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779U - Hands-free phone to prevent leakage of call details - Google Patents

Hands-free phone to prevent leakage of call detai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779U
KR19990027779U KR2019970040379U KR19970040379U KR19990027779U KR 19990027779 U KR19990027779 U KR 19990027779U KR 2019970040379 U KR2019970040379 U KR 2019970040379U KR 19970040379 U KR19970040379 U KR 19970040379U KR 19990027779 U KR19990027779 U KR 199900277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signal processor
call
speakerphone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3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바부 브레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0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779U/en
Publication of KR19990027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779U/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핸즈프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본체에는 이어폰 또는 마이크가 일체화된 이어폰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전화기가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어폰 또는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이 본체에 접속된다면, 통화시 처리된 음성은 스피커폰의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대신에 상기 이어폰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핸즈프리 통화를 하는 경우에 상대방의 통화내용이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that enables hands-free calling using a speakerphone. The main body of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earphone or earphone integrated with a microphone. If the earphone or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ile the phone is set to the speakerphone call mode, the voice processed during the call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earphone instead of being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speakerphone. Accordingly, when the user makes a hands-free call using the speakerphon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ontents of the call of the other party from leaking to the outside.

Description

통화내용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핸즈프리 전화기Hands-free phone to prevent leakage of call details

본 고안은 핸즈프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즈프리 통화를 하는 경우에도 통화내용이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ne that enables a hands-free c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ne that prevents leakage of the contents of a call even when making a hands-free call.

통상의 전화기는 본체와 이 본체에 컬코드를 통해 연결되는 송수화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수화기는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해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입력하는 수단으로서의 송화기와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된 음성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서의 수화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는 전화기상에 구비된 송수화기를 훅크오프시켜 손으로 들고 있어야만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A typical telephone consists of a main body and a handset connected to the main body via a curl cord. The handset consists of a handset as a means for inputting a voice spoken by a user for a call with a counterpart and a handset as a means for delivering a voic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o the user. At this time, the user hooks off the handset provided on the telephone to hold the hand so that the user can talk to the other party.

한편 통신기술이 발달되면서 통화시에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손으로 들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대방과 통화(핸즈프리 통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전화기에 채용되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요즈음에 상용화되고 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유무선 자동응답 전화기에는 스피커폰 기능을 위한 구성요소인 스피커 27과, 마이크 28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구비된 스피커 27과, 마이크 28은 사용자의 핸즈프리 통화를 가능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핸즈프리 전화기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은 통화시 송수화기를 들지 않고서도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는 편리성을 제공받게 된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even when the user does not hold the handset at the time of a call, a function of making a call (hands-free call) with the other party is employed in the telephon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answering machin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these days, includes a speaker 27 and a microphone 28, which are components for a speakerphone function, which includes the speaker 27 and the microphone 28. Is a component that enables a hands-free call of a user. By using the hands-free telephone, users are provided with the convenience of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without lifting a handset.

그러나 핸즈프리 통화기능은 사용자들이 원치 않는 통화내용의 외부 유출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통화시 사용자들에게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인 많은 사용자들이 통화시 다른 사람들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통화를 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자신의 통화내용을 외부에 알리고 싶지 않다는 사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음에서 비롯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단점, 즉 통화내용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은 핸즈프리 통화를 하다가 사용자가 다시 송수화기를 들고 통화를 함으로써 해소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화기를 핸즈프리 통화모드에서 다시 원래 모드로 되돌린 상태에서 송수화기를 들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원래부터 송수화기를 들고 통화를 하는 경우에 비해 더한 번거로움을 야기시키는 결과가 된다.However, the hands-free call function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external leakage of unwanted call contents. This phenomenon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many users, who are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by the users during the call, want to make the call without interruption from others and further, they do not want to announce their contents to the outside. I can say that it comes from not. Of course, such a disadvantage, that is, the leakage of the contents of the call may be solved by the user holding the handset again while making a hands-free call. However, the user has to pick up the handset after returning the phone from the hands-free call mode back to the original mode, which is more cumbersome for the user than when making a call with the handse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핸즈프리 통화시 통화내용이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ne that prevents leakage of the contents of the call during hands-free communica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핸즈프리 통화시 통화내용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겪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lephone that eliminates the hassle that a user must suffer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ntents during the hands-free call.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본체에는 이어폰 또는 마이크가 일체화된 이어폰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전화기가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어폰 또는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이 본체에 접속된다면, 통화시 처리된 음성은 스피커폰의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대신에 상기 이어폰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핸즈프리 통화를 하는 경우에 상대방의 통화내용이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the main body of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n earphone or an earphone integrated with a microphone. If the earphone or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ile the phone is set to the speakerphone call mode, the voice processed during the call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earphone instead of being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speakerphone. Accordingly, when the user makes a hands-free call using the speakerphone, the contents of the other party's call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무선 자동응답 전화기의 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a wired or wireless answe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자동응답 전화기의 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a wired or wireless answe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자동응답 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ired or wireless answe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 chip designer,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전화기의 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본 고안이 유무선 자동응답 전화기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2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hands-fre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ired or wireless answering machine.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자동응답 전화기는 송수화기 10과, 본체 2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 20은 일반적인 유무선 자동응답 전화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인 다이얼버튼부 21과, 기능버튼부 22∼24와, 표시부 25와, 안테나 26과, 스피커 27과, 마이크 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특징적인 요소들인 잭 29, 이어폰 30,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이어폰+마이크) 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피커 27과 마이크 28은 스피커폰을 구성하는 요소들이고, 잭 29에는 선택적으로(optional) 이어폰 30이 접속될 수도 있고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32가 접속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wired or wireless answe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roughly by handset 10, the main body 20. The main body 20 includes not only a dial button part 21, a function button part 22 to 24, a display part 25, an antenna 26, a speaker 27, and a microphone 28, which are components that can be found in a general wired or wireless answering machine. Characteristic ele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jack 29, earphone 30,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earphone + microphone) 32 is made. Here, the speaker 27 and the microphone 28 are elements constituting the speakerphone, and the optional earphone 30 may be connected to the jack 29 or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32 may be connected.

즉,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자동응답 전화기는 도 1에 도시된 전화기와 비교할 때 이어폰 30 또는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32가 더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피커폰 통화모드를 설정함으로써 핸즈프리 통화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 30 또는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32를 잭 29에 연결하게 되면, 통화내용인 상대방의 음성은 스피커폰의 스피커 27을 통해 외부로 송출되는 대신에 상기 이어폰 30 또는 마이크 일체형 32의 이어폰을 통해 송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스피커폰 통화모드에서 유출되던 상대방의 음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이어폰 30 또는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32를 귀에 꼽음으로써 상대방의 음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은 이어폰 30을 잭 29에 연결한 경우에는 마이크 28을 통해서 상대방에게 전달되게 된다. 이와 달리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32를 잭 29에 연결한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 32의 마이크 및 마이크 28을 통해서도 상대방에게 전달되게 된다.That is, the wired / wireless answe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may further be connected to the earphone 30 or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32 as compared to the phone shown in FIG. 1. If the user connects the earphone 30 or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32 to the jack 29 while the user is making a hands-free call by setting the speakerphone call mode,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which is the contents of the call,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27 of the speakerphone.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earphone 30 or the microphone integrated 32 earphone. Therefore,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which was leaked in the speakerphone call mode,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user can check the other party's voice by inserting the earphone 30 or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32 into the ear. At this time, the voice spoken by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icrophone 28 when the earphone 30 is connected to the jack 29. On the other hand, when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32 is connected to the jack 29, the microphone 32 and the microphone 28 of the earphone 32 are also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자동응답 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ired or wireless answer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exter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도 3에서 라인인터페이스 2와, 통화처리부 4와, 제어부 6과, 무선(RF: Radio Frequency)부 12와, 안테나 26은 유선통화 또는 무선통화시 통화처리를 행하여 전화라인(T,R)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수신하거나 음성신호처리부 8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전화라인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라인인터페이스 2는 상기 전화라인(T,R)에 접속되며, 안테나 26과 RF부 12는 휴대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화처리부 4에 무선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무선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통화처리부 4는 전화라인(T,R)을 통해 연결되는 상대방과의 통화처리를 행한다. 음성신호처리부 8은 상기 통화부에 의한 통화동작시 처리되는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처리하거나 처리된 음성신호를 상기 통화부로 출력한다.In FIG. 3, the line interface 2, the call processing unit 4, the control unit 6, the radio frequency (RF) unit 12, and the antenna 26 perform call processing during a wired or wireless call, and the call line (T, R) It receives a voice signal or delivers a voice signal applied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to the telephone line. Here, the line interface 2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s T and R, and the antenna 26 and the RF unit 12 serve to wirelessly connect the portable device (not shown) to the call processing unit 4 to make a wireless call. . The call processing unit 4 performs call processing with the other party connected through the telephone lines T and R.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inputs and processes a voice signal processed during a call operation by the call unit, or outputs the processed voice signal to the call unit.

다이얼버튼부 21, 기능버튼부 22∼24 및 표시부 25는 통화시 사용자와 전화기를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다이얼버튼부 21은 다이얼을 위한 버튼들(0∼9,#,*)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통화요구에 따른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이와 달리 기능버튼부 22∼24는 통화시 사용자가 각종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각종 기능들이 설정되어 있는 다수의 버튼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표시부 25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및 LCD(Liquid Crystal Diode)로 구성되어 통화시 처리되는 각종 상태를 표시하여 준다.The dial button portion 21, the function button portions 22 to 24 and the display portion 25 serve to interface the user and the telephone during a call. The dial button portion 21 is a button (0 to 9, #, *) for dialing It is configured to enter the 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user's call request. Unlike this, the function buttons 22 to 24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in which various functions are set for the user to obtain various conveniences during the call. In contrast, the display unit 25 is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 liquid crystal diode (LCD) to display various states processed during a call.

송수화기 10은 스위칭부 34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 8에 접속되며 훅크오프될 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 8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음성신호처리부 8에 의해 처리될 음성신호의 외부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The handset 10 is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through a switching unit 34, and when hooked off, outputs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to the outside or an external input of a voice signal to be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To make it possible.

스피커 27과, 마이크 28로 구성되는 스피커폰은 스위칭부 34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 8에 또한 접속되며, 스피커폰 통화모드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 8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음성신호처리부 8에 의해 처리될 음성신호의 외부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는 사용자가 기능버튼부상에 설치된 "스피커폰"버튼을 누르는 경우 제어부 6이 이를 감지하여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스피커폰 통화모드란 음성신호처리부 8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 또는 처리될 음성신호를 송수화기 10을 통해 입출력되도록 하는 대신에 스피커폰 27,28을 통해 입출력되도록 제어부 6이 스위칭부 34를 제어하는 동작을 말한다.A speakerphone composed of a speaker 27 and a microphone 28 is also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through a switching unit 34,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to the outside or the voice signal processor in a speaker phone call mode. Enables external input of the audio signal to be processed by 8. The speakerphone call mode is set by the control unit 6 when the user presses the "speaker phone" button installed on the function button unit. Herein, the speakerphone call mode refers to an operation in which the controller 6 controls the switching unit 34 to input and output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or the voice signal to be processed through the handset 10 instead of the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phones 27 and 28. .

본 고안에 따른 특징적인 요소인 이어폰 30 또는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32는 잭 29에 연결되는 경우 스위칭부 34를 통해 음성신호처리부 8에 접속되게 된다. 여기서 이어폰 30이 잭 29에 연결된 경우에는 음성신호처리부 8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상대방의 음성)는 이어폰 30으로 출력되며, 음성신호처리부 8에 의해 처리될 음성신호(사용자의 음성)은 스피커폰의 마이크 28을 통해서 입력된다. 이와 달리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32가 잭 29에 연결된 경우에는 음성신호처리부 8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상대방의 음성)는 상기 이어폰 32로 출력되며, 음성신호처리부 8에 의해 처리될 음성신호(사용자의 음성)은 상기 이어폰 32의 마이크 또는 스피커폰의 마이크 28을 통해서 입력된다. 이러한 동작은 이어폰 30 또는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32가 잭 29에 장착됨을 제어부 6이 감지한 후 그 감지결과에 따라 스위칭부 34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The earphone 30 or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32 which is a characterist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through the switching unit 34 when connected to the jack 29. Here, when the earphone 30 is connected to the jack 29,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is output to the earphone 30, and the voice signal (user's voice) to be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It is input through microphone 28. In contrast, when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32 is connected to the jack 29,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is output to the earphone 32, and the voice signal to be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8 (user's voice). )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earphone 32 or the microphone 28 of the speakerphone. This operation is possible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34 after the control unit 6 detects that the earphone 30 or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32 is mounted on the jack 2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피커폰 통화모드를 설정하여 핸즈프리 통화를 행할 시 이어폰을 이용함으로써 상대방의 통화내용에 따른 음성이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핸즈프리 통화시 통화내용이 유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수화기를 혹크오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outflow of voic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all of the other party by using the earphone when the hands-free call is made by setting the speakerphone call mod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hassle of having to dock the handset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ntents during the hands-free call.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은 유무선 자동응답 전화기에 적용되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핸즈프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스피커폰이 채용된 전화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pplied to a wired or wireless answering machine. The same applies to any telephone employing a speakerphone that enables hands-free calling.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s described below and equivalent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Claims (10)

전화기에 있어서,In the phone, 외부 전화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전화라인을 통한 상대방과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수신하거나 소정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전화라인으로 전달하는 통화부와,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telephone line to enabl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telephone line and to receive a voice signal from the telephone line or to transmit a predetermined authorized voice signal to the telephone line; 상기 통화부에 의한 통화동작시 처리되는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처리하거나 처리된 음성신호를 상기 통화부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A voice signal processor for inputting and processing a voice signal processed during a call operation by the call unit or outputting the processed voice signal to the call unit;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접속되며 훅크오프될 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될 음성신호의 외부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화기와,A handset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to the outside when hooked off or enabling external input of a voice signal to be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또한 접속되며 스피커폰 동작모드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될 음성신호의 외부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스피커폰과,A speakerphone which is also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which outputs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to the outside or enables external input of a voice signal to be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in a speaker phone operation mode;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에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어폰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And a earphone which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at least an earphon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to the outside when connected in the speakerphone call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와 상기 송수화기의 사이 및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와 상기 스피커폰의 사이에 접속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송수화기가 훅크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송수화기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스피커폰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접속되도록 하는 스위칭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andset is connected between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the handset, and between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the speakerphone, and when the handset is hooked off by a user.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for allowing the speakerphone to be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in the speakerphone call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는 상기 전화기의 외부에 설치된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The telephone s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peakerphone call mode is set by pressing a button installed outside the telephone set by a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의 출력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을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접속시키는 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The telephone set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jack provided at an output end of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connecting the earphone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이 상기 잭에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가 상기 스피커폰으로 전달됨을 차단시키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The telephone set as claimed in claim 4, wherein the switching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block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peaker phone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jack. 전화기에 있어서,In the phone, 외부 전화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전화라인을 통한 상대방과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수신하거나 소정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전화라인으로 전달하는 통화부와,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telephone line to enabl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telephone line and to receive a voice signal from the telephone line or to transmit a predetermined authorized voice signal to the telephone line; 상기 통화부에 의한 통화동작시 처리되는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처리하거나 처리된 음성신호를 상기 통화부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A voice signal processor for inputting and processing a voice signal processed during a call operation by the call unit or outputting the processed voice signal to the call unit;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접속되며 훅크오프될 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될 음성신호의 외부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화기와,A handset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to the outside when hooked off or enabling external input of a voice signal to be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또한 접속되며 스피커폰 동작모드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될 음성신호의 외부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스피커폰과,A speakerphone which is also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which outputs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to the outside or enables external input of a voice signal to be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in a speaker phone operation mode;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에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어폰과,An earphone which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nd outputs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to the outside when connected in the speakerphone call mode; 상기 이어폰에 일체화되어 구조되며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에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될 음성신호의 외부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And a microphone integrated with the earphone and configured to enable external input of a voice signal to be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when connected in the speakerphone call m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와 상기 송수화기의 사이 및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와 상기 스피커폰의 사이에 접속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송수화기가 훅크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송수화기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스피커폰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접속되도록 하는 스위칭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andset is connected between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the handset and between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the speakerphone, and the handset is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when the handset is hooked off by a user.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for allowing the speakerphone to be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in the speakerphone call mo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는 상기 전화기의 외부에 설치된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The telephone se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peakerphone call mode is set by pressing a button installed outside the telephone set by a us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의 출력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을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접속시키는 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The telephone set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jack provided at an output end of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connecting the earphone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이 상기 잭에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가 상기 스피커폰으로 전달됨을 차단시키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The telephone set as claimed in claim 9, wherein the switching controller further performs an operation of blocking transmission of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to the speakerphone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jack.
KR2019970040379U 1997-12-24 1997-12-24 Hands-free phone to prevent leakage of call details KR1999002777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379U KR19990027779U (en) 1997-12-24 1997-12-24 Hands-free phone to prevent leakage of call detai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379U KR19990027779U (en) 1997-12-24 1997-12-24 Hands-free phone to prevent leakage of call detai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779U true KR19990027779U (en) 1999-07-15

Family

ID=6969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379U KR19990027779U (en) 1997-12-24 1997-12-24 Hands-free phone to prevent leakage of call detai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77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537B1 (en) * 2001-10-29 2004-01-03 우민환 hands fre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537B1 (en) * 2001-10-29 2004-01-03 우민환 hands fre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16978A (en) Transmitter-receiver
WO2000065803A8 (en) A device for controlling a cellular telephone
KR2001001054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iving voice level in portabl telephone and method therefor
KR19990027779U (en) Hands-free phone to prevent leakage of call details
KR20010017204A (en) Method for tone signal level control in a mobile phone
KR100669613B1 (en) Earphone for call control in a mobile station
KR1002417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larging function in telephone having wire and wireless talk function
KR19990074831A (en) Method of Generation of Wireless Handset Call Ring by Caller in Integrated Telephone Network
KR100754642B1 (en) Speaker phone apparatus and method in digital telephone
JPH0429458A (en) Facsimile with cordless telephone set
KR200190072Y1 (en) Telephone for confirming message
KR100189251B1 (en) Wireless telephone calling method
KR20050036400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multi caller conversation
KR20030018952A (en) Code phone set for combin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90597Y1 (en) Telephone
JP2590458Y2 (en) Cordless telephone
KR20010053810A (en) Method for limiting telephone conversation of radio earphone in mobile phone with multi-telephone conversation function using a number of radio earphone
JP2004147266A (en) Bluetooth adapter for telephone set
KR200256979Y1 (en) 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
JPH0319554A (en) Key telephone system
JPH0515556U (en) Cordless phone
KR19990040510A (en) Curl cordless telephon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JP2007096784A (en) Open office system by key telephone set
KR20030044240A (en) Method for connecting a call using hook button of hands-free device in mobile phone
KR20070066383A (en) Method for handling a call on hold in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