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074U -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074U
KR19990031074U KR2019970043783U KR19970043783U KR19990031074U KR 19990031074 U KR19990031074 U KR 19990031074U KR 2019970043783 U KR2019970043783 U KR 2019970043783U KR 19970043783 U KR19970043783 U KR 19970043783U KR 19990031074 U KR19990031074 U KR 199900310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variable resistor
steering angle
variable resistance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87942Y1 (ko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43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94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가 핸들 조작시 일정한 직진주행이나 일정한 곡선주행시 그 신호의 다름을 구별하여 검출하고, 회전각도를 풀 레인지로 조작하여도 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핸들축(1)에 기어(3)를 고정시키고, 상기 기어(3)와 맞물릴 수 있는 평형축상으로 10번 돌아갈 수 있는 가변저항 기어(4)를 맞물리며, 상기 가변저항 기어(4)에 전압원(Vcc)과 그라운드 및 신호출력선(Signal)이 갖추어진 가변저항(5)을 연결시켜 운전자의 핸들 조작 각도를 검출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
본 고안은 조향각도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향각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각도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과 1턴(1 Turn)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는 방법은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시 그에 해당하는 신호는 출력되어 검출되나 운전자가 일정한 곡선주행시와 직진주행시는 그에 해당하는 신호가 같은 것으로 검출됨에 따라 곡선주행과 직진주행을 구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1턴 가변저항을 이용하는 방법은 가변저항의 물리적인 구조로 인하여 핸들을 360°이상으로 조작시 다시 원위치로 돌아와 에러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핸들 조작시 일정한 직진주행이나 일정한 곡선주행시 그 신호의 다름을 구별하여 검출하고, 회전각도를 풀 레인지(Full Range)로 조작하여도 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종래 1턴 가변저항을 이용하던 것을 10턴 가변저항을 이용하고, 핸들축에 기어를 고정시키고 상기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평형축상으로 10번 돌아갈 수 있는 가변저항 기어를 맞물림으로써 운전자가 풀 레이인지로 핸들을 조작하여도 핸들조작 각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며, 직진주행과 곡선주행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 조향센서 모듈의 기본적인 구조도
도 3 (가)는 핸들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도면
(나)는 핸들의 회전상태에 따른 본 고안에서의 가변저항의 출력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축2 : 조향센서 모듈
3 : 기어4 : 가변저항 기어
5 : 가변저항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핸들축(1)과 조향센서 모듈(2)을 결합하여 운전자가 현재 어떤 방향으로 얼마만큼 핸들을 조작하고 있는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듈(2)은, 핸들축(1)에 고정된 기어(3)와, 상기 기어(3)와 맞물려 평형축상으로 10번 돌아갈 수 있는 가변저항 기어(4)와, 상기 가변저항 기어(4)에 연결된 전압원(Vcc), 그라운드 및 신호출력선(S1)이 갖추어진 10턴 가변저항(5)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핸들이다.
단, 핸들의 조작각도는 1080°(즉, ±540°)이다.
도 2는 상기 조향센서 모듈(2)의 기본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기어(3)와 가변저항 기어(4)의 기어비는 상기 가변저항(5)의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서 기어비는 수정 가능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의 (가)와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전자가 핸들(6)을 0°에서 우로 1바퀴 반(540°) 또는 좌로 1바퀴 반(540°)까지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핸들(6)의 회전에 따라 핸들축(1)이 회전하면 이 핸들축(1)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기어(3)와 맞물린 가변저항 기어(4)가 중심에서 좌로 5턴 또는 우로 5턴 중 해당되는 턴까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가변저항 기어(4)의 회전에 의해 가변저항(5)의 저항치가 변화되면, 이렇게 변화된 신호(S1)가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어부에서 운전자가 현재 어떤 방향으로 얼마만큼 핸들을 조작하고 있는가를 검출하여 나타내 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핸들의 조작각도는 좌,우 540°이므로 전체적으로는 1080°가 된다.
또한, 0°에서는 가변저항(5)의 중심값이 직진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가변저항 기어(4)는 도 3의 (나)에서 볼 때 P의 지점에 위치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10턴 가변저항을 이용함으로써 직진주행과 곡선주행을 구별할 수 있게 되며, 운전자의 풀 레인지 핸들 조작시에도 핸들조작각도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핸들축(1)에 기어(3)를 고정시키고, 상기 기어(3)에 평형축상으로 10번 돌아갈 수 있는 가변저항 기어(4)를 맞물리며, 상기 가변저항 기어(4)에 전압원(Vcc)과 그라운드 및 신호출력선(S1)이 갖추어진 가변저항(5)을 연결시켜 운전자의 핸들 조작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3) 및 가변저항 기어(4) 및 가변저항(5)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
KR2019970043783U 1997-12-30 1997-12-30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 KR200287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83U KR200287942Y1 (ko) 1997-12-30 1997-12-30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83U KR200287942Y1 (ko) 1997-12-30 1997-12-30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074U true KR19990031074U (ko) 1999-07-26
KR200287942Y1 KR200287942Y1 (ko) 2002-12-26

Family

ID=5389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783U KR200287942Y1 (ko) 1997-12-30 1997-12-30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94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20B1 (ko) * 2002-08-23 2004-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향각 확인장치
KR100946372B1 (ko) * 2007-12-05 2010-03-08 하옥수 선박의 방향키 각도검출기구 및 그를 사용한 방향키각도표시 시스템
KR20160046674A (ko) * 2014-10-21 2016-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모터 구동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20B1 (ko) * 2002-08-23 2004-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향각 확인장치
KR100946372B1 (ko) * 2007-12-05 2010-03-08 하옥수 선박의 방향키 각도검출기구 및 그를 사용한 방향키각도표시 시스템
KR20160046674A (ko) * 2014-10-21 2016-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모터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942Y1 (ko)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114B2 (en) Torque sensor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20040046346A1 (en) Steering angle neutral position detection error protecting method and detection error protecting apparatus
KR100816386B1 (ko) 조향각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JP363994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30615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6978685B2 (en) Steering state detecting apparatus
KR200287942Y1 (ko)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향각도 검출장치
KR101859768B1 (ko) 토크 인덱스 서브 앵글 센서
KR20040011345A (ko) 각속도 센서를 이용한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JP3143536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センサ
KR100757373B1 (ko) 조향각 센싱장치
KR100872638B1 (ko) 조향각 감지장치를 이용한 절대각 측정 방법
JPH02227373A (ja) 車両用舵角センサの中立位置設定方法
JP3143537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センサ
JPH0216252Y2 (ko)
KR100783912B1 (ko) 절대조향각 센서를 가진 토크센서
KR100313019B1 (ko) 자동변속기의 전/후진 주행 방향 감지장치 및 방법
JPH0540406Y2 (ko)
KR200283444Y1 (ko) 차량의 조향 장치
KR100568138B1 (ko) 차량의 조향각 검출장치
JP2005201712A (ja) 回転角度およびトルク検出装置
KR0128191Y1 (ko) 속도 감응형 전자 턴 신호 시스템
KR100459022B1 (ko) 차량의 조향각 확인장치
KR100792881B1 (ko) Mdps용 토크 및 각도센서
KR19980061188A (ko) 자동차용 조향각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