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332A -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332A
KR19990025332A KR1019970046913A KR19970046913A KR19990025332A KR 19990025332 A KR19990025332 A KR 19990025332A KR 1019970046913 A KR1019970046913 A KR 1019970046913A KR 19970046913 A KR19970046913 A KR 19970046913A KR 19990025332 A KR19990025332 A KR 19990025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base station
mobile
home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만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4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332A/ko
Publication of KR1999002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32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국이 이동하면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국의 홈 교환기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에 대한 호출호가 상기 홈 교환기에 접수되는 단계와, 상기 홈 교환기가 상기 이동국의 현재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방문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을 호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은, 이동중인 이동국의 위치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데 유지되는 신호의 양을 줄일 수 있고 호 설정 요구시 빠른 라우팅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빠른 핸드오버 처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망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고 우수한 수준의 호 처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 ( Method of routing a mobile station )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전달 매체인 통신기술은 초기의 아날로그 유선 통신으로부터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한 결과, 현재에는 디지털 무선 통신이 개발,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다. 상기한 디지털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2세대 이동통신이라고 하는 디지털 셀룰러와, 차세대 이동통신인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및 3세대 이동통신인 미래 공중 육상 이동통신 시스템 (FPLMTS ; 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한 PCS는 현재 상용화를 앞둔 디지털 무선 통신방식으로서, 보행자 중심의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인 바, 고가의 셀룰라 서비스에 비해 저가의 휴대단말을 사용하여 저가의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통화품질이 우수한 이동전화 서비스이다.
상기한 PCS 시스템은 서비스의 목적하는 대상과 범위에 따라 상위부류와 하위부류로 구분되는 바, 상위부류는 대규모 셀에서 운용되는 고속 사용자를 위한 PCS로서, 이에 속하는 시스템으로는 IS-95, IS-54, DCS-1800/19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등이 있다. 이에 반하여 하위부류는 소규모 셀과 저속이동 사용자를 위한 PCS로서, 이에 속하는 시스템으로는 CT-2 (Cordless Telephon-2), DECT(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 등이 있다.
한편, 2000년대 이후의 차세대 PCS 시스템으로서 개발되는 상기한 FPLMTS는 하나의 단말기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링크에 의하여 세계적인 로밍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써, 국제전기통신 연합(ITU)에서 추진하는 UPT(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와 결합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등 개인통신을 제공하도록 된 시스템이다.
공식명칭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인 상기 FPLMTS는 기존의 지상고정망과 ISDN(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그리고 이동통신망 및 위성통신망을 총망라하여 연결하는 종합통신 서비스로 높은 품질의 음성서비스와 각종 정보서비스 및 영상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2000년 경에 구현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FPLMTS/IMT-2000은 전세계 어디든지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으로 구상되고 있으며, 서비스 측면에서도 기존의 공중 통신망이나 유선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보다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상기한 FPLMTS/IMT-2000은 1999년까지 시스템 표준제정을 목표로 하여 ITU에서 국제적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바, ITU-T(Telecommunition 표준화 섹터;CCITT)에서는 주로 SG1 및 SG11을 중심으로 서비스, 망 구조, 프로토콜, 루팅 및 번호체계 등에 대한 권고안 작성을 목표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ITU-R(무선통신 표준화 섹터;CCIR)에서는 SG 8 TG 8/1에서 FPLMTS 서브 시스템의 무선접속규격 권고안 작성을 최종 목표로 하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도 1에는 상기한 PCS 시스템 및 FPLMTS의 기본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동국(MH;110)과 기지국(BS;Base Station ;120,125), 기지국 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 ;130,135),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 ;140), 가입자 정보처리 시스템(HLR;Home Location Register ;150), 서비스 제어 및 관리 시스템(SCP;Service Control Point;160) 및 운용보전센터 및 과금센터(OMC;Operation Maintenance Center;17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동국(110)의 홈 기지국(HBS;120)은 이동국(110)의 최신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다. 즉, 이동국(110)이 홈 기지국 제어기(HBSC;130) 내에서 이동하면 상기 홈 기지국 제어기(130)는 이동국(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홈 기지국(120)에 저장하고, 상기 이동국(110)이 방문 기지국 제어기(135)로 이동하면 상기 방문 기지국 제어기(135)는 상기 이동국(110)의 홈 기지국 제어기(130)로 상기 이동국(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홈 기지국(120)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국(110)이 홈 기지국 제어기(130) 안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임의의 발신자가 상기 이동국(110)을 호출하면, 교환기(140)는 상기 이동국(110)의 홈 기지국 제어기(130)를 통해 홈 기지국(120)으로 라우팅한 후 상기 홈 기지국(120)을 통해 방문 기지국(120')에 위치한 이동국(110)에 착신한다. 즉, 홈 기지국 제어기(130) 내의 방문 기지국(120')에 위치한 이동국(110)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교환기(140)로부터 3번의 라우팅(a1,a2,a3)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한 이동국(110)이 방문 기지국 제어기(135)로 이동하는 동안에 임의의 발신자로부터 상기 이동국(110)이 호출당하면, 교환기(140)는 상기 이동국(110)의 홈 기지국 제어기(130)를 통해 홈 기지국(120)으로 라우팅한 후 상기 홈 기지국(120)에 저장된 이동국(110)의 최신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홈 기지국 제어기(130)와 교환기(140) 및 방문 기지국 제어기(135)를 거쳐 방문 기지국(125)에 위치한 이동국(110)에 착신한다. 즉, 방문 기지국 제어기(135) 내의 방문 기지국(125)에 위치한 이동국(110)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교환기(140)로부터 6번의 라우팅(b1,b2,b3,b4,b5,b6)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무선 컴퓨팅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위하여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홈 기지국으로 먼저 라우팅을 한 후 상기 홈 기지국에 저장된 이동국의 최신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국이 현재 위치한 기지국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라우팅의 수가 많아지게 되어 이동국 호출시 많이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라우팅 뿐만 아니라 이동국이 위치를 이동할 때마다 이에 대한 정보가 방문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홈 기지국 제어기를 거쳐 홈 기지국에 저장되기 때문에 라우팅 신호의 오버헤드(overhead)가 비효율적으로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환기에서 이동국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함과 아울러 FCCU(frequently connected called user)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이동국이 현재 위치한 네트워크로 바로 라우팅을 수행하여 라우팅 신호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국이 이동하면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국의 홈 교환기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에 대한 호출호가 상기 홈 교환기에 접수되는 단계와,
상기 홈 교환기가 상기 이동국의 현재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방문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을 호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기지국 제어기 간의 핸드오버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흐름도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라우팅 경로가 도시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이동국 120: 기지국
130: 기지국 제어기 140: 교환기
150: 가입자 정보처리 시스템 160: 서비스 제어 및 관리 시스템
170: 운용보전센터 및 과금센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컴퓨팅 환경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동국(MH;110), 기지국(BS;Base Station;120,125), 기지국 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130,135),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140), 가입자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150), 서비스 제어 및 관리 시스템(SCP;Service Control Point;160) 및 운용보전센터 및 과금센터(OMC;Operation Maintenance Center;170)로 이루어진다.
특히, 기지국 시스템을 기지국(120)과 기지국 제어기(130)로 나눈 것은 기존의 아날로그 시스템과 크게 다른 새로운 개념으로서, 이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관련 기능을 무선 송수신 기능과 무선 자원관리 기능으로 분리해 단위 시스템별로 모듈화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상기한 이동 컴퓨팅 환경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동국(110)은 무선링크의 종단 장치로서 가입자가 보유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기지국(120)과는 무선접속 규격으로 접속된다.
기지국(120)은 이동국(110)과 기지국 제어기(130)간의 정보전송을 제어한다. 즉, 무선접속 부분과 유선접속 부분의 중간 매체로서 RF 모뎀 및 관리기능을 보유한다. 하류부류의 PCS를 구현하기 위하여 대단히 많은 수의 기지국(120)이 요구되는 바, 기지국(120)을 소형, 경량 및 저가격으로 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기지국 제어기(130)는 기지국(120)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이동국(110)과 교환기(140)간의 정보전송을 제어하며 무선접속의 망측 논리적 종단점으로서 무선자원 관리를 비롯하여 이동성 관리 및 호제어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기지국 제어기(130)는 무선접속 네트워크의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므로 기지국 기능의 최소화에 따른 상대적인 오버헤드를 가지며 지능화와 더불어 유선망과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교환기(140)는 이동국(110)의 발착신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고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타망과의 연동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교환기(140) 내에 이동국(110)의 최신 위치 정보가 저장되도록 하고 있다. 즉, 가입자 위치 등록기(150)은 종래에는 이동국(110)의 홈 기지국(120)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하고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동국(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서비스 제어 및 관리 시스템(160)은 서비스의 개발, 처리 및 관리 기능을 담당하며 지능망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 방식이 구현된다. 또한 서비스의 품질과 망 성능이 보장될 수 있도록 망 요소와 망 자원의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운용보전센터 및 과금센터(170)는 망구성요소에 대한 중앙집중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하며 CAMA(central automatic messdge accounting )의 구현을 위하여 X.25 및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통선신호망 및 관리시스템(CCSN/SEAS)는 지능망 서비스의 구현을 위하여 필요한 공통선신호의 전달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CS망을 포함하여 디지털 및 아날로그 셀룰라망, 무선호출망 등의 망자원을 포함하는 종합망에 요구되는 신호전달망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이동국이 홈 기지국 제어기 내에서 기지국간의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의 위치 추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이동국이 홈 교환기 내에서 기지국 제어기간의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의 위치 추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흐름도가 적용되어 이동국이 호출되는 라우팅 경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국(110)이 홈 기지국 제어기(130) 내에서 홈 기지국(120)을 벗어나 방문 기지국(120')으로 이동하면, 방문 기지국(120')은 이를 인식하고(단계 201), 홈 기지국 제어기(130) 및 홈 교환기(140)로 상기 이동국(1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바, 상기 홈 교환기(140)는 상기 이동국(110)의 최신 위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새롭게 저장한다(단계 202,단계 203).
이때, 상기 홈 교환기(140)로 상기 이동국(110)에 대한 호출호가 접수되면(단계 204), 상기 홈 교환기(140)는 이동국(110)의 위치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이동국(110)의 위치 정보를 읽어들여 해당 위치의 방문 기지국(120')으로 패킷을 라우팅한다(단계 205).
상기 패킷을 전송받은 방문 기지국(120')은 이동국(110)으로 상기 패킷을 무선 전송함으로 발신자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206).
상기와 같은 방법이 적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기지국 제어기(130) 내의 방문 기지국(120')에 위치한 이동국(110)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교환기(140)로부터 2번의 라우팅(c1,c2)만이 필요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국(110)이 홈 기지국(120)과 홈 기지국 제어기(130)를 벗어나 방문 기지국 제어기(135) 내의 방문 기지국(125)에 위치하면 상기 방문 기지국(125)과 방문 기지국 제어기(135)는 상기 이동국(110)을 인식한다(단계 301,단계 302). 상기 이동국(110)의 최신 위치 정보는 상기 방문 기지국 제어기(135)를 통해 교환기(140)로 저장된다(단계 303).
이때, 상기 교환기(140)로 이동국(110)에 대한 호출호가 접수되면(단계 304) 홈 교환기(140)는 이동국(110)의 위치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이동국(110)의 위치 정보를 읽어들여, 해당 위치의 방문 기지국(125)으로 패킷을 라우팅하고, 방문 기지국(125)은 상기 패킷을 이동국(110)으로 전송한다(단계 305,단계 306).
상기와 같은 방법이 적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 기지국 제어기(135) 내의 방문 기지국(125)에 위치한 이동국(110)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교환기(140)로부터 2번의 라우팅(d1,d2)만이 필요하게 되는 바, 종래의 라우팅 방법보다 감소된 라우팅으로도 이동국(110)의 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중인 이동국의 위치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데 유지되는 신호의 양을 줄일 수 있고 호 설정 요구시 빠른 라우팅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빠른 핸드오버 처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망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고 우수한 수준의 호 처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동국이 이동하면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국의 홈 교환기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에 대한 호출호가 상기 홈 교환기에 접수되는 단계와,
    상기 홈 교환기가 상기 이동국의 현재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방문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을 호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
KR1019970046913A 1997-09-12 1997-09-12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 KR19990025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913A KR19990025332A (ko) 1997-09-12 1997-09-12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913A KR19990025332A (ko) 1997-09-12 1997-09-12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32A true KR19990025332A (ko) 1999-04-06

Family

ID=6604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913A KR19990025332A (ko) 1997-09-12 1997-09-12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3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209A (ko) * 2000-08-21 2002-02-27 최인석 처방전 데이터에 적합한 약국리스트를 환자에게 제공하는방법
KR100506239B1 (ko) * 1997-12-29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교환시스템에서무선단말기의위치를추적하는방법
KR100776082B1 (ko) * 2006-08-28 2007-11-15 엘지노텔 주식회사 단말기 위치 등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239B1 (ko) * 1997-12-29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교환시스템에서무선단말기의위치를추적하는방법
KR20020015209A (ko) * 2000-08-21 2002-02-27 최인석 처방전 데이터에 적합한 약국리스트를 환자에게 제공하는방법
KR100776082B1 (ko) * 2006-08-28 2007-11-15 엘지노텔 주식회사 단말기 위치 등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033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fer between a cord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5857153A (e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seamless interoperability between exchanges while providing voice, asynchronous data and facsimile services in multiple frequency hyperbands
EP15909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ource-initiated handoff from a source cellular wireless network to a target non-cellular wireless network
US5878343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s arrangement
US5771275A (en) Use of ISDN to provide wireless office environment connection to the public land mobile network
CA2345071C (en) Hierarchical message addressing scheme
EP15909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arget-initiated handoff from a source cellular wireless network to a target non-cellular wireless network
US68890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bi-directional soft handovers between wireless networks via media gateway control
EP1131944B1 (en) Ip based gsm inter-msc handover
EP0766490A2 (en) Integrat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1993001689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location updating from a mobile cellular radiophone system to another cellular radiophone system
EP0966853B1 (en) Ussd-positioning
EP0630166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king use of ISDN switched network
US699976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hand-off for home zone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6014563A (en) Radio system for a closed user group
JP2003319454A (ja) 呼接続制御方法及び呼接続制御システム
CN107135480B (zh) 一种基于特定区域的业务锚定方法
US5627831A (en) 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 hand over
EP0796543A1 (en) Mobile access for cordless terminal mobility
KR19990025332A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
KR100273046B1 (ko) 종합 유무선 장치 및 방법
KR100570898B1 (ko) 패킷 기반의 이동전화 구내 교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US8238907B2 (en) Location dependent handling of mobile subscribers
KR2000003134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복 페이징 및 이 중복 페이징에 따른호 처리방법
KR100221305B1 (ko) 개인휴대통신 근간망에서의 단말기 이동성에 따른 재라우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