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452A - How to register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 Google Patents

How to register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452A
KR19990024452A KR1019970045554A KR19970045554A KR19990024452A KR 19990024452 A KR19990024452 A KR 19990024452A KR 1019970045554 A KR1019970045554 A KR 1019970045554A KR 19970045554 A KR19970045554 A KR 19970045554A KR 19990024452 A KR19990024452 A KR 19990024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ry list
documents
history
lister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병록
홍성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4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452A/en
Publication of KR1999002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452A/en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은 인터넷 검색시 사용자가 검색한 영역들을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편리하게 입체적으로 표시하여 방문했던 사이트들을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히스토리 리스터(history lister)용 데이터베이스를 할당하여 히스토리 리스트(history list)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브라우저(browser)가 시작되면 시작 홈페이지(homepage)로 설정한 사이트(site)의 어드레스(address)를 분석하여 상기 생성된 데이터 메모리 영역에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yper-text markup language)의 타이틀-헤더(title-header)를 등록하고 이를 히스토리 리스트에 검색한 사이트를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홈페이지의 하위 문서들 또는 다른 문서들을 요구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문서들이 상기 히스토리 리스터의 데이터베이스내에 동일한 어드레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단계에서 히스토리 리스터에 상기 시작 홈페이지의 하위 문서들 또는 다른 문서들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사이트의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 영역에 새로운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의 타이틀-헤더를 등록하고 이를 히스토리 리스트에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그 요지가 있다.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registration method allows users to directly access the sites they visited by displaying the searched areas in three dimensions in an easy and understandable way when searching the Internet. creating a data memory area for generating a history list by allocating a database for a lister; and an address of a site set as a start homepage when a browser is started. Register a title-header of a hyper-text markup language in the generated data memory area and reduce the site searched in the history lis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 it in three dimensions. And sub-documents of the start home page. Searching for whether the inputted documents exist in the history lister's database when a command requesting other documents is input; and in the searching step, sub-documents or other documents of the start homepage exist in the history lister. Otherwis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address of the new site, register the title-header of the new hypertext markup language in the data memory area, and display it three-dimensionally in the history list.

Description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 등록방법How to register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본 발명은 인터넷(internet)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ter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gistering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최근 정보의 바다로 불리우는 인터넷을 검색하기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software)들 중 웹 브라우저(web browser)는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A web browser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related software for searching the Internet, which is called a sea of information.

이는 PC상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 인터넷 셋톱(internet settop), 인터넷 티브이(internet TV) 등의 관련 상품들이 있다.These include related products such as programs that run on PCs, Internet settops, and Internet TVs.

최근의 유명한 브라우저들로는 네스케이프(Netscape)와 엠에스 엑스플로러(MS Explorer) 등을 들 수 있다.Recent popular browsers include Netscape and MS Explorer.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navigation history lis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 등록방법에 의해 방문 기록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isit history by the navigation history lis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브라우저의 기능 중 사용자가 탐색(surfing)한 사이트(site)들은 히스토리 리스트(history list) 메뉴가 있어서 이를 선택하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As shown in the figure, sites browsed by a user among the functions of each browser have a history list menu, and when selected, the sites appear as shown in FIG. 1.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방문한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yper-text-markup-language;이하, html라 약칭함) 문서의 헤더(header) 즉 타이틀(title)과 사이트 주소, 처음 방문했던 시간, 최근에 방문했던 시간, 리스트(list)에서 제거될 시간(expiration), 방문 횟수가 표시되어 있다.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the header of the hyper-text-markup-langu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html) document that the user visited, that is, the title and site address, time of first visit, The last visited time, expiration to be removed from the list, and the number of visits are displayed.

이 리스트는 웹 브라우저에서 화면이 발뀔 때마다 추가되며, 기본값으로는 최근에 방문했던 시간 모드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연속적으로 표시된다.This list is added each time the screen is changed in the web browser. By default, the list is displayed continuously based on the time mode you visited most recently.

브라우저 사용자는 제목 또는 사이트의 위치정보(location) 등을 참조하여 자기가 방문했던 사이트를 재방문할 때 한 번에 직접(direct) 접근하도록 마우스 커서(mouse cursor)를 가져다가 클릭(click)하도록 되어 있다.When a browser user visits the site he visited by referring to the title or the location of the site, the browser user takes a mouse cursor and clicks it to access directly at a time. hav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는 사용자가 보기 어렵고 연속적인 리스트중에서 방문했던 원하는 사이트를 쉽게 찾기가 힘들고 같은 사이트가 반복적으로 리스트에 등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navigation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easily find a desired site visited from a continuous list, and the same site is repeatedly registered in the list.

따라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인터넷 탐색시, 방문했던 사이트를 다시 접근하고자 할 때 브라우저 메뉴 중 back(뒤로) 또는 forward(앞으로) 기능키를 사용하여 원하는 사이트로 찾아가는 방법을 사용한다.Therefore, most users use the back or forward function keys in the browser menu to navigate to the site they want to access.

그런데 이 방법은 back 기능을 수행하면서 이전의 사이트들을 순서적으로 다시 매번 접근하여 각 이전 사이트들로부터 각 화면에 대한 문서를 재접근해야 하므로 인한 시간 지연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However, this method also has a problem that a lot of time delay occurs due to the need to re-access documents for each screen from each previous site by sequentially accessing the previous sites again while performing the back function.

또한 back 기능으로만 이전에 검색했던 사이트를 재접근하고자 할 때 만약 사용자의 탐색 사이트가 꽤 많았다면 모든 사이트가 복구되기도 힘든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Also, if you try to re-access a previously searched site using only the back function, you may find it difficult to recover all sites if you have a large number of search sit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인터넷 검색시 사용자가 검색한 영역들을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편리하게 입체적으로 표시하여 방문했던 사이트들을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 등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tha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access the sites visited by three-dimensional display of the areas searched by the user in an easy and understandable way when searching the Interne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gistration method.

도 1 - 종래 기술에 따른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에 따른 방문 기록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visit history according to a navigation history lis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 등록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2-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gistering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도 2 에 의한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 등록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3-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registering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according to FIG.

도 4 - 도 3 의 상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4-3 show detailed embodiments of FI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 등록방법의 특징은, 히스토리 리스터(history lister)용 데이터베이스를 할당하여 히스토리 리스트(history list)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브라우저(browser)가 시작되면 시작 홈페이지(homepage)로 설정한 사이트(site)의 어드레스(address)를 분석하여 상기 생성된 데이터 메모리 영역에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yper-text markup language)의 타이틀-헤더(title-header)를 등록하고 이를 히스토리 리스트에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홈페이지의 하위 문서들 또는 다른 문서들을 요구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문서들이 상기 히스토리 리스터의 데이터베이스내에 동일한 어드레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단계에서 히스토리 리스터에 상기 시작 홈페이지의 하위 문서들 또는 다른 문서들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사이트의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 영역에 새로운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의 타이틀-헤더를 등록하고 이를 히스토리 리스트에 검색한 사이트를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있다.A feature of the method for registering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step of: generating a data memory area for generating a history list by allocating a database for a history lister; And when a browser is started, an address of a site set as a starting homepage is analyzed and a title of a hyper-text markup language is generated in the generated data memory area. Registering a title-header and displaying it three-dimensionally in the history list; and when a command requesting sub-documents or other documents of the starting homepage is entered, the entered documents are identical in the history lister's database. Searching for the existence of an address; In the step, if there are no sub-documents or other documents of the starting homepage in the history lister, the address of the new site is analyzed and the title-header of the new hypertext markup language is registered in the data memory area and the information is retrieved in the history list. It consists of a step of reducing a site to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ing in three dimension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 등록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registering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 등록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고, 도 3 은 도 2 에 의한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 등록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도 3 의 상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gistering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ethod of registering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according to FIG. 2, and FIG. 4 is a detailed embodiment of FIG. The figure show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 등록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us, the method of registering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히스토리 리스트(history list) 기능이란 인터넷 웹 브라우저(internet web browser)상에서 사용자가 탐색한 웹 사이트(web site)들을 표시하는 기능이다.The history list function is a function of displaying web sites browsed by a user on an internet web browser.

먼저, 웹 브라우저를 시작할 때 히스토리 리스터용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할당하여 히스토리 리스트를 생성할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생성한다(S1).First, when a web browser is started, a data memory area for generating a history list is generated by allocating a database for the history lister (S1).

이후, 브라우저가 시작되면 시작 홈페이지(homepage)를 설정한 사이트가 브라우저상의 화면이 표시되는데, 이때 히스토리 리스터는 시작 홈페이지의 어드레스를 분석(parsing)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S2).Subsequently, when the browser is started, the site on which the homepage is set is displayed on the browser screen. At this time, the history lister parses the address of the homepage and registers it in the database (S2).

다음으로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홈페이지의 html 소스(source)의 타이틀-헤더(title-header) 즉, 사용자가 보았을 때 주로 브라우저 화면 상단에 큰 글자로 표시되는 제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S3).Next, the history lister registers a title-header of the html source of the home page, that is, a title mainly displayed in large letters at the top of the browser screen when viewed by the user (S3).

여기서 어드레스와 타이틀은 히스토리 리스트의 하나의 개체안에 각 구성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Here, the address and title consist of each configuration field in an object in the history list.

즉, 상기 과정(S1∼S3)이 수행되었다면 사용자의 히스토리 리스트를 보겠다는 명령에 반응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이고(S4) 사용자의 요구시 동작한다.That is, if the processes (S1 to S3) have been performed, it is in a state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a command to view the user's history list (S4).

이후 사용자가 홈페이지의 정보를 다 검색하고 나서 다른 문서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행하면(예를 들면, PC의 경우 마우스로 html 문서상의 선택 항목을 클릭함) 히스토리 리스터는 새 html 문서의 사이트 어드레스(site address)를 분석한다(S6).If the user then retrieves all the information on the home page and then executes a command that requires another document (for example, on a PC, clicking on a selection in the html document with the mouse), the history lister will return the site address of the new html document. address) (S6).

그리고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html 소스의 타이틀-헤더를 상기 과정(S6)의 사이트 어드레스와 같은 개체에 등록한다(S7).The history lister registers the title-header of the html source to the same entity as the site address of step S6 (S7).

상기 과정(S6)에서 사이트 어드레스 분석(site address parsing)시,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동일한 어드레스(address)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만 새로운 사이트의 화면을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새로운 사이트 개체를 나타내는 블럭으로 히스토리 리스트에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During site address parsing in step S6, the history lister searches the database to find out whether the same address exists and reduces the screen of the new site to a predetermined size only if it does not exist. Blocks representing site objects, displayed in the history list in three dimensions.

한편, 상기 과정(S6)에서 다른 문서는 상기 홈페이지로 설정한 사이트의 하위 문서의 개체일 수도 있고 다른 독립된 사이트일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step S6, the other document may be an entity of a sub document of the site set as the home page or may be another independent site.

따라서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시작 홈페이지와 그의 하위 문서의 개체를 나타내는 블럭의 테두리선이나 연결선을 선의 두께 또는 선의 종류, 화면의 밝기 또는 색깔 등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히스토리 리스트에 연결 구성한다.Therefore, the history lister connects the border line or the connecting line of the block representing the object of the start homepage and the sub document to the history list so as to distinguish the thickness or the type of the line, the brightness or the color of the screen, and the like.

아울러 히스토리 리스터는 시작 홈페이지와 다른 독립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블럭의 테두리선이나 연결선을 선의 두께 또는 선의 종류, 화면의 밝기 또는 색깔 등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히스토리 리스트에 연결 구성한다.In addition, the history lister configures the border line or connecting line of the block representing the independent homepage and other independent sites in the history list so that the line thickness or line type, the brightness or the color of the screen can be distinguished.

그리고 히스토리 리스터는 시작 홈페이지와 다른 독립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블럭의 테두리선이나 연결선과 상기 시작 홈페이지와 그의 하위 문서를 이루는 블럭의 테두리선이나 연결선을 선의 두께 또는 선의 종류, 화면의 밝기 또는 색깔 등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히스토리 리스트에 연결 구성한다.In addition, the history lister can distinguish the border or connecting line of the block representing the independent homepage from the starting homepage, and the border or connecting line of the block forming the starting homepage and its subdocuments by the thickness of the line or the type of the line, the brightness or the color of the screen, and the like. Configure the connection to the history list so that you can

한편, 사용자는 시작 홈페이지와 그의 하위 문서 및 다른 사이트에서 이전에 탐색한 사이트로의 재접근하려고 할 경우 상기 히스토리 리스트상에서 재접근하고자하는 사이트를 나타내는 블럭을 한 번 클릭함으로써 이전에 탐색한 사이트로의 재접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attempts to re-access a site previously searched from the starting home page and its sub-documents and other sites, the user may click on the block representing the site to be re-accessed on the history list once to the previously searched site Reapproach

이와 같은 시작 홈페이지와 그의 하위 문서의 개체 및 다른 독립된 사이트의 구별 상태를 도 3 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istinguishing state of such a starting homepage, an object of a subordinate document thereof, and another independent sit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 은 사용자가 3개의 큰 사이트, 10개의 html 화면을 탐색한 후 히스토리 리스트를 요구했을 때의 결과 화면이다.3 is a result screen when the user requests a history list after browsing three large sites and ten html screens.

여기서 html 화면은 상기 큰 사이트의 하위 문서의 개체이다.Here the html screen is an object of the sub document of the large site.

먼저, 사용자가 브라우저 시작시 시작 홈페이지 화면으로 wm.lge.co.kr의 OfficeMail 2.1(3-1)을 지정하였음을 볼 수 있다.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has specified OfficeMail 2.1 (3-1) of wm.lge.co.kr as the start homepage screen when the browser starts.

이와 같은 상태에서 히스토리 리스트를 요구하면 시작 홈페이지로 상기 wm.lge.co.kr의 OfficeMail 2.1(3-1)을 나타내는 블럭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In such a state, when a history list is requested, a block representing OfficeMail 2.1 (3-1) of wm.lge.co.k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start homepage.

즉,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시작 홈페이지로 상기 wm.lge.co.kr의 OfficeMail 2.1(3-1)의 어드레스를 분석(parsing)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That is, the history lister parses the address of OfficeMail 2.1 (3-1) of wm.lge.co.kr into the start homepage and registers it in the database.

아울러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wm.lge.co.kr의 OfficeMail 2.1(3-1)의 html 소스의 타이틀-헤더 즉, 사용자가 보았을 때 주로 브라우저 화면 상단에 큰 글자로 표시되는 제목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상기 wm.lge.co.kr의 OfficeMail 2.1(3-1)의 화면을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wm.lge.co.kr의 OfficeMail 2.1(3-1)의 화면을 나타내는 블럭으로 히스토리 리스트에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history lister registers a title-header of the html source of OfficeMail 2.1 (3-1) of wm.lge.co.kr, that is, a title displayed mainly in large letters at the top of the browser screen when the user views it in the database. The screen of OfficeMail 2.1 (3-1) of wm.lge.co.kr is reduced to a certain size and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in the history list as a block representing the screen of OfficeMail 2.1 (3-1) of wm.lge.co.kr do.

이후 사용자가 게시판(3-2) 메뉴를 시작 홈페이지(3-1)에서 선택하면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게시판(3-2)의 어드레스가 히스토리 리스트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Then, when the user selects the bulletin board 3-2 menu from the start homepage 3-1, the history lister searches whether the address of the bulletin board 3-2 exists in the history list and registers it in the database if it does not exist. .

아울러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게시판(3-2)의 html 소스의 타이틀-헤더 즉, 사용자가 보았을 때 주로 브라우저 화면 상단에 큰 글자로 표시되는 제목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상기 게시판(3-2) 화면을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게시판(3-2)을 나타내는 블럭으로 히스토리 리스트에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history lister registers a title-header of the html source of the bulletin board 3-2, that is, a title displayed mainly in large letters at the top of the browser screen when the user views it in the database, and then selects the bulletin board 3-2 screen. A block representing the bulletin board 3-2 is reduced in size and displayed three-dimensionally in the history list.

또한 사용자가 문서발신(3-3)과 수신함(3-4)을 순차적으로 탐색하면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문서발신(3-3)과 수신함(3-4) 각각의 어드레스가 히스토리 리스트내에 존재하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만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quentially searches the document sender (3-3) and the inbox (3-4), the history lister sequentially checks whether the addresses of the document sender (3-3) and the inbox (3-4) exist in the history list. Search for it and register it in the database only if it does not exist.

아울러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문서발신(3-3)과 수신함(3-4)의 html 소스의 타이틀-헤더 즉, 사용자가 보았을 때 주로 브라우저 화면 상단에 큰 글자로 표시되는 제목을 데이터베이스에 순차적으로 등록한 후 이를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문서발신(3-3) 화면과 수신함(3-4) 화면을 나타내는 블럭으로 순차적으로 히스토리 리스트에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history lister sequentially registers the title-header of the html source of the document sender (3-3) and the inbox (3-4), that is, a title displayed mainly in large letters at the top of the browser screen when the user views it in the database. It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sequentially in the history list as a block representing the document sending (3-3) screen and the inbox (3-4) screen.

여기서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시작 홈페이지와 그의 하위 문서인 게시판(3-2) 개체, 문서발신(3-3) 개체 및 수신함(3-4) 개체는 히스토리 리스트에 그것들을 나타내는 블럭의 테두리선이나 연결선을 선의 두께 또는 선의 종류, 화면의 밝기 또는 색깔 등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연결 구성한다.In this case, the history lister indicates that the start homepage and its sub-documents, the bulletin board (3-2) object, the document sender (3-3) object, and the inbox (3-4) object, have a border or connecting line of blocks representing them in the history list. The connection is made so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by line thickness or line type, screen brightness or color.

한편, 사용자가 다른 독립된 중앙일보 홈페이지(3-5)를 북마크(bookmark)나 사이트를 직접 입력하여 방문하게 되면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중앙일보 홈페이지(3-5)의 어드레스가 데이터베이스내에 존재하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만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Meanwhile, when a user visits another independent JoongAng Ilbo homepage 3-5 by directly entering a bookmark or a site, the history lister sequentially searches whether the JoongAng Ilbo homepage 3-5 has an address in the database. If it does not exist, it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아울러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중앙일보 홈페이지(3-5)의 html 소스의 타이틀-헤더 즉, 사용자가 보았을 때 주로 브라우저 화면 상단에 큰 글자로 표시되는 제목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이를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중앙일보 홈페이지(3-5)를 나타내는 블럭으로 히스토리 리스트에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history lister registers a title-header of the html source of the JoongAng Ilbo homepage (3-5), that is, a title displayed mainly in large letters at the top of the browser screen when the user views it in the database, and then reduces it to a predetermined size. A block representing the home page 3-5 is displayed three-dimensionally in the history list.

여기서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시작 홈페이지(3-1)와 다른 독립된 사이트인 중앙일보 홈페이지(3-5) 개체를 나타내는 블럭의 테두리선이나 연결선을 선의 두께 또는 선의 종류, 화면의 밝기 또는 색깔 등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연결 구성한다.Here, the history lister can distinguish a border line or a connection line of a block representing an object of the JoongAng Ilbo homepage (3-5), which is a separate site from the start homepage (3-1), by the thickness of the line or the type of the line, the brightness or the color of the screen, and the like. Configure the connection so that

이후 사용자가 주요기사 화면(3-6), 정치면(3-7), 뉴스드림 화면(3-8) 등을 순차적으로 검색하면 상기 주요기사 화면(3-6), 정치면(3-7), 뉴스드림 화면(3-8)의 각각의 어드레스가 히스토리 리스터내에 존재하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만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순차적으로 등록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sequentially searches the main article screen (3-6), the stationary screen (3-7), the news dream screen (3-8), etc., the main article screen (3-6), the stationary screen (3-7), Each address of the news dream screen 3-8 is sequentially searched whether it exists in the history lister, and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only when it does not exist.

아울러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주요기사 화면(3-6), 정치면(3-7), 뉴스드림 화면(3-8) 각각의 html 소스의 타이틀-헤더 즉, 사용자가 보았을 때 주로 브라우저 화면 상단에 큰 글자로 표시되는 제목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이를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이를 나타내는 블럭으로 히스토리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history lister is a title-header of the html source of each of the main article screen (3-6), the stationary screen (3-7), and the news dream screen (3-8), that is, large characters at the top of the browser screen when viewed by the user. After registering the title displayed in the database, it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ed sequentially in the history list as a block representing this.

아울러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주요기사 화면(3-6), 정치면(3-7), 뉴스드림 화면(3-8)은 상기 중앙일보 홈페이지(3-5)의 하위 사이트이므로 상기 하위 문서로 연결 구성한다.In addition, the history lister is composed of the main article screen (3-6), the political screen (3-7), the news dream screen (3-8) is a sub-site of the JoongAng Ilbo homepage (3-5), so that the sub-documents are connected. .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뉴스드림 화면(3-8) 의 하위 사이트인 뉴스 마인(3-9)을 검색하면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뉴스 마인(3-9)의 어드레스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만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When the user searches for the news mine 3-9, which is a subsite of the news dream screen 3-8, the history lister searches whether the address of the news mine 3-9 exists in the database and does not exist. Only register it in the database.

아울러 히스토리 리스터는 상기 뉴스 마인(3-9)의 html 소스의 타이틀-헤더 즉, 사용자가 보았을 때 주로 브라우저 화면 상단에 큰 글자로 표시되는 제목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이를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뉴스 마인(3-9) 개체를 나타내는 블럭을 히스토리 리스트 화면에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history lister registers a title-header of the html source of the newsmine (3-9), that is, a title displayed mainly in large letters at the top of the browser screen when the user views it in the database, and then reduces it to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newsmine ( 3-9) The block representing the object is displayed three-dimensionally on the history list screen.

아울러 뉴스 마인(3-9)은 뉴스드림 화면(3-8) 의 하위 문서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News Mine (3-9) is linked to the sub-documents of the News Dream screen (3-8).

또한 사용자가 다른 독립된 사이트로 넷스케이프 한국어 홈페이지(3-10)를 탐색하면 상기 넷스케이프 한국어 홈페이지(3-10)의 어드레스가 히스토리 리스터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만 이를 히스토리 리스터에 등록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arches for the Netscape Korean homepage 3-10 to another independent site, the user searches for whether the address of the Netscape Korean homepage 3-10 exists in the history lister and registers it in the history lister only if it does not exist.

아울러 이것의 html 소스의 타이틀-헤더 즉, 사용자가 보았을 때 주로 브라우저 화면 상단에 큰 글자로 표시되는 제목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이를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넷스케이프 한국어 홈페이지(3-10)를 나타내는 블럭으로 히스토리 리스트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In addition, the title-header of this html source, that is, a title that is displayed mainly in large letters at the top of the browser screen when the user sees it,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and then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as a block representing the Netscape Korean homepage (3-10). It is displayed on the list screen.

그리고 넷스케이프 한국어 홈페이지(3-10)는 상기 중앙일보 홈페이지(3-5)에 연결되고 서로 독립된 사이트이므로 동일한 블럭의 선 두께 또는 선 종류, 화면의 밝기 또는 색깔로 구별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축소되어 연결 구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Netscape Korean homepage 3-10 is connected to the JoongAng Ilbo homepage 3-5 and is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Netscape Korean homepage 3-10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so as to be distinguished by line thickness or line type, brightness or color of the same block. The connection is made up.

한편, wm.lge.co.kr의 OfficeMail 2.1과 그의 하위 문서, 중앙일보 홈페이지와 그의 하위 문서 및 넷스케이프 한국어 홈페이지 중 다른 사이트로의 재접근은 상기 히스토리 리스트상에서 재접근하고자하는 사이트의 축소된 입체적 블럭을 한 번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re-access to wm.lge.co.kr's OfficeMail 2.1, its sub-documents, JoongAng Ilbo homepage and its sub-documents, and the Netscape Korean homepage is a reduced three-dimensional block of the site to be re-accessed on the history list. This is done by clicking once.

한편, 도 4 는 히스토리 리스터의 활용예로써 브라우저를 수행하는 하드웨어(hardware)가 발전하여 충분한 중앙처리장치(cpu) 성능을 가질 때 구현 가능한 기능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history lister is a function that can be implemented when the hardware (hardware) for running the browser has evolved to have sufficient CPU performance.

즉, 브라우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시작 홈페이지와 그의 하위 문서의 개체 및 다른 독립된 사이트의 화면을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정지된 영상정보로 표시한다.That is, the screen of the start home page, the object of the subordinate document, and other independent sites displayed on the browser screen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ed as still image information.

여기서 도 4 의 각 개체를 나타내는 블럭의 번호는 도 3 의 각 개체를 나타내는 블럭의 번호와 각각 대응된다.Here, the numbers of the blocks representing the entities of FIG. 4 correspond to the numbers of the blocks representing the entities of FIG. 3, respectively.

따라서 사용자가 탐색한 페이지 화면들을 다양한 정지 영상 포맷(jpeg, bmp, tif, gif)중의 하나로 변환하여 사이트를 나타내는 개체의 필드에 추가함므로써 히스토리 리스터를 화면에 표시할 때 같이 표시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page screens searched by the user are converted into one of various still image formats (jpeg, bmp, tif, gif) and added to the field of an object representing the site so that the history lister is displayed when the history lis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이와 같이 히스토리 리스터를 구성함은 인간이 정보 입력의 70%정도를 영상 입력으로 기억하므로, 브라우저 사용자는 자기가 탐색한 사이트중 어느 특정한 사이트로 돌아가고자 할 때, 그 사이트에 대한 기억은 화면 그 자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way, the history lister configures that humans remember about 70% of information input as video input, so when a browser user wants to return to a specific site among the sites he or she browses, the memory of the site is stored on the screen itself. This can be sai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은 인터넷 검색시 사용자가 검색한 영역들을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편리하게 입체적으로 표시하여 방문했던 사이트들을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했던 사이트를 보다 쉽게 재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registering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access the sites visited by displaying the areas searched by the user in an easy-to-understand and convenient three-dimensional manner when searching the Internet. This makes it easier for users to re-access sites they've searched for bef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은 검색했던 사이트를 재차 수신하여 히스토리 리스트에는 하나의 사이트만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전에 검색했던 사이트를 찾는데 드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registering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 searched site again and display only one site in the history list in three dimensions,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find a previously searched site.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7)

히스토리 리스터(history lister)용 데이터베이스를 할당하여 히스토리 리스트(history list)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와;Allocating a database for a history lister to generate a data memory area for generating a history list; 브라우저(browser)가 시작되면 시작 홈페이지(homepage)로 설정한 사이트(site)의 어드레스(address)를 분석하여 상기 생성된 데이터 메모리 영역에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yper-text markup language)의 타이틀-헤더(title-header)를 등록하고 이를 히스토리 리스트에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When the browser starts, the address of the site set as the starting homepage is analyzed and the title-header of the hyper-text markup language is generated in the generated data memory area. registering a title-header and displaying it three-dimensionally in a history list; 상기 시작 홈페이지의 하위 문서들 또는 다른 문서들을 요구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문서들이 상기 히스토리 리스터의 데이터베이스내에 동일한 어드레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If a command for requesting sub-documents or other documents of the starting homepage is input, searching for the input documents whether the same address exists in the history lister's database; 상기 검색 단계에서 히스토리 리스터에 상기 시작 홈페이지의 하위 문서들 또는 다른 문서들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사이트의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 영역에 새로운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의 타이틀-헤더를 등록하고 이를 히스토리 리스트에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If there are no sub-documents or other documents of the start homepage in the history lister, the address of the new site is analyzed and the title-header of the new hypertext markup language is registered in the data memory area, and this is a history list. A method of registering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reducing the size 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시작 홈페이지와 시작 홈페이지의 하위 문서를 나타내는 블럭의 테두리선이나 연결선은 선의 두께 또는 선의 종류, 화면의 밝기 또는 색깔로 구별할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In the display step,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is characterized in that a border line or a connection line of a block representing the start home page and a sub document of the start home page is configured in three dimensions so as to be distinguished by the thickness of the line or the type of the line, the brightness or the color of the screen. navigation history list) How to regis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시작 홈페이지와 다른 독립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블럭의 테두리선이나 연결선은 히스토리 리스터에서 선의 두께 또는 선의 종류, 화면의 밝기 또는 색깔로 구별할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In the displaying step,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is characterized in that a border line or a connecting line of a block representing an independent site different from the start homepage is configured in the history lister so as to be distinguished by line thickness or line type, screen brightness or color.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How to regis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시작 홈페이지와 다른 독립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블럭의 테두리선이나 연결선과 상기 시작 홈페이지와 그의 하위 문서의 개체를 나타내는 연결선의 개수 또는 두께로 구별할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The display step may be configured in three dimensions so as to be distinguished by the number or thickness of a border line or a connection line representing a separate site from the start homepage and a connection line representing an object of the start homepage and a sub document thereof. How to register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시작 홈페이지와 그의 하위 문서 및 다른 독립된 사이트의 화면을 축소하여 정지된 영상정보의 입체적인 블럭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And the displaying step reduces the screens of the starting home page, its sub-documents, and other independent sites and displays them in a three-dimensional block of still image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의 타이틀-헤더는 사용자가 보았을 때 브라우저 화면 상단의 큰 글자로 표시되는 제목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The title-header of the hyper text markup language is a title displayed in large letters at the top of the browser screen when the user views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시작 홈페이지와 그의 하위 문서 및 다른 사이트에서 탐색한 사이트로의 재접근은 상기 히스토리 리스트상에서 재접근하고자하는 사이트의 축소된 입체적 블럭을 한 번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피컬 내비게이션 히스토리 리스트(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등록방법.The displaying step is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ccess to the starting home page and its sub-documents and the sites searched on other sites is performed by clicking once on the history list the reduced three-dimensional block of the site to be re-accessed. How to register a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KR1019970045554A 1997-09-02 1997-09-02 How to register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KR199900244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554A KR19990024452A (en) 1997-09-02 1997-09-02 How to register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554A KR19990024452A (en) 1997-09-02 1997-09-02 How to register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452A true KR19990024452A (en) 1999-04-06

Family

ID=6604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554A KR19990024452A (en) 1997-09-02 1997-09-02 How to register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45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255B1 (en) * 1999-11-26 2002-08-07 지성민 Method and System for High-efficiency Long-distance Recon Agent to suppor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on the Web
KR100368139B1 (en) * 2000-04-21 2003-01-15 주식회사 보고테크 System and method for supply a sample inform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255B1 (en) * 1999-11-26 2002-08-07 지성민 Method and System for High-efficiency Long-distance Recon Agent to suppor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on the Web
KR100368139B1 (en) * 2000-04-21 2003-01-15 주식회사 보고테크 System and method for supply a sample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yukkokten et al. Power browser: Efficient web browsing for PDAs
US8615508B2 (en) Artificial anchor for a document
Buyukkokten et al. Seeing the whole in parts: text summarization for web browsing on handheld devices
SG108239A1 (en) Internet web browser with memory enhanced hyperlink display
US8533260B1 (en) Reduction of perceived DNS lookup latency
US71745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network viewing
JP2004525452A (en) How to reformat areas containing dense hyperlinks
KR20150006456A (en) A method of displaying a customised address bar or search results in a browser
KR19990044851A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associating predefined user data with query entry fields in a computer network
JP2003281191A (en) Retrieval server and retrieval result providing method
Blekas et al. Use of RSS feeds for content adaptation in mobile web browsing
KR100996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yperlink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connect with wireless-internet
US6745227B1 (en) Method, article of manufacture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wsing information
KR1013505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ab corresponding to query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JP2001331486A (en) Website integrated retrieval method on communicatio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software programmed so as to perform the method
KR20000036647A (en) Method for searching using image
US20030018667A1 (en) Website using images as a navigational tool for user-created photopages on the internet
JPH11212998A (en) Data display device and record medium
JPH10171818A (en)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storage medium
KR19990024452A (en) How to register the graphical navigation history list
JP2008015611A (en) Information search support program and apparatus
JP2004038512A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designated tag position moving method and program used therefor
JP6235744B1 (en) Web page creation support system
JP4659931B2 (en) Browser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59734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