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456A - 슬라이딩 콤포넌트를 구비한 의료용 압력 변환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콤포넌트를 구비한 의료용 압력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456A
KR19990028456A KR1019970709772A KR19970709772A KR19990028456A KR 19990028456 A KR19990028456 A KR 19990028456A KR 1019970709772 A KR1019970709772 A KR 1019970709772A KR 19970709772 A KR19970709772 A KR 19970709772A KR 19990028456 A KR19990028456 A KR 1999002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dome
reusable
pressure transducer
medic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035B1 (ko
Inventor
워렌 비. 니콜슨
제임스 에이치. 파울러
웬델 톰슨
찰스 알. 파체르
글렌 디. 브루너
테오도르 알. 아담스
닐레쉬 엠. 샤흐
Original Assignee
윌리암 북아웃
메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북아웃, 메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윌리암 북아웃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5/008169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01364A1/en
Publication of KR1999002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23Fluidic connecting means for flowthrough systems having a flexible pressure transmit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3Modular systems comprising inter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5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monitoring lin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의 어느 한쪽 측부에 채널(160,162)을 갖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와 일회용 다이아프램(224)의 어느 한쪽에 장착 날개부(230,232)를 갖는 일회용 돔(200)을 구비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날개부는 돔(200)을 다이아프램(124,224)이 대면 관계이도록 장착하기 위해 채널내에서 슬라이딩 수용될수 있다. 채널(160,162)과 날개부(230,232)상에는 캐밍 램프(180,240)가 제공되며 이로 인하여 돔(200)이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에 슬라이딩 장착될 때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내로 구동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채널(160,162)은 외부전방벽(164,166) 뒤에 형성되며, 그중 하나의 외표면(190)에는 다이아프램(124,224)을 대면관계로 로크시키기 위해 돔(200)과 연관된 로킹 태브(274)를 수용하기 위한 태브 수용 슬롯(192)이 제공된다. 이 돔은 외부 전방벽을 수용하기 위한 장착 날개부로부터 이격되는 제 2 날개부(250,252)를 구비한다. 제 2 날개부(250,252)는 손가락 파지부(264,265)를 구비하며, 그중 하나는 로크 태브(274)를 지지하는 로킹 패들(270)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콤포넌트를 구비한 의료용 압력 변환기
병원 환경에서, 예를 들어 많은 절차들에는 혈압과 같은 인체의 유체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압력은 환자의 몸 밖에 있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예를 들어 인체내로 도입되는 카테테르에 의해 환자의 순환계에 유압식으로 커플링된다. 상기 카테테르는 변환기 내부의 유체 통로에 튜브를 통해 커플링되며, 이 튜브는 실란으로 충진되어 환자 몸 안의 압력을 변환기와 유압식으로 연결한다.
상기 변환기는 유체 통로와 압력 연통관계에 있고 그로 인하여 내부 압력을 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이 전기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모니터에 커플링되며, 이 모니터는 압력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변환기의 하나의 특히 성공적인 형태로는, 고가의 센서를 구비하는 한 콤포넌트가 재사용가능하고 환자와 접하는 유체 통로를 갖는 다른 콤포넌트는 일회용인 2 콤포넌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각각의 콤포넌트에는 센서 또는 유체 통로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다이아프램이 제공된다. 유체 통로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회용 콤포넌트는 압력 연통관계에 있는 다이아프램에 의해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에 나사결합되며, 그로인해 유체 통로로부터 센서로 압력이 연통된다. 사용후에, 일회용 콤포넌트는 재사용가능한 부분으로부터 나사결합해제되고 버려지며 새로운 살균 유니트로 대체된다.
그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 4920972호에는 유체 돔으로 지칭되는 일회용 유체 통로 콤포넌트가 재사용가능한 센서부에 회전가능하게 커플링되는 2 콤포넌트 변환기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콤포넌트는 나사작용에 의해 함께 고정되어 다이아프램을 대면하는 압력 연통 관계로 만든다. 돔 내의 유체 통로로부터의 압력은 따라서 돔 다이아프램과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을 통해서 그리고 경화겔(cured gel)을 통해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의 센서에 연통된다. 이후 함께 나사결합된 콤포넌트들은 종래와 같이 폴에 부착되도록 지지판에 부착될수 있다.
그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국제 특허 출원 WO 95/01195 호에는 2 콤포넌트 변환기의 다른 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국제 공보에서 특히 도11을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듯이, 돔에는 상기 센서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상에 형성된 채널 내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돔 다이아프램의 대향 측부 쪽으로 외향 연장되는 날개부(wings)가 제공된다. 상기 채널은 또한 돔 다이아프램이 쉽고 빠르게 센서 또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될수 있도록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어느 한쪽에도 존재한다. 특히,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는 지지판으로서 형성되어 조작자에 의해 그 초과 부분 및 초과 조작을 제거하도록 형성될수도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날개부와 채널 장치에서는 변환기의 조작자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다이아프램의 대면하는 압력 전달 관계를 증진시키는 개선사항이 있다.
본 발명은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돔(dome)과 같은 일회용 유체 통로 콤포넌트가 재사용가능한 센서 콤포넌트에 선택적으로 부착될수 있으며 각각의 유체 압력은 콤포넌트의 연통 다이어프램과 대면하는 압력 유통 관계로 연통되는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변환기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변환기의 정면도.
도 3 은 도 1 의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의 정면도.
도 4 는 도 1 의 4-4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5 는 도 2 의 5-5 선상에서 취한 분해 단면도.
도 6 은 도 1 의 일회용 콤포넌트의 후방 부분 절취도.
도 7a 내지 도 7c 는 도 2 의 7A-7A 선상에서 취한 개략 측면도로서, 돔 날개부와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 채널의 상호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8 은 도 1 의 다수의 변환기용 폴 장착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 분해도.
도 9 는 폴 장착 위치에 있는 도 1 의 다수의 변환기의 개략 정면도.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의료용 압력 변환기는,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과, 이 돔 다이아프램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그 외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날개부를 구비하는 일회용 돔과,
지지체와, 이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센서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일 측부에 배치되어 돔 날개부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구비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를 구비하며,
상기 돔 다이아프램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로서,
돔 날개부가 채널 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일회용 돔 다이아프램을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내로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채널 및 돔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캐밍 구조물(camming structure)을 특징으로 한다.
캐밍 구조물 제공에 의하면 두 개의 다이아프램은 돔이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내로 부분 이동하므로써 초기에 약간 이격되거나 느슨하게 접촉될수 있다. 이런 식으로, 다이아프램은 상호 슬라이딩함에 따라 크게 손상되거나 마모되지 않는다. 그러나, 캐밍 구조물은 다이아프램을 콤포넌트의 이동 종료시점에서 맞닿게 하며 그로 인하여 그 사이에는 적절한 압력 연통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양호한 실시예에서 캐밍 구조물은 콤포넌트의 슬라이딩 이동의 종결 시에 하나 이상의 캐밍 램프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하나의 램프는 이동이 종료됨에 따라 돔 날개부에 의해 마지막으로 접촉되는 채널의 바닥 단부에서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 채널은 외측의 전방 벽 뒤에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날개부가 그 이동이 종료됨에 따라 외측 전방벽에 의해 마지막으로 접촉되는 상단부에서 장착 날개부에는 다른 램프가 형성될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의료용 압력 변환기는 일회용 돔과 전술한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를 포함하며, 이들은 또한 재사용가능한 돔과 연관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에 형성된 (또는 그 반대인 ) 태브 수용 슬롯을 특징으로 하며, 이 태브와 슬롯은 돔 날개부가 채널 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함께 결합되어 돔을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에 로크시킨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슬롯은 외측 전방벽에 형성되고 로킹 태브는 다이아프램이 대면관계에 있을 때 슬롯내로 끼워지도록 돔상의 관련 날개부 위로 상승된다. 그 결과, 돔과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는 이들이 동일한 조작 솜씨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함께 나사결합된다면 신뢰성있게 로킹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의료용 압력 변환기는 일회용 돔과, 외측 전방 벽 뒤에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전술한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를 포함하며, 이는 또한 돔과 연관되어 있고 장착 날개부 위로 이격배치되어 채널-형성 외측 전방벽을 위한 벽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날개부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따른 의료용 압력 변환기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센서 및 부착 구조물과 압력 연통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을 구비하는 일회용 돔을 포함하며, 이 일회용 돔은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와,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 부착 구조물과 협력하는 유체 통로 및 부착 구조물에 커플링되어 돔을 대면 관계의 다이아프램에 의해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고, 상기 돔 부착 구조물은 돔과 연관되어 그 사이에 벽수용 채널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의 평행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 부착 구조물은 돔의 벽수용 채널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될수 있는 하나 이상의 날개형상 외부 전방벽을 구비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 2 날개부는 외벽 위에 위치하여 이를 밀봉한다. 그 결과, 조립된 변환기는 두 부분으로 보이지 않고 대신에 솔리드한 유니트로 보인다. 외벽과 제 2 날개부 사이의 위에 위치하는(overlying)관계는 또한 오염물질이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 채널에 들어가 더럽히는 것을 방지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채널 및 이 채널에 슬라이딩 끼워지는 두 개의 장착 날개부가 제공되며 이들 채널과 장착 날개부는 그 각각의 다이아프램의 대향 측부에 배치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또한 그 횡방향 측부 에지가 오목하고 직조(예를 들어 홈형성, 톱니형성 또는 깔쭈기형성에 의해) 오목하고 직조되어 있는 두 개의 제 2 날개부가 제공되어 손가락 파지부를 형성하며, 따라서 조작자는 돔을 채널 안팎으로 슬라이딩시킬수 있다. 상기 오목부중 하나는 로킹 태브를 운반하도록 유사한 형상의 패들로 시뮬레이팅 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날개부를 쥐게 되면 패들도 가압되어 태브를 슬롯에서 결합해제시키고 돔을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로부터 슬라이딩 제거시킬수 있다.
이상의 내용에 의하면, 따라서 일회용 유체돔이 재사용가능한 센서 콤포넌트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고 다이아프램 사이의 압력 전달 관계가 향상되며 변환기의 조작자 사용이 보다 용이한 의료용 압력 변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하는 도면 및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의료용 압력 변환기(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환기(10)는 두 개의 주요 콤포넌트를 구비하는데, 하나는 재사용가능한 센서 콤포넌트(100)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일회용 유체 돔 콤포넌트(200)이다.
도 1 내지 도 5 에서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는 판 형태의 불투명 플라스틱 지지체(102)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판(102)는 장방형으로 되도록 일반적으로 평평한 좌측 에지(104)와, 평평한 우측 에지(106)와, 평평한 상부 및 바닥 에지(108,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에지(104,106,108,110)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은 평평한 정면(112)이다.
면(112) 뒤로는 일체형 센서 챔버(114)가 연장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센서 챔버(114)내에는 (비도시의) 접착제같은 것에 의해 경화겔(117)로 충진된 플라스틱 침니(plastic chimney)(116)가 영구 고정되며, 이 침니의 바닥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PC) board substrate)(120)에 장착된 집적회로 센서 칩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120)상에는 적절한 회로(비도시)가 포함되며, 이 기판은 침니(116)에 의해 고정되어 센서(118)를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와 영구적으로 연관시킨다. 챔버(114)의 상단부에는 개구(122)가 면(112)을 관통하고 있다. 개구(122)위로는 성형 폴리우레탄과 같은 일래스토머형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이 영구적으로 장착된다. 다이아프램(124)과 침니(116)사이에서 챔버(114)내로는 추가 겔(126)이 충진 포트(128)를 통해 액체상태로 삽입되어 다이아프램(124)을 겔(126,117)을 통해 센서(118)와 압력 연통시킨다. 포트(128)는 밀봉되어 다이아프램(124)을 약간 팽창시키고 겔(126)은 경화된다.
다이아프램(124)의 에지(130)는 개구(122) 주위에 면(112)내의 환형 홈(132)내로 끼워지는 원통형 칼라를 형성하여 다이아프램(124)을 정면(112) 평면에 노출되거나 그 바로 위로 팽창하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의 정면(134)으로 지지체(102)에 유지시킨다. 다수의 커넥터(140)가 눈금측정 테스트 스위치(142)와 커넥터(144)를 인쇄회로기판(120), 회로 및 센서(118), 판(102)의 모든 뒷면(112)에 상호 연결시킨다. 스위치(142)는 면(112)에 형성된 개방 바닥 웰(well)에 끼워지며 스위치 버튼(146)은 앞에서 보아 그 하부 좌측 코너에 있는 판면(112)을 통하여 개구(148)에 접근할수 있다 (도3 참조). 전도체(140)는 스위치 지지 인쇄회로기판(149)상의 분리 와이어 또는 리본 케이블 및/또는 전도성 트레이스(비도시)일수 있다. 개구(148) 위로는 유연성 멤브레인(150)이 장착되어 스위치(142)를 보호하고 멤브레인(150) 영역에서 엄지 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에서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를 잡아 누르는 것과 같은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멤브레인(150)은 그 둘레를 따라서 개구(148)에 형성된 웰(145)의 에지에 접착 유지된다. 스위치(142)의 조작은 그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 4760730호에 기술되어 있는 눈금측정 테스트를 제공하지만 분리된 콤포넌트로서가 아니라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의 직접 일체 부분으로서의 테스트를 제공한다.
모니터(비도시)에 전기 접속하기 위해 앞에서 보아서 (도2와 도3 참조) 콤포넌트(100)의 바닥 우측에 커넥터(144)가 제공된다. 커넥터(144)는 원통형의 플라스틱 셸(152)을 가질수 있으며 이 셸은 내부에 암형(female) 핀 수용 커넥터(154)를 갖고 콤포넌트(100)의 구근모양 돌출 영역(a bulbously protruded area)에 수용된다. 커넥터(144)는 바닥 에지(110)에 있는 커넥터 포트(158)를 통해 접근할수 있다. 커넥터(144)는 미국 특허 제 5167522호에 도시되어 있는 2 커넥터 세트의 일부를 형성할수도 있다. 불투명 플라스틱 백판(back plate)(157)이 접착제(비도시)와 같은 것에 의해 판(102)의 뒤쪽 위에 고정되어 상기 콤포넌트들을 둘러쌀수도 있다.
후술될 일회용 돔 콤포넌트(200)를 장착하기 위하여 판(102)에는 앞에서 보아 (도3 참조)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의 좌우 대향 측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채널(160,162)이 제공된다. 각각의 채널은 판(102)과 관련된 각 외측 전방벽(164,166) 뒤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외측 전방벽(164,166)은 일반적으로 정면(112)에 평행하게 그러나 이격 위치되고, 측벽(170,172)을 상호연결하므로써 전방벽에 대해 유지되며, 그로 인하여 각 외측 전방벽(164,166)의 정면(112)과 하측부(174,176) 사이에 채널(160,162)을 형성한다. 각 채널(160,162)의 횡방향 연장은 또한 측벽(170,172)에 의해 한정된다.
외측 전방벽(164,166)의 하측부(174,176)는 판(102)의 상부 에지(108) 부근으로부터 그 바닥 에지(110)를 향하여 나감에 따라 (몰딩용과 같은) 드래프트에 대해 약간 경사질수도 있다 (도5 참조). 이 드래프트는 돔(200)의 삽입 이동 방향으로 채널(160 또는 162)의 폭을 다소 좁힌다. 전술한 이유로 캐밍 구조물이 채널(160,162)의 말단부 또는 바닥단부(178)에 제공된다.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의 캐밍 구조물은 정확한 채널 폭 Wc을 형성하도록 45。 램프(182)와 후미 계단부(trailing step)(184)로 구성되는 캐밍 램프(180)에 의해 제공된다 (도 7a 참조). 각 벽(164,166)의 상부 에지(186)는 노출된다. 각 채널(160 또는 162)의 바닥 단부(178)는 폐쇄될수 있지만 (비도시), 채널에 파편이 쌓이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로 남는 것이 유리하다.
도 3 및 도 4 를 특히 참조해보면, 우측 채널의 외측 전방 벽(166)의 외표면(190)은 (측벽(170) 위에서) 내부에 형성되는 태브 수용 슬롯(192)과 같은 오목부를 구비함을 알수 있다. 슬롯(192)은 외표면(190)에 역시 형성되는 좁은 길(alleyway)(194)내로 연장되며 이는 다시 후술되는 모든 목적에 대한 외부 전방벽(166)의 인접하는 둥근 홈(chamfer)(196)에서 종료된다. 외표면(190)은 그렇지 않으면 평평하고 전방면(112)에 대해 평행하다. 좌측의 외부 전방벽(164)은 유사하게 평평하고 전방면(112)에 대해 평행하다.
특히 도 5 와 도 6 을 참조해보면, 일회용 돔(200)은 깨끗하거나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으며 좌우 에지(204,206)과 상하 에지(208,210)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보디부(202)를 가지므로써 중앙 보디부(202)를 장방형으로 만든다. 보디부(202)의 뒤를 통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은 유체 통로 웰(212)이며, 이 웰은 웰(212)의 전방 밖으로 상향 연장되고 바닥 에지(210)를 따라 접근가능한 유입 포트(214)와, 웰(212)의 전방 밖으로 상향 연장되고 상부 에지(208)를 지나 연장되는 유출 파이프(216)를 통해 연통된다. 입구와 출구(214,216)는 협력하여 유체 통로(212)를 일회용 돔(200)을 통해 연장시킨다. 유체 통로(212)는 중앙 보디부(202)의 뒤쪽(220)을 따라 큰 개구(218)를 통해 접근할수 있다. 웰(212)과 개구(218)는 중앙 보디부(202)에 있는 원통형 벽(221)에 의해 형성되며 벽(221)과 에지(204,206,208,210) 사이에는 공동(222)이 형성된다. 이와 달리, 공동(222)은 플라스틱으로 충진될수 있다. 어느 쪽이든 돔(200)의 뒤쪽(220)은 판(012)의 편평면(112)과 매치되도록 돔(200)에 편평하거나 판형상의 표면을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
바닥 측부(220)를 따라서 개구(218)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은 중앙부(202)에 영구 고정되는 일래스토머 재질의 다이아프램(224)이며 이는 돔(200)내의 유체 통로를 밀봉하기 위해 압력 전달 유체 투과성 벽을 제공한다. 다이아프램(224)은 다이아프램(124)와 같이 성형 폴리우레탄일수 있으며 개구(218) 주위로는 환형 리세스 또는 홈 (비도시)에 칼라 (비도시)가 장착된다. 이와 달리 다이아프램(224)은 우레탄 막 재질의 시이트일수 있으며 그 주변 에지는 개구(218)의 에지에 접착식 또는 가열식으로 접합되거나 압축 링(비도시)과 같은 것에 의해 개구(218) 주위에서 홈(비도시)에 유지된다.
중앙부(202)의 (에지(204,206)로부터) 대향 좌우 측부로부터 (도2와 도4 참조) 다이아프램(224)의 어느 한쪽으로 외향 연장되는 것은 재사용가능한 판(102)의 채널(160,162)내에 암수결합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일회용 다이아프램(224)을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대면 관계로 배치시키는 좌우의 장착 날개부(230,232)이다. 각 날개부(230,232)의 바닥 단부(234)는 후술되는 목적을 위해 235 에서 모서리가 깎아진다 (도7a 참조). 상기 모떼기부(235) 바로 위의 바닥 단부(234)는 정확한 두께 또는 폭을 가지며 이는 다이아프램(224,124)과 조합하여 채널 폭(Wc)에 거의 근사하므로써 다이아프램들은 적절한 압력 연통 관계로 유지한다. 또한 캐밍 구조물은 각 날개부의 상단부 또는 먼단부(236)에 형성된다.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채널(160,162)내의 캐밍 램프(180)와 마찬가지로 후미 계단부(244) 영역에 날개부(230 또는 232)의 정확한 폭 Wc을 형성하기 위해 45。의 램프(242)와 후미 계단부(244)로 구성되는 캐밍 램프(240)에 의해 추가 캐밍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판(102)의 상부 에지(108) 부근의 그 개구에서의 채널(160,162)의 두께 또는 폭은 다이아프램(224,124)과 협력하여 바닥 단부(234)의 유지 능력 및 폭(Wc)에 더하여 또는 그와 달리 폭(Ww)에 근접하여 다이아프램을 적절한 압력 연통 관계로 유지시킨다.
캐밍 램프(180)와 캐밍 램프(240)는 날개부(230,232)가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의 채널(160,162)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그 각각의 상대 구조물을 돔(200)의 이동의 후미 단부 부근에 결합시키도록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와 일회용 돔(200) 각각에 배치된다. 이런 식으로, 돔(200)이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내로 이동함에 따라, 다이아프램(124,224) 사이에는 적어도 다이아프램(124)을 손상마모시키지 않기 위해 약간의 공간이 있을수 있다 ( 또는 약간 느슨한 슬라이딩 접촉이 있을수 있다). 돔(200)이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내로의 그 종방향 이동의 종료에 근접함에 따라 날개부(230,232)가 판(102)의 면(112)과 다이아프램(124)을 향하여 약간 축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로 인하여 일회용 다이아프램(224)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맞닿는 관계로 구동되어 그 사이에 적절한 압력 연통관계를 제공한다. 판(102)에 대한 돔의 이동 정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각 날개부(230,232)의 먼단부 또는 상단부(236)에는 폐쇄 벽(246)이 제공될수 있으며 이 폐쇄벽은 외측 전방벽(164,166)의 상부 에지(186)에 맞닿게 될 것이다.
재사용가능한 판(102)에 의한 돔(200)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제 2 세트의 날개부(250,252)가 제공될수도 있다. 날개부(250,252)는 또한 에지(204,206)로부터 연장되지만 벽 수용 공간(254,256)을 형성하기 위해 장착 날개부(230,232) 각각의 위로 이격되어 있다 (도 4 및 도 7). 이렇게 명백하듯이, 공간(254,256)은 돔(200)이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의 날개형 부착 구조물로서 작용하는 외벽(164,166) 각각을 수용하도록 돔의 부착 구조물 채널로서 작용한다. 제 2 날개부(250,252)는 콤포넌트(200,100)가 도1에 도시되듯이 함께 장착될 때 외벽(164,166) 위에 배치되어 단일 유니트의 미적 외관을 제공하도록 외향 연장된다. 또한 날개부(250, 252)는 돔(200)이 판(102)에 장착될 때 부스러기가 채널(160,162)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벽을 제공하기도 한다.
도 2 와 도 6 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 2 날개부(250,252)의 측방 에지(260,262)는 각각 264 와 265 에서 오목하게 되어 사용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 파지부를 제공하므로써 돔(200)을 파지하여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에 대해 장착하거나 장착 해제할수 있다. 손가락 파지부(264,265)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홈형성, 톱니형성 또는 깔쭈기 형성 등에 의해 )직조될수도 있다. 특히 도2를 참조해보면, 오목한 형상을 갖고 좌측 제 2 날개부(250)의 오목한 부분(264)을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직조표면을 갖는 탄성 로킹 또는 가요성 패들(270)에 의해 우측 제 2 날개부(252)의 오목한 손가락 파지부(265)가 실제로 제공될수도 있다. 태브(274)가 돔(200)에 탄성 부착되고 위로부터 이격되어 날개부(232)를 향하여 현수되도록 패들(270)의 말단부(272)에는 로킹 태브(274)가 지지된다. 로킹 패들(270)은 그 유연 작용에 의해 로킹 태브(274)가 날개부(252)의 상단부(280) 부근의 중앙부(202)를 향하여 이동할수 있도록 힌지 영역(276)으로부터 날개부(252)의 바닥 단부(278)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된다.
돔(200)이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로킹 태브(274)는 외벽(166)의 모떼기부(196)(도 3 참조)에 대해 접촉하여 패들(270)을 왼쪽으로 만곡시킨다. 돔(200)이 좀더 이동함에 따라 태브(274)는 좁은 길 상을 통과하고 돔(200)의 이동 종료시에는 슬롯(192) 내로 다시 우향 스내핑되어 돔(200)을 다이아프램(224,124)과 대면 압력 전달 관계 (도7c)로 판(102)상에서 위치 로크 시킨다. 돔(200)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비도시)는 오목부(264)에서 엄지(비도시)로 돔(200)을 파지하고 집게손가락(비도시)으로 로킹 패들(270)을 잡아눌러 로킹 태브(274)가 태브 수용 슬롯(192)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판(102)의 상부 에지(108)를 향하여 상향 슬라이딩시키므로써 돔(200)을 후퇴시킬수 있다.
돔(200)은 입구 포트(214)에 커플링되는 패스트-플러쉬(fast-flush) 장치(290)(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171230호에 도시된 패스트 플러쉬 장치와 같은) 및 출구 파이프(216)에 커플링되는 콕마개(stopcock)(292)를 구비할수도 있다. 상기 플러쉬 장치(290)는 이후 튜브(294)에 의해 살린 공급원(비도시)에 연결되고 콕마개(292)는 다른 튜브(296)에 의해 환자의 순환계(비도시)에 설치될 카테테르(298)에 연결되어 그 압력을 모니터한다.
도 7a 내지 도 7c (여기서 채널(160)과 그 관련 벽은 명확함을 위해 생략하였음)에는 본 발명의 여러 특징에 따라 돔(200)을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에 장착하는 것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a 에서, 돔(200)은 아래쪽 화살표 A 를 따른 방향으로 날개부(232)가 진입하기 시작함에 의해 판(102)에 막 장착되고 있다. 따라서, 돔 날개부(232)는 판(102)의 상부 에지(108)의 방향으로부터 채널(162)내로 들어간다. 외부 전방벽(166)의 상단부(186)는 날개부의 가까운 단부에서 모따기된 벽(235)에 의해 충격을 받아서 날개부(232)를 외부 전방벽(166) 뒤에 형성된 공간 또는 채널(162) 내로 이동시킨다. 도 7a 에서 제 2 날개부(252)는 전방벽(166)의 윗면(190)으로부터 위에 이격 배치되어 있다.
도 7b 에 도시되어 있듯이, 돔(200)이 바닥벽(110)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점점 내려감에 따라, 날개부(232)의 대부분의 길이는채널(162) 내부로 통과하고 날개부(252)는 전방벽(166)의 전방(190) 위초 지나간다. 이러한 점진적인 이동에서는 다이아프램 특히 여러 돔(200)에 의해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의 손상 또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다이아프램(224, 124)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있거나 적어도 느슨한 접촉 또는 슬라이딩 접촉 (문자 S 로 표시)이 있을수 있다. 이동의 종료시점 부근에서 모서리면(235)은 캐밍 램프(180)의 램프(182)를 쳐서 날개부(232)의 가까운 단부가 면(112)과 다이아프램(124)을 향하여 구동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캐밍 램프(242)는 상부 에지(186)에 충돌하여 날개부(232)의 먼 단부를 면(112)과 다이아프램(124) 쪽으로 구동하며 이 경우 다이아프램(224, 124) 사이의 간격(S)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또는 느슨한 접촉이 조여지기 시작한다). 또한 태브(274)는 좁은 길(194)내로 이동할수 있도록 벽 모떼기부(196)(도 3 참조)와 부딪혀 패들(270)을 구부린다.
도 7c 에서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내로의 돔(200)의 이동의 종료시점에서 날개부(232)의 가까운 단부는 후미 단부(184)의 아래에 위치하고 외벽(166)의 상단부(186)는 날개부 캐밍 램프(240)의 후미 단부(244)에 대해 그 위에 배치되며 그로 인하여 날개부(232)는 판 면(112)을 향하여 구동되고 다이아프램(224,124)은 그 사이에 바람직한 압력 연통 관계를 제공하도록 구동되어 맞닿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의 종료 시점에서 제 2 날개부(252)는 전방 벽(166)의 윗면(190)의 완전히 위에 놓이도록 배치되고, 패들(270)은 슬롯(192)내로 로킹된 태브(274)에 의해 그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7a 내지 도 7c 에 도시된 동일한 이동 배치가 날개부(230)와 채널(60)사이에서 동시에 발생한다.
사용에 있어서, 돔(200)은 전술한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에 슬라이딩 장착되며, 적절한 튜브(294,296)와 카테테르(298)가 사용되어 변환기(10)의 유체 통로(212)를 환자와, 환자의 혈압을 나타내는 신호를 예를 들어 종래와 같이 모니터에 커플링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144)에 커플링시킨다. 환자에 대한 사용이 끝난후 또는 돔(200)이 다른 이유로 대체되어야 하는 경우, 돔(200)은 로킹 패들(270)을 눌러 돔(200)을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의 채널(160,162) 밖으로 슬라이딩시켜 폐기( 튜브도 함께 또는 튜브는 빼고)하므로써 간단히 제거될수 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새 튜브가 제공되거나 사용된 구 튜브를 적절한 새 돔(200)으로 대체할수 있으며 새 돔(200)은 전술한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에 슬라이딩 장착될수 있다. 여러 상황에서, 하나 이상의 압력을 모니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8과 관련하여 후술되듯이 여러개의 변환기(10)가 사용될수도 있다.
각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의 백판(back plate)(157)에는 콤포넌트(100)를 지지 프레임(302)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물(300)이 제공될수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다시 폴(306)에 고정된 폴 장착 클램프(304)에 장착된다. 이 장착 프레임(302)은 로킹 핸들(310) 조작에 의해 프레임(302)상에 로킹되는 다수의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의 각 지지 구조물(300)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리셉터클(308)을 구비한다. 프레임(302)은 또한, 동일 리셉터클(308)에 수용될수 있고 폴 장착 클램프(304)의 가까운 단부(312)에서 핸들(310)의 조작에 의해 유지되는 동일 장착 구조물(300)을 구비한다. 클램프(304)는 요크(314)와 나사(316)의 상호작용에 의해 종래와 같이 폴(306)에 유지된다. 이와달리 또는 추가로 각각의 판(102)은 국제 특허 출원 WO 95/01195호에 개시되어 있는 모듈식 상호접속 판으로서 제공될수도 있다.
판(102)의 장방형 형태로 인하여 다수의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가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되면(도9 참조), 이들 콤포넌트는 어느 정도 솔리드한 유니트 세트인 외양을 부여하며 따라서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중 어느 하나가 프레임(302)상에서 사용가능한 리셉터클(308)에 의해 정해지는 위치중 한 위치에 배치될수 있다는 점에서 모듈형인 것으로 간주될수도 있다. 돔(200)은 관련 콤포넌트(100)가 프레임(302)에 연결되기 전 또는 후에 그 각각의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에 장착될수도 있다. 이와 달리, 하나의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가 직접 폴 장착 클램프(304) 및 프레임(302)에 장착될수도 있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일회용 유체 돔이 재사용가능한 센서 콤포넌트에 슬라이딩 식으로 제거될수 있고, 다이아프램 사이의 압력 전달 관계가 개선되며, 변환기의 조작 사용이 용이해지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가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날개부 및 두 개의 채널의 사용이 도시되었으나 적어도 하나의 각각이 사용될수도 있다. 또한, 외부 전방벽은 예로서 다이아프램(124) 또는 장착 날개부(230,232)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므로써 전방면(112)과 동일 평면일수도 있다. 또한, 슬롯(192)이 지지체(102)상에 그리고 로킹 태브(274)가 돔(200)상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본원에 개시된 예시적인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34)

  1.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212)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224)과, 이 돔 다이아프램(224)의 일측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날개부(230,232)를 구비하는 일회용 돔(200)과,
    지지체(102)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센서(118)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돔 날개부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구비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돔 다이아프램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돔 날개부가 채널 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일회용 다이아프램(224)을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내로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채널(160,162)과 돔 날개부(230,232)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캐밍 구조물(180,240)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212)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224)과, 이 돔 다이아프램(224)의 일측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날개부(230,232)를 구비하는 일회용 돔(20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는 지지체(102)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센서(118)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돔 날개부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구비하고,
    돔 다이아프램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돔 날개부가 채널 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일회용 다이아프램(224)을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내로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채널과 연관되는 캐밍 구조물(180)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3. 지지체(102)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센서(118)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162)을 구비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돔(200)을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 돔은,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212)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224)과, 이 돔 다이아프램(224)의 일측부로 연장되고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 채널(160,162)내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날개부(230,232)를 구비하며,
    상기 돔 다이아프램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돔 날개부가 채널 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일회용 다이아프램(224)을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내로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돔 날개부와 연관되는 캐밍 구조물(240)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4.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212)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224)과, 이 돔 다이아프램(224)의 일측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날개부(230,232)를 구비하는 일회용 돔(200)과,
    지지체(102)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압력 센서(118)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돔 날개부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162)을 구비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돔 다이아프램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 돔(200) 각각과 연관되어 있는 오목부(192)와 돌출부(274)를 포함하고, 이들 오목부와 돌출부는 상기 일회용 다이아프램을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관계로 로크시키기 위해 돔 날개부(230,232)가 채널(160,162)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오목부가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5.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212)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224)과, 이 돔 다이아프램(224)의 일측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날개부(230,232)를 구비하는 일회용 돔(20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는 지지체(102)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센서(118)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돔 날개부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구비하고,
    돔 다이아프램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그 각각이 상기 지지체와 연관되어 있는 오목부(192)와 돌출부(274)를 포함하고, 이들 오목부와 돌출부 각각은 상기 일회용 다이아프램을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관계로 로크시키기 위해 돔 날개부(230,232)가 채널(160,162)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돔(200)과 연관되어 돌출부(274)를 수용하거나 오목부(192)내로 수용되도록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6. 지지체(102)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센서(118)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162)을 구비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돔(200)을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 돔은,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212)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224)과, 이 돔 다이아프램(224)의 일측부로 연장되고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 채널(160,162)내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날개부(230,232)를 구비하며,
    상기 돔 다이아프램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그 각각이 상기 돔(200)과 연관되어 있는 돌출부(274)와 오목부(192)를 포함하고, 이들 돌출부와 오목부 각각은 상기 일회용 다이아프램을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관계로 로크시키기 위해 상기 날개부가 채널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지지체와 연관되어 오목부내로 수용되거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7. 지지체(102)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센서(118)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162)을 구비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돔(200)을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 돔은,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212)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224)과, 이 돔 다이아프램의 일측부로 연장되고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 채널내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날개부(230,232)를 구비하며,
    상기 돔 다이아프램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날개부가 채널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일회용 다이아프램이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되도록 돔(200)에 탄성적으로 부착되어 돔을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에 로크시키는 돌출부(2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8.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212)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224)과, 이 돔 다이아프램(224)의 일측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날개부(230,232)를 구비하는 일회용 돔(200)과,
    지지체(102)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압력 센서(118)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방벽(164,166)과,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뒤에 형성되고 그 일측부에 배치되어 돔 날개부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162)을 구비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돔 다이아프램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돔(200)과 연관되고 외부 전방벽(164,166)을 위한 벽 수용 공간(254,256)을 형성하기 위해 장착 날개부(230,232) 위에 이격배치되는 제 2 날개부(250,252)를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9. 지지체(102)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센서(118)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방벽(164,166)과, 전방벽의 뒤에 형성되고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60,162)을 구비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돔(200)을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 돔은,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212)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224)과, 이 돔 다이아프램(224)의 일측부로 연장되고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 채널(160,162)내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날개부(230,232)를 구비하며,
    상기 돔 다이아프램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하는 관계로 슬라이딩 수용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돔(200)과 연관되고 외부 전방벽(164,166)을 위한 벽수용 공간(254,256)을 형성하기 위해 장착 날개부(230,232) 위에 이격배치되는 제 2 날개부(250,252)를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10. 지지체(102)와, 상기 지지체와 영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센서(118)와, 이 센서와 압력 연통 관계에 있는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과, 부착 구조물(164,166)을 구비하는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돔(200)을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 돔은, 환자에게 커플링되게 되어 있는 유체 통로(212)와, 상기 유체 통로에 커플링되는 다이아프램(224)과,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 부착 구조물과 협력하여 돔을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에 슬라이딩 장착시키는 돔 부착 구조물(230,232,250,252)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들은 대면관계에 있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돔 부착 구조물은 돔과 연관되어 있고 그 사이에 벽 수용 채널(254,256)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평행 날개부(230,250,232,252)를 구비하며,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 부착 구조물은 돔의 벽수용 채널에 슬라이딩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날개형 외부 전방벽(164,1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밍 구조물(180)은 채널(160,162)과 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30,232)와 연관되는 제 2 캐밍 구조물(240)을 추가로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밍 구조물(240)은 날개부(230,232)와 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14. 제 2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밍 구조물(180)은 채널(160,162)의 바닥 단부(178)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15. 제 3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밍 구조물(240)은 날개부(230,232)의 상단부(23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밍 구조물(240)은 날개부(230,232)의 상부 에지(23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캐밍 구조물(180,240)은 계단부(184,2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1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1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캐밍 구조물(180,240)은 램프(182,2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19.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8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날개부(230,232)가 채널(160,162)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돔(200)을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에 로크시키기 위해 돔(200)에 탄성 부착되는 태브(22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1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 돔(200) 각각과 연관되는 오목부(192)와 돌출부(274)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들 오목부(192)와 돌출부(274)는 일회용 다이아프램을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과 대면관계로 로크시키기 위해 날개부(230,232)가 채널(160,162)내로 슬라이딩 수용됨에 따라 오목부가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1. 제 4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2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지지체(102)와 연관된 태브 수용 슬롯(192)이며, 상기 돌출부는 돔(200)과 연관된 로킹 태브(27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60,162)은 외부 전방벽(164,166)의 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3.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날개부(250,252)와 연관되고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에 형성된 오목부(192)에 수용될수 있는 돌출부(274)를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92)는 외부 전방벽(164,16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5. 제 7 항 및 제 20 항 내지 제 2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돔과 연관된 가요성 패들(270)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또는 로킹 태브(274)는 가요성 패들(27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또는 로킹 태브(274)는 가요성 패들(270)의 말단부(27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7. 제 1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11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60,162)은 외부 전방벽(164,166) 사이에 형성되고, 장착 날개부(230,232) 위에는 외부 전방벽(164,166)을 위한 벽수용 공간(254,256)을 형성하기 위해 제 2 날개부(250,252)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8.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제 23 항,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제 2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날개부 (250,252)에 형성되는 손가락 파지부(264,26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29. 제 8 항, 제 9 항, 제 23 항,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제 27 항, 제 2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날개부(250,252)는 장착 날개부(230,23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파지부(264,265)는 제 2 날개부(250,252)의 측방 에지(260,262)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가능한 콤포넌트(100)는 두 개의 채널(160,162)을 구비하며, 상기 일회용 돔(200)은 두 개의 장착 날개부(230,2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260,262)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의 대향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날개부(230,232)는 일회용 다이아프램(224)의 대향 측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2)와 연관되고 센서(1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눈금측정 테스트 스위치(14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2)는 장방형을 형성하는 주변 측부 에지(104,106,108,110)와 재사용가능한 다이아프램(124)이 노출되는 정면(1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압력 변환기.
KR1019970709772A 1995-06-28 1995-06-28 슬라이딩콤포넌트를구비한의료용압력변환기 KR100348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5/008169 WO1997001364A1 (en) 1993-06-30 1995-06-28 Medical pressure transducer with sliding components
CA002224428A CA2224428C (en) 1993-06-30 1995-06-28 Medical pressure transducer with sliding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456A true KR19990028456A (ko) 1999-04-15
KR100348035B1 KR100348035B1 (ko) 2002-11-14

Family

ID=416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772A KR100348035B1 (ko) 1995-06-28 1995-06-28 슬라이딩콤포넌트를구비한의료용압력변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36088B8 (ko)
KR (1) KR100348035B1 (ko)
AU (1) AU2952095A (ko)
CA (1) CA247895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609B1 (ko) * 2000-07-18 2002-07-02 류정열 자동차용 엔진 냉각 장치의 서모스탯 고장 진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2373A1 (en) * 2012-08-02 2014-02-05 Debiotech S.A. Pressure measurement unit for determining fluid pressure within a medical fluid dispensing device
KR102374437B1 (ko) 2020-04-21 2022-03-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압력 변환기의 심장에 대한 위치 정렬용 보조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0972A (en) * 1987-01-27 1990-05-01 Medex, Inc. Gel-filled blood pressure transducer
US4970900A (en) * 1989-01-31 1990-11-20 Baxter International, Inc. Pole mount organizer with modular interconnection receptacles
US5257917A (en) * 1992-10-02 1993-11-02 Cole-Parmer Instrument Company Peristaltic pump having means for reducing flow pulsation
US5417395A (en) * 1993-06-30 1995-05-23 Medex, Inc. Modular interconnecting component support plate
EP0835145B1 (en) * 1993-06-30 2001-11-07 Medex, Inc. Medical pressure transducer with sliding compon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609B1 (ko) * 2000-07-18 2002-07-02 류정열 자동차용 엔진 냉각 장치의 서모스탯 고장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78952A1 (en) 1997-01-16
EP1136088B1 (en) 2005-08-10
EP1136088A1 (en) 2001-09-26
EP1136088B8 (en) 2005-10-12
KR100348035B1 (ko) 2002-11-14
AU2952095A (en) 1997-01-30
CA2478952C (en) 2008-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5145B1 (en) Medical pressure transducer with sliding components
JP3343262B2 (ja) ダイヤフラム隔離手段を備えた2部品構成の医療用圧力変換器
TWI737123B (zh) 生理訊號傳感裝置
US4539998A (en) Pressure transducer assembly
US20040168530A1 (en) Pressure dome for connecting a transducer with a sealed fluid system
US5540100A (en) Pressure transducer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a fluid, in particular for 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s
EP3771400A1 (en)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device
KR20230047980A (ko) 생체 신호 모니터링 기기
KR100348035B1 (ko) 슬라이딩콤포넌트를구비한의료용압력변환기
USRE33518E (en) Pressure transducer assembly
KR20210016297A (ko) 생체 신호 모니터링 기기
JP3439219B2 (ja) 滑動要素を有した医療用圧力変換器
CA2485352C (en) Two-part medical pressure transducer with diaphragm stand-offs
MXPA99005113A (es) Transductor de presion de dos partes para uso medico que tiene separadores de diafragma
JP2000500030A (ja) 滑動要素を有した医療用圧力変換器
CN217040073U (zh) 内窥镜负压阀安装结构、内窥镜手柄及内窥镜
ITAN960013U1 (it) Maniglia elastica standardizz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