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131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131A
KR19990029131A KR1019980008232A KR19980008232A KR19990029131A KR 19990029131 A KR19990029131 A KR 19990029131A KR 1019980008232 A KR1019980008232 A KR 1019980008232A KR 19980008232 A KR19980008232 A KR 19980008232A KR 19990029131 A KR19990029131 A KR 19990029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electrodes
substrate
substrates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161B1 (ko
Inventor
첸지안민
김경현
박승범
심정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19990029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birefringence of the liquid crystal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e.g. ECB-, DAP-, HAN-, PI-LC cells

Abstract

두 기판에 서로 평행하며, 교대로 배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전극을 각각 형성하고, 수직 배향막을 형성한 다음, 양 또는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물질을 주입한다.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경사각을 가지는 전기장이 액정 분자들을 구동한다. 각각의 전극에 대하여 양쪽의 전기장은 대칭이므로 액정 분자도 이에 따라 대칭으로 배열된다. 이때, 한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을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은 액정층을 통과하면서 편광 방향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빛의 일부분만 다른 쪽 편광판을 투과하게 된다. 두 전극에 가하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하면 투과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두 기판에 형성되는 전극 사이의 거리 및 전극의 수를 달리 함으로써 더 넓은 시야각과 더 좋은 색도(chromaticity)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고, 전극에 가하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광 투과량을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TN(twisted-nematic)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TN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안쪽 면에 각각 투명 전극(3, 4)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투명 유리 기판(1, 2), 두 유리 기판(1, 2) 사이의 액정층(7)을 포함하며, 각각의 유리 기판(1, 2)의 바깥 면에는 빛을 편광시키는 두 장의 편광판(5, 6)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기판(1)의 전극(3)은 화소 전극이고, 상부 기판(2)의 전극(4)은 공통 전극이며, 액정층(7)의 유전율 이방성 Δε은 0보다 크다.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을 때에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기판(1, 2) 사이에 채워진 액정층(7)의 액정 분자(8)들은 그 장축 방향이 두 기판(1, 2)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한 기판에서 다른 기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틀린 구조를 가진다.
두 전극(3, 4)에 전원(V)을 연결하여 도 1b의 화살표 방향으로 액정층(7)에 충분한 크기의 전기장을 형성하였을 때에는, 도 1b에 도시한 것처럼, 액정 분자(8)의 장축이 전기장의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이러한 TN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는 시야각이 좁고 계조 반전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시야각을 가지는 새로운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틀린 네마틱(twisted-nematic : TN)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EIMD 방식(electrical induced multi domain mode)의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 구동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EIMD 방식(electrical induced multi domain mode)의 액정 표시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단위 화소에 형성된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는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물질이 주입되어 있으며, 액정 분자는 두 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두 기판 각각에는 서로 평행한 다수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두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는 액정 물질의 분자축을 수직으로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배향막은 러빙 처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두 기판의 바깥쪽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편광판의 투과축은 서로 평행 또는 직교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액정 물질의 유전율 이방성은 양 또는 음일 때 모두 가능하며, 순수한 네마틱 액정, 카이랄 네마틱 액정 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네마틱 액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 하 기판에 교대로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에 의해 두 기판의 수직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지는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 분자들이 구동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구동 방식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EIMD 방식(electrically induced multi domain mode)의 액정 표시 장치라 한다.
이러한 EIMD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전극을 지나는 중심면을 기준으로 양쪽의 액정 분자의 배열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투과되는 빛에 대한 위상 지연(phase retardation)도 대칭적으로 발생하여 넓은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두 기판에 형성되는 평행한 전극은 두 기판에서 그 밀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액정 분자가 다른 배열을 갖는 여러 영역이 생기게 되어 전체적으로 고른 투과율과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고, 두 기판의 조립 공정에서 오정렬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빛샘이나 전경(disclination)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EIMD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향막(9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투명 유리 기판(10, 20)이 서로 마주하고 있다. 두 기판(10, 20)의 안쪽 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선형 전극(30, 40)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두 유리 기판(10, 20) 사이에는 액정 물질이 주입되어 액정층(70)을 이루고 있으며, 액정층(70)의 액정 분자(80)는 두 기판(10, 2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향되어 있다. 여기서, 액정 분자(80)들은 기판(10, 20)에 대하여 선경사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제1 및 제2 선형 전극(30, 40)은 투명 또는 불투명 도전 물질일 수 있다. 각각의 유리 기판(10, 20)의 바깥 면에는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키는 두 장의 편광판(50, 6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전극(30, 40) 중 하나는 각각의 단위 화소마다 다른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화소 전극이며, 나머지 하나는 전체 단위 화소에 공통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공통 전극이다. 또한, 각각의 화소 전극은 각각의 화소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 소자의 한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액정층(70)의 액정 물질은 유전율 이방성 Δε이 0보다 큰 것이 좋지만, 유전율 이방성 Δε이 0보다 작을 수도 있다. 또한, 액정 물질은 네마틱, 카이랄 네마틱, 또는 좌선성 또는 우선성의 카이랄 첨가제가 혼합된 네마틱 액정 모두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배향막(90)은 액정 분자(80)가 누울 때 방향성을 가지도록 모두 러빙 처리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하나만 러빙 처리할 수도 있으며, 모두 러빙 처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러빙 처리를 하는 경우에 러빙 방향은 두 전극(30, 40)의 방향 및 편광판(50, 60)의 투과축 방향에 대하여 임의 방향으로 할 수 있으며, 두 기판(10, 20)의 배향막(90)을 모두 러빙 처리하는 경우에는 러빙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하며, 두 러빙 방향 중 한 방향은 전극과 수직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두 편광판(50, 60)의 투과축은 서로 평행 또는 수직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을 때에는, 액정층(70)의 액정 분자(80)들은 배향막(90)의 배향력에 의해 두 기판(10, 20)에 수직하게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하부 기판(10)에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50)을 통과한 빛은 편광 방향이 바뀌지 않고 액정층(70)을 통과한다. 여기서, 두 편광판(50, 60)의 투과축이 평행하다면, 이 빛은 상부 기판(2)에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60)을 통과하여 화이트 상태가 구현된다. 두 편광판(50, 60)의 투과축이 직교한다면, 하부 기판(10)의 편광판(50)을 통과한 빛은 상부 기판(20)의 편광판(60)에 의해 차단되어 어두운 상태가 된다.
도 2b는 전계를 충분히 인가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전기장은 두 기판(10, 20)의 평면의 수직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지며, 이 전기장은 두 기판(10, 20)의 평면에 수직하게 제1 또는 제2 전극(30, 40)을 지나는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때, 네마틱 액정 물질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므로 액정 분자(80)들의 장축이 전기장의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또한, 이 경우, 앞서 설명한 것처럼 두 기판(10, 20) 사이의 전기장은 전체적으로 제1 및 제2 전극(30, 40)을 지나는 중심면에 대하여 임의 각을 가지면서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액정 분자(80) 또한 전기장의 방향을 따라 중심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시야각은 제1 및 제2 전극(30, 40)을 지나는 중심면에 대하여 액정 분자(80)의 장축이 향하는 방향이 대칭이므로 액정층(70)을 통과하는 빛에 대한 위상 지연(phase retardation)이 대칭적으로 보상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시야각이 대칭적으로 확장되어 넓어진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전극의 구조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세 개의 화소가 하나의 색을 표현하여 이러한 하나의 색을 표현하는 화소의 집합단위를 일반적으로 도트(dot)라 한다.
또한, 제1 및 제2 세로/가로 전극선(31, 41 : 32, 42)과 제1 및 제2 전극(30, 40 : 33, 43)은 서로 다른 기판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화소에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제1 및 제2 가로 전극선(32, 42)이 가로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아홉 개의 도트중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다섯 개의 도트에는 제1 및 제2 가로 전극선(32, 42)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각각 뻗어 있는 제1 및 제2 전극(33, 43)이 서로 평행하게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다른 네개의 화소에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다수의 제1 및 제2 세로 전극선(31, 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세로 전극선(31, 41)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제1 및 제2 가로 전극선(32, 42)과 평행하게 다수의 제1 및 제2 전극(30, 40)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결국, 한 화소의 제1 및 제2 전극(33, 43)은 이웃하는 화소의 제1 및 제2 전극(30, 40)과 평행하지 않고 일정한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나의 기판에서 전극의 방향을 화소 단위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형성하여 액정 분자들이 다양한 각도로 배열하게 함으로써 넓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방향을 화소 단위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두 기판에 형성되는 전극의 간격을 다르게 하여 더 넓은 시야각과 좋은 색도(chromaticity)를 얻을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사용한 경우이고, 도 4b는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기판(10, 20)의 안쪽 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선형 전극(31, 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선형 전극(31, 41)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간격은 제1 선형 전극(31)의 간격이 제2 선형 전극(41)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두 기판(10, 20) 사이에는 액정 물질이 주입되어 액정층(70)을 이루고 있다.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이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액정 분자들은 두 기판에 수직하게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전계를 충분히 인가한 경우는, 첫 번째 실시예와 유사하게, 두 기판(10, 20)에 대해 경사를 갖는 방향의 전기장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는 아래 기판(10)과 위 기판(20)에 형성된 전극(31, 41)의 간격이 다르므로, 이 때 형성되는 전기장은 전극(31, 41)의 중심선을 따라 대칭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그 방향과 모양이 다른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사용한 경우,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정 분자(80)는 전기장의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고,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사용한 경우는,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정 분자(80)가 전기장의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액정 분자(80)의 배열은 방향과 모양이 전기장을 갖는 영역에서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기판 전체로 보아 시각 특성이 평준화되어 더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두 기판을 조립하는 공정에서 오정렬이 발생할 경우 빛샘이 발생하거나 전경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기판에 형성되는 전극의 밀도를 다르게 하는 경우는 공정 과정에서 오정렬이 발생하더라도 전체적인 효과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표시 특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형 전극을 화소 단위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여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다. 이밖에도, 도 5a 내지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소 단위로 또는 화소 내에서 꺾어져 톱니 모양을 이루도록 하는 경우 매우 좋은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와 도 5b, 도 6a와 도 6b, 도 7a와 도 7b, 도 8a와 도 8b가 모여 각각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를 이루게 된다. 전극의 간격이 좁게 형성된 도 5a, 도 6a, 도 7a, 도 8a와 전극의 간격이 넓게 형성된 도 5b, 도 6b, 도 7b, 도 8b 중 어느 쪽이 아래쪽 기판이 되고 어느 쪽이 위쪽 기판이 되는가는 관계없다.
도 5a와 도 5b, 도 6a와 도 6b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a와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쪽 기판에서는 각각의 화소에 공통 전극선인 제1 전극선(32)이 화소의 한쪽 꼭지점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형성되어 'ㄱ'자 또는 '┎'자 모양을 이루고 있고, 다른쪽 기판에는, 도 5b와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형성되어 '┗'자 또는 '┛'자 모양을 이루는 제2 전극선(4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극선(32) 및 제2 전극선(42)과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극(33)과 제2 전극(43)은 화소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전극(33) 사이의 간격은 제2 전극(43)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도 5a와 도 5b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33)과 제2 전극(43)의 방향이 화소의 행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고 같은 열의 화소는 전극의 방향이 동일한 반면, 도 6a와 도 6b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33)과 제2 전극(43)의 방향이 화소의 행과 열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도 7a와 도 7b에는 화소의 모양이 기울어진 평행 사변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도 7a와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쪽 기판에는 각각의 화소에 공통 전극선인 제1 전극선(32)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기판에는 화소 전극인 제2 전극선(42)이 형성되어 있는데 두 전극선(32, 42)은 서로 평행하게 마주 보고 있다. 그리고, 제1 전극선(32) 및 제2 전극선(42)과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극(33)과 제2 전극(43)이 제1 전극선(32) 및 제2 전극선(42)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역시 제1 전극(33) 사이의 간격은 제2 전극(43)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화소는 기울어진 평행 사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소의 기울어짐 방향이 열을 따라 반대로 형성되어 있어, 제1 전극(33)과 제2 전극(43)이 화소의 열을 따라 톱니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a와 도 8b에는 화소 자체의 모양이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도 8a와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화소는 가운데가 꺾어져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톱니 모양의 각 화소에는 공통 전극선인 제1 전극선(32)과 화소 전극인 제2 전극선(42)이 각각 다른 기판에 서로 평행하게 마주 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극선(32) 및 제2 전극선(42)과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극(33)과 제2 전극(4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전극(33)과 제2 전극(43)의 형태는 화소의 가운데에서 꺾어져 톱니 모양을 이루고 있다. 제1 전극(33) 사이의 간격과 제2 전극(43) 사이의 간격이 다른 것은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다.
액정 셀의 양쪽 바깥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은 그 투과축이 톱니 모양으로 꺾인 제1 및 제2 전극의 일부와 평행하거나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부착할 수 있다. 다만, 편광판의 투과축이 전극과 이루는 각이 45도일 경우 가장 좋은 표시 성능을 나타낸다.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의 꺾이는 각도는 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편광판의 투과축의 방향과 관련된다. 편광판의 투과축과 전극이 이루는 각도가 45도가 될 때 가장 좋은 시야각 특성을 얻을 수 있는데, 편광판의 투과축과 전극이 이루는 각도가 45도가 되는 경우 전극이 꺾이는 각도는 90도가 되어야 한다.
빛의 지연에 대한 잔류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바깥쪽에 위상차 보상 필름을 부착할 수도 있다.
도 9에는 보상 필름을 부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정 셀(100)과 편광판(50, 60)의 사이에 보상 필름(110)이 부착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보상 필름이 액정 셀의 양쪽 면과 편광판 사이에 각각 1매씩 부착되어 있으나, 액정 셀의 한쪽면과 편광판 사이에만 부착할 수도 있으며, 액정 셀의 각 면과 편광판 사이에 2매 이상의 보상 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이 때 보상 필름으로는 일축성 또는 이축성 보상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축성 보상 필름과 이축성 보상 필름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IMD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는 두 기판에 서로 평행하며, 교대로 배치되도록 전극을 각각 형성하고 액정 분자들을 수직으로 배향한 다음, 두 전극을 통하여 기판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지는 전기장으로 액정 방향자를 구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판의 평면에 수직하게 두 전극을 지나는 중심면에 대하여 양쪽의 액정층은 액정 분자의 배열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투과되는 빛에 대한 지연(retardation)도 대칭적으로 보상되어 넓은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두 기판에 형성되는 전극 사이의 거리 및 전극의 수를 달리 함으로써 더 넓은 시야각과 더 좋은 색도(chromaticity)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4)

  1.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는 액정 물질층,
    상기 제1 및 제2 기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한 다수의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전극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른 액정 표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액정 물질층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액정 물질층은 카이랄 네마틱 액정, 네마틱 액정 및 카이랄 첨가제가 혼합된 네마틱 액정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바깥쪽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각각 상기 액정 물질층의 액정 분자축을 수직으로 배향하는 배향막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배향막은 한쪽 또는 양쪽 모두 러빙되어 있는 수직 배향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편광판의 투과축은 서로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인접한 도트 또는 화소끼리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3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바깥쪽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편광판의 투과축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편광판의 투과축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방향과 평행하지도 않고 수직하지도 않은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편광판의 투과축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방향과 45도를 이루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과 상기 편광판의 사이 한쪽 또는 양쪽에 부착되어 있는 1개 이상의 보상 필름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보상 필름은 양의 일축성, 음의 일축성 또는 이축성의 보상 필름인 액정 표시 장치.
  18. 제1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이루는 각은 0도에서 180도 사이인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이루는 각은 90도인 액정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각각 서로 인접하는 화소 내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21. 제19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하나의 화소 내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액정 표시 장치.
  24.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으며, 초기에 수직 배향되어 있는 액정 물질층,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 물질층의 분자의 장축 방향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 물질층은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인접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속하는 상기 분자들은 두 영역 사이의 중심면에 대하여 상기 수단을 통하여 대칭으로 배열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980008232A 1997-09-09 1998-03-12 액정 표시 장치 KR100601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46295 1997-09-09
KR101997046295 1997-09-09
KR1019970046295 1997-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131A true KR19990029131A (ko) 1999-04-26
KR100601161B1 KR100601161B1 (ko) 2006-10-11

Family

ID=3763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232A KR100601161B1 (ko) 1997-09-09 1998-03-12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1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394B1 (ko) * 2001-05-31 2005-01-13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표시장치
CN111090198A (zh) * 2019-08-12 2020-05-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234B1 (ko) 2007-12-18 2014-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전계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264A (en) * 1992-04-30 1994-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s having multi-domain cells
JP3529434B2 (ja) * 1993-07-27 2004-05-24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素子
JP3529460B2 (ja) * 1994-12-01 2004-05-24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394B1 (ko) * 2001-05-31 2005-01-13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표시장치
CN111090198A (zh) * 2019-08-12 2020-05-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
CN111090198B (zh) * 2019-08-12 2022-03-2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161B1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7687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48210B1 (ko) 액정 표시 소자
KR100293811B1 (ko) 아이피에스모드의액정표시장치
JP2986757B2 (ja) 電気光学的表示装置及び液晶切換素子
US670408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polarizing plate having polarizing directions neither parallel nor perpendicular to average alignment direction of molecules
US6750934B2 (en) Active-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US79828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88766B1 (ko) 광시야각액정표시장치
KR100580383B1 (ko) 광시야각액정표시장치
KR100601161B1 (ko) 액정 표시 장치
US69438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077769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30037821A (ko) 수직 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028063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108387B1 (ko) 티엔 모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427805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663286B1 (ko)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 표시 장치
KR100488932B1 (ko) 트위스트네마틱액정표시장치
KR100448051B1 (ko) 광시야각 액정표시장치
KR100488935B1 (ko) 에치에이엔모드의액정표시소자
KR100494684B1 (ko) 수직배향된 강유전성 액정의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11579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237674B1 (ko) 시야각을 향상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
GB2365141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20002669A (ko) 인플렌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