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511A - 가요성호스 - Google Patents

가요성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511A
KR19990029511A KR1019980036394A KR19980036394A KR19990029511A KR 19990029511 A KR19990029511 A KR 19990029511A KR 1019980036394 A KR1019980036394 A KR 1019980036394A KR 19980036394 A KR19980036394 A KR 19980036394A KR 19990029511 A KR19990029511 A KR 19990029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teel wire
coated steel
resin material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 사토
토시히로 나카니시
아키라 미즈코시
히로유키 마스이
Original Assignee
오마츠 세이이치
토타쿠 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마츠 세이이치, 토타쿠 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마츠 세이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2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51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16L1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having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4Hoses, i.e. flexible pipes wound from strip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호스를 형성하는 모든 수지소재를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비PVC계의 수지소재로 형성하고, 연소에 의한 유독가스공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며, 형태유지성능에 뛰어나고, 충분한 유연성과 가요성을 가지며 또한 내마모성도 구비한 가요성 호스를 얻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지피복강선(3)과 관벽(5)을 융착 또는 비염소계 접착제(6)를 통해 접착하고, 수지피복강선(3)은 경강선(1)을 비염소계 열가소성 합성수지소재로 피복한 선재이고, 관벽(5)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주체부(5a)와,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배치형성된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상부(5b)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다른 수단은 상기 관벽(5)이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에라스트마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주체부(5a)와,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배치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상부(5b)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Description

가요성 호스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의 가요성 호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기청소기용 호스(클리너 호스)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가요성 호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종류의 가요성 호스 예를들어 클리너 호스에 대해 보면 경강선을 폴리염화비닐(PVC)수지로 피복시킨 피복강선과 서로꼬은 동(銅) 전선을 동일한 PVC수지에 의해 절연피복시킨 피복전선을 가지런히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선형상으로 감으며, 그 외주면상에 동일한 PVC수지제의 띠소재를 나선형상으로 감아 띠형상소재 서로의 중합면을 융착 또는 접착시켜 관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관벽과 상기 피복강선 및 피복전선끼리도 융착 또는 접착시키고 있는 구조였다. 이와같이 보강선재를 사용한 종래의 클리너 호스에 있어서는 상기 피복선의 피복수지, 피복전선의 피복수지 및 관벽을 형성하는 수지소재가 대부분 일반적으로 PVC수지로 형성되어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PVC수지를 사용한 호스에 있어서는 폐기후의 처분에 있어서 통상 쓰레기와 같이 소각하면 인체에 유해한 다이오키신 등을 발생하여 이를 제거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있는 것은 주지한 바와같다. 또 수지소재가 PVC인 경우는 비중이 크고 호스의 형태유지를 위한 경강선과 통전을 위한 동 전선을 병용하는 것으로 호스전체의 중량이 커지며 장시간 사용하면 피로가 커져 원가적으로도 적절하지 못하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도 9와 같은 구조로 된 탈PVC호스를 먼저 개발하여 출원하였다. 이 호스는 관체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경강선을 통전선으로서 겸용사용하는 구조로 하고, 통전전용의 동 전선의 사용을 폐지한 것으로서 관벽을 형성하는 수지소재로서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수지(EVA)를 주재로 하는 비PVC계의 수지소재에 의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일본국 특개평 9-39971호 출원참조)
그러나 이 선행출원의 발명에 기초하여 제조한 호스는 상기 종래의 PVC수지호스에 비해 호스의 형태를 유지하는 성능에 뛰어나고 호스전체의 중량이 경량이며 또한 취급이 용이하여 장시간의 사용에도 피로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사용상에 있어서 충분한 유연성과 가요성을 갖춘 관벽으로 하면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특히 보강선의 외주면부분의 손모가 심해 장기간 사용에 적절한 제품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래서 내마모성을 높이는 수단으로서 관벽의 두께를 그나름대로 두껍게 하거나, 경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 호스를 제조하여 시험을 반복했지만 어떠한 경우도 호스의 유연성과 가요성이 크게 손상되어 관벽의 두께를 바꾸면 호스전체의 중량이 현저하게 무거운 느낌이 들어 장기간 사용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와 같이 PVC수지소재의 사용을 전면적으로 배제하며 비PVC수지소재를 사용하여 소각해도 다이오키신과 같은 유해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호스이면서 상기 선행기술의 호스와 같이 호스의 형태유지 성능에 뛰어나고 호스전체의 중량이 경량이며 취급이 용이해 장기간 사용에도 피로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으로써 내마모성도 동시에 갖추는 호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구한 수단에 대해 실시예를 도면에 사용한 부분의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요성 호스의 제 1의 구성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선형상으로 감겨진 수지피복강선(3…)과, 그 외주면상에 있어서 얇은 막형상의 수지띠재가 나선형상으로 감기고 그 중합면 사이가 융착 또는 접착되어 형성된 관벽(5)을 갖춘 가요성 호스로서, 이들 수지피복강선(3)과 관벽(5)이 융착 또는 비염소계 접착제(6)를 통해 접착되며, 상기 수지피복강선(3)은 경강선(1)을 비염소계 열가소성 합성수지소재로 피복한 선재이고, 상기 관벽(5)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수지(EVA)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주체부(5a)와, 상기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배치형성된 폴리에틸렌수지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상부(5b)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양부(5a)(5b)가 융착일체화되고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제 2의 구성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선형상으로 감겨져있는 수지피복강선(3…)과, 그 외주면상에 있어서 얇은 막형상의 수지띠재가 나선형상으로 감기고 그 중합면 사이가 융착 또는 접착되어 형성된 관벽(5)을 갖춘 가요성 호스로서, 이들 수지피복강선(3)과 관벽(5)이 융착 또는 비염소계 접착제(6)를 통해 접착되며 상기 수지피복강선(3)은 경강선(1)을 비염소계 열가소성 합성수지소재로 피복한 선재이고, 상기 관벽(5)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에라스트마(TPO)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주체부(5a)와, 상기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배치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PE계, PP계)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상부(5b)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양 부(5a)(5b)가 융착일체화되고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제 3의 구성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선형상으로 감겨져있는 수지피복강선(3…)과, 그 외주면상에 있어서 얇은 막형상의 수지띠재가 나선형상으로 감기고 그 중합면 사이가 융착 또는 접착되어 형성된 관벽(5)을 갖춘 가요성 호스로서, 이들 수지피복강선(3)과 관벽(5)이 융착 또는 비염소계 접착제(6)를 통해 접착되며 상기 수지피복강선(3)은 경강선(1)을 비염소계 열가소성 합성수지소재로 피복한 선재이고, 상기 관벽(5)은 스틸렌계 열가소성 에라스트마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주체부(5a)와, 상기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배치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PE계, PP계)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상부(5b)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양 부(5a)(5b)가 융착일체화되고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일부절개 정면도.
도 2는 관벽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3은 제조수단을 설명하는 분해단면도.
도 4는 클리너 호스의 일부중단 정면도.
도 5는 클리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일부절개 정면도.
도 7은 관벽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8은 제 2실시예의 제조수단을 설명하는 분해단면도.
도 9는 선행기술의 호스를 설명하는 일부절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경강선 2: 피복수지
3: 피복강선 4: 관벽형성 수지띠재
4a: 띠체 4b: 선형상체
5: 관벽 5a: 관벽의 주체부
5b: 관벽의 선형상부 6: 접착제
본 발명은 이와같은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그 실시예 있어서는 상기 피복강선(3)을 4가닥 배선하여 통전회로를 2회로로 형성하거나, 2가닥 배선하여 통전회로를 1회로만 형성하거나, 3가닥 배선하여 하나의 통전회로와 어스선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업라이트식 클리너 호스와 같이 형태유지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한가닥만의 피복강선을 구비한 호스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사용하는 경강선(1)은 그 자체 비가공의 선재라도 좋지만 표면에 동 도금을 실시한 것을 사용하면 통전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다른 전선이나 통전커넥터로의 납땜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관벽(5)은 관벽(5)에 있어서 주체부(5a)를 형성하는 띠체(4a)부분과 선형상부(5b)를 형성하는 선형상체(4b)부분을 하나의 수지압출다이로부터 압출한 한종류의 띠재(4)에 의해 형성하면 되고 또한 이들 관벽(5)에서 주체부(5a)를 형성하기 위한 띠체(4a)와 선형상부(5b)를 형성하기 위한 선형상체(4b)를 여러개의 수지압출다이로부터 각각 따로 압출한 2종류의 띠형상물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면중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한 실시예의 가요성 호스에 대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호스(H)의 일부를 절개단면으로 한 외형도, 도 2는 호스벽의 단면형상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이 실시예에 도시한 호스(H)는 경강선(1)을 비염소계 가소성 합성수지소재(2), 구체적으로는 LLDPE수지소재에 의해 절연피복시킨 4가닥의 피복강선(3…)을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배선하고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경강선(피아노선)(1)은 스테인레스 강선 등의 다른 고경질의 금속선재를 사용해도 좋다. 또 이 실시예의 경강선은 그 표면에 동 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즉 이 실시예에 도시한 호스(H)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의 수지피복을 실시한 4가닥의 피복강선(3a)(3b)(3c)(3d)을 한조(S)로 하여 일정한 간격(w)을 유지시키고 먼저 감은 피복강선(3d)과 뒤에 계속해서 감는 피복강선(3a)과의 간격도 일정한 간격(w)을 유지시키면서 나선형상으로 연속적으로 감고 있다.
이들 4가닥의 피복강선(3a)(3b)(3c)(3d)과 먼저 감긴 인접하는 피복강선(3d)으로 형성되는 일정간격(w)의 3폭분남짓한 폭을 갖는 얇고 편평하고 길다란 합성수지띠재(4)(도 3에 있어서는 사전에 피복강선(3)의 요철에 합치하는 파형요철형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평띠형상이라도 좋다)로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수지(EVA)를 주재로하여 여기에 0∼40중량%의 범위에서 LLDPE 등의 연질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시킨 혼합수지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관벽(5)의 주체부(5a)를 구성하는 띠체(4a)부분과 유연질 폴리에틸렌 수지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관벽(5)의 상기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위치하는 선형상부(5b)를 구성하는 선형상체(4b)부분을 갖추며, 양 부분(4a)(4b)이 융착일체화되고 있는 띠재(4)를 그 옆쪽에 배치한 도면외의 합성수지 압출장치의 수지압출다이로부터 밀어낸다.
또 이 EVA수지와 혼합하는 연질폴리에틸렌 수지로서는 상기 LLDPE를 대신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LDPE)나 그 외 EVA수지와 상용성이 좋은 연질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관벽(5)의 선형상부(5b)를 구성하는 유연질 폴리에틸렌 수지소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LLDPE, LDPE외에 중밀도 폴리에틸렌수지(MDPE) 등이 있고,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관벽의 주체부(5a)를 구성하는 수지와의 열융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EVA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한다.
이 수지띠재(4)를 화살표시(a)(b)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기 4가닥의 피복강선(3a)(3b)(3c)(3d)의 외주면상에 있어서 그 옆테두리부를 한가닥의 피복강선(3)위에서 중합시키면서 순차로 나선형상으로 감고 중합면끼리를 서로 융착시켜 일련의 나선관벽(5)을 형성한다. 이 때 동시에 이 관벽형상 띠재(4)와 상기 4가닥의 피복강선(3a)(3b)(3c)(3d)의 피복수지(2)모두 융착시킨다. 이 때 필요하다면 비염소계 접착제, 구체적으로는 EVA수지의 호트멜트와 같은 접착제(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피복수지(2)에 도포하여 접착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형성한 호스(H)를 클리너 호스로 사용하는 데는 우선 클리너 호스에 적절한 필요길이로 절단하고, 도 4와 같이 그 양단부분에 별도로 형성한 접속통체(6)(7)를 각각 부착하며 동시에 각각 커넥터(6a)(7a)에 2가닥의 피복강선(3)(3)을 한조로 한 2조의 동 도금 경강선(1…)을 납땜에 의해 접속하여 이들 양 커넥터(6a)(7a)사이에 2쌍의 전기회로를 갖는 것으로 한다.
이와같이 양단에 접속통체(6)(7)를 연결한 클리너 호스를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단측의 접속통체(7)를 전기청소기본체(C)의 흡인통(E)에 꽂아넣어 접속하고, 타단측의 접속통체(6)를 조작통(P)상단의 흡기통(D)에 꽂아넣어 접속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청소기본체(C)와 조작통(P)사이에 공기흡인용 경로와 청소기본체(C)의 ON·OFF조작용 전기회로와 조작통(P)의 선단의 흡기용 노즐헤드(N)의 내부에 갖추고 있는 소형모터의 ON·OFF조작용 전기회로를 형성시키고 바로 옆 스위치(S)에 의해 이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사용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제 2의 실시예의 호스(H)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의 호스(H)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수지피복강선(3)을 2가닥만 사용하는 호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피복강선(3)은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동 도금을 실시하고 있는 경강선(1)에 수지피복(2)을 실시한 2가닥 한조의 피복강선(3a)(3b)을 일정한 간격(w)을 유지시켜 먼저 감은 피복강선(3b)과 뒤에 계속해서 감는 피복강선(3a)과의 간격도 일정한 간격(w)을 유지하면서 나선형상으로 연속적으로 감는다.
이 2가닥의 피복강선(3a)(3b)과 먼저 감긴 인접하는 피복강선(3b)으로 형성되는 일정간격(w)의 2폭분남짓의 폭을 갖는 얇고 편평하고 길다란 합성수지 띠재이며 관벽(5)의 주체부(5a)를 형성하는 띠재(4a)를,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에라스트마(TPO)를, 그 옆쪽에 배치한 도면외의 합성수지 압출장치의 수지압출다이로부터 압출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관벽(5)의 상기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배치되는 선형상부(5b)를 형성하는 2가닥의 선형상체(4b)(4b)를 연질폴리올레핀계 수지소재를 마찬가지로 그 옆쪽에 배치한 도면외 별도의 합성수지 압출장치의 수지압출다이로부터 압출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말하는 TPO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또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에라스트마를 이용할 수 있고, 가공성의 개량을 위해 상용성이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들 에라스트마에 적절히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관벽의 선형상부(5b)를 구성하는 연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소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수지(PP), MDPE, 초저밀도 폴리올레핀이나 LDPE수지등이 있으며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호모포리머(PP)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관벽의 주체부(5a)를 구성하는 상기 에라스트마 소재와의 열융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에 상용성이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하여 압출형성한 수지띠체(4a) 및 선형상체(4b)를 화살표시 a∼c의 순서로 나선형상으로 감는다. 즉 우선 수지띠체(4a)를 상기 2가닥의 피복강선(3a)(3b)의 외주면상에 있어서 그 옆테두리부를 한가닥의 피복강선(3)위에서 중합시키면서 순차로 나선형상으로 감고 중합면끼리를 서로 융착시켜 일련의 관벽주체부(5a)를 형성함과 동시에 피복강선(3)의 피복수지(2)에 비염소계 접착제, 구체적으로는 EVA수지의 호트멜트와 같은 접착제(6)를 도포하여 이 띠체(4A)와 상기 2가닥의 피복강선(3a)(3b)의 피복수지(2)모두 접착시킨다.
또 동시에 이 띠체(4a)에 의해 형성한 관벽주체부(5a)의 상기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위치하는 부분위에 선형상부(5b)를 형성하는 상기 2가닥의 선형상체(4b)(4b)를 상기 피복강선(3)(3)과 같은 핏치로 나선형상으로 감아 관벽주체부(5a)와 융착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형성한 호스를 클리너 호스로서 사용하는 데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하면 된다.
또 관벽(5)의 주체부(5a)를 형성하는 소재로서는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수지 등이나 상기 제 2실시예에 도시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에라스트마 등의 수지소재를 대신하여 스틸렌계 열가소성 에라스트마나 이 에라스트마를 주재로하여 다른 수지를 적당량 혼합한 혼합수지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스틸렌계 열가소성 에라스트마는 구체적으로는 스틸렌-부타디엔 - 스틸렌공중합체(SBS),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공중합체(SEBS), 스틸렌 -이소프렌 - 스틸렌공중합체(SIS),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공중합체(SEPS) 또는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SEP) 등의 소재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실시예에 도시한 호스는 도 2와 같이 관벽주체부(5a)의 두께를 가급적 얇은 것으로 하고 또한 균등한 것으로 하며, 선형상부(5b)를 적층한 형태로 한 것이다. 이에 비해 상기 제 2실시예에 도시한 호스는 도 7과 같이 관벽주체부(5a)의 두께를 통상두께로 하고,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위치하는 부분만을 부분적으로 얇게 하여 이 얇은 부분에 선형상부(5b)를 적층하고, 관벽(5)의 전체가 대략 균등한 두께가 되는 형태로서 한 것이다. 또 이들 실시예는 대표적인 형태에 대해 도시한 것이기 때문에 양자의 중간형태나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을 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거나 주체부(5a)의 두께와 선형상부(5b)의 두께의 비를 변경하는 등 적절히 개변을 가해 실시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이라고 판단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요건을 갖추고 상기의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며 다음에 설명하는 효과를 갖는 범위내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클리너 호스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요성 호스는 경강선을 피복하는 피복수지, 관벽을 구성하는 수지소재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접착제가 연소시에 다이오키신과 같은 인체에 유독한 가스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특정한 수지소재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폐기후에 있어서 공해를 발생하지 않는 가요성 호스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요성 호스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호스소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PVC수지의 비중이 1.2∼1.3인데 비해 EVA수지의 비중은 1.0정도이고, TPO수지의 비중은 0.9정도이며 또한 스틸렌계 열가소성 에라스트마수지의 경우는 비중이 0.9정도이기 때문에 어떤 경우도 사용하는 관벽형상 소재의 체적을 같게할 경우에는 PVC수지호스에 비해 단독계산으로 관벽의 중량이 17∼30%정도 경량화할 수 있게 되며 단순히 그것만으로도 호스의 사용상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래서 내마모성도 동시에 구비하는 호스를 얻을 수 있는 데에 이르는 것이다.

Claims (7)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선형상으로 감겨진 수지피복강선(3…)과, 그 외주면상에 있어서 얇은 막형상의 수지띠재가 나선형상으로 감기고 그 중합면 사이가 융착 또는 접착되어 형성된 관벽(5)을 갖춘 가용성 호스로서, 이들 수지피복강선(3)과 관벽(5)이 융착 또는 비염소계 접착제(6)를 통해 접착되며, 상기 수지피복강선(3)은 경강선(1)을 비염소계 열가소성 합성수지소재로 피복한 선재이고, 상기 관벽(5)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주체부(5a)와, 상기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배치형성된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상부(5b)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양 부(5a)(5b)가 융착일체화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호스.
  2.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선형상으로 감겨진 수지피복강선(3…)과, 그 외주면상에 있어서 얇은 막형상의 수지띠재가 나선형상으로 감기고 그 중합면 사이가 융착 또는 접착되어 형성된 관벽(5)을 갖춘 가요성 호스로서, 이들 수지피복강선(3)과 관벽(5)이 융착 또는 비염소계 접착제(6)를 통해 접착되며, 상기 수지피복강선(3)은 경강선(1)을 비염소계 열가소성 합성수지소재로 피복한 선재이고, 상기 관벽(5)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에라스트마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주체부(5a)와, 상기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배치형성된 폴리올레핀계수지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상부(5b)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양 부(5a)(5b)가 융착일체화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호스.
  3.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선형상으로 감겨진 수지피복강선(3…)과, 그 외주면상에 있어서 얇은 막형상의 수지띠재가 나선형상으로 감기고 그 중합면 사이가 융착 또는 접착되어 형성된 관벽(5)을 갖춘 가요성 호스로서, 이들 수지피복강선(3)과 관벽(5)이 융착 또는 비염소계 접착제(6)를 통해 접착되며, 상기 수지피복강선(3)은 경강선(1)을 비염소계 열가소성 합성수지소재로 피복한 선재이고, 상기 관벽(5)은 스텔렌계 열가소성 에라스트마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주체부(5a)와, 상기 피복강선(3)의 외주선상에 배치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동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상부(5b)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양 부(5a)(5b)가 융착일체화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호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경강선(1)의 표면에 동 도금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호스.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가 전기청소기용으로서 사용되는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호스.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관벽(5)이 하나의 수지압출다이로부터 압출된 수지띠재(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호스.
  7.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관벽(5)이 여러개의 수지압출다이로부터 각각 따로 압출된 주체부(5a)를 형성하는 띠체(4a)와, 선형상부(5b)를 형성하는 선형상체(4b)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호스.
KR1019980036394A 1997-09-12 1998-09-04 가요성호스 KR199900295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797097 1997-09-12
JP97-267970 1997-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511A true KR19990029511A (ko) 1999-04-26

Family

ID=4725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394A KR19990029511A (ko) 1997-09-12 1998-09-04 가요성호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90029511A (ko)
MY (1) MY1231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977A (ko) * 2001-06-01 2002-12-11 김효성 호스의 수납이 가능한 진공 청소 장치
KR100433559B1 (ko) * 2001-08-31 2004-05-31 이주한 청소기용 호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977A (ko) * 2001-06-01 2002-12-11 김효성 호스의 수납이 가능한 진공 청소 장치
KR100433559B1 (ko) * 2001-08-31 2004-05-31 이주한 청소기용 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3182A (en)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1509B1 (ko) 클리너호스
USRE38087E1 (en) Fuel hose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S3715454A (en) Hose construction
EP0644990B1 (en) Multi-layer fuel and vapor tube
EP0872900A3 (en) Method of making a trilayer battery separator
EP1076792B1 (en) Corrugated polymeric filler neck tubing
US6698457B2 (en) Flexible hos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xtruder
CN100392307C (zh) 具有密封层的软管、其直接连接装置组件及其制造方法
MX9702625A (es) Pelicula termosellable.
CN1152070A (zh) 绝热消音管
CA2282161A1 (en) Heat-shrinkable multilayer thermoplastic film
KR100387196B1 (ko) 다중채널덕트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50260315A1 (en) Hose line for a fluid
KR19990029511A (ko) 가요성호스
CA2313597A1 (en) Layered composite with welded intermediate metal layer
ATE218682T1 (de) Roh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AU782989B2 (en) Flexible hose
CA2332147A1 (en) Intumescent composition
JPH11148579A (ja) 可撓性ホース
FR2812294B1 (fr) Polymeres du fluorure de vinylidene, procede pour les fabriquer et utilisation de ceux-ci
JP2004065395A (ja) 可撓性ホース
DE202017105803U1 (de) Leuchtvorrichtung
JP4093406B2 (ja) 架空電線防護管
GB2127380A (en) Packaging tubes for electronic components
ES2141408T3 (es) Lamina multicapa exenta de pegamento, resistente a la esterilizacion, para aplicaciones de envas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