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540A -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540A
KR19990023540A KR1019980032697A KR19980032697A KR19990023540A KR 19990023540 A KR19990023540 A KR 19990023540A KR 1019980032697 A KR1019980032697 A KR 1019980032697A KR 19980032697 A KR19980032697 A KR 19980032697A KR 19990023540 A KR19990023540 A KR 1999002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evice
data
digital
audio device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아끼 마에다
가즈히꼬 후지이에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2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5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9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1/00Secr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될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의 보안성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은 디지탈 오디오 기기들 간에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오디오 기기는 CD 플레이어 (광 디스크인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등록 상표)로부터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재생함), MD 레코더/플레이어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인 미니 디스크 (Mini Disc; 등록 상표)로부터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재생함), 디지탈 오디오 테잎 레코더(DAT) (회전 헤드를 사용하여 자기 테잎에/에 대하여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재생함)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가 보편화됨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음악 데이터를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회선 및/또는 통신 위성을 통해 사용자 터미널로 배포하기 위한 서비스가 가까운 장래에 제공될 것이다.
디지탈 오디오 기기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가 보편화되어감에 따라, 오디오 기기들 간에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는 점점 더 중요해진다.
지금까지,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958 표준에 대응하는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 (이하,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IEC 958 인터페이스로 언급함)가 디지탈 오디오 기기들을 접속시키는 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IEC 958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단방향으로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IEC 958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오디오 데이터가 보안 및 확인을 위해 암호화되는 양방향 통신은 실행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IEC 958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불법 액세스 또는 불법 복제로부터 충분히 보호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IEC 958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광 통신에 적합한 커넥터들을 구비한 디지탈 기기가 이미 보편화되었다. 다시 말해, IEC 958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와의 호환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두 세트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양방향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서는 조작이 복잡해질 것이다. 또한, 두 개의 케이블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가도 증가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불법 액세스 또는 불법 복제로부터 보호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디지탈 기기와 제2 디지탈 기기를 가지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제1 디지탈 기기의 커넥터 및 제2 디지탈 기기의 커넥터는 케이블로 접속되고, 제1 디지탈 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양방향 인터페이스 수단,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선정된 데이터 시퀀스로 엔코딩하기 위한 엔코딩 수단, 양방향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시퀀스를 제2 디지탈 기기에서 제1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메시지로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및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된 디지탈 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수단을 포함하고, 제2 디지탈 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양방향 인터페이스 수단, 제2 디지탈 기기에서 제1 디지탈 기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선정된 데이터 시퀀스로 엔코딩하기 위한 엔코딩 수단, 양방향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시퀀스를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메시지로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및 제1 디지탈 기기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디지탈 신호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수단을 포함하며, 디지탈 신호가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때, 암호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제1 디지탈 기기와 제2 디지탈 기기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이다.
여기에 언급된 것과 그 외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그들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숙지함으로써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동축 케이블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동축 케이블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의 예시의 접속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
도 15는 데이터 배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오디오 기기
3a, 3b : 플러그
6a, 6b : 커넥터
57 : 공개 키 암호/복호 회로
58 : 공통 키 암호 회로
77 : 공개 키 암호 회로
78 : 공통 키 암호/복호 회로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IEC 958 표준에 대응하는 광 케이블이 사용된다.
그러한 광 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는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가 양방향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암호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는 공개 키(public key)를 제2 기기로 전송한다. 제2 기기는 공개 키로 암호화된 공통 키(common key)를 제1 기기로 전송한다. 제1 기기는 수신된 공통 키를 복호하여,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복호된 공통 키로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제2 기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전송될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불법 액세스 또는 불법 복제로부터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
도 1은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참조 번호(1)는 광 케이블이다. 광 케이블(1)은 IEC 958 표준에 대응하는 광 케이블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2)가 광케이블(1)의 중앙에 배치된다. 광섬유(2)를 통해, 디지탈 신호는 광 신호로서 전송된다.
플러그(3a 및 3b)가 광 케이블(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플러그(3a 및 3b)는 감합부(fitting portion)(4a 및 4b)를 각각 가진다. 감합부(4a 및 4b)의 외부 둘레는 직각 형태이다.
광 케이블(1)의 광섬유(2)로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유도부(light guiding portion)(5a 및 5b)가 감합부(4a 및 4b)의 중앙에 각각 배치된다.
참조 번호(6a 및 6b)는 커넥터이다. 커넥터(6a 및 6b)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호스트 측 오디오 기기(11) 및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또 다른 오디오 기기(12) 상에 각각 배치된다. 커넥터(6a 및 6b)는 감합부(4a 및 4b)에 들어맞는 각을 이룬 형태의 오목부(7a 및 7b)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6a)는 발광 소자(8a), 수광 소자(9a), 및 하프 미러(half mirror)(10a)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커넥터(6b)는 발광 소자(8b), 수광 소자(9b), 및 하프 미러(10b)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케이블(1)의 플러그(3a)가 오디오 기기(11)의 커넥터(6a)에 접속될 때, 플러그(3a)의 감합부(4a)가 커넥터(6a)의 오목부(7a)에 들어맞는다. 유사하게, 광 케이블(1)의 플러그(3b)가 오디오 기기(12)의 커넥터(6b)에 접속될 때, 플러그(3b)의 감합부(4b)는 커넥터(6b)의 오목부(7b)에 들어맞는다.
데이터는 시분할 멀티플렉싱 방법에 의해 오디오 기기(11)와 오디오 기기(12) 간에 양방향으로 전송된다.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되는 경우, 광 신호는 커넥터(6a)의 발광 소자(8a)로부터 전송된다. 이러한 신호는 하프 미러(10)를 통해 커넥터(6a)에 접속된 플러그(3a)의 광 유도부(5)로부터 입력된다.
그 다음, 광 케이블(1)의 광섬유(2)를 통해 플러그(3b)로 광신호가 전송된다. 플러그(3b)의 광 유도부(5b)의 출력 신호는 커넥터(5b)의 하프 미러(10b)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 소자(9b)에 의해 수신된다.
따라서,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12)에서 오디오 기기(11)로 전송되는 경우, 광 신호는 커넥터(6b)의 발광 소자(8b)로부터 전송된다.
이러한 신호는 하프 미러(10)를 통해 커넥터(6b)에 접속된 플러그(3b)의 광 유도부(5b)로부터 입력되어, 광 케이블(1)의 광섬유(2)를 통해 플러그(3a)로 보내진다. 플러그(3a)의 광 유도부(5a)의 출력 신호는 커넥터(6a)의 하프 미러(10a)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신호는 수광 소자(9a)에 의해 수신된다. 따라서, 오디오 기기(12)에서 오디오 기기(11)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발광 소자(8a 및 8b) 및 수광 소자(9a 및 9b)가 커넥터(6a) 및 커넥터(6b) 측에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데이터는 시분할 기초 IEC 958에 대응하는 광 케이블(1)을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들에서, 발광 소자(8a 및 8b), 수광 소자(9a 및 9b), 및 하프 미러(10a 및 10b)는 각각 커넥터(6a) 및 커넥터(6b) 측에 각각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8a 및 8b) 및 수광 소자(9a 및 9b)는 커넥터(6a) 및 커넥터(6b) 측에 인접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8a 및 8b) 및 수광 소자(9a 및 9b)는 각각 인접하여 배치된다.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되는 경우, 커넥터(7a)의 발광 소자(8a)로부터 방출된 광 신호는 플러그(3a)의 광 유도부(5a)로부터 입력된다. 그 다음, 광 신호가 광 케이블(1)의 광섬유(2)를 통해 플러그(3b)로 보내진다.
플러그(3b)의 광 유도부(5b)의 출력 신호는 수광 소자(9b)에 의해 수신된다. 따라서,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12)에서 오디오 기기(11)으로 전송되는 경우, 커넥터(7b)의 발광 소자(8b)로부터 방출된 광 신호는 플러그(3b)의 광 유도부(5b)로부터 입력된다. 그 다음, 광 신호는 광 케이블(1)의 광섬유(2)를 통해 플러그(3a)로 보내진다.
플러그(3a)의 광 유도부(5a)의 출력 신호는 수광 소자(9a)에 의해 수신된다. 따라서, 오디오 기기(12)에서 오디오 기기(11)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전술한 예시들에서, 광 케이블(1)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는, 동축 케이블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이터가 IEC 958 표준에 대응하는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플러그(22a 및 22b)는 동축 케이블(21)의 양쪽에 배치된다. 동축 케이블(21)의 임피던스는 예를 들어 75Ω이다.
데이터 전송 측 상의 오디오 기기(41)의 출력 데이터는 버퍼(24a), 콘덴서(25a), 및 변환기(26a)에 의해 플러그(22a)로 보내진다.
그 다음에, 데이터는 동축 케이블(21)을 통해 데이터 수신자 측의 오디오 기기(42)의 플러그(22b)로 보내진다. 플러그(22b)의 출력 데이터는 콘덴서(27b) 및 버퍼(28b및 29b)를 통해 보내진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전송자 측의 오디오 기기(41)에서 데이터는 버퍼(24a), 콘덴서(25a), 및 변환기(26a)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데이터는 콘덴서(27a) 및 버퍼(28a 및 29a)를 통해 수신된다.
수신자 측의 오디오 기기(42)에서, 데이터는 콘덴서(27b) 및 버퍼(28b 및 29b)를 통해 수신된다. 또한, 데이터는 버퍼(24a) 및 콘덴서(25b 및 26b)를 통해 전송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양방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될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호스트 측 오디오 기기(11)과 그로부터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디오 기기(12)이 IEC 958 표준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호스트 측 디지탈 오디오 기기(11)은 인터페이스(51), 전송기(52), 및 수신기(53)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51)는 광신호가 양방향으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한다. 전송기(52)는 광 신호를 인터페이스(51)로 전송한다. 수신기(53)는 인터페이스(5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인터페이스(51)는 IEC 958 표준에 대응하는 양방향 인터페이스이다.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 및 수신 타이밍은 타이밍 생성 회로(60)에 의해 제어된다. 전송될 데이터는 선정된 포맷을 가진다. 메시지는 데이터에 첨부된다.
수신자 측에 보내질 메시지는 메시지 엔코더(54)에 의해 엔코딩된다. 유사하게, 전송자 측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메시지 디코더(55)에 의해 디코딩된다.
전송될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 회로(56)로부터 보내진다.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되는 경우,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어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방법에 의해 압축된다. 또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불법 액세스 또는 불법 복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엔코딩된 후 전송된다.
이러한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오디오 기기(11)은 공개 키 암호화/복호 회로(57) 및 공통 키 암호화 회로(58)를 가진다. 오디오 기기(11)의 모든 처리는 제어기(59)에 의해 제어된다.
반면에, 호스트 측의 디지탈 오디오 기기(11)로부터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탈 오디오 기기(12)은 인터페이스(71), 전송기(72), 및 수신기(73)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71)는 광 신호를 이용하여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전송기(72)는 인터페이스(71)로 광신호를 전송한다. 수신기(73)는 인터페이스(7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인터페이스(71)는 IEC 958 표준에 대응하는 양방향 인터페이스이다.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 및 수신 타이밍은 타이밍 생성 회로(80)에 의해 제어된다. 전송될 데이터는 선정된 포맷을 가진다. 메시지가 데이터에 첨가된다.
호스트 측의 오디오 기기(11)으로 전송될 메시지는 메시지 엔코더(74)에 의해 엔코딩된다. 호스트 측의 오디오 기기(11)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메시지 디코더(75)에 의해 디코딩된다.
호스트 측의 디지탈 오디오 기기(11)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복호되고, 데이터 기록 회로(76)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다.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으로 전송되는 경우,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암호화된다. 그러한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오디오 기기(12)은 공개 키 암호화 회로(77) 및 공통 키 암호화/복호 회로(78)를 구비한다. 오디오 기기(12)의 모든 처리는 제어기(79)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으로, 오디오 기기(11)과 오디오 기기(12)이 메시지를 교환하는 동작 및 오디오 기기(11)이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기기(12)으로 전송하는 동작이 개시될 것이다.
메시지가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으로 전송되는 경우, 오디오 기기(11)의 메시지 엔코더(54)는 제어기(59)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전송기(52)로부터 전송된다. 그 다음, 메시지는 광 케이블(1)을 통해 수신자 측 오디오 기기(12)의 인터페이스(71)로 전송된다.
인터페이스(71)의 출력 데이터는 수신기(73)로 보내진다. 수신기(73)의 출력 데이터는 메시지 디코더(75)로 보내진다. 메시지 디코더(75)는 메시지를 디코딩한다. 메시지 디코더(75)의 출력 데이터는 제어기(79)로 보내진다.
오디오 기기(12)가 오디오 기기(11)로 메시지를 되돌려 보내는 경우, 오디오 기기(12)의 메시지 엔코더(74)는 제어기(79)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인터페이스(71)를 통해 전송기(72)로부터 전송된다. 그 다음, 메시지는 광 케이블(1)을 통해 오디오 기기(12)의 인터페이스(51)로 전송된다.
인터페이스(71)의 출력 데이터는 수신기(73)로 보내진다. 수신기(73)의 출력 데이터는 메시지 디코더(75)로 보내진다. 메시지 디코더(75)는 메시지를 디코딩한다. 메시지 디코더(75)의 출력 데이터는 제어기(79)로 보내진다.
오디오 기기(11)가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기기(12)로 전송하는 경우,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56)는 예를 들어 ATRAC 방법에 의해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암호화 회로(58)로 보내진다. 그 다음,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공개 키 암호화/복호 회로(57)로부터 수신된 공통 키(Key2)로 암호화된다.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메시지 엔코더(54)로 보내진다. 메시지 엔코더(54)는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선정된 포맷으로 정렬한다. 이 때, 메시지가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에 첨가될 수 있다. 최종의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전송기(52)로부터 전송된다. 그 다음,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광 케이블(1)을 통해 수신자 측 오디오 기기(12)의 인터페이스(71)로 전송된다.
인터페이스(71)의 출력 데이터는 수신기(73)로 보내진다. 수신기(73)의 출력 데이터는 메시지 디코더(75)로 보내진다. 메시지 디코더(75)는 메시지를 디코딩한다.
메시지 디코더(75)의 출력 데이터는 공통 키 암호화/복호 회로(78)에 보내진다. 공통 키(Key2)는 제어기(79)로부터 공통 키 암호화/복호 회로(78)에 보내진다. 공통 키 암호화/복호 회로(78)는 공통 키(Key2)로 암호화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한다. 공통 키 암호화/복호 회로(78)의 출력 데이터는 기록/재생 회로(76)로 보내진다.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될 때,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암호화된다. 따라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불법 액세스 또는 불법 복제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암호화 처리가 수행될 때, 그러한 암호화 키는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전송된다.
공개 키(Key1)는 메시지 엔코더 회로(54), 전송기 회로(52), 및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보내진다.
오디오 기기(12)의 공개 키 암호화 회로(77)는 공통 키(Key2)를 공개 키(Key1)로 암호화한다.
공개 키(Key1)에 의해 암호화된 공통 키(Key2)는 메시지 엔코더 회로(74), 전송기 회로(72), 및 인터페이스(71)를 통해 오디오 기기(12)에서 오디오 기기(11)로 전송된다.
오디오 기기(11)의 공개 키 암호화/복호 회로(57)는 오디오 기기(12)로부터 수신된 공개 키(Key1) 및 제어기(59)로부터 수신된 비밀 키를 이용하여 공통 키(Key2)를 복호한다.
오디오 기기(11)는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공통 키(Key2)로 암호화한다.
오디오 기기(11)의 제어기(59)는 공개 키(Key1)를 생성한다. 공개 키(Key1)는 메시지 엔코더(54)로 보내진다. 메시지 엔코더(54)는 공개 키(Key1)를 선정된 포맷으로 정렬한다. 암호화 키(Key1)는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전송기(52)로부터 전송된다. 그 다음, 암호화 키(Key1)는 광 케이블(1)을 통해 수신자 측 오디오 기기(12)의 인터페이스(71)로 보내진다.
인터페이스(71)의 출력 데이터는 수신기(73)로 보내진다. 수신기(73)의 출력 데이터는 메시지 디코더(75)로 보내진다. 메시지 디코더(75)는 공개 키(Key1)를 공개 키 암호화 회로(77)로 보낸다.
제어기(79)는 공통 키(Key2)를 생성한다. 공통 키(Key2)는 공개 키 암호화 회로(77)로 보내진다. 공개 키 암호화 회로(77)는 공통 키(Key2)를 공개 키(Key1)로 암호화한다. 공개 키(Key1)로 암호화된 공통 키(Key2)는 인터페이스(71)를 통해 메시지 엔코더(74)로 보내진다. 그 다음, 공통 키(Key2)는 광 케이블(1)을 통해 오디오 기기(11)의 인터페이스(51)로 전송된다.
인터페이스(51)의 출력 데이터는 수신기(53)로 보내진다. 수신기(53)의 출력 데이터는 메시지 디코더(55)로 보내진다. 메시지 디코더(55)는 공개 키(Key1)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공통 키(Key2)를 복호한다. 메시지 디코더(55)의 출력 데이터는 공개 키 복호 회로(57)로 보내진다. 공개 키 복호 회로(57)는 공통 키(Key2)를 공개 키(Key1) 및 제어기(59)로부터 수신된 비밀 키를 이용하여 복호한다.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되는 경우, 공통 키(Key2)는 공통 키 암호화 회로(58)로 보내진다. 공통 키 암호화 회로(58)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 회로(56)로부터 수신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공통 키(Key2)로 암호화한다.
다음으로, 오디오 기기(11)와 오디오 기기(12) 간에서 교환된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 포맷 및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 포맷이 개시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ROM의 포맷처럼 13.3msec 분량의 데이터가 한 번에 전송된다. 다시 말해, CD-ROM에서 하나의 섹터는 98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프레임은 24 바이트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섹터는 (24×98=2352 바이트)이다. 섹터 하나의 시간 주기는 13.3 msec이다. CD-ROM의 하나의 섹터와 같이 13.3msec 분량의 데이터가 한 번에 전송된다.
하나의 섹터는 동기 신호 부분(sync) 및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된다. 동기 신호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은 전단부(preamble portion) 및 후단부(postamble portion)로 둘러싸인다.
오디오 기기(11)와 오디오 기기(12)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는 도 8에 도시된 포맷으로 전송된다.
도 8에서, 각 섹터 (2352 바이트=13.3msec)의 시작에 선정된 패턴을 가지는 전단부가 배치된다. 각 섹터의 끝에 선정된 패턴을 가지는 후단부가 배치된다. 섹터 하나(2352 바이트)를 위한 데이터 영역이 전단부 및 후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데이터 영역은 d0, d1, d2, ...., 및 d2351로 표시되는 2352 바이트로 구성된다.
선정된 패턴을 가지는 동기 신호 부분(sync)이 데이터 영역의 시작에서 d0 내지 d11까지 배치된다. 이러한 동기 신호 부분 내에서, 제1 바이트 d0는 00h이다 (h는 16진법 개념을 나타냄). d1 내지 d10 바이트는 FFh이다. 최종 바이트 d11은 00h이다.
d12 및 d13 바이트는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메시지 ID 이다. d14 바이트는 메시지 코드이다.
d15 바이트는 FFh이다. d16 내지 d2351 바이트는 데이터이다.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클러스터들로서 전송된다 (하나의 클러스터는 32섹터로 구성됨) . 각 클러스터의 시작에, 선정된 패턴을 가지는 전단부가 배치된다. 각 클러스터의 끝에, 선정된 패턴을 가지는 후단부가 배치된다.
각 섹터의 데이터 영역의 시작에, 선정된 패턴을 가지는 동기 신호 부분이 배치된다. 이러한 동기 신호 부분에서, 제1 바이트 d0는 00h이다. d1 내지 d10은 FFh이다. 최종 바이트 d0는 00h이다.
d12 내지 d13 바이트는 메시지 ID이다. d14 바이트는 클러스터 수이다. 각 클러스터는 순차적으로 증분되는 유일한 클러스터 수를 가진다.
d15 바이트는 FFh이다. d16 내지 d2351 바이트는 ATRAC 방법으로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이다. 따라서, ATRAC 방법에 의해 섹터 당 2332 바이트로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전송된다.
다음으로, 오디오 기기(11)와 오디오 기기(12) 간에서 교환되는 메시지가 설명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코드가 d14 바이트에 배치된다. 도 10은 오디오 기기(11)과 오디오 기기(12) 간에 교환된 메시지 코드를 도시한다. 도 11은 하나의 섹터 내에 배치된 첨가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코드는 확인 메시지 F0, 응답 메시지 F1, 및 정보 메시지 FF로 카테고리화된다. 확인 메시지 F0는 전송자 측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응답 메시지 F1은 전송자 측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다. 정보 메시지 FF는 전송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 메시지 F0은 접속 확인 명령, 기록 잔류 시간 확인 명령, 및 데이터 전송 통지 명령을 포함한다.
접속 확인 명령에 대하여, 비확인/확인 데이터 및 공개 키(Key1)가 첨가 데이터로서 첨가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확인/확인 데이터는 d29 바이트에 배치된다. 공개 키(Key1)는 d30 내지 d34 바이트에 배치된다.
기록 잔류 시간 확인 명령에 대하여, 공개 키(Key1), 접속될 기기의 제조 회사 코드, 모델 코드 및 일련 번호가 첨가 데이터로서 첨가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회사 코드가 d43 바이트에 배치된다. 모델 코드는 d44 바이트에 배치된다. 일련 번호는 d45 내지 d47 바이트에 배치된다. 공통 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는 d41 바이트 이후에 배치된다.
응답 메시지 F1은 접속 통지 및 기기 정보 명령, 잔류 시간 통지 명령, 수신 상태 통지 명령, 수신 상태 통지 명령, 및 재전송 요청 명령을 포함한다.
접속 확인 및 기기 정보 명령에 대하여, 제조 회사 코드, 모델 코드, 일련 번호, 및 공통 키(Key2)가 첨가 데이터로서 첨가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회사 코드는 d43 바이트에 배치된다. 모델 코드는 d44 바이트에 배치된다. 일련 번호는 d45 내지 d47 바이트에 배치된다. 공통 키(Key2)는 d48 내지 d52 바이트에 배치된다. 공통 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는 d41 바이트 이후에 배치된다.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정보 메시지 FF는 엔코드 데이터, 잔류 데이터량, 트랙 변경, 트랙 이름, 아티스트 이름, 판권, 타임 스템프 등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길이는 d29 바이트에 배치된다. 엔코드 모드는 d30 내지 d31 바이트에 배치된다. 판권은 d33 바이트에 배치된다. 타임 스템프의 연도는 d34 바이트에 배치된다. 타임 스템프의 월은 d35 바이트에 배치된다. 타임 스템프의 일은 d36 바이트에 배치된다. 타임 스템프의 시는 d37 바이트에 배치된다. 제2 타임 스템프는 d38 바이트에 배치된다. 트랙 이름은 d43 바이트에 배치된다. 아티스트 이름은 d44에 배치된다.
데이터는 전술한 데이터 전송 포맷으로 오디오 기기(11)와 오디오 기기(12) 간에서 교환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오디오 기기(12)가 오디오 기기(11)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속 확인 과정을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 12a는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2b는 오디오 기기(12)에서 오디오 기기(11)로 전송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는 CD-ROM 포맷처럼 매 13.3 msec 마다 포맷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기기(11)는 접속 확인 명령(M1, M2, ...)을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 확인 명령은 확인 메시지 F0 내에 포함된다.
오디오 기기(12)가 오디오 기기(11)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접속 확인 명령(M1, M2, ...)에 대한 접속 통지는 보내지지 않는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기기(12)가 오디오 기기(11)에 접속된 경우, 접속 확인 명령(M1, M2, ...)에 대한 접속 통지 및 기기 정보 명령(M11, M12, ...)이 보내진다. 접속 통지 및 기기 정보 명령은 응답 메시지 F1 내에 포함된다.
접속 통지 및 기기 정보 명령(M11, M12, ...)을 이용하여, 오디오 기기(11)는 다른 오디오 기기가 자신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접속 통지 및 기기 정보 명령에 첨가된 첨가 데이터 (즉, 제조 회사 코드, 모델 코드, 일련 번호, 및 공통 키(Key2))를 이용하여, 오디오 기기(11)는 자신에 접속된 오디오 기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 13a는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3b는 오디오 기기(12)에서 오디오 기기(11)로 전송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통지 명령(M21)은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으로 전송된다. 데이터 전송 통지 명령은 승인 메시지 F0 내에 포함된다.
오디오 기기(12)가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오디오 기기(12)는 대기 요청을 나타내는 준비 상태 통지(M32)를 오디오 기기(11)로 보낸다. 준비 상태 확인은 응답 메시지 F1 내에 포함된다.
오디오 기기(11)가 (대기 요청을 나타내는) 준비 상태 통지(M32)를 수신하면, 오디오 기기(11)는 선정된 시간 주기 동안 대기 모드에 들어간다. 선정된 시간 주기가 경과한 후, 오디오 기기(11)는 데이터 전송 통지 명령(M22)을 오디오 기기(12)에 전송한다.
오디오 기기(12)가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된 경우, 오디오 기기(12)는 (오디오 기기(12)의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준비 상태 통지 명령(M32)을 오디오 기기(11)에 전송한다.
오디오 기기(11)가 (오디오 기기(12)의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준비 상태 통지 명령(M32)을 수신하면, 오디오 기기(11)는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한 번에 하나의 클러스터씩(32섹터) 오디오 기기(12)로 전송한다.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길이, 엔코드 모드, 트랙 이름, 아티스트 이름, 판권, 및 타임 스템프(M23)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오디오 기기(12)가 하나의 클러스터를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오디오 기기(12)는 오디오 기기(11)로 수신 상태 통지 명령(M33)을 전송한다. 수신 상태 명령은 응답 메시지 F1 내에 포함된다. 오디오 기기(12)가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한 경우, 수신 상태 통지 명령(M33)은 확인 상태에 위치한다. 오디오 기기(12)가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 수신 상태 통지 명령(M33)은 오류 상태에 위치한다.
오디오 기기(12)는 오디오 기기(11)로부터 보내진 명령이 확인 상태에 위치하는지 또는 오류 상태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명령이 확인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오디오 기기(11)은 후속 클러스터에 대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오디오 기기(12)가 하나의 클러스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오디오 기기(12)는 수신 상태 통지 명령(M34)을 오디오 기기(11)로 전송한다. 오디오 기기(12)가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하지 않은 경우, 수신 상태 통지 명령(M34)은 오류 상태에 위치한다.
오디오 기기(11)에서 보내진 명령이 오류 상태에 있는 경우, 선정된 시간 주기가 경과한 후, 오디오 기기(12)는 오디오 기기(11)로 데이터 전송 통지 명령(M25)을 전송한다.
오디오 기기(12)가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면, 오디오 기기(12)는 (오디오 기기(12)의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준비 상태 통지 명령을 오디오 기기(11)로 전송한다.
오디오 기기(11)가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준비 상태 통지 명령(M35)을 수신한 경우, 오디오 기기(11)는 하나의 클러스터(32 섹터)에 대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M26)를 오디오 기기(12)로 전송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된 디지탈 오디오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4a는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4b는 오디오 기기(12)에서 오디오 기기(11)로 전송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기기(11)와 오디오 기기(12) 간의 접속을 확인하기 위해, 오디오 기기(11)는 접속 확인 명령(M41)을 오디오 기기(12)에 전송한다. 공개 키(Key1)가 접속 확인 명령(M41)에 첨가된다. 따라서, 공개 키(Key1)는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된다.
오디오 기기(12)가 오디오 기기(11)에 접속된 경우, 오디오 기기(11)는 접속 확인 명령에 대한 접속 통지 및 기기 정보 명령(M51)을 오디오 기기(12)로 보낸다. 공개 키(Key1) 및 공통 키(Key2)가 접속 통지 및 기기 정보 명령(M51)에 첨가된다. 따라서, 공통 키(Key2)가 오디오 기기(12)에서 오디오 기기(11)로 전송된다.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11)에서 오디오 기기(12)으로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확인 명령(M42)은 오디오 기기(11)에서 디지탈 오디오 기기(12)로 전송된다.
오디오 기기(12)가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면, 오디오 기기(12)는 (오디오 기기(12)의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준비 상태 통지 명령(M52)을 오디오 기기(11)로 보낸다.
오디오 기기(11)가 (오디오 기기(12)의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준비 상태 통지(M52)를 수신하는 경우, 오디오 기기(11)는 한 번에 하나의 클러스터에 대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기기(12)로 전송한다.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공통 키(Key2)로 암호화된 것이다.
오디오 기기(12)가 하나의 클러스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오디오 기기(12)는 수신 상태 통지 명령(M53)을 오디오 기기(11)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에서, IEC 958 표준에 대응하는 케이블 및 커넥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는 시분할 기초에서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가 양방향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암호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오디오 기기는 공개 키(Key1)를 제2 오디오 기기로 전송한다. 제2 오디오 기기는 공개 키(Key1)로 암호화된 공통 키(Key2)를 제1 오디오 기기로 보낸다. 제1 오디오 기기는 공통 키(Key2)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오디오 기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IEC 958 표준에 대응하는 기존의 케이블 및 커넥터를 이용하여,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불법 액세스 또는 불법 복제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ISDN 회선 및/또는 통신 위성을 통해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배포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서비스에서, 음악 프로그램 배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101)가 통신 네트워크 상에 배치된다. 사용자 측 셋 탑 박스(set top box)(102)와 서버(101)는 위성 회로(103) 등을 통해 접속된다. 사용자 측 셋 탑 박스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음악 데이터가 위성 회선(103)을 통해 서버로부터 배포될 수 있다. 음악 데이터는 MD 레코더/플레이어(105)에 의해 미니 디스크 상에 기록된다.
사용자가 셋 탑 박스(102)를 구비하는 서버로부터 원하는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딩할 때, 적절한 충전 과정이 수행된다. 또한, 서버(101)로부터 음악을 용이하게 검색하도록 검색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서버(101)는 히트 프로그램 정보 및 새로운 악보 정보 등의 다양한 음악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가장 선호하는 음악을 검색하여 다운로딩하고, 그러한 서비스를 이용하여 미니디스크 등에 기록하는 경우, 사용자는 네트워크 상에서 음악을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시스템에서, 판권에 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에 주의해야한다.
본 발명이 그러한 시스템에 응용되는 경우, 마스터 측 오디오 기기(11)는 셋 탑 박스에 대응한다. 마스터 측 오디오 기기(11)로부터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디오 기기(12)는 미니 디스크 레코더/플레이어에 대응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IEC 958 표준에 대응하는 케이블 및 커넥터가 사용된다. 데이터는 시분할 기초에서 양방향으로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더(feeder) 및 플러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6에서, 단자 하나가 플러그(45)로부터 돌출된다. 단자는 전도성 슬리브(sleeve)(46a 및 46b)를 구비한다. 전도성 슬리브(46b)는 좌측 채널 상에 오디오 신호를 입출력 한다. 피더(49)는 전도성 케이블 및 광섬유를 구비한다. 전도성 케이블은 좌측 및 우측 채널 상에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광섬유는 광 신호를 전송한다. 광 유도부(47)는 단자의 중앙에 배치된다. 이러한 플러그를 이용하여, 디지탈 신호는 광섬유를 통해 전송된다. 데이터는 좌측 및 우측 채널에 대한 전도성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따라서, 데이터는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IEC 958 표준에 대응하는 케이블 및 커넥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는 시분할 기초 상에서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될 데이터는 CD-ROM 포맷 또는 MD 포맷의 각 섹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352 바이트(13.3 msec)에 대하여 포맷된다. 이러한 데이터 포맷은 메시지 코드 영역을 가진다.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전송되면, 메시지 코드와 함께 공개 키는 전송 기기에서 수신 기기로 전송된다. 수신 기기는 공통 키로 암호화된 공통 키를 전송 기기로 다시 보낸다. 전송 기기는 공통 키를 복호한다. 전송 기기는 공통 키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따라서, 종래의 케이블 및 종래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는 불법 액세스 또는 불법 복제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가장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형태 및 세부 사항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생략, 및 첨가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제1 디지탈 기기와 제2 디지탈 기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의 커넥터와 상기 제2 디지탈 기기의 커넥터는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탈 기기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양방향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메시지를 선정된 데이터 시퀀스로 엔코딩하기 위한 엔코딩 수단;
    상기 양방향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시퀀스를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부터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 전송될 메시지로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및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디지탈 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수단(encrypting means)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양방향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제2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1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메시지를 선정된 데이터 시퀀스로 엔코딩하기 위한 엔코딩 수단;
    상기 양방향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시퀀스를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메시지로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및
    상기 제1 디지탈 기기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디지탈 신호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수단(decrypting means)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 디지탈 신호가 전송될 때, 암호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와 상기 제2 디지탈 기기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탈 기기가 공개 키를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디지탈 기기가 상기 공개 키로 암호화된 공통 키를 상기 제1 디지탈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 디지탈 기기가 상기 공개 키로 암호화된 상기 공통 키를 복호하고 상기 디지탈 신호를 상기 공통 키로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와 상기 제2 디지탈 기기 사이에서 암호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데이터 시퀀스는 CD-ROM 포맷의 한 섹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 제1 디지탈 기기의 커넥터와 제2 디지탈 기기의 커넥터를 케이블로 접속하여,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와 상기 제2 디지탈 기기 사이에 디지탈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메시지를 선정된 데이터 시퀀스로 엔코딩하는 단계;
    (b) 수신된 데이터 시퀀스를 상기 제2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1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메시지로 디코딩하는 단계;
    (c)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디지탈 신호를 암호화하는 단계;
    (d) 상기 제2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1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메시지를 선정된 데이터 시퀀스로 엔코딩하는 단계;
    (e)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시퀀스를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될 메시지로 디코딩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수신된 암호화된 디지탈 신호를 복호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a) 내지 (c)는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단계 (d) 내지 (f)는 상기 제2 디지탈 기기에 의해 수행되며,
    디지탈 신호가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에서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되는 경우, 암호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와 상기 제2 디지탈 기기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탈 기기가 공개 키를 상기 제2 디지탈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디지탈 기기가 상기 공개 키로 암호화된 공통 키를 상기 제1 디지탈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 디지탈 기기가 상기 공개 키로 암호화된 상기 공통 키를 복호하여 상기 디지탈 신호를 상기 공통 키로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디지탈 기기와 상기 제2 디지탈 기기 사이에서 암호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데이터 시퀀스는 CD-ROM 포맷의 하나의 섹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9980032697A 1997-08-13 1998-08-12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99900235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18623 1997-08-13
JP9218623A JPH1166734A (ja) 1997-08-13 1997-08-13 データ伝送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540A true KR19990023540A (ko) 1999-03-25

Family

ID=1672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697A KR19990023540A (ko) 1997-08-13 1998-08-12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044654A1 (ko)
EP (1) EP0897226A2 (ko)
JP (1) JPH1166734A (ko)
KR (1) KR19990023540A (ko)
CN (1) CN1208294A (ko)
TW (1) TW4311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740A (ko) * 2000-03-14 2000-06-05 김재홍 통신보안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0257B1 (en) 1999-02-17 2011-11-02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riginal data circulatio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6829708B1 (en) * 1999-03-27 2004-12-07 Microsoft Corporation Specifying security for an element by assigning a scaled value representative of the relative security thereof
US20020019814A1 (en) * 2001-03-01 2002-02-14 Krishnamurthy Ganesan Specifying rights in a digital rights license according to events
US7103574B1 (en) * 1999-03-27 2006-09-05 Microsoft Corporation Enforcement architecture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7073063B2 (en) * 1999-03-27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Binding a digital license to a portable device or the lik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and checking out/checking in the digital license to/from the portable device or the like
US7136838B1 (en) * 1999-03-27 2006-11-14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license and method for obtaining/providing a digital license
US6973444B1 (en) * 1999-03-27 2005-12-0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interdependently validating a digital content package and a corresponding digital license
AU2000269232A1 (en) 2000-01-14 2001-07-24 Microsoft Corporation Specifying security for an element by assigning a scaled value representative ofthe relative security thereof
US7039615B1 (en) * 2000-09-28 2006-05-02 Microsoft Corporation Retail transactions involving digital content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KR20020054776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자동차 에이브이 시스템
JP2003078518A (ja) * 2001-09-03 2003-03-14 Fuji Xerox Co Ltd 暗号化・復号システム、暗号化装置、復号装置およびそれらの方法
US20030077310A1 (en) * 2001-10-22 2003-04-24 Chandrashekhar Pathak Stent coatings containing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7370212B2 (en) 2003-02-25 2008-05-06 Microsoft Corporation Issuing a publisher use license off-lin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US8347078B2 (en) 2004-10-18 2013-01-01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certificate individualization
US8336085B2 (en) 2004-11-15 2012-12-18 Microsoft Corporation Tuning product policy using observed evidence of customer behavior
CN101288260A (zh) 2005-01-27 2008-10-15 美商内数位科技公司 使用未由他人分享联合随机衍生秘钥方法及系统
US8280046B2 (en) 2005-09-12 2012-10-0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riving an encryption key using joint randomness not shared by others
US8438645B2 (en) 2005-04-27 2013-05-07 Microsoft Corporation Secure clock with grace periods
US8725646B2 (en) 2005-04-15 2014-05-13 Microsoft Corporation Output protection levels
US9436804B2 (en) 2005-04-22 2016-09-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stablishing a unique session key using a hardware functionality scan
US9363481B2 (en) 2005-04-2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tected media pipeline
US20060265758A1 (en) 2005-05-20 2006-11-23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media rights
WO2006130725A2 (en) * 2005-05-31 2006-12-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methods using shared secret randomness in a joint channel
EP1758337B1 (fr) * 2005-08-23 2012-08-01 Alcatel Lucent Procédé de transmission securisée de données, via des reseaux, par échange d'informations d'encryptage, et dispositif d'encryptage/decryptage correspondant
US9635056B2 (en) * 2014-05-15 2017-04-25 Dell Products L.P. Cable management and security system
CN106209313B (zh) * 2016-07-06 2019-03-29 歌尔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740A (ko) * 2000-03-14 2000-06-05 김재홍 통신보안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8294A (zh) 1999-02-17
TW431107B (en) 2001-04-21
US20020044654A1 (en) 2002-04-18
JPH1166734A (ja) 1999-03-09
EP0897226A2 (en) 1999-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3540A (ko)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9990023539A (ko) 데이타 전송 장치
AU781884B2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8837533B2 (en) Transmission system
AU779115B2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6584552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program recorded medium, recorded medium, cache device, and transmitter
EP1122729A4 (en) MEDIUM WITH RECORDED DATA, DATA PLAYBACK METHOD AND PLAYBACK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EP1235380A1 (en) Data reproducing/recording apparatus / method and list updating method
US7093128B2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EP1291867A2 (en) Information-processing with cryptographic processing
CA2308141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using an encryption mode indicator
DK1367828T3 (da) Fremgangsmåde og system til optagelse og afspilning af audiovisuel information
KR20040048352A (ko) 콘텐츠 관리 방법,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그리고 기록매체
KR100690986B1 (ko) 송신장치, 기록제어 시스템, 송신방법, 기록제어 방법,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CN100461287C (zh) 数字信息记录装置和输出装置
WO2007007764A1 (ja) ライセンス管理装置及び方法
US7228568B2 (en)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transfer system
US20060069650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encrypted contents
EP1054398A2 (en) Content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contents information recording unit
KR100469591B1 (ko) 정보 송신 장치와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장치와 정보수신 방법, 정보 전송 시스템과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기록 매체
US200801202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iscontinuous AV data
EP1185023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30029893A (ko) 기기 제어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기록 매체
TWI235004B (en) Data output apparatus and data output method
KR20020028825A (ko)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