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796A -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796A
KR19990030796A KR1019970051216A KR19970051216A KR19990030796A KR 19990030796 A KR19990030796 A KR 19990030796A KR 1019970051216 A KR1019970051216 A KR 1019970051216A KR 19970051216 A KR19970051216 A KR 19970051216A KR 19990030796 A KR19990030796 A KR 19990030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van
weight
powder
pigment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미수
Original Assignee
석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미수 filed Critical 석미수
Priority to KR101997005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796A/ko
Publication of KR1999003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796A/ko

Links

Landscapes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가, 세균을 흡착함으로써 항균성을 갖는 0.2 ~ 1 중량%의 무기 항균제와,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동시에 흡착력을 갖는 3 ~ 10 중량%의 맥반석과, 색상을 나타내는 5 ~ 15 중량%의 안료와, 20 ~ 30 중량%의 접착성 수지와, 상기 무기 항균제, 맥반석 및 안료를 용해시키는 50 ~ 70 중량%의 용제로 이루어져서 본 발명에 따른 맥반석을 포함한 잉크를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에 인쇄할 경우 상기 잉크 내에 함유된 맥반석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사됨으로써 인쇄된 제품을 사용할 때 항균작용, 중금속, 각종 유해 물질 제거 등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맥반석의 흡착력으로 인해 안료 및 용제로부터 방출되는 유해 물질을 흡착·분해·제거함으로써 기존 잉크 성분에 포함된 각종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동시에 유해 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맥반석에 대해서는 900년전에 중국의 송나라에서 출판된 본초도경에 주로 피부병이나 물을 순화하는 약석으로서 기재되어 있었다. 맥반석은 다공성에 의한 강한 흡착력이나 원적외선의 방사 등을 이용한 용도에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동시에 유해 물질에 대한 흡착력을 갗출 수 있는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는 세균을 흡착함으로써 항균성을 갖는 0.2 ~ 1 중량%의 무기 항균제와,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동시에 흡착력을 갖는 3 ~ 10 중량%의 맥반석과, 색상을 나타내는 5 ~ 15중량%의 안료와, 20 ~ 30 중량%의 접착성 수지와, 상기 무기 항균제, 맥반석 및 안료를 용해시키는 50 ~ 70 중량%의 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의 제조 방법은 소성로에서 맥반석 파우더를 소성시키는 소성과정과, 분쇄기에서 무기 항균제와 상기 맥반석을 3㎛ 이하의 크기로 정밀하게 분쇄하는 분쇄과정과, 혼합기에서 상기 맥반석과 무기 항균제를 혼합하는 제1 혼합과정과, 상기 혼합기에서 맥반석과 무기 항균제의 혼합물을 안료, 접착성 수지 및 용제와 혼합하는 제2 혼합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오프셋 잉크의 제조 방법은 맥반석 파우더와 항균제 파우더를 혼합하는 혼합과정과, 상기 맥반석 파우더 및 항균제 파우더의 혼합물에 안료와 접착성수지를 혼합하는 제2 혼합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를 인쇄한 섬유의 방사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를 인쇄한 섬유의 방사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는 세균을 흡착함으로써 항균성을 갖는 0.2 ~ 1 중량%의 무기 항균제와,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동시에 흡착력을 갖는 3 ~ 10 중량%의 맥반석과, 색상을 나타내는 5 ~ 15 중량%의 안료와, 20 ~ 30 중량%의 접착성 수지와, 상기 무기 항균제, 맥반석 및 안료를 용해시키는 50 ~ 70 중량%의 용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무기 항균제는 이온으로 이루어진 결정이다. 상기 맥반석은 3미크론(㎛)의 직경을 갖도록 분쇄된 파우더이다.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의 제조 방법은 소성로에서 맥반석 파우더를 소성시키는 소성과정과, 분쇄기에서 무기 항균제와 상기 맥반석을 3㎛ 이하의 크기로 정밀하게 분쇄하는 분쇄과정과, 혼합기에서 상기 맥반석 파우더와 무기 항균제 파우더를 혼합하는 제1 혼합과정과, 상기 혼합기에서 맥반석 파우더와 무기 항균제 파우더의 혼합물을 안료, 접착성 수지 및 용제와 혼합하는 제2 혼합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혼합과정은 상기 혼합기에서 상기 맥반석 파우더와 무기 항균제의 혼합물을 안료 수지와 함께 분쇄하는 밀링 공정을 포함한다.
한편, 맥반석 파우더와 항균제 파우더를 혼합하는 혼합과정과, 상기 맥반석 파우더 및 항균제 파우더의 혼합물에 안료와 접착성수지를 혼합하는 제2 혼합과정에 의해 오프셋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제가 사용되지 않는다.
(실시예1)
먼저 맥반석을 분쇄기에서 325 메시 이상의 직경을 갖도록 분쇄한다.
다음에 상기 맥반석을 열처리하기 위해 소성로에서 1100 ~ 1300℃의 온도 하에 상기 맥반석을 3 ~ 10 시간 동안 소성시킨다.
이어서 은 이온으로 이루어진 결정인 무기 항균제를 준비한다. 다음에 상기 무기 항균제를 분쇄기에서 1 ~ 3 미크론의 직경을 갖도록 분쇄한다.
다음에 상기 맥반석을 상기 분쇄기에서 1 ~ 3 미크론의 직경을 갖도록 분쇄한다.
이어서 혼합기에서 상기 맥반석과 상기 무기 항균제를 100:5의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준비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혼합기에서 상기 맥반석 과 상기 무기 항균제의 혼합물 및 안료 수지를 1:2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밀링 작업한다.
이어서 상기 맥반석과 상기 무기 항균제 및 상기 안료를 용해시킬 용제를 준비한다.
상기 혼합기에서 상기 맥반석, 무기 항균제 및 안료의 혼합물과 접착성 수지 및 상기 용제를 15: 23: 62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 때 맥반석, 항균제를 제외한 안료, 접착성 수지 및 용제의 비율은 사용자가 원하는 잉크의 색상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가 제조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상기 잉크를 인쇄기를 사용하여 필요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제품에 인쇄한다.
(실시예2)
항균제와 맥반석 외에 견운모, 흑운모, 각섬석, 황토 등의 광물을 혼합 또는 선택하여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맥반석을 포함한 잉크를 종이나 플라스틱 제품에 인쇄할 경우 상기 잉크 내에 함유된 맥반석으로부터 항균작용 및 원적외선이 방사됨으로써 종이나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건강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맥반석의 흡착력으로 인해 안료로부터 방출되는 유해 물질을 흡착함으로써 뛰어난 항균작용을 하므로 종래에 잉크에서 문제시되었던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준다. 또한, 상기 잉크를 사용한 제품의 포장된 식품은 신선도를 유지하고 보관도 길며 잉크의 기능이 달라진다.
(실험예1)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잉크를 폴리아미드 섬유에 인쇄한 다음, 곰팡이 성장 시험을 하였다.
시험 날자는 1997년 4월 30일이며, 시험 기관은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이다. 곰팡이 균주는 애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ATCC 9642), 페니실리엄 피노필럼(Pen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 및 캐토미엄 글로보섬(Chaetomium globosum ATCC 6205)이다.
시료명 시험 항목 배양시험의 기간
원적외선 이온섬유 항곰팡이 시험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O O O O
표1에서 "O"는 시료에서 균의 성장이 인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잉크가 인쇄된 섬유에서는 상기 잉크 내의 맥반석 및 무기 항균제에 의해 곰팡이 균들이 살균 및 흡수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균의 성장이 인지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잉크를 폴리아미드 섬유에 인쇄한 다음, 세균 감소율에 관한 항균성 시험을 하였다.
시험 날자는 1997년 5월 12일이며, 시험 기관은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이다. 사용 균주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이다.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잉크가 인쇄된 섬유에서는 상기 잉크 내의 맥반석 및 무기 항균제에 의해 섬유 주위에 존재하였던 세균들이 살균 및 흡수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섬유 주위에 존재하였던 세균들이 거의 없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3)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를 인쇄한 섬유의 방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를 인쇄한 섬유의 방사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를 인쇄한 섬유의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수치로 표시한 표이다.
방사율(5 ~ 20㎛) 방사에너지(W/㎡·㎛, 40℃)
0.90 3.62 x 102
시험은 1997년 4월 30일부터 1997년 5월 6일 사이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서 40℃의 온도 하에 행해졌다. 적외선 분광계를 이용하여 흑체와의 대비에 의한 방사율을 나타내었다.
도1 및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5 ~ 20㎛ 파장의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0.90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를 인쇄한 섬유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2 및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적외선의 방사 에너지가 3.62 x 102W/㎡·㎛ 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를 인쇄한 섬유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에너지가 인체에 좋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4)
시험항목 시료 기준
#1 #2
포름알데히드 1 <1 75 이하
PH 7.0 7.1 4.8~7.5
중금속(㎎/㎏) As <0.1 <0.1 1.0 이하
Pb <0.1 <0.1 1.0 이하
Cd <0.1 <0.1 0.1 이하
Hg 검출안됨 검출안됨 0.02 이하
Cu 0.2 0.3 50 이하
Total Cr 0.4 0.4 2.0 이하
Cr VI 검출안됨 검출안됨 검출되지 않을 것
Co <0.1 <0.1 4.0 이하
Ni <0.1 <0.1 4.0 이하
아조(AZO)염료 4-AminobiphenylBenzidine4-Chloro-o-toluidine2-Naphtylamineo-Aminoazotoluen2-Amino-4-nitrotoluenep-Chloroaniline4-Methoxy-m-phenylenediamine4,4'-Diaminodiphenylmetheane3,3'-Dichlorobenzidine3,3'-Dimethoxybenzidine3,3'-Dimethylbenzidine3,3'-Dimethyl-4,4'-diamino-diphenylmethane2-Methoxy-5-methylaniline4,4'-Methylen-bis-(2-chloroaniline)4,4'-Oxydianiline4,4'-Thiodianilineo-Toluidine4-Methyl-1,3-phenylenediamine2,4,5-Trimethylaniline 검출안됨 검출안됨 각 물질별30이하
시험항목 시료 기준
#1 #2
PCB(Polychlorinated Biphenyl) 검출안됨 검출안됨 검출되지 않을 것
염색견뢰도(급) 세탁 변퇴색 4-5 4-5 3-4 이상
4-5 4-5
폴리에스테르 4-5 4-5
마찰 4 4 4 이상
4 4-5 2-3 이상
변퇴색 4-5 4-5 3-4 이상
오염1 3-4 4-5
오염2 3-4 4-5
알칼리 변퇴색 4-5 4-5 3-4 이상
오염1 3-4 4-5
오염2 3-4 4-5
변퇴색 4-5 4-5 3 이상
4-5 4-5
폴리에스테르 4 4-5
냄 새 없음 없음 없을 것
표4에서 오염1은 면(COTTON)에 대해 시험한 것이고, 오염2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시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잉크를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인쇄하였다.
다음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하여 1997년 6월 23일부터 1997년 7월 2일까지 한국 원사 직물 시험 연구원에 의뢰하여 유해 성분의 유출검사를 비롯한 각종 환경 관련 검사를 하였다. 검사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잉크가 인쇄된 직물은 한국 원사 직물 시험 연구원으로부터 환경 마크 심사용 기준에 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그 검사 결과는 표4와 같다.
표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잉크가 인쇄된 직물로부터 중금속이나 아조 염료 등 각종 유해 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거나 기준량 미만으로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세균을 흡착함으로써 항균성을 갖는 0.2 ~ 1 중량%의 무기 항균제와,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동시에 흡착력을 갖는 3 ~ 10 중량%의 맥반석과, 색상을 나타내는 5 ~ 15 중량%의 안료와, 20 ~ 30 중량%의 접착성 수지와, 상기 무기 항균제, 맥반석 및 안료를 용해시키는 50 ~ 70 중량%의 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2. 소성로에서 맥반석 파우더를 소성시키는 소성과정과,
    분쇄기에서 무기 항균제와 상기 맥반석 파우더를 3㎛ 이하의 크기로 정밀하게 분쇄하는 분쇄과정과,
    혼합기에서 상기 맥반석과 무기 항균제를 혼합하는 제1 혼합과정과.
    상기 혼합기에서 상기 맥반석 파우더와 무기 항균제 파우더의 혼합물을 안료, 접착성 수지 및 용제와 혼합하는 제2 혼합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과정은 상기 혼합기에서 상기 맥반석파우더와 무기 항균제의 혼합물을 안료 수지와 함께 분쇄하는 밀링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의 제조방법.
  4. 맥반석 파우더와 항균제 파우더를 혼합하는 혼합과정과,
    상기 맥반석 파우더 및 항균제 파우더의 혼합물에 안료와 접착성수지를 혼합하는 제2 혼합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잉크의 제조방법.
KR1019970051216A 1997-10-06 1997-10-06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30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216A KR19990030796A (ko) 1997-10-06 1997-10-06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216A KR19990030796A (ko) 1997-10-06 1997-10-06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796A true KR19990030796A (ko) 1999-05-06

Family

ID=6604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216A KR19990030796A (ko) 1997-10-06 1997-10-06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7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353A (ko) * 2001-10-27 2001-11-29 전영웅 활성탄이 함유된 인쇄용 잉크의 조성물
KR100484154B1 (ko) * 2002-08-28 2005-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항균성 착색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353A (ko) * 2001-10-27 2001-11-29 전영웅 활성탄이 함유된 인쇄용 잉크의 조성물
KR100484154B1 (ko) * 2002-08-28 2005-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항균성 착색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şmal Greener natural dyeing pathway using a by-product of olive oil; prina and biomordants
DE19803997B4 (de) Wertdokument
Kasiri et al. Exploring and exploiting plants extracts as the natural dyes/antimicrobials in textiles processing
CN103157326B (zh) 一种抗菌防霉型集尘袋及其制造方法
DE102007058601A1 (de) Sicherheitspigment
CN101084756A (zh) 抗菌油墨及其制作方法
WO1981003509A1 (fr) Papier-valeur avec marque d&#39;authenticite en matiere luminescente et procede pour son authentification
Teli et al. Multifunctionalised silk using Delonix regia stem shell waste
Pandit et al. Green and sustainable textile materials using natural resources
CN110437648A (zh) 一种宽色域不含铬、钴、钒的蓝色陶瓷颜料
CA3102995A1 (en) Chemiluminescent wetness indicator for absorbent products
KR19990030796A (ko) 맥반석을 함유한 잉크 및 그 제조방법
JP2022009122A (ja) 農業用資材及び植物の生育方法
KR101909945B1 (ko) 태양광 흡수 발열 가공제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직물
Tian et al.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tural colorant from Melia azedarach bark and its utilization in dyeing and finishing of wool
JPH101820A (ja) 人造繊維およびその製品
EP3621817B1 (en) Foamed, opacifying elements with thermally transferred images
Hussaan et al. Microwave-assisted sustainable exploration of cocklebur leaves (Xanthium strumarium L.) as a novel source of distinct yellow natural colorant for dyeing cotton fabric
KR100625039B1 (ko) 결정성 견의 초미분말을 함유하는 화장 재료
Pham et al. A study on the coloration effectiveness of Chromolaena odorata on the worsted wool fabric
KR100226880B1 (ko) 광물을 포함한 염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2765A (ko) 패각 미세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섬유
KR101490655B1 (ko) 친환경 천연염색타일의 제조방법
KR20000038132A (ko) 패류껍질 분말이 포함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4580A (ko) 토르마린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에너지 방출 물질을 첨부한기능성 섬유 제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