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285A - Restart device of car - Google Patents

Restart device of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285A
KR19990027285A KR1019970049720A KR19970049720A KR19990027285A KR 19990027285 A KR19990027285 A KR 19990027285A KR 1019970049720 A KR1019970049720 A KR 1019970049720A KR 19970049720 A KR19970049720 A KR 19970049720A KR 19990027285 A KR19990027285 A KR 1999002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ing
ignition switch
switched
starting motor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광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285A/en
Publication of KR1999002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285A/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점화스위치가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되더라도 시동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restart of a vehicle such that the starting motor is not driven even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on to the starting position while the vehicle is started.

본 발명은 점화스위치(10)가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되어 엔진이 회전하기 시작함에 따라서 알터네이터(40)가 소정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출력하기 시작한 후에, 운전자가 부주의하여 재시동을 걸어 점화스위치(40)를 예비 위치에서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시키면 콘트롤러(50)가 시동모터(30)로 인가되는 전류를 바이패스시켜 이 시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lternator 40 starts outputting a predetermined battery charge current as the ignition switch 10 is switched on to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gine starts to rotate, the driver inadvertently restarts the ignition switch 40. When switching on from the preliminary position to the starting position, the controller 50 bypasses the current applied to the starting motor 30 so that the starting motor 30 is not driven.

Description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 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starting of a car)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starting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에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점화스위치가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되더라도 시동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t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start prevention device for a vehicle such that the starting motor is not driven even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on in the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start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동모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점화스위치(10)를 시동 위치(I/G)로 스위치 온시키고, 이에 따라서 시동솔레노이드(20)가 스위치 온되어 구동전압을 시동모터(30)로 인가시키면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점화스위치(10)는 운전자가 자동차 키를 시동 위치로 밀었다 놓으면 자동으로 예비 위치(ACC)로 옮겨지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2, the driver starts the ignition switch 10 to the starting position (I / G) as shown in FIG. 2, and thus, the starting solenoid 20 is switched on to start the driving voltage. When applied to the motor 30 to drive, the ignition switch 10 is to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preliminary position (ACC) when the driver pushes the car key to the starting position.

하지만, 운전자가 상기 점화스위치(10)를 엔진이 시동된 후에도 계속해서 장시간 동안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시키게 되거나 점화스위치(10)를 예비 위치로 스위치 온시켜 놓고서도 부주의하여 다시 점화스위치(10)를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시키는 실수를 하게 되면 상기 시동모터(30)가 오버러닝(Overrunning)되어, 이 시동모터(30)의 전기자나 베어링 등이 파손되거나 심하게 마모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수가 있다.However, even if the driver continues to switch on the ignition switch 10 to the start position for a long time even after the engine is started or inadvertently turns the ignition switch 10 back on even when the ignition switch 10 is switched on in the reserve position. If a mistake is made to switch on the starting position, the starting motor 30 may be overrunning, and the armature or bearing of the starting motor 30 may be damaged or badly worn, making it impossible to use.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동차에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점화스위치가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되면 시동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므로써 시동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restarting of the vehicle so that the starting motor is not driven by cutting off the current applied to the starting motor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on to the starting position while the vehicle is started. The object is to provide a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점화스위치가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되면 같이 스위치 온되는 시동솔레노이드와; 이 시동솔레노이드가 스위치 온되면 엔진을 크랭킹시키는 시동모터; 이 시동모터에 의해 엔진이 크랭킹된 후부터 구동하여 소정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출력하는 알터네이터 및; 이 알터네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전류가 입력될 때 상기 점화스위치가 시동 위치로 되면 상기 시동솔레노이드와 시동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바이패스시켜 시동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art-up solenoid is switched on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on to the starting position; A starting motor for cranking the engine when the starting solenoid is switched on; An alternator for driving the engine after being cranked by the starting motor to output a predetermined battery charging current; And a controller for bypass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starting solenoid and the starting motor when the ignition switch is in the starting position when a predetermined current outputted from the alternator is input.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점화스위치가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되어 엔진이 회전하기 시작함에 따라서 상기 알터네이터가 소정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출력하기 시작한 후에, 즉 엔진이 시동된 후에 운전자가 부주의하여 재시동을 걸어 점화스위치를 예비 위치에서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시키면,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시동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시동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한다.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advertently operated by the driver after the alternator starts outputting a predetermined battery charge current as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on to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gine starts to rotate.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on from the preliminary position to the starting position by restarting, the controller bypasses the current applied to the starting motor so that the starting motor is not driv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star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자동차의 시동모터 구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rter motor driv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점화스위치 20: 시동솔레노이드10: ignition switch 20: starting solenoid

30: 시동모터 40: 알터네이터30: starting motor 40: alternator

50: 콘트롤러50: contro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star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점화스위치(10)가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되면 같이 스위치 온되는 시동솔레노이드(20)와; 이 시동솔레노이드(20)가 스위치 온되면 엔진을 크랭킹시키는 시동모터(30); 이 시동모터(30)에 의해 엔진이 크랭킹된 후부터 구동하여 소정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출력하는 알터네이터(40) 및; 이 알터네이터(4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전류가 입력될 때 상기 점화스위치(10)가 시동 위치로 되면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와 시동모터(30)로 인가되는 전류를 바이패스시켜 시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콘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rting solenoid 20 which is switched on when the ignition switch 10 is switched on to a starting position; A starting motor 30 for cranking the engine when the starting solenoid 20 is switched on; An alternator 40 for driving after the engine is cranked by the starting motor 30 to output a predetermined battery charging current; When a predetermined current output from the alternator 40 is input, when the ignition switch 10 is brought into the starting position, the current applied to the starting solenoid 20 and the starting motor 30 is bypassed to start the starting motor 30. )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ler 40 to prevent the driv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상기 콘트롤러(50)는 상기 알터네이터(50)가 작동하여 배터리로 소정의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50)는 상기 알터네이터(50)로부터 배터리로 공급되는 소정의 충전 전류를 감지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재시동을 걸면 상기 점화스위치(10)의 시동 위치단자를 통해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로 인가되는 소정의 구동 전류를 상기 알터네이터(40)로 바이패스시키며, 반대로 소정의 충전 전류를 감지하지 않았을 때는 상기 점화스위치(10)의 시동 위치단자를 통해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로 인가되는 소정의 구동 전류를 상기 알터네이터(40)로 바이패스시키지 않는다.The controller 50 is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alternator 50 operates to supply a predetermined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 starts the solenoid 20 through the start position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0 when the driver restarts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charging current supplied from the alternator 50 is supplied to the battery. Bypassing a predetermined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alternator 40, on the contrary, when a predetermined charging current is not detected, the predetermined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starting solenoid 20 through the starting position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0 Do not bypass the drive current of the alternator 40.

만약, 운전자가 주행을 하기 위해 상기 점화스위치(10)를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하면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가 스위치 온되어 상기 시동모터(30)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서 엔진이 크랭킹되면 이때부터 상기 알터네이터(40)는 소정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알터네이터(40)로부터 배터리 충전 전류가 출력되면, 이때부터 상기 콘트롤러(50)는 상기 점화스위치(10)의 시동 위치단자를 통해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로 소정의 구동 전류가 인가되는가를 판별한다.If the driver switches on the ignition switch 10 to the starting position to drive, the starting solenoid 20 is switched on to drive the starting motor 30. Accordingly, when the engine is cranked, The alternator 40 outputs a predetermined battery charging current. As such, when the battery charging current is output from the alternator 40, does the controller 50 apply a predetermined driving current to the starting solenoid 20 through the starting position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0 from this time? Determine.

상기와 같이 최초에 엔진이 시동된 후 상기 점화스위치(10)가 예비 위치로 옮겨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이 꺼진 것으로 착각하거나 부주의하여 상기 점화스위치(10)를 다시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하게 되면, 상기 점화스위치(10)의 시동 위치단자를 통해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로 소정의 구동 전류가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러(50)가 상기 점화스위치(10)의 시동 위치단자를 통해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로 소정의 구동 전류가 인가됨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점화스위치(10)의 시동 위치단자를 통해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로 인가되던 소정의 구동 전류가 모두 상기 콘트롤러(50)를 통해 상기 알터네이터(40)로 바이패스되므로,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와 점화스위치(10)의 시동 위치단자 사이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결국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로부터 상기 시동모터(30)로는 구동 전원이 인가되지 못한다.When the ignition switch 10 is moved to the preliminary position after the engine is initially star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r thinks that the ignition is turned off or inadvertently switches on the ignition switch 10 to the starting position again, the A predetermined driv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starting solenoid 20 through the starting position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0. Accordingly, the controller 50 detects that a predetermined driv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starting solenoid 20 through the starting position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0. In this case, the starting position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0 is detected. Since all of the predetermined driving current applied to the starting solenoid 20 through the controller 50 is bypassed to the alternator 40, the starting position terminal of the starting solenoid 20 and the ignition switch 10. No current flows between them, and thus driving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starting solenoid 20 to the starting motor 30.

즉, 본 발명은 운전자가 주행중에 실수로 상기 점화스위치(10)를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시키더라도 시동중에는 상기 시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으며, 반드시 상기 점화스위치(10)를 오프시키고 나서 재시동을 걸어야만 상기 시동모터(30)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driver accidentally switches on the ignition switch 10 to the starting position while driving, the starting motor 30 is not driven during starting, and it is always restarted after turning off the ignition switch 10. The starter motor 30 is driven only by walking.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자동차의 엔진이 시동되고 난 후에는 상기 점화스위치가 예비 위치에서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되더라도 상기 시동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면, 운전자가 부주의하여 시동이 걸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점화스위치를 예비 위치에서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하거나 늦게 점화스위치를 예비 위치로 스위치 온하였을 경우 상기 시동모터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star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on from the preliminary position to the starting position, if the starting motor is not driven, the driver may be inadvertently started. Nevertheless,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on from the preliminary position to the start position or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on to the preliminary position later, the starting motor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Claims (1)

점화스위치(10)가 시동 위치로 스위치 온되면 같이 스위치 온되는 시동솔레노이드(20)와;A starting solenoid 20 which is switched on together when the ignition switch 10 is switched on to a starting position; 이 시동솔레노이드(20)가 스위치 온되면 엔진을 크랭킹시키는 시동모터(30);A starting motor 30 for cranking the engine when the starting solenoid 20 is switched on; 이 시동모터(30)에 의해 엔진이 크랭킹된 후부터 구동하여 소정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출력하는 알터네이터(40) 및;An alternator 40 for driving after the engine is cranked by the starting motor 30 to output a predetermined battery charging current; 이 알터네이터(4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전류가 입력될 때 상기 점화스위치(10)가 시동 위치로 되면 상기 시동솔레노이드(20)와 시동모터(30)로 인가되는 전류를 바이패스시켜 시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콘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 장치.When a predetermined current output from the alternator 40 is input, when the ignition switch 10 is brought into the starting position, the current applied to the starting solenoid 20 and the starting motor 30 is bypassed to start the starting motor 30.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restart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40) to prevent driving.
KR1019970049720A 1997-09-29 1997-09-29 Restart device of car KR199900272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720A KR19990027285A (en) 1997-09-29 1997-09-29 Restart device of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720A KR19990027285A (en) 1997-09-29 1997-09-29 Restart device of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285A true KR19990027285A (en) 1999-04-15

Family

ID=6604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720A KR19990027285A (en) 1997-09-29 1997-09-29 Restart device of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28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617B2 (en) Engine starting assist system
JPH11190267A (en) Starter protection device
KR19990027285A (en) Restart device of car
JP4259467B2 (en) Engine start control device
KR200150244Y1 (en) Starting system for an engine
JP2006118481A (en) Engine start controller
KR19980038536U (en) Restart device of car
KR0133235B1 (en) Over charge prevention device of an automobile
KR19980056280A (en) Restart device of car
KR19980038537U (en) Restart device of car
KR0114130Y1 (en) Restarting prevention device for a vehicle
JPS6018626Y2 (en) Glow plug timer for diesel cars
JPH0946919A (en) Battery isolator
JP3261207B2 (en) After-idling equipment
KR20050007046A (en) System for preventing over-run in starter motor for automobile
JPS6123656Y2 (en)
KR10056930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for warning and preventing firing in starter motor for automobile
KR970027790A (en) Starting safety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KR200178370Y1 (en) Apparatus for power supply of a vehicle
KR0134318Y1 (en) Warning device of alternator trouble for automobiles
KR20030034475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run of starter motor for vehicle
JPH0723575Y2 (en) Starter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JPS63173848A (en) Engine starting device with decompression device
KR20190135761A (en) The stop-start system in micro hybrid vehicle and the dual battery coupler embedded in the system
KR960007752Y1 (en) Electric power circuit for starting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