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560U -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560U
KR19990030560U KR2019970043252U KR19970043252U KR19990030560U KR 19990030560 U KR19990030560 U KR 19990030560U KR 2019970043252 U KR2019970043252 U KR 2019970043252U KR 19970043252 U KR19970043252 U KR 19970043252U KR 19990030560 U KR19990030560 U KR 199900305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ear
steering
gear
tir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3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560U/ko
Publication of KR19990030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560U/ko

Links

Landscapes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랙 피니언 조향 기어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에 가변 저항 필름을 도포하고,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통해 접지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랙 기어에 도포된 가변저항 필름의 저항값을 분석하여 조향각을 파악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자차의 타이어 회전반경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본 고안은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랙 피니언 조향 기어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에 가변 저항 필름을 도포하고,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통해 접지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랙 기어에 도포된 가변저항 필름의 저항값을 분석하여 조향각을 파악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자차의 타이어 회전반경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양산되는 자동차는 각종 첨단장비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는 연료분사량과 점화 타이밍과 아이들 회전수 제어, 배기 정화, 연료소비 개선과 출력향상을 위한 제어를 하는 엔진제어시스템과, 변속기의 변속점 제어와 변속충격의 완화 등을 제어하는 동력전달제어 시스템과, 미끄러 지기 쉬운 도로면에서 브레이크 작동시의 차륜 로크 방지 제어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과, 도로면 상태나 주행 상태에 따라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제어하는 현가 제어 시스템과, 저속시와 중고속시에 각각 가장 적합한 조향력 특성이 되도록 제어하는 조향 제어 시스템과, 주행속도를 아날로그 및 디지탈 식으로 표현하는 계기 제어 시스템과, 빔의 조사각을 정밀하게 조정하는 등화제어 시스템과, 모터를 구동하여 시트밸트의 탈부착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자공식 시트밸트와, 충돌시 차체 감속도를 검출하여 에어백용 압축가스를 터트리는 에어백 제어 시스템과, 라디오 방송의 수신 및 녹음매채로부터 음악을 재생하는 오디오 시스템과, 라디오의 전원 스위치 및 방송파 안테나의 신축길이를 제어하는 안테나 모터동작 자동제어시스템과, 미세한 전파 또는 적외선 광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의해 도어 또는 러기지 도어의 잠김 또는 해제를 하는 리모트 도어 시스템등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에 따른 연료소비를 효율적인 비율로 조정하고 차량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고 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시스템을 장착하여도 초보자는 현재 타이어의 진행상황을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주차를 하기 위해 주차공간으로 운행할때에는 창문을 열고 머리를 밖으로 내놓고 타이어의 각도를 보아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대단히 높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차량의 각종 계기판이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현재의 타이어 각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차량운행을 좀더 쉽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이너 접점을 설치하고, 이에 접촉되는 아웃터 접점을 링 스프링을 통해 설치하며, 아웃터 접점에는 스티어링 칼럼 회전 감지센서를 부착하고, 상기 회전감지 센서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한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칼럼의 피니언 기어 및 랙 기어 조립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을 동작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향축 2: 피니언 기어
3: 랙 기어 11: 필름
12: 변류계 13: 콘트롤러
14: 디스플레이 장치 15: 디스플레이용 차량 형태
16: 디스플레이용 타이어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랙 피니언형 조향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향축(1) 끝에 피니언 기어(2)를 설치하여 랙 기어(3)와 맞물리도록 하여 피니언 기어(2)의 회전을 랙 기어(3)의 좌우 방향 운동으로 바꾸어 양쪽 끝에 연결된 타이로드를 통해 조향바퀴를 움직이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랙 기어(3) 구조는 타이 로드의 일부로 되고 그밖에 보울 조인트 수도 다른 형식에 비해 적기 때문에 소형이면서 가벼운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피니언 기어(2)를 회전시 유동하는 랙 기어(3)의 유동에 비례하여 타이어의 회전이 이루어짐을 착안하여 랙 기어(3)가 움직이는 정도를 전자적으로 파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나타냄으로써, 운전자는 자차의 바퀴가 어느정도 회전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써,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랙 기어(3) 및 피니언 조향 기어(2)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3)에 가변 저항 필름(11)을 도포하고, 상기 랙 기어(3)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를 통해 접지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랙 기어(3)에 도포된 가변저항 필름(11)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 변환값을 측정하는 변류계(12)를 배터리(BAT)와 필름(11) 사이의 회로라인에 연결하고, 상기 변류계의 전압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의 회전정도를 파악하는 콘트롤러(13)를 포함하며, 차량의 축소 형태이며 콘트롤러(13)의 제어신호에 따라 타이어에 해당하는 광빔출력이 회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4)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간단한 차량의 형태(15)로 제작하고, 여기서 타이어(16)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타이어의 각도가 변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4)를 설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팅어링 휠의 좌우 회전시 스티어링 칼럼과 함께 피니언 기어(2)가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2)에 맞물린 랙 기어(3)가 회전되는바, 상기 랙 기어(3)에 부착된 가변 저항 필름(11)에 일정한 전원을 공급하면 피니언 기어(2)를 통해 전원 회로 루프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가변 저항 필름을 통과한 전압값이 변류계(12)에 의해서 파악되고, 이를 콘트롤러(13)에 전송하면 콘트롤러(13)는 기준 전압값과 비교하여 현재 피니언 기어가 랙 기어(3) 상으로 얼마나 회전하였는지를 파악하며, 이때 콘트롤러(13)는 미리 회전에 따른 전압값을 내장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비교분석한다.
상기와 같이 랙 기어(3)의 유동이 확인되면 콘트롤러(13)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현재 랙 기어(3)의 변환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랙 기어(3)에 상응하여 타이어가 회전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랙 기어의 움직임으로 타이어의 움직임을 연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4)는 차량 형태의 표시수단(15)에 타이어(16)만을 적색 또는 청색 발광이 이루어지는 표시수단을 부착하여 타이어 회전시 타이어 표시수단(16)이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운전자는 쉽게 자차의 타이어 회전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 주차시 인스트루먼트 패널만 보고 현재 타이어가 얼마만큼 회전하였는가를 알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며, 주차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랙 피니언 조향 기어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에 가변 저항 필름을 도포하고,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통해 접지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랙 기어에 도포된 가변저항 필름의 저항값을 분석하여 조향각을 파악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자차의 타이어 회전반경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랙 기어(3) 및 피니언 조향 기어(2)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3)에 가변 저항 필름(11)을 도포하고, 상기 랙 기어(3)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를 통해 접지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랙 기어(3)에 도포된 가변저항 필름(11)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 변환값을 측정하는 변류계(12)를 배터리(BAT)와 필름(11) 사이의 회로라인에 연결하고, 상기 변류계(12)의 전압정보를 분석하여 타이어의 회전정도를 파악하는 콘트롤러(13)를 포함하며, 차량의 축소 형태이며 상기 콘트롤러(13)의 제어신호에 따라 타이어에 해당하는 광빔출력이 회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4)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970043252U 1997-12-30 1997-12-30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KR199900305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252U KR19990030560U (ko) 1997-12-30 1997-12-30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252U KR19990030560U (ko) 1997-12-30 1997-12-30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60U true KR19990030560U (ko) 1999-07-26

Family

ID=6968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252U KR19990030560U (ko) 1997-12-30 1997-12-30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56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20B1 (ko) * 2002-08-23 2004-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향각 확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20B1 (ko) * 2002-08-23 2004-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향각 확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0799B1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s
FR2752552B1 (fr) Dispositif de command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bloc de commandes agence au centre du volant
WO2008150318A2 (en) Detectable anti-collision automatic braking device for driving transportation
ES2151913T3 (es) Dispositivo de control autonomo para vehiculos automoviles.
JPH10208194A (ja) 車両の仕様変更装置
FR2842153B1 (fr) Dispositif de blocage a fonction antivol pour vehicule automobile a direction assistee electrique
KR19990030560U (ko) 감지기를 이용한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KR19990027940A (ko) 조향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JPH0725301A (ja) 手放し運転検知及び警告装置
CN103182935A (zh) 自动挡汽车电子驻车控制系统及控制方法
WO2003008779A3 (de)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diagnose in kraftfahrzeugen
FR2782971B1 (fr) Dispositif de command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bloc fixe d'accessoires agence au centre du volant
CN203126526U (zh) 自动挡汽车电子驻车控制系统
CN219446910U (zh) 汽车走行中电视功能限制取消系统
KR200271315Y1 (ko) 자동차용 비상등 스위치
KR19980047417U (ko) 차량위치 표시기능을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KR980008956A (ko) 자동차용 조향 장치
KR200300664Y1 (ko) 자동차제한속도 준수기
KR100287287B1 (ko) 시트벨트를 이용한 차량의 에어백 구동장치
KR100305557B1 (ko) 절곡형가스발생부재를갖는시트벨트권취장치:
KR200321282Y1 (ko) 차량용 위성안테나
KR0112964Y1 (ko) 자동차용 라이트스위치의 미작동시 경고장치
FR2753421B1 (fr) Dispositif de surveillance par le conducteur d'un vehicule automobile, d'un passager voyageant a l'arriere du vehicule
KR960022073A (ko)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 장치
KR0144602B1 (ko) 자동차의 썬 루프 개방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