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411U -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411U
KR19990030411U KR2019970043103U KR19970043103U KR19990030411U KR 19990030411 U KR19990030411 U KR 19990030411U KR 2019970043103 U KR2019970043103 U KR 2019970043103U KR 19970043103 U KR19970043103 U KR 19970043103U KR 19990030411 U KR19990030411 U KR 199900304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pport member
refrigerator
support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선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3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411U/ko
Publication of KR19990030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411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내벽의 양측에는 고정홈을 형성하며, 각 고정홈에는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고, 지지부재의 하단 전후방에는 지지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핀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선반의 높이 조절작업이 도어를 완전히 오픈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능해지므로 높이 조절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본 고안은 냉장고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고내에 설치되는 선반의 높이 조절 작업이 도어를 완전히 오픈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 조절 작업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 1에 나타난 바와같이 캐비넷(1)에 식품등을 저장하기 위한 작업의 편이성 향상과 보관되는 식품의 구분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크게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구분되며, 냉동실(2)과 냉장실(3)은 캐비넷(1)에 설치되는 별도의 도어(4)를 통해 개폐된다.
또한, 냉장실(3)에는 그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단의 선반(5)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 선반(5)의 고정 방법은 캐비넷(1)의 양측벽에 선반(5)의 좌우 양단이 안착될 수 있는 걸림턱(6)이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턱(6)은 고내의 유효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즉, 저장하려는 식품 등의 크기에 따라 선반(5)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선반(5)의 높이 조절 작업은, 먼저 도어(4)를 오픈한 후 선반(5)을 고외로 빼내며, 이어서, 선반(5)의 좌우 양단을 저장하려는 식품 용기 등의 크기를 고려하여 고내로 삽입시키면서 적정하다고 생각되는 위치의 걸림턱(6) 상부에 올려 놓는다. 이 때, 선반(5)의 크기로 인하여 선반(5)의 인출 또는 삽입을 위해서는 도어(4)를 완전히 오픈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 선반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선반(5)의 높이 조절을 위해서는 선반(5)을 고외로 인출한 후 원하는 걸림턱에 지지될 수 있도록 다시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 작업을 위해서는 도어(4)를 완전히 오픈하여야 하며, 특히, 도어(4)의 오픈을 위한 회전 반경내에 다른 장치가 위치되어 도어(4)를 완전히 오픈하지 못하게 되면 선반(5)의 높이 조절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반(5)을 지지하는 걸림턱(6)이 캐비넷(1) 내벽에서 돌출되어 식품 용기의 수납시 걸림턱(6)과 간섭이 발생되어 고내의 내벽과 수납되는 식품의 사이에는 무효공간이 발생됨에 따라 유효공간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반의 높이 조절 작업이 도어를 완전히 오픈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 조절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반의 지지부재가 캐비넷 내벽의 내부에 삽입 및 선반을 지지할 때에만 고내로 인출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하려는 식품 용기와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고내 유효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선반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적용된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사용된부호의설명>
1 : 캐비넷 1a : 고정홈
5 : 선반 10 : 지지부재
11 : 고정부 12 : 지지부
13 : 스토퍼 20 : 힌지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장고 고내를 다단으로 구획하기 위한 선반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고내의 양측벽에 전후방으로 형성된 다단의 고정홈과,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홈에서 고내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인출을 안내하는 인출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된 지지부재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초기 설치 상태 및 선반의 지지상태를 보인 냉장고 고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된 지지부재의 작동을 보인 냉장고의 부분 절결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선반 지지구조는, 캐비넷(1) 내벽의 양측에는 고정홈(1a)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각 고정홈(1a)의 내부에는 선반(5)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0)가 각각 설치되고, 각 지지부재(10)의 하단 전후방에는 지지부재(10)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핀(20)이 각각 설치된다.
지지부재(10)는 힌지핀(20)이 끼워지는 고정부(11)와, 고정부(11)에서 상측으로 벤딩 성형되며 선반(5)의 저면과 접촉되면서 선반(5)을 지지하는 지지부(12)와,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캐비넷(1)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지지부재(10)가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토퍼(13)로 구성된다.
힌지핀(20)은 탄성부재(미도시)를 통해 지지부재(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홈(1a)의 전후벽면에는 힌지핀(20)이 고정되는 힌지핀 고정홈(미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는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고내로 인출되어 선반을 지지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이 방법을 위해서는 캐비넷의 좌우 양측에 지지부재가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부재의 인출 또는 삽입을 위한 슬라이딩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장홈을 형성하며, 지지부재가 가이드장홈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이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된 지지부재의 작용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부재(10)의 설치를 위해 전방의 힌지핀(20)을 전방의 힌지핀 고정홈에 맞춰 넣은 후 후방의 힌지핀(20)을 지지부재(1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힌지핀(20)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지지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10)를 고정홈(1a) 내부로 밀어 넣고, 지지부재(10)가 삽입되다가 힌지핀(20)이 힌지핀 고정홈에 위치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핀(20)이 인출되면서 힌지핀 고정홈에 고정된다.
지지부재(10)의 초기 설치 상태는 캐비넷(1)의 고정홈(1a) 내부에 위치되어 고내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선반(5)의 지지상태를 설명하면, 지지부재(10)의 고정부(11)는 고정홈(1a)의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지지되며, 지지부(12)는 선반(5)의 저면과 접촉되면서 고정홈(1a)의 바닥면 및 힌지핀(20)의 지지를 받으면서 선반(5)을 지지하게 되고, 동시에, 스토퍼(13)가 캐비넷(1)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지지부재(10)는 하부로 처지지 않게 된다.
한편, 선반(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어를 사용자의 손과 팔을 넣을 수 있을 만큼만 오픈한 후, 지지부재(10)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지 않도록 선반(5)을 들어 올리며, 이어서, 좌우 양측의 지지부재(10)를 캐비넷(1)측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10)는 힌지핀(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홈(1a)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0)를 고정홈(1a)에 삽입하게 되면 고내에는 선반(5)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는 구조물이 없으므로 선반(5)은 고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원하는 높이에 위치된 지지부재(10)를 고내측으로 잡아 당기면 지지부재(10)는 힌지핀(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내로 인출된다.
선반(5)을 각 지지부재(10)의 지지부(12) 상부에 안착시킨다.
따라서, 선반(5)의 높이 조절이 지지부재(10)를 캐비넷(1)에 삽입 또는 인출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선반의 높이 조절을 위해 선반을 고외로 인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도어를 완전히 오픈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또한, 선반(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0)중 사용되지 않는 지지부재(10)는 캐비넷(1)의 내벽 내부에 삽입되어 고내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수납하려는 식품 용기와 선반 걸림턱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걸림턱과 수납된 식품 용기와의 사이에는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 선반 지지구조에 의하면, 선반의 높이 조절작업이 선반을 고외로 인출하지 않고도 가능해져 도어를 완전히 오픈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므로 선반 높이 조절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되지 않는 지지부재가 고내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수납하려는 식품 용기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식품 용기 등을 고내 내벽면에 근접시켜 수납할 수 있으므로 고내 유효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냉장고 고내를 다단으로 구획하기 위한 선반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고내의 좌우 양측벽에 전후방으로 형성된 다단의 고정홈과,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홈에서 고내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인출을 안내하는 인출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안내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인출될 수 있도록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인출시 상기 캐비넷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KR2019970043103U 1997-12-30 1997-12-30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KR199900304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103U KR19990030411U (ko) 1997-12-30 1997-12-30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103U KR19990030411U (ko) 1997-12-30 1997-12-30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411U true KR19990030411U (ko) 1999-07-26

Family

ID=6967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103U KR19990030411U (ko) 1997-12-30 1997-12-30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41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8342B2 (en) Refrigerator home bar unit door
WO2017005314A1 (en)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flap connection mechanism
KR20040091478A (ko) 냉장고의 바스켓커버 자동닫힘 구조
KR20040045808A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장치
KR20030088658A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의 개폐구조
KR19990030411U (ko)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KR200182199Y1 (ko) 냉장고용 선반의 지지구조
KR100222986B1 (ko) 냉장고의 서랍식 수납 장치
KR100242569B1 (ko) 냉장고의 특선실
KR20040068782A (ko) 냉장고
KR19990056272A (ko) 냉장고의 도어포켓
KR20060032686A (ko) 냉장고 인출식 선반
KR200155035Y1 (ko) 냉장고용 보조선반 장치
KR20010009547A (ko) 냉장고용 도어힌지
KR19980082301A (ko) 냉장고
KR100254468B1 (ko)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KR0137800Y1 (ko) 회전선반의 조립 구조물
KR100802174B1 (ko)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
KR100624674B1 (ko) 냉장고
KR200141919Y1 (ko) 계란보관용 선반도어
KR19990027050U (ko) 냉장고의 선반
KR200340653Y1 (ko) 양문 개폐형 냉장고의 홈바
KR200158629Y1 (ko) 냉장고의 특선실
KR0139239Y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장치
KR19990049526A (ko) 냉장고의 슬라이딩 포켓을 지니는 도어포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