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791U -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791U
KR19990029791U KR2019970042459U KR19970042459U KR19990029791U KR 19990029791 U KR19990029791 U KR 19990029791U KR 2019970042459 U KR2019970042459 U KR 2019970042459U KR 19970042459 U KR19970042459 U KR 19970042459U KR 19990029791 U KR19990029791 U KR 199900297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output shaft
case
input
taper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791U/ko
Publication of KR19990029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791U/ko

Links

Landscapes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입력측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는 출력측 케이스(210)와; 출력측 케이스(210)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베어링 리테이너(220)와; 일단이 입력 케이스(150)의 일측 하면과 출력측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테이퍼 롤러 베어링(1,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면이 베어링 리테이너(220) 내주면에 테이프 롤러 베어링(1,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축(230)과; 입력측상의 터어빈 축(1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출력축(230)을 회전시키는 출력 기어(240)와; 출력축(230)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어 대응되는 위치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칼러(250)와; 칼러(250)의 일단부와 출력 기어(240) 사이에 개재되며, 테이퍼 롤러 베어링(1,2) 유닛을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테이퍼 롤러 베어링상에 별도의 스페이서를 개재하지 않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예압을 가함으로써 일정한 예압을 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스프링과 이를 수납하는 스프링 리테이너의 결합이 매우 용이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일정한 예압을 가할 수 있는 것에 의해 고정도의 회전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일정한 하중 지지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
본 고안은 클러치(clutch)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축(output gear shaft)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클러치는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크게 입력측(100)과 출력측(200)으로 이루어진다.
입력측(100)에는 터어빈 축(110)과 입력 기어(input gear;120) 그리고 피스톤(piston;130) 그리고 마찰판(140)이 위치되며, 이들은 케이스(case;150)에 의해 일측이 감싸여진채로 설치된다.
한편, 출력측(200)의 구조를 보면, 크게 출력측 케이스(case;210)와 베어링 리테이너(bearing retainer;220) 그리고 출력축(output shaft;230)과, 출력기어(output gear;240) 및 칼러(coller;250)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출력축(230)은 터어빈 축(110)으로 부터의 동력을 입력기어(120)와 출력기어(24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서, 그 양단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taper roller bearing;1,2)를 통해 입력측과 출력측 케이스 사이와 전술한 베어링 리테이너(240)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름 지지되어진다.
한편, 이와같이 출력축(230)을 테이퍼 롤러 베어링(1,2)을 통해 구름 지지함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의 하중 지지능력을 확보하고, 또한 유동을 방지하여 고정도의 회전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소정의 예압을 가하기 위한 복수의 스페이서(spacer;3)를 개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예압을 위하여 복수의 스페이서(3)를 개재하기 위해서는 부품 사이에 정밀하게 삽입하여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야기되며, 특히 정비시에는 별도로 스페이서(3)를 장착함에 있어서, 예압의 측정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하는등 많은 불편함을 내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항상 일정한 예압을 테이퍼 롤러 베어링에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는, 입력측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는 출력측 케이스와; 상기 출력측 케이스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베어링 리테이너와; 일단이 입력 케이스의 일측 하면과 출력측 케이스의 내측면에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면이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 내주면에 테이프 롤러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축과; 상기 입력측상의 입력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출력 기어와; 상기 출력축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어 대응되는 위치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칼러와; 상기 칼러의 일측 단부와 밀착되도록 출력축의 일측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와;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의 내면과 상기 출력 기어의 일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칼러를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칼러의 일측 단부와 밀착되도록 출력축의 일측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와;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의 내면과 상기 출력 기어의 일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칼러를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러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출력축 지지구조를 보인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입력측 110 : 터어빈 축
120 : 입력기어 130 : 피스톤
140 : 마찰판 150 : 케이스
200 : 출력측 210 : 케이스
220 : 베어링 리테이너 230 : 출력축
240 : 출력기어 250 : 칼러
300 : 스프링 리테이너 310 : 수납홈
400 : 스프링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출력축 지지구조를 보인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클러치는 크게 입력측(100)과 출력측(200)으로 이루어진다.
입력측(100)에는 터어빈 축(110)과 입력 기어(input gear;120) 그리고 피스톤(piston;130) 그리고 마찰판(140)이 위치되며, 이들은 케이스(case;150)에 의해 일측이 감싸여진채로 설치된다.
한편, 출력측(200)의 구조를 보면, 크게 출력측 케이스(case;210)와 베어링 리테이너(bearing retainer;220) 그리고 출력축(output shaft;230)과, 출력기어(output gear;240) 및 칼러(coller;250)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출력축(230)은 터어빈 축(110)으로 부터의 동력을 입력기어(120)와 출력기어(24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서, 그 양단은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테이퍼 롤러 베어링(taper roller bearing;1,2)를 통해 입력측과 출력측 케이스 사이와 전술한 베어링 리테이너(240)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름 지지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출력축(230)의 일측 외주면에는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테이퍼 롤러 베어링(1,2)을 소정의 압력으로 즉, 예압을 가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마련된다.
이와같은 가압수단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전술한 출력축(230)의 일측 외주면에는 일측면이 칼러(250)와 접촉되며, 내면에는 수납홈(310)이 형성된 스프링 리테이너(spring retainer;3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 스프링 리테이너(300)의 수납홈(310) 내측면과 전술한 출력 기어(240)의 일측면 사이에는 스프링(400)이 개재된다.
따라서 칼러(250)는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테이퍼 롤러 베어링(1,2)를 향해 탄성지지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테이프 롤러 베어링(1,2)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즉, 예압을 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는, 가압수단 즉, 출력축(230)의 일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링 리테이너(300)의 수납홈(310)과 출력 기어(240)의 일측면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00)의 탄성력을 통해 칼러(250)를 테이퍼 롤러 베어링(1,2)을 향해 탄성 바이어스 시킴으로써 이 테이퍼 롤러 베어링(1,2)에 소정의 예압을 가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축 방향으로의 하중지지 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출력축(230)의 회전정도가 향상되어진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에 의하면, 테이퍼 롤러 베어링상에 별도의 스페이서를 개재하지 않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예압을 가함으로써 일정한 예압을 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스프링과 이를 수납하는 스프링 리테이너의 결합이 매우 용이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일정한 예압을 가할 수 있는 것에 의해 고정도의 회전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일정한 하중 지지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

  1. 입력측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는 출력측 케이스와;
    상기 출력측 케이스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베어링 리테이너와;
    일단이 입력 케이스의 일측 하면과 출력측 케이스의 내측면에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면이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 내주면에 테이프 롤러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축과;
    상기 입력측상의 입력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출력 기어와;
    상기 출력축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어 대응되는 위치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칼러와;
    상기 칼러의 일측 단부와 밀착되도록 출력축의 일측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와;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의 내면과 상기 출력 기어의 일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칼러를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
KR2019970042459U 1997-12-29 1997-12-29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 KR199900297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459U KR19990029791U (ko) 1997-12-29 1997-12-29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459U KR19990029791U (ko) 1997-12-29 1997-12-29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791U true KR19990029791U (ko) 1999-07-26

Family

ID=6969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459U KR19990029791U (ko) 1997-12-29 1997-12-29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79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5940A (zh) * 2018-11-08 2021-07-30 法雷奥凯佩科日本株式会社 液力变矩器的锁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5940A (zh) * 2018-11-08 2021-07-30 法雷奥凯佩科日本株式会社 液力变矩器的锁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3868A (en) Bearing device
US4227755A (en) Bearing arrangement for shaft of rotary compressor
KR940003140B1 (ko) 로울러 베어링 조립체
US7637667B1 (en) Bearing assembly for a steering assembly
US9435373B2 (en) Bearing with double pre-loading
US4938610A (en) Rolling contact device
JP2010518324A (ja) 軸受構造
GB2410773A (en) Roller bearing assembly having roller biasing means
US5433536A (en) Thrust bearings
CN101310118A (zh) 具有角接触球轴承和承受轴向力的圆柱滚子轴承的轴承组
US9482271B2 (en) Disengageable axial thrust bearing with internal preload
KR19990029791U (ko) 클러치의 출력축 지지구조
EP1121536B1 (en) Asymmetric angular contact bearing
JP4915346B2 (ja) 固体潤滑ころ軸受
US4934843A (en) Rotary structure
USRE34310E (en) Variable preload bearing apparatus
JPH10184677A (ja) スラスト荷重受け用予圧複列円すいころ軸受
MX9604173A (es) Bomba con arreglo de soporte mejorado para el control de la posicion axial.
JPH02279203A (ja) 予圧可変式スピンドルユニット
JPH0751904A (ja) スピンドル軸受の予圧調整装置
JPH0727134A (ja) 転がり軸受装置
JP4356611B2 (ja) 軸受装置
JP5041147B2 (ja) 電動モータ
JPS5915769Y2 (ja) ロ−ル軸受のシ−ル兼スラスト受け装置
JP2623645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のロータリーアクチュエータ用ユニット軸受及び該ユニット軸受の定位置予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