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271U -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 Google Patents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271U
KR19990026271U KR2019970038805U KR19970038805U KR19990026271U KR 19990026271 U KR19990026271 U KR 19990026271U KR 2019970038805 U KR2019970038805 U KR 2019970038805U KR 19970038805 U KR19970038805 U KR 19970038805U KR 19990026271 U KR19990026271 U KR 199900262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oiler
pipe
water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웅섭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8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271U/ko
Publication of KR19990026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271U/ko

Links

Landscapes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배관이 보일러의 설치위치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는 상향식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체크밸브와 삼방밸브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위치보다 상향에 설치된 난방배관에 핀홀이 발생되더라도 난방수가 사이펀작용에 의하여 오버플로우관을 통하여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난방수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대기개방형의 경우에도 난방배관을 상향식으로 설치할수 있도록 한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스보일러는 난방수가열을 위한 주열교환기와 온수가열을 위한 온수열교환기를 구비하고 난방수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난방수공급관(9)상에 설치된 체크밸브(20)와, 보일러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난방환수관(11)으로 부터의 난방수를 온수열교환기(2)쪽으로 흐르게 하고 보일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난방환수관(11)으로 부터의 난방수가 보일러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설치된 삼방밸브(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본 고안은 난방수가열을 위한 주열교환기와 온수가열을 위한 온수열교환기를 구비한 가스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배관이 보일러의 설치위치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는 상향식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체크밸브와 삼방밸브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위치보다 상향에 설치된 난방배관에 핀홀이 발생되더라도 난방수가 사이펀작용에 의하여 오버플로우관을 통하여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난방수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대기개방형의 경우에도 난방배관을 상향식으로 설치할수 있도록 한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스보일러는 가스를 연료로 이용하여 연소시키고, 이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이 가열된 물을 순환펌프에 의해서 실내의 난방배관으로 순환시켜 난방을 하거나, 또는 목욕탕, 싱크대 등에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스보일러는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있는데, 크게 대기개방형과 대기밀폐형으로 나눌수 있다.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는 난방수가 물탱크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을 통하여 대기에 노출되어 난방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체적변화에 대응하도록 한 것이고, 대기밀폐형 가스보일러는 난방수가 대기와 차단되어 있고 팽창탱크에 의하여 난방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체적변화에 대응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실시예의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는 가스의 연소열에 의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는 주열교환기(1), 온수사용시 직수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난방수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직수를 가열하는 온수열교환기(2), 상기 온수열교환기(2)로 직수를 공급하는 직수관(3), 상기 직수관(3)상에 설치되어 온수사용을 감지하는 플로우스위치(4), 상기 온수열교환기(2)로 부터 사용자가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5),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6), 주열교환기(1)로 부터의 난방수를 일시 저장하는 물탱크(7), 난방수의 체적이 증가하여 난방수가 상기 물탱크(7)로 부터 넘칠 때 배출통로의 역할을 하는 오버플로우(over flow)관(8), 난방수를 각방에 배설된 난방배관으로 공급하는 난방수공급관(9), 보일러의 설치위치보다 높은 곳에 배설된 난방배관(10), 난방수를 상기 난방배관(10)으로 부터 보일러쪽으로 환수시키는 난방환수관(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주열교환기(1)와 온수열교환기(2)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에 의하여 가열된다.
상기와 같은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온수를 사용하지 않고 난방작용만을 할 때에는 주열교환기(1)의 버너에 의하여 난방수가 가열되고 난방수는 순환펌프(6)에 의하여 주열교환기(1), 물탱크(7), 순환펌프(6), 난방수공급관(9), 난방배관(10), 난방환수관(11), 온수열교환기(2), 주열교환기(1)의 순서로 순환된다. 따라서 난방배관(10)을 흐르는 난방수에 의하여 실내를 따뜻하게 한다.
온수를 사용할 때에는 직수관(3)을 통하여 수돗물이 온수열교환기(2)로 공급되는데 플로우스위치(4)가 이를 감지하여 온수열교환기(2)의 버너를 작동시키고, 그 열에 의하여 난방수는 더욱 뜨겁게 되며 직수와 난방수와의 열교환작용에 의하여 직수가 가열되어 온수관(5)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보일러가 작동중에 난방수의 온도가 크게 증가하여 체적이 크게 팽창되어 물탱크(7)의 수위가 일정이상인 경우에는 일부의 난방수가 오버플로우관(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보일러가 지하에 배치되어 있고 난방배관(10)이 가스보일러의 위치보다 높은 1 - 2 층에 설비되어 있는 소위 상향식의 경우에 보일러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도 난방배관(10)에 핀홀이 생기지 않는다면 난방배관(10)에 부압이 걸리므로 난방배관의 난방수가 하부로 내려오지 않고 오버플로우관(8)을 통하여 난방수가 배출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난방배관(10)에 핀홀(pin hole)이 생긴다면 그 핀홀을 통하여 난방배관(10)에 공기가 유입되므로 난방배관의 난방수는 하부로 내려오고 오버플로우관(8)을 통하여 상부에 있는 난방수의 양만큼 배출하게 된다.
물론 순환펌프(6)가 작동하여 난방수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부의 난방배관(10)에 핀홀이 생기더라도 난방수의 압력에 의하여 핀홀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지 않지만 순환펌프(6)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핀홀을 통하여 난방배관에 공기가 유입되어 오버플로우관(8)을 통하여 난방수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는 상향식으로 난방배관을 설치한 경우에 난방배관에 핀홀이 발생하면 오버플로우관(8)을 통하여 많은 양의 난방수가 배출되므로 핀홀을 막지 않는한 보일러를 사용할수 없게 되고, 뿐만 아니라 배출된 난방수는 보일러의 주위를 적시고 그 물을 퍼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의 경우에는 난방배관을 상향식으로 배치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열교환기와 온수열교환기를 구비한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대기개방형의 경우에도 난방배관을 상향식으로 배치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의 난방배관에 핀홀이 발생하더라도 상부의 난방수가 하부로 내려오지 않도록 하여 오버플로우관을 통하여 난방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의 경우에도 난방배관을 상향식으로 설치할수 있게 하는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난방수공급관상에 설치된 체크밸브와, 보일러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난방환수관으로 부터의 난방수를 온수열교환기쪽으로 흐르게 하고 보일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난방환수관으로 부터의 난방수가 보일러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설치된 삼방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은 본 고안의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의 대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열교환기 2: 온수열교환기
3: 직수관 4: 플로우스위치
5: 온수관 6: 순환펌프
7: 물탱크 8: 오버플로우관
9: 난방수공급관 10: 난방배관
11: 난방환수관 20: 체크밸브
30: 삼방밸브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의 대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난방수공급관(9)상에 설치된 체크밸브(20)와, 보일러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난방환수관(11)으로 부터의 난방수를 온수열교환기(2)쪽으로 흐르게 하고 보일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난방환수관(11)으로 부터의 난방수가 보일러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설치된 삼방밸브(30)를 포함한다.
상기 체크밸브(20)와 삼방밸브(30)이외의 구성은 도 1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난방수공급관(9)에 설치된 체크밸브(20)는 보일러가 작동중일 때에 난방수를 상부의 난방배관(10)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보일러가 작동중이 아닐 때에는 상부의 난방배관(10)으로 부터 보일러쪽으로 난방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난방환수관(11)상에 설치된 삼방밸브(30)는 보일러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난방환수관(11)으로 부터의 난방수를 온수열교환기(2)쪽으로 흐르게 하고 보일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난방환수관(11)으로 부터의 난방수가 보일러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삼방밸브(3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는데, 보일러가 작동되지 않을 때 뿐만 아니라 온수를 사용할 경우에도 난방환수관(11)을 차단하여 난방수가 난방배관(10)쪽으로 흐르지 않고 보일러내부에서만 순환하도록 난방수공급관(9)과 난방환수관(11)사이에 설치하여 온수가열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도 한다. 난방수가 보일러내부에서만 순환하면 열이 뺏기지 않게 되므로 온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20)와 삼방밸브(30)는 보일러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온수를 사용하지 않고 보일러가 난방작용만을 할 때에는 삼방밸브(30)는 난방수공급관(9)쪽을 차단하고 난방환수관(11)쪽을 개방한다. 따라서 난방수는 난방수공급관(9)상의 체크밸브(20)를 통하여 상부의 난방배관(10)으로 흐르고 다시 난방환수관(11)을 통하여 보일러쪽으로 환수되어 삼방밸브(30)를 통하여 온수열교환기(2)와 주열교환기(1)로 복귀한다.
온수를 사용할 때에는 삼방밸브(30)는 난방수공급관(9)쪽을 개방하고 난방환수관(11)쪽을 차단하므로 난방수는 보일러내에서만 순환한다. 따라서 온수열교환기(2)에서 직수를 효율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보일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삼방밸브(30)는 난방수공급관(9)쪽을 개방하고 난방환수관(11)쪽을 차단하므로 난방배관(10)의 난방수가 체크밸브(30)에 의하여 난방수공급관(9)을 통하여 보일러쪽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삼방밸브(30)에 의하여 난방환수관(11)을 통하여 보일러쪽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난방배관(10)에 핀홀이 발생되더라도 난방배관(10)의 난방수는 하부로, 즉 보일러쪽으로 내려 오지 않게 되며, 난방수가 물탱크(7)의 오버플로우관(8)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난방수공급관(9)과 난방환수관(11)에 체크밸브(20)와 삼방밸브(30)를 구성하여 상부의 난방배관(10)에 핀홀이 발생하여도 보일러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 난방수가 오버플로우관(8)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게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의 경우에도 난방배관을 상향식으로 설치할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는 난방배관을 상향식으로 배치한 경우에 상부의 난방배관에 핀홀이 발생하더라도 상부의 난방수가 하부로 내려오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오버플로우관을 통하여 난방수가 배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의 경우에도 난방배관을 상향식으로 설치할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난방수가열을 위한 주열교환기와 온수가열을 위한 온수열교환기를 구비하고 난방수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난방수공급관(9)상에 설치된 체크밸브(20)와,
    보일러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난방환수관(11)으로 부터의 난방수를 온수열교환기(2)쪽으로 흐르게 하고 보일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난방환수관(11)으로 부터의 난방수가 보일러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설치된 삼방밸브(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밸브(30)는 보일러가 작동되지 않을 때 뿐만 아니라 온수를 사용할 경우에도 난방환수관(11)을 차단하여 난방수가 난방배관(10)쪽으로 흐르지 않고 보일러내부에서만 순환하도록 난방수공급관(9)과 난방환수관(11)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20)와 삼방밸브(30)는 보일러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KR2019970038805U 1997-12-19 1997-12-19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KR199900262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805U KR19990026271U (ko) 1997-12-19 1997-12-19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805U KR19990026271U (ko) 1997-12-19 1997-12-19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271U true KR19990026271U (ko) 1999-07-15

Family

ID=6967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805U KR19990026271U (ko) 1997-12-19 1997-12-19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2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237A1 (ko) * 2018-03-19 2019-09-26 최영환 열량 비례 제어 기능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겸용으로 구비하는 저탕식 보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237A1 (ko) * 2018-03-19 2019-09-26 최영환 열량 비례 제어 기능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겸용으로 구비하는 저탕식 보일러
GB2575001A (en) * 2018-03-19 2019-12-25 Young Hwan Choi Hot-water storage boiler having both heat-quantity proportional control function an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RU2737708C1 (ru) * 2018-03-19 2020-12-02 Юнг-Хван ЧОИ Котел для горячей воды накопительного типа, обладающий функцией пропорциона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количеством тепла и функцией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ратного потока
GB2575001B (en) * 2018-03-19 2022-04-06 Young Hwan Choi Hot water storage-type boiler having both heat amount proportional control function an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3139B2 (ja) ハイブリッド給湯装置
JP2006003039A (ja) 切替弁ユニット、ドレン排出方法及びドレン排出装置
KR19990026271U (ko)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KR200176948Y1 (ko) 가스보일러용 응축수받이의 배기가스 차단장치
JP2019027644A (ja) 給気予熱暖房システム
JP3741105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KR200184830Y1 (ko) 상향식 대기개방형 가스보일러
KR200210684Y1 (ko) 열매체유 온도조절 탱크
JPS6124836Y2 (ko)
KR19980016052A (ko) 양방향 순환펌프를 이용한 가스보일러의 난방배관폐쇄시 과압토출구조
KR100201317B1 (ko) 대기개방식 가스보일러
KR200147551Y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공급장치
KR200258100Y1 (ko) 온수난방장치의 난방배관 세척 및 난방수 교환을 위한밸브장치
KR980009069U (ko) 온수보일러의 난방수 자동보충장치
JPH042361Y2 (ko)
KR0178185B1 (ko) 가스보일러의 플로우스위치 및 자동보충수밸브의 열교환기연결구조
KR200215960Y1 (ko) 가정용 심야축열식 전기보일러를 사용한 온수공급장치
KR820002445Y1 (ko)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 장치
JP2000097444A (ja) 温水暖房装置
KR19980023169A (ko) 가스보일러의 난방수과열방지방법 및 그 장치
JPH08200815A (ja) 温水ボイラ
JP3897426B2 (ja) 熱源装置
JP2000097443A (ja) 温水暖房装置
JP2000088267A (ja) 即湯給湯機
JP4202976B2 (ja) 貯湯式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