고 도어 열림방지장치
JP6282445B2 (ja) 貯蔵庫
JP7116022B2 (ja) 貯蔵庫
KR200318311Y1 (ko) 냉동실도어 열림방지장치
JP2002213867A (ja) 冷蔵庫
JPH11264653A (ja) 冷凍冷蔵庫
JP2018059712A (ja) 貯蔵庫
KR0142622B1 (ko) 냉장고의 내상홀 개폐부재
KR890003101Y1 (ko)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장치
KR19990021516U (ko) 냉장고의 도어 시일링 구조
KR0133346Y1 (ko) 냉장고 프랜치도아
KR200168214Y1 (ko) 냉장고의 가스켓
KR100343698B1 (ko)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밀착구조
KR890005327Y1 (ko) 가전제품의 컨트롤 박스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