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576U - Safety handle installed on subsidiary seat of bus - Google Patents

Safety handle installed on subsidiary seat of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576U
KR19990027576U KR2019970040170U KR19970040170U KR19990027576U KR 19990027576 U KR19990027576 U KR 19990027576U KR 2019970040170 U KR2019970040170 U KR 2019970040170U KR 19970040170 U KR19970040170 U KR 19970040170U KR 19990027576 U KR19990027576 U KR 199900275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us
seat cushion
safety handl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1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0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576U/en
Publication of KR199900275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576U/en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보조시트에 설치된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버스 출입문 일측의 필러(21)에 체결 고정되는 브라켓(22)이 설치된 등받이부(20)와, 상기 등받이부(20)와 고정축(3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시트쿠션(30)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40)이 설치된 시트쿠션(30)으로 구성된 보조시트(10)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10)의 시트 프레임(40)에 안전 손잡이(70)를 설치하되, 상기 안전 손잡이(70)는, 상기 시트 프레임(40) 양측에 설치된 절곡부(71)와, 상기 절곡부(7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72)로 구성된 보조시트에 설치된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여 승객들의 안전한 승. 하차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handle installed in the auxiliary seat of the bus, and in detail, the backrest portion 20 is installed with the bracket 22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ller 21 on one side of the bus door, and fixed with the backrest portion 20 In the auxiliary sheet (10) consisting of a seat cushion (30) installed rotatably as a shaft (31) and having a seat frame (40) supporting the seat cushion (30) at the bottom, the seat of the auxiliary sheet (10). The safety handle 70 is installed in the frame 40, but the safety handle 70 is formed by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bent portion 71 and the bent portion 7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40. Passenger's safe ride by providing a safety handle installed in the auxiliary seat consisting of branches (72). The effect of getting off is provided.

Description

버스의 보조시트에 설치된 안전 손잡이Safety handle installed on subsidiary seat of bus

본 고안은 버스의 출입문 일측의 필러상에 설치되는 보조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보조시트 시트쿠션 하부의 시트 프레임에 안전 손잡이를 설치하여 승객들의 승하차가 용이한 버스의 보조시트에 설치된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seat installed on the filler of one side of the bus door, and more particularly, a safety handle is installed on the seat frame under the auxiliary seat seat cushion so that passengers can easily get on and off the bus seat. It's about the handle.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시트에 앉지 못한 승객을 위하여 보조시트를 설치하게 되는 데, 이 보조시트는 버스 실내의 좁은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여 운전석의 우측의 플로어 패널이나 출입문측의 필러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보조시트는 승객들의 승. 하차시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트쿠션을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여 보조시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항상 접은 상태로 보관하게 됨으로써 버스 실내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어 공간활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In general, an auxiliary seat is installed on a bus for passengers who cannot sit on the seat. The auxiliary seat is installed on the floor panel on the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or the filler on the door side by making the best use of a narrow space inside the bus. And this auxiliary sheet is the passenger's win. Seat cushions are foldable to prevent obstructions when getting off, and when the auxiliary seats are not in use, they are always stored in a folded state, so they take up less space in the bus and can utilize the space.

이러한 종래 보조시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버스의 보조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a)(b)는 종래 버스 보조시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시트(100)는 버스 출입문 일측의 필러(210)에 체결 고정되는 브라켓(220)이 설치된 등받이부(200)와, 상기 등받이부(200)와 고정축(310)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쿠션(300)으로 구성된다.This conventional auxiliary she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eat of the conventional bus is installed, Figure 2 (a) (b)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ventional bus auxiliary sheet.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auxiliary seat 100 is fixed to the backrest 200 and the backrest 200 is installed, the bracket 22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ller 210 of one side of the bus door. The seat cushion 300 is rotatably installed as the shaft 310.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300) 하부에 시트쿠션(300)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400)을 설치하고, 상기 시트 프레임(400) 양측에 고정편(420)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편(420)에 삽입공(410)을 형성하여 고정축(310)을 축설시켜 시트쿠션(300)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고정편(420)과 등받이부(200) 상부 사이에 에어댐퍼(600)를 설치하여 시트쿠션(30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420) 일측이 걸리게 되는 스토퍼(500)를 등받이부(200) 양측에 설치하여 시트쿠션(300)이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스토핑시키게 된다.In addition, a seat frame 400 supporting the seat cushion 300 is installed below the seat cushion 300, and the fixing piece 420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400, and the fixing piece ( The insertion hole 410 is formed in the 420 and the fixed shaft 310 is laid out to install the seat cushion 300 in a rotatable manner. An air damper 600 is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iece 420 and the upper back portion 200 to support the seat cushion 300. In addition, the stopper 500, which is caught by one side of the fixing piece 42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part 200 to stop the seat cushion 300 from rotating downwar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보조시트(100)는, 도 2(a)에서와 같이 버스 출입문 일측의 필러(210)에 등받이부(200)의 브라켓(220)으로써 고정 설치된 보조시트(100)에 승객용 좌석에 앉지 못하는 승객이 앉기 위해서는,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300)를 하방으로 누르고 승객들이 시트쿠션(300)에 앉으면, 승객의 자체 중량에 의해 등받이부(200)와 고정축(310)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쿠션(300)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auxiliary seat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assenger seat on the auxiliary seat 100 fixedly installed as a bracket 220 of the backrest part 200 on the filler 210 of one side of the bus door as shown in FIG. In order to sit on the passenger seat, the seat cushion 300 of the auxiliary seat 100 is pressed downward, and when the passengers sit on the seat cushion 300,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fixed shaft 310 by the passenger's own weight As a result, the seat cushion 300 rotatably installed is rotated downward.

이때, 시트 프레임(4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공(410)으로써 고정축(310)에 삽입 고정된 고정편(42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동시에 고정편(420)과 등받이부(200) 상부 사이에 설치된 에어 댐퍼(600)가 동작되어 시트쿠션(300)을 지지하게 되고 고정편(420) 일측이 등받이부(200)에 설치된 스토퍼(500)에 걸리게 되어 시트쿠션(300)이 하방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승객이 편안하게 시트쿠션(300)에 앉을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xed piece 4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at frame 400 and inserted into the fixed shaft 310 by the insertion hole 41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fixed piece 420 and the backrest 200 ) The air damper 60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art is operated to support the seat cushion 300, and one side of the fixing piece 420 is caught by the stopper 500 installed at the backrest part 200 so that the seat cushion 300 is downward. As it is no longer rotated, the passenger can sit comfortably on the seat cushion 300.

한편, 승객들이 하차 하기 위해서 시트쿠션(300)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등받이부(200)와 고정축(310)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쿠션(300)이 상방으로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동시에 시트 프레임(4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공(410)으로써 고정축(310) 외경에 고정 삽입된 고정편(4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동시에 고정편(420)과 등받이부(200) 상부 사이에 설치된 에어 댐퍼(600)가 동작되어 시트쿠션(300)을 지지하게 되고 고정편(420) 일측이 등받이부(200)에 설치된 스토퍼(500)로부터 이탈하게 됨으로써 필러(210)에 고정된 등받이부(200)에 시트쿠션(300)이 완전히 절첩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ssengers rotate the seat cushion 300 upward to get off, the seat cushion 300 installed to be rotatable by the backrest 200 and the fixed shaft 310 is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shaft 310 The fixing piece 420 rotated upward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at frame 400 and fixedly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ed shaft 310 by the insertion hole 410 while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 And the air damper 60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ack part 200 is operated to support the seat cushion 300, and one side of the fixing piece 420 is separated from the stopper 500 installed on the back part 200. The seat cushion 300 is completely folded into the backrest 200 fixed to the filler 210.

이때, 상기 시트쿠션(300)은, 양측의 에어 댐퍼(600)의 지지력으로써 하방으로 회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at cushion 300 is not rotated downward by the support force of the air damper 600 on both sides.

그러나, 이와 같은 버스 보조시트에는 승객들의 승. 하차시에 파지할 수 있는 별도의 안전 손잡이가 설치되지 못하여 승객들의 승. 하차시 보조시트의 등받이부나 시트쿠션을 파지하여 승객들이 승. 하차 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se bus seats do not carry passengers. Passengers will not be able to install a separate safety handle that can be held when getting off. Passengers win by holding the backrest or seat cushion of the auxiliary seat when getting off.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get off.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버스 보조시트 시트쿠션 하부의 시트 프레임에 안전 손잡이를 설치하여 승객들의 승. 하차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afety handle on the seat frame of the bus seat seat cushion lower passengers. You can safely get off.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 출입문의 필러에 체결 고정되는 브라켓이 설치된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와 고정축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이 설치된 시트쿠션으로 구성된 보조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의 시트 프레임에 안전 손잡이를 설치하되,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시트 프레임 양측에 설치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로 구성되어 달성된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 cushion provided with a backrest portion having a bracket fastened and fixed to the pillar of the bus door, and a seat frame installed rotatably by a fixed shaft with the backrest portion and supporting a seat cushion at the bottom thereof. In the auxiliary sheet configured, the safety handle is installed on the seat frame of the auxiliary sheet, the safety handle is achieved by consisting of a bent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and a gripp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bent portion.

도 1은 종래 버스의 보조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heet of the conventional bus is installed.

도 2(a)(b)는 종래 버스 보조시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2 (a) (b)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ventional bus auxiliary sheet.

도 3은 본 고안 버스의 보조시트에 안전 손잡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handle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seat of the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버스의 보조시트에 안전 손잡이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handle installed on the auxiliary seat of the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b)는 본 고안 버스 보조시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5 (a) (b)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us auxiliary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보조시트 30 : 시트쿠션10: auxiliary sheet 30: seat cushion

40 : 시트 프레임 60 : 안전 손잡이40: seat frame 60: safety handle

61 : 절곡부 62 : 파지부61: bending portion 62: gripping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버스의 보조시트에 안전 손잡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버스 보조시트에 안전 손잡이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a)(b)는 본 고안 버스 보조시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보조시트(10)는 버스 출입문 일측의 필러(21)에 체결 고정되는 브라켓(22)이 설치된 등받이부(20)와, 상기 등받이부(20)와 고정축(3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쿠션(30)으로 구성된다.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handle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seat of the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of the safety handle is installed on the bus auxiliary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b) is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s auxiliary sheet. 3 to 5, the auxiliary sea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ckrest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bracket 22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ller 21 on one side of the bus door, and the backrest portion 20 And a seat cushion 30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fixed shaft 31.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30) 하부에 시트쿠션(30)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40)을 설치하고, 상기 시트 프레임(40) 양측에 고정편(42)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편(42)에 삽입공(41)을 관통 형성하여 고정축(31)을 축설시켜 시트쿠션(30)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고정편(42)과 등받이부(20) 상부 사이에 에어댐퍼(60)를 설치하여 시트쿠션(3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42) 일측이 걸리게 되는 스토퍼(50)를 등받이부(20) 양측에 설치하여 시트쿠션(30)이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스토핑시키게 된다.In addition, a seat frame 40 supporting the seat cushion 30 is installed below the seat cushion 30, and the fixing piece 42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40, and the fixing piece ( The insertion hole 41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42, and the fixed shaft 31 is laid out to install the seat cushion 30 in a rotatable manner. An air damper 60 is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iece 42 and the upper back 20 to support the seat cushion 30. In addition, the stopper 50, which is caught by one side of the fixing piece 42,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20 to stop the seat cushion 30 being rotated downward.

한편, 상기 시트 프레임(40)에 경사지게 안전 손잡이(70)를 설치하되, 상기 안전 손잡이(70)는, 상기 시트 프레임(40) 양측에 설치되는 절곡부(71)와, 상기 절곡부(7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72)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safety handle 7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o the seat frame 40, and the safety handle 70 includes a bent portion 71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40, and the bent portion 71. It consists of a holding part 72 integrally formed betwee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5(a)에서와 같이 버스 출입문 일측의 필러(21)에 등받이부(20)의 브라켓(22)으로써 고정 설치된 보조시트(10)에 승객용 좌석에 앉지못하는 승객이 앉기 위해서는, 보조시트(10)의 시트쿠션(30)를 하방으로 누르고 승객들이 시트쿠션(30)에 앉으면, 승객의 자체 중량에 의해 등받이부(20)와 고정축(3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쿠션(30)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a) of Figure 5 (a) passenger seats on the auxiliary seat 10 fixed to the bracket 21 of the backrest portion 20 to the filler 21 on one side of the bus door. In order to sit on the seat cushion 30, the seat cushion 30 of the auxiliary seat 10 is pressed downward, and when the passengers sit on the seat cushion 30, the backrest 20 and the fixed shaft 31 are separated by the weight of the passenger. As a result, the seat cushion 30 rotatably installed is rotated downward.

이때, 시트 프레임(40)과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공(41)으로써 고정축(31) 외경에 고정 삽입된 고정편(42)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동시에 고정편(42)과 등받이부(20) 상부 사이에 설치된 에어 댐퍼(60)가 동작되어 시트쿠션(30)을 지지하게 되고 고정편(42) 일측이 등받이부(20)에 설치된 스토퍼(50)에 걸리게 되어 시트쿠션(30)이 하방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승객이 편안하게 시트쿠션(30)에 앉을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xing piece 42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at frame 40 and fixedly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shaft 31 by the insertion hole 4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fixing piece 42 and the backrest portion ( 20) the air damper 6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art is operated to support the seat cushion 30, and one side of the fixing piece 42 is caught by the stopper 50 installed on the backrest part 20 so that the seat cushion 30 is By being no longer rotated downward, the passenger can sit comfortably in the seat cushion 30.

한편, 승객들이 하차 하기 위해서 시트쿠션(30)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등받이부(20)와 고정축(3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쿠션(30)이 상방으로 고정축(31)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동시에 시트 프레임(40)과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공(41) 내경에 고정축(31)이 삽입된 고정편(4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동시에 고정편(42)과 등받이부(20) 상부 사이에 설치된 에어 댐퍼(60)가 동작되어 시트쿠션(30)을 지지하게 되고 고정편(42) 일측이 등받이부(20)에 설치된 스토퍼(50)로 이탈하게 됨으로써 필러(21)에 고정된 등받이부(20)에 시트쿠션(30)이 완전히 절첩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ssengers rotate the seat cushion 30 upward to get off, the seat cushion 30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backrest 20 and the fixed shaft 31 is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shaft 31. The fixing piece 42 which is rotated upward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at frame 40 and whose fixing shaft 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1 inner diameter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piece 42. The air damper 6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ack and the upper back 20 is operated to support the seat cushion 30, and one side of the fixing piece 42 is separated from the stopper 50 installed in the back 20 so that the filler Seat cushion 30 is completely folded to the backrest 20 fixed to (21).

이때, 상기 시트쿠션(30)은, 양측의 에어 댐퍼(60)의 지지력으로써 하방으로 회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at cushion 30 is not rotated downward by the support force of the air damper 60 on both sides.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쿠션(30) 하부의 시트 프레임(40)에 절곡부(61)로써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안전 손잡이(70)의 파지부(72)를 승. 하차하는 승객들이 파지하게 됨으로써 안전한 승. 하차를 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grip portion 72 of the safety handle 70 install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s the bent portion 61 is seated on the seat frame 40 under the seat cushion 30. Passengers who are getting off hold a safe ride. You will get off.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은, 버스 출입문 필러에 등받이부의 브라켓으로써 고정 설치된 보조시트의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에 안전 손잡이를 설치하여 승객들이 승. 하차시 안전하게 파지하게 됨으로써 승. 하차를 안전하게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assengers win by installing a safety handle on the seat frame for supporting the seat cushion of the auxiliary seat fixedly installed as a bracket of the back door to the bus door filler. Win by being safe when you get off. The effect of securing the disembarkation is provided.

Claims (1)

버스 출입문 일측의 필러(21)에 체결 고정되는 브라켓(22)이 설치된 등받이부(20)와, 상기 등받이부(20)와 고정축(3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시트쿠션(30)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40)이 설치된 시트쿠션(30)으로 구성된 보조시트(10)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10)의 시트 프레임(40)에 안전 손잡이(70)를 설치하되, 상기 안전 손잡이(70)는, 상기 시트 프레임(40) 양측에 고정 설치된 절곡부(71)와, 상기 절곡부(7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7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보조시트에 설치된 안전 손잡이.The backrest part 20 is provided with a bracket 22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pillar 21 at one side of the bus door, and the seatback part 3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by the backrest part 20 and the fixed shaft 31. In the auxiliary seat 10 consisting of a seat cushion 30 is installed seat frame 40 for supporting the, the safety handle 70 is installed on the seat frame 40 of the auxiliary sheet 10, the safety handle 70 is provided on the auxiliary sheet of the b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71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40 and the holding portion 72 formed integrally between the bent portion 71 Safety handle.
KR2019970040170U 1997-12-24 1997-12-24 Safety handle installed on subsidiary seat of bus KR1999002757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170U KR19990027576U (en) 1997-12-24 1997-12-24 Safety handle installed on subsidiary seat of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170U KR19990027576U (en) 1997-12-24 1997-12-24 Safety handle installed on subsidiary seat of b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576U true KR19990027576U (en) 1999-07-15

Family

ID=6967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170U KR19990027576U (en) 1997-12-24 1997-12-24 Safety handle installed on subsidiary seat of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57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13867A (en) Vehicular seat folding apparatus
KR19990027576U (en) Safety handle installed on subsidiary seat of bus
KR20220161722A (en) Door trim for vehicle equipped with arm rest
JP3537676B2 (en) Vehicle seat
KR101991726B1 (en) Folding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 in public transportation
KR0135006Y1 (en) Child seat covered with instrument panel of a car
KR100287375B1 (en) Arm rest mounting structure for rear seat of vehicle
KR19990043267A (en) Safety handle installation structure for rear passenger of city bus
KR0135140Y1 (en) Seat grip for a bus
KR100401741B1 (en) Extensible apparatus of seat-cusion for automobile
KR19980015113U (en) Folding seat for van
KR200194664Y1 (en) constructing arm rest for rear seat of vehicles
KR19980024167U (en) Footrest
KR0139650Y1 (en) Foot rest structure for a car
KR200229256Y1 (en) Seat for the car
KR0166546B1 (en) Coin box in the rear seat for a vehicle
KR200160279Y1 (en) Seat convertable to a partition
JPS6318262Y2 (en)
JPH0211219Y2 (en)
JP2004034787A (en) Multiple seat for plurality of persons of vehicle
KR20070004299A (en) A folding chair of automobile
KR19980024296U (en) Car scaffolding structure
KR980008738A (en) A vehicle front seat having an auxiliary seat
KR19980024153U (en) Car seats forming a foldable backrest
KR20050032393A (en) Car seat with arm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