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169A -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169A
KR19990027169A KR1019970049567A KR19970049567A KR19990027169A KR 19990027169 A KR19990027169 A KR 19990027169A KR 1019970049567 A KR1019970049567 A KR 1019970049567A KR 19970049567 A KR19970049567 A KR 19970049567A KR 19990027169 A KR19990027169 A KR 19990027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unit
power
current consumption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169A/ko
Publication of KR1999002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169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휴대 통신 장치의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 통신 장치에서 수신 불가능 지역에서 무선 송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류 소모를 줄인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대기 상태에서 휴대 통신 장치가 수신 감도를 측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통화 또는 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검출되면, 휴대 통신 장치의 무선 송수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원키가 입력되면 리셋되어 상기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 통신 장치가 통화 또는 수신이 불가능한 동안에 무선 송수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절감하여 배터리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통신 장치에서 수신 불가능한 동안 전원을 차단하여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통신 장치는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 휴대폰, 무선 호출기등이 있으며, 소형화를 위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므로 배터리의 전류 용량의 한계에 의해 사용 시간에 제한이 따른다.
종래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끄지 않으면, 배터리는 계속해서 휴대 통신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배터리의 전류 소모가 많아진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 통신 장치에서 송수신이 이루어지 않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배터리의 전류소모가 많으므로 배터리를 자주 교환하거나 자주 충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 휴대 통신 장치에서 일반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건전지를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통신 장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수신 불가능 상태인 경우 구동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무선 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전원이 일정 시간 이상 꺼져 있을 경우 휴대장치에서 통화 불가능하면 송수신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류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기 상태에서 휴대 통신 장치가 수신 감도를 측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통화 또는 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검출되면, 휴대 통신 장치의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원키가 입력되면 리셋되어 상기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전류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부100과 메모리110과 키입력부120과 표시부130과 전원부140과 무선송수신부150와 증폭부160과 출력증폭부170과 스피커171과 입력증폭부180과 마이크181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0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전화기 휴대장치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은 타이머를 내장하며, 시간 경과 여부를 카운팅할 수 있다. 메모리110은 휴대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입력부120은 숫자키와 다수의 기능키들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소정 키를 누르면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표시부130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전원부140은 배터리로 구현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휴대장치의 각 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무선송수신부150은 안테나를 통해 고정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부160으로 출력하고, 증폭부160로부터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증폭부160은 무선송수신부150으로부터 전송된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부100와 출력증폭부170으로 출력한다. 또한, 증폭부160은 제어부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와 마이크181을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무선송수신부150으로 출력한다. 출력증폭부170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무선송수신부150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71로 출력한다. 한편, 입력증폭부180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마이크18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부160을 통해 무선송수신부150으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전류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로서,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면 무선 송수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00은 대기상태(210단계)에서 고정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송신출력을 무선송수신부150을 통해 휴대장치의 수신감도를 측정한다. 22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측정한 수신감도로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통화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본 발명이 휴대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측정한 수신감도를 판단하여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이 무선 호출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측정한 수신감도에 의해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측정한 수신 감도로써 통화가 가능한 상태인 경우 23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휴대장치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140을 제어한다. 이와 달리, 상기 측정한 수신 감도로써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24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시간을 카운팅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25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전원부140을 제어하여 휴대장치의 각 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절약 모드(save mode)로 진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거리가 너무 먼 경우 또는 고정장치의 송신출력이 통화를 못할 정도로 약한 경우 이를 휴대장치의 수신감도로 감지하여 일정시간 동안 수신감도가 통화를 수행하지 못할 정도로 약한 경우 제어부100은 전원부140을 제어하여 휴대장치의 각동작부(예를 들면, 표시부130, 무선송수신부150, 증폭부160,170,18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휴대장치의 각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동안 26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으로부터 리셋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리셋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은 210단계부터의 제어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장치에서 통화 불가능한 수신감도의 약전계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제어부로만 전원을 공급하고, 나머지 동작부로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므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장치에서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장치에서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교환 횟수를 줄일 수 있어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전원이 일정 시간 이상 꺼져 있는 경우 또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거리가 너무 먼 경우 휴대장치에서는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호출기 또는 휴대폰인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지역에 일정 시간 이상 있는 경우 송수신부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통신 장치의 각 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통신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로 구성되는 휴대 통신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절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수신 감도를 측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통화 또는 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자신에게만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송수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리셋키가 입력되면 대기 상태로 다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 절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상태에서 통화 또는 수신이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작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 절감 방법.
  3.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 절감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검출하여 통화 가능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제1과정의 판단 결과에 의해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통화 불가능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구동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2과정과,
    소정 키의 입력에 의해 리셋되면, 제1과정을 되풀이하여 수행한 결과 통화 가능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전원을 다시 공급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방지하는 방법.
KR1019970049567A 1997-09-29 1997-09-29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KR19990027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567A KR19990027169A (ko) 1997-09-29 1997-09-29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567A KR19990027169A (ko) 1997-09-29 1997-09-29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169A true KR19990027169A (ko) 1999-04-15

Family

ID=6604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567A KR19990027169A (ko) 1997-09-29 1997-09-29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1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3765B2 (ja) 移動体通信端末
CA1285993C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KR100630077B1 (ko) 휴대폰의 전원을 이용한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충전장치 및 방법
KR20010053847A (ko)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중 배터리 교체 방법
KR960003268A (ko) 휴대폰 사용전원의 절전 장치
KR20010018527A (ko) 이동통신 무선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JP2000228647A (ja) 赤外線通信装置を備えた携帯電話装置
KR19990027169A (ko) 휴대 통신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
KR100238729B1 (ko) 양방향 통신기기에서 배터리 수명 연장장치 및 방법
KR20000041312A (ko)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절약 장치 및그 방법
KR100584401B1 (ko) 휴대폰에서최적의수신감도방향표시방법
KR1010942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KR19990002939A (ko) 무선 휴대기기의 밧데리 전류소모 절감 방법
KR20000044463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KR100242128B1 (ko) 무선 휴대장치를 구비한 전화기의 무선 휴대장치 저전압 알람 방법
KR100651460B1 (ko) 휴대폰의 호 착신 임시 정지 방법
KR100370969B1 (ko) 이동 통신기기의 배터리 저 전압시 통화 연결 회로
KR100532291B1 (ko) 휴대폰의 유실방지를 위한 경보방법
KR100247838B1 (ko) 무선호출기 일체형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전원 절약방법
KR100584402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KR200325730Y1 (ko) 핸드폰용 양방향 무선이어폰 단말기
KR100251562B1 (ko) 무선전화기의소비전력절약장치및방법
KR100386291B1 (ko)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저장 방법
KR200214683Y1 (ko) 핸드프리장치
JPH0591041A (ja) 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