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339A -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339A
KR19990030339A KR1019980041929A KR19980041929A KR19990030339A KR 19990030339 A KR19990030339 A KR 19990030339A KR 1019980041929 A KR1019980041929 A KR 1019980041929A KR 19980041929 A KR19980041929 A KR 19980041929A KR 19990030339 A KR19990030339 A KR 1999003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issue
biological
tomograph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341B1 (ko
Inventor
료이치 간다
가즈히로 이이누마
Original Assignee
오카모토 세이시
도시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모토 세이시, 도시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모토 세이시
Publication of KR1999003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341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상과 구조물상의 위치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로서, 실체조직화상(T)의 소정 단면의 단층상(T1)과, 단층상(T1) 보다도 Z축을 따라서 시점측(바로 앞쪽)의 혈관상(S)을 합성표시하고, 여기에서 조작자가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조작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조작입력을 실시함으로써 표시하는 단층상의 위치를 Z축을 따라서 변화시킴으로써 3차원의 실체조직화상을 구성하는 2차원 단층상(B모드상)을 마치 책장을 넘기는 것처럼 차례로 표시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본 발명은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특히 생체내의 실체장기를 형성하는 조직과 혈관 등의 구조물을 진단 또는 치료에 적합한 알기 쉬운 형태로 제공하는, 의료용 화상의 3차원(이하, 「3D」라 부름) 표시, 및 3D 정보로부터 생체에 관한 정량 파라미터(parameter)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내의 혈관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여러가지 진단을 실시하는 데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어 간장내의 간종양으로 들어가는 영양혈관을 파악하는 것은 악성 양성의 감별이나 치료효과의 판정에서 중요하고, 또한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에서는 신장내의 혈류의 환류상태가 그 지표가 된다.
그러나, 혈관구조의 3차원정보만으로는 적절한 진단을 내리기 불충분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간종양의 부근에 혈관이 검출·영상화되고 혈관의 3D 화상이 얻어졌다고 해도, 그 혈관의 종양이 영양혈관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혈관이 종양의 내부로 들어가는지의 여부를 알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양상이 없고 혈관상만으로는 종양의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진단은 실시할 수 없다.
또한, 신장혈류에 대해서도 신장의 실체(實體) 또는 표면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 수 없으면, 신장표면 부근까지 혈류가 환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분명하지 않다. 즉, 혈류 또는 혈관의 화상과 위치관계가 유지되고 있는 실체장기의 화상이 동시에 얻어지고 표시되지 않아 충분한 진단은 내릴 수 없다.
장기의 실체는 장기내의 모든 공간에 가득차 있으므로 종래의 의료용 화상진단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장기의 내부 실체 등의 계조성(階調性)의 화상을, 3D로 표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장기 내부에 있는 혈관의 구축을, 내부 실체와의 위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알기 쉽게 표시하는 것도 곤란하다.
이것을 해결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종양 등의 윤곽을 추출하고 그 윤곽과 혈관구조를 동시에 3D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양의 윤곽은 일반적으로 경계가 선명하지 못하므로 자동적인 윤곽추출은 곤란하다. 또한, 사람 손에 의해 3D상을 구축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단층상에 대해서 윤곽을 추적하는 것은 상당한 수고가 필요해져 환자를 앞에 두고 하는 검사중의 작업으로서는 실용적이지 않다.
그런데, 혈류량이나 혈관조성의 풍부함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정량 파라미터의 계산범위를 혈관상 단독으로 결정할 수는 없고, 정량 파라미터를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얻을 수 없다. 또한, 충분히 정량성이 있는 파라미터를 얻는 것 자체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이하의 의료용 화상진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1)혈관 등 망 형상 구조물의 구조물상, 및 실체장기 등 계조성이 있는 조직상의 각각의 3D 정보를, 정보량을 떨어뜨리지 않고 또한 그 위치관계를 알기 쉽게 할 수 있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2)조직상의 3D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혈관 등의 망형상 구조물의 3D 정보로부터 정량 파라미터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초음파 진단장치에 의한 3D 데이터 수집으로부터 화상합성까지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는 종양을 포함한 영역의 조직상과 혈관상을 합성하여 표시하기 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조직상의 영역조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XYZ축을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경우의 합성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조직상의 표시영역에 의해 감추어지는 혈관상을 조직상으로부터 비쳐 보이도록 표시한 경우의 합성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2개의 3차원상을 나란히 표시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초음파 진단장치에서의 조직상을 사용한 범위 설정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조직상에 대해서 추적(trace)을 실시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조직상 위에서 추적을 실시할 때에, 혈관상과 조직상의 합성상 위에도 추적 곡선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조직상의 신호를 사용하여 보정을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초음파 진단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초음파 프로브 2: 송신계
3: 수신계 4: B모드용 신호 처리계
5: 칼라 도플러 처리계 6: MTI 필터
7,8: 자기상관(自己相關) 연산부 9: 표시계
10: 계측계 11: 모니터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의료용 화상진단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의료용 화상진단장치는 혈관 등의 구조물 및 실체장기 등의 조직의 양방향 3D 정보를 위치관계를 유지한 채 수집할 수 있다.
(1)조직상 및 단면상 구조물의 3D 화상을 좌표로 대응시켜 동일한 화면 상에 표시하고 단면상의 전후에서 3D 화상의 표시법을 바꾼다.
(2)구조물에 대한 정량 파라미터를 얻을 때, 파라미터를 얻는 범위를 조직상의 3D 데이터에 대해서 지정하고 그 범위가, 위치관계가 대응된 구조물의 3D 데이터에 적응되어 정량 파라미터가 계산된다.
(3)또한, 범위설정 뿐만 아니라, 정량파라미터의 계산자체에, 조직상의 정보와 구조물상의 정보의 양자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장기실체의 정보와, 혈관과 같은 구조물의 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화상진단기구의 예로서는 초음파 진단장치나 X선 컴퓨터 단층촬영장치(CT), 자기공명 이미징장치(MRI) 등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제 1∼제 3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초음파 진단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초음파 진단장치에서는 장기실체의 조직상을 B모드에 의해 얻을 수 있고, 동시에 거의 동일한 시각의 구조물상(혈관상)을 칼라 도플러 모드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칼라 도플러 모드에 의해 얻어진 정보는 기본적으로는 혈류속도와 혈류로부터의 반사신호의 파워로 이루어진 2종류의 정보이지만, 파워정보쪽이 혈류속도정보 보다도 혈관상의 구축에 적합하다.
또한, 최근에는 조찰제를 사용하여 혈관상 또는 장기실체내의 환류를 영상화하는 방법, 예를 들어 콘트라스트 에코(contrast echo)나 하모닉 이미징(harmonic imaging)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구조물상을 생성하고 B모드에 의해 얻어지는 장기실체의 조직상과 함께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3D 데이터 수집으로부터 화상합성까지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기본적으로 조직상에 수집한 3D 데이터의 지정영역의 단면 또는 어느 한장의 2차원 단층상을 사용한다. 구조물상에서는 3D 데이터로부터 3D상을 구축하고 조직상과 조합시켜 표시한다.
우선 스텝(S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단장치(화상진단장치)에 의해 3D 데이터를 수집한다. 다음에, 수집된 3D데이터를 기초로 스텝(S2)에서 조직 화상(f(x,y,z): 흑백의 계조(階調) 화상), 및 구조물화상(g(x,y,z), 칼라화상)의 2종류의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스텝(S3)에서 조직화상을 기초로 단층상(F(x,y,z))을 생성함과 동시에 스텝(S4)에서 구조물 화상을 기초로 3D화상(G(x,y,z))을 생성한다.
스텝(S5)에서는 3D화상(G(x,y,z))에 소정의 화상처리를 실시하고 G(x,y,z)를 얻은 후, 단층상(F(x,y,z))과 화상처리후의 3D화상(G(x,y,z))을 합성하여 합성화상(F(x,y,z)+G(x,y,z))을 얻는다. 그리고 스텝(S6)에서 합성화상(F(x,y,z)+G(x,y,z))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스텝(S3∼S5)에서의 화상의 생성 및 표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도시한 것이고 종양을 포함한 영역의 조직상과 혈관상을 합성하여 표시하기 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실체조직화상을 도시하고 있다. 실체조직화상(T)에서 점선에 의해 도시되는 구형상물체는 종양(Tt)을 나타낸다. 이 실체조직화상(T)은 복수매수의 2차원 단층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의 (b)는 구조물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구조물 화상(혈관상)(S)은 소정의 시점에서 본 3D화상이고, 그 구축방법(3D화)은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도 2의 (a) 및 (b)에 도시되는 실체조직화상(T) 및 혈관상(S)은 다음과 같이 합성 표시된다.
우선,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체조직화상(T)의 소정의 단면(Z축상의 초기위치에서의 XY면)의 단층상(T1)과, 단층상(T1) 보다도 Z축을 따라서 시점측(앞측)의 3D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성된 혈관의 3D상(S)이 합성 표시된다.
여기에서, 조작자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조작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소정의 조작입력을 실시함으로써 표시하는 단층상의 위치를 Z축을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3차원의 실체조직화상을 구성하는 2차원 단층상(B모드상)을, 마치 책장을 넘기듯이 차례로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도 2의 (d)는 조작수단에 의해 Z축상의 위치를 T1 보다도 안쪽으로 들어가게 한 경우에서의 단층상(T2)을 도시하고 있고 도 2의 (e)는 Z축상의 위치를 T2 보다도 더욱 안쪽으로 들어가게 한 경우에서의 단층상(T3)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조작수단에 의한 단층상(T1∼T3)까지의 표시 갱신에 따라서, 혈관상(S)의 표시도 도 2의 (c)∼도 2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갱신된다.
이렇게 하여 조작자는 조직상의 영역을 작게 해 감으로써 혈관(3D)상의 영역을 넓힐 수 있고, 이와 같은 영역조작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조직상에 의해 나타나는 종양과 혈관(상)의 위치관계를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도 3은 조직상의 영역조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예에서는 XY면의 단층상만을 표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도 3의 예에서는 XY면의 단층상(Txy)에 더하여 YZ면의 단층상(Tyz)도 표시한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Z방향으로만 조작영역을 변화시키는 것이지만,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조작수단에 의해 단층상(Txy)의 Z방향(화살표 A방향)의 위치, 및 단층상(Tyz)의 X방향(화살표 B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상세하게 조작영역을 변화사킬 수 있다. 물론, 조작영역을 임의의 형태로 변화시켜도 좋다.
도 4는 XYZ축을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경우의 합성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혈관구조의 기단측(Sa)뿐만 아니라 선단측(Sb)도 표시된다. 또한, 단층상(Tn)의 위치는 Z방향을 따라서 화살표 C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조직상의 표시영역에 의해 숨겨지는 혈관상을 조직상으로부터 비추어져 보이도록 표시한 경우의 합성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혈관구조의 기단측(Sc)이 3D 표시됨과 동시에, 단층상(Tn)의 위치 보다도 선단측의 혈관상(Sd)이 단층상(Tn)을 통해 비추어져 보이도록 표시된다.
도 6은 2개의 3차원상을 나란히 표시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단층상(Tn)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3차원의 표시영역(V1,V2) 중, 영역(V1)측(시점측)의 혈관상(S1)과, 영역(V2)측(단층상(Tn) 보다도 안쪽)의 혈관상(S2)이 나란히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표시법에 의해 조작자는 조직상과 구조물의 위치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는 조직상의 영역이나 단면뿐만 아니라, 시점의 방향도 동시에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상세한 관찰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얻어진 3D 정보로부터 예를 들어 종양 영양 혈관의 풍부함을 나타낸 어떤 지표(정량 파라미터)를 얻으려고 할 때 그 범위를 어떻게 결정하는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직상을 사용한 범위설정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양 근처에 종양의 영양혈관과는 다른 혈관이 다수 주행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혈관상에 기초하여 개개의 혈관을 개별적으로 판정해 가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한편, 조직상에 의하면 종양의 범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직상(도 7의 (b))에 기초하여 정량화를 위한 범위를 결정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의 (c)∼(e)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방향의 평면(예를 들어, 소정의 XY평면, YZ평면 및 XZ평면)의 실체조직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이 화상 위에서 종양을 추적함으로써 정량화하기 위한 범위를 설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XY 평면의 조직상 위에서, 종양의 단면(T1)을 추적함으로써 범위설정정보(R1)를 얻고 YZ 평면의 조직상 위에서 종양의 단면(T1)을 추적함으로써 범위설정정보(R2)를 얻으며, XZ 평면의 조직상 위에서 종양의 단면(T3)을 추적함으로써 범위설정정보(R3)를 얻는다.
이와 같은 추적 작업이 필요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명확한 정의에 기초한 정량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경우와 동일하게 조직상에 대해서 추적을 실시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예에서는 도 8의 (a)에 나타낸 실체조직화상의 서로 평행한 복수의 단면으로부터 추적면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 8의 (b)∼(g)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1∼XY-6으로 이루어진 6장의 단면이 추적면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도 9는 조직상 위에서 추적을 실시할 때, 혈관상과 조직상의 합성상 위에서도 추적 곡선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추적을 실시하는 조직상(Tn1) 위에서 추적 곡선(Tc1)(X-----X)이 표시되고, 혈관상(S)과 조직상(Tn2)의 합성화상 위에 Tc1에 상당하는 추적 곡선(Tc2)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다른 혈관이 추적 범위밖에 있는 것을 확인하면서 추적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추적의 정밀도를 별로 신경쓰지 않아고 되어, 간편하고 확실하게 추적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혈관상과 조직상의 합성화상 위가 아니고 혈관상 위에 추적 곡선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상 설명한 도 8 및 도 9 중 어느 예에서도 추적을 실시하는 단면상은 조직만의 상으로도 좋고, 조직단층상에 혈관의 동일 단면상을 중합시킨 2차원 합성상이어도 좋다.
또한, 추적은 반드시 조작자가 수동으로 실시할 필요는 없고, 어떤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자동추적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정량화 파라미터를 계산할 때의 범위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정량 파라미터를 사용할 때, 구조물의 정보만으로는 정량성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는 조직상으로부터의 정보도 함께 사용함으로서 보다 정량성이 높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초음파 진단장치의 칼라 도플러 파워 표시에서 종양 내의 도플러파워값의 총량으로부터 종양내 혈류의 풍부함, 즉 「혈관질(vascularity) 을 정량화한다. 그 때 정량화에 방해가 되는 것은 도플러 파워 자체가 장치나 생체내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점이다. 즉, 장치의 송신 파워나 수신강도가 낮은 경우에는 종양의 혈관질은 높아도, 종양내로부터 얻어지는 도플러 파워 자체가 작아진다. 또한, 종양이 깊은 곳에 있는 경우에도 초음파 프로브∼종양간을 음파가 전반할 때의 생체내의 감쇄에 의해 도플러 신호도 감쇄된다. 이 요인은 도플러 신호에 의한 정량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 요인에 의한 도플러 신호의 변화는 마찬가지로 조직상에도 작용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직상의 신호를 사용하여 보정을 실시한다. 도 10은 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우선, 도플러 신호의 종양내의 파워의 총량(DP)을 다음 식에 따라서 구한다.
d는 도플러 신호의 각 점의 파워, R은 종양범위(적분범위)
다음에 B모드신호의 종양내의 파워의 총량(BP)를 다음식에 따라서 구한다.
d는 B모드 신호의 각 점의 파워, R은 종양범위(적분범위)
그리고, 혈관질·인덱스(f(DP,BP))를 예를 들어 DP/BP로서 계산하고 이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의 송신 파워, 수신감도 등을 보정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종양내의 조직상(T)로부터 보정신호를 얻고 있지만, 보정용 영역으로서 종양 이외의 다른 영역을 지정해도 좋다. 실제, 종양내에서는 종양의 성질에 따라 신호의 강도가 크게 변할 가능성이 있고 송신 파워·수신감도 등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적절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초음파 진단장치에 한정시켜 말하면, 통상 조직상은 B모드상을 가리키지만 B모드상과 칼라 도플러상에서는 송신 수신의 조건이 다르므로, 구하는 정보에 대한 감쇄 등의 영향이 동등하다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보정에 사용되는 조직상으로서는 B모드상은 최적이 아니다.
도 11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동 도면에서 1은 초음파 프로브(probe), 2는 송신계, 3은 수신계, 4는 B모드용 신호처리계, 5는 칼라 도플러 처리계, 9는 표시계, 10은 계측계, 그리고 11은 모니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플러 신호를 얻기 위한 칼라 도플러 처리계에서는 통상, 조직으로부터의 신호를 제거하고 혈류로부터의 신호만을 표시하기 위해 MTI 필터라고 불리는 HPF(저역차단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칼라 도플러 처리계(5)는 MTI 필터(6)를 통과한 후에 파워계산을 실시하는 자기상관 연산부(7)와, MTI 필터(6)를 통과하지 않고 수신계(3)로부터의 신호를 직접 사용하여 파워 계산을 실시하는 자기상관 연산부(8)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기상관 연산부(8)에 의해 얻어지는 파워값에 기초함으로써 보정에 적합한 조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정량화할 때의 오차요인을 보정할 수 있고, 정량성이 높은 파라미터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도시된 의료용 진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혈관 등 망형상 구조물의 구조물상, 및 실체장기 등 계조성이 있는 조직상의 각각의 3D정보를, 정보량을 떨어뜨리지 않고 그 위치관계를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2)조직상의 3D정보를 사용함으로서 혈관 등의 망형상 구조물의 3D정보로부터 정량 파라미터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Claims (20)

  1. 생체조직의 3차원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 수집수단,
    생체내에 존재하는 생체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를 상기 생체조직과 위치좌표를 대응시켜 수집하는 제 2 수집수단,
    상기 생체조직의 3차원 데이터로부터 조직단층상을 생성하는 조직단층상 생성수단,
    상기 생체 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로부터 구조물 화상을 생성하는 구조물 화상생성수단, 및
    상기 조직단층상 및 구조물 화상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합성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조물 화상의 표시태양을 상기 조직단층상의 위치의 전후에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은 흑백의 계조 화상이고 상기 구조물화상은 칼라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3차원 데이터로부터 구조물 화상생성에 사용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영역의 구조물 화상을 생성하며, 상기 영역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조직단층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과 구조물화상을 위치좌표를 대응시켜 겹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과 구조물 화상이 중첩되는 영역의 조직단층상의 정보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등간격이고 평행한 상기 조직단층상을 복수개 나란히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과 구조물화상 중 어느 한쪽을 표시 또는 비표시로 전환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진단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과, 상기 조직단층상의 위치가 도시된 구조물 화상을 나란히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을 평행이동, 회전 또는 그 조합에 의해 표시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구조물상의 표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은 생체의 연부 조직이고 상기 생체 구조물은 혈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의 전후에서 상기 구조물 화상의 휘도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이 아닌 복수의 상기 조직단층상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을 3차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14. 생체 조직의 3D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단, 생체내에 존재하는 생체 구조물의 3D 데이터를 상기 생체 조직과 위치좌표를 대응시켜 수집하는 수단, 및 상기 생체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로부터 구조물 화상을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생체구조물의 정보로부터 특정의 수치를 얻을 때, 상기 수치를 계산하는 영역을 상기 생체 조직의 3차원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를 계산하는 영역은 복수의 조직단층상을 사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 위에서 영역의 윤곽을 조작자가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단층상 위에서 영역의 윤곽을 조직단층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조직단층 위에서 결정된 또는 결정되고 있는 영역의 윤곽선을, 상기 구조물화상 또는 조직단층상과 구조물상의 합성화상 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장치.
  19. 생체조직의 3D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단, 생체내에 존재하는 생체 구조물의 3D데이터를 상기 생체조직과 위치좌표를 대응시켜 수집하는 수단, 및 생체구조물의 3D데이터로부터 구조물 화상을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생체구조물의 정보 및 상기 생체조직의 정보의 양자를 사용하여 생체의 정보를 도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치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조직의 정보가 초음파 진단장치의 B모드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진단장치.
KR1019980041929A 1997-09-30 1998-09-30 의료용화상진단장치 KR100306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65661 1997-09-30
JP26566197 1997-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339A true KR19990030339A (ko) 1999-04-26
KR100306341B1 KR100306341B1 (ko) 2001-10-19

Family

ID=4070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929A KR100306341B1 (ko) 1997-09-30 1998-09-30 의료용화상진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101204A (ko)
KR (1) KR1003063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466B1 (ko) * 1999-11-26 2007-07-25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이미징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혈액 움직임 이미징 시스템
US9514280B2 (en) 2012-07-27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model of patient specified target organ based on blood vessel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363B1 (ko) * 2000-06-02 2002-08-01 주식회사 엔지티 자동 의료 영상 분할을 통한 3차원 영상 데이터 구축방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영상유도 수술 장치
KR101182891B1 (ko) * 2009-12-09 2012-09-13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2차원 초음파 영상과 3차원 초음파 영상의 합성영상을 제공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US9715757B2 (en) * 2012-05-31 2017-07-25 Koninklijke Philips N.V. Ultrasound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e guidance procedure
KR102347038B1 (ko) * 2014-11-06 2022-01-04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466B1 (ko) * 1999-11-26 2007-07-25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이미징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혈액 움직임 이미징 시스템
US9514280B2 (en) 2012-07-27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model of patient specified target organ based on blood vessel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6341B1 (ko) 2001-10-19
JP2009101204A (ja)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3918B1 (en) Medical image diagnostic apparatus
JP5395396B2 (ja) 超音波診断装置、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068234B2 (ja) 超音波診断装置
US80256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a medical device to be applied within a patient
JP5680654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画像表示方法
KR20050084366A (ko) 동맥 벽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초음파 도플러 시스템
CN101516270B (zh) 超声波诊断装置
JPH08224238A (ja) 超音波ドップラーパワー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4468432B2 (ja) 超音波診断装置
US9357981B2 (en)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for extracting organ contour in target ultrasound image based on manually corrected contour image in manual correction target ultrasound image, and method for same
JP2006510412A (ja) 動脈パラメータを推定する超音波装置
JP2019534103A (ja) 造影剤流の肝灌流を特徴付け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101204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2011110211A (ja) 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血流動態の分布像構成方法
Löwe et al. „Knobology “in Doppler Ultrasound
JP2008161674A (ja) 超音波診断装置
CN115515504A (zh) 管腔内数据获取的自动控制及相关装置、系统和方法
US7285095B2 (en) Method of analyzing and displaying blood volume using myocardial blood volume map
JP4286890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US20050148853A1 (en) Method for supporting navigation of a medical instrument, in particular of a catheter
JP4751337B2 (ja) 診断画像データのコンピュータ支援による視覚化のための方法
JP2001506517A (ja) 冠動脈における狭窄計測法
CA30587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peripheral endovascular procedures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WO2007072720A1 (ja) 医用画像診断装置および生体組織の同定方法
US2022022596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guilding repeatd ultrasound exams for serial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