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287U -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287U
KR19990023287U KR2019970035647U KR19970035647U KR19990023287U KR 19990023287 U KR19990023287 U KR 19990023287U KR 2019970035647 U KR2019970035647 U KR 2019970035647U KR 19970035647 U KR19970035647 U KR 19970035647U KR 19990023287 U KR19990023287 U KR 199900232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spring
holder
spr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모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35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3287U/ko
Publication of KR199900232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287U/ko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쉽게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닫았을 때 실링(sealing)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식기 세척조의 본체(1) 상단에 고정되는 피걸림부재인 래치(latch)(2)와, 상기 식기 세척조의 본체(1)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3)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래치(2)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게 되는 걸림부재인 래치 홀더(4)와, 상기 래치 홀더(4)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래치 홀더(4)에 맞물려 래치 홀더(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외주면 상에 스프링(6)이 삽입되고 하방으로 개구부를 갖는 U자형홈(7a)이 형성된 스프링 가이드(7)와, 상기 도어(3)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7)의 U자형홈(7a) 내에 스프링(6) 하단을 지지하는 가변중심축이 위치하여 도어(3) 개폐시 스프링 가이드(7)와 연동하는 래치 링크(8)와, 상기 래치 링크(8)의 회동시 회전력을 받아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써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접점을 눌러 온시키는 핸들(9)로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쉽게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닫았을 때 실링(sealing)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에 부착된 밥풀등 음식 찌꺼기들을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자동으로 제거한 후 건조시켜 주는 편리한 주방용 가전 제품이다.
한편, 종래의 식기세척기 도어 개폐장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3)에는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로커(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로커 홀더(13)는 판스프링(6) 형태로서 후크(13a)가 형성된 자유단은 탄성에 의해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3)에는, 사용자가 도어(3)를 열 경우 조작하기 위한 핸들(9)이 도어(3)바디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9)은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접점을 직접 눌러줄 수 있는 누름부(12)를 가지며, 상기 핸들(9)의 누름부(12) 하부에는 누름부(12)의 도어(3)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0)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3)를 열 경우, 사용자가 핸들(9)을 위로 들어 올려 핸들(9)의 푸셔부(14)가 로커 홀더(13)를 밀게 하므로써, 상기 로커 홀더(13)의 후크(13a)가 걸림턱 상단을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앞으로 당겨 도어(3)를 열게 된다.
한편, 도어(3)가 열린 후에는 핸들(9)을 눌러주는 누름부(12)가 없으므로 인해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접점이 떨어져 오프 상태가 되고, 핸들(9)은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접점위에 얹혀져 있는 형태가 된다.
도어(3)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로커 홀더(13)가 핸들(9)을 아래로 누르게 되고, 이때 하강하는 핸들(9)의 누름부(12)는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접점을 눌러서 마이크로 스위치(10)를 온 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작동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세척기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3)를 닫을 때,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만 닫히게 되는데, 로커 홀더(13)의 설치 위치가 잘못된 경우, 가스켓(15)을 압축시키면서 도어(3)를 닫는 데 많은 힘이 들게 되는등 도어(3)를 닫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로커 홀더(13)가 도어(3)를 세척기 쪽으로 끌어 당기지 못하고 고정만 시키고 있는 형태이므로, 가스켓(15)과 도어(3)의 실링을 유지하기 어려워, 식기세척기 운전시 누수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았다.
그리고, 도어(3)를 열 때, 핸들(9)을 위로 밀어 올린 후 다시 앞쪽으로 당겨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로워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 부품들의 치수 공차나 조립 공차에 의해 치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누수 및 개폐의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인해 완벽한 작업관리 및 부품관리를 필요로 함에 따라, 이에 따른 관리상의 어려움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쉽게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닫았을 때 실링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 도어 개폐장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작용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b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b는 도어가 닫히는 과정중 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c는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a는 도 4a의 "가"방향에서 바라본 래치 링크와 스프링 가이드 결합상태 정면도
도 5b는 도 4b의 "나"방향에서 바라본 래치 링크와 스프링 가이드 결합상태 정면도
도 5c는 도 4c의 "다"방향에서 바라본 래치 링크와 스프링 가이드 결합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세척조 본체 2a:피걸림편
2:래치 3:도어
4:래치 홀더 4a:홀딩핑거
4b:원동 기어부 5:고정중심축A
6:스프링 7:스프링 가이드
7a:U자형홈 7b:피동 기어부
8:래치 링크 8a:고정중심축B
8b:가변중심축C 9a:고정중심축D
9:핸들 10:마이크로 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식기 세척조의 본체 상단에 고정되는 피걸림부재인 래치와, 상기 식기 세척조의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래치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게 되는 걸림부재인 래치 홀더와, 상기 래치 홀더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래치 홀더에 맞물려 래치 홀더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외주면 상에 스프링이 삽입되고 하방으로 개구부를 갖는 U자형홈이 형성된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도어부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의 U자형홈 내에 스프링 하단을 지지하는 가변중심축이 위치하여 도어 개폐시 스프링 가이드와 연동하는 래치 링크와, 상기 래치 링크의 회동시 회전력을 받아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써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을 눌러 온시키는 핸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a 내지 도 4c의 래치 링크와 스프링 가이드 결합상태를 도 4a의 "가"방향, 도 4b의 "나"방향, 도 4c의 "다"방향에서 각각 바라보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식기 세척조의 본체(1) 상단에는 선단부에 피걸림편(2a)을 갖는 피걸림부재인 래치(latch)(2)가 고정되고, 상기 세척조 본체(1)에 힌지결합되는 도어(3) 일측에는 상기 래치(2)의 피걸림편(2a)을 홀딩하게 되는 포크(fork)형상의 홀딩핑거(4a)를 갖는 걸림부재인 래치 홀더(latch holder)(4)가 고정중심축A(5)를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도어(3)의 래치 홀더(4)의 하부에는 상기 래치 홀더(4)에 맞물려 래치 홀더(4)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는 한편, 자신의 외주면 상에 압축력을 받는 스프링(6)이 삽입되고 하방으로 개구부를 갖는 U자형홈(7a)이 형성된 스프링 가이드(7)가 위치한다.
이 때, 상기 래치 홀더(4)의 하단에는 원동 기어부(4b)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7) 헤드부에는 피동 기어부(7b)가 형성되어 래치 홀더(4)의 회전시 래치 홀더(4)의 원동 기어부(4b)는 스프링 가이드(7)의 헤드부에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 일측에는 스프링 가이드(7)의 회동시 연동하여 상단부의 고정중심축B(8a)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래치 링크(latch link)(8)가 설치된다.
이 때, 래치 링크(8)의 자유단인 하단부에는 상기 스프링 가이드(7)의 U자형홈(7a) 내에 위치하여 스프링(6) 하단을 지지하는 래치 링크(8)의 가변중심축C(8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가이드(7) 및 스프링(6)은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래치 링크(8)의 양측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3)의 또 다른 일측에는 상기 래치 링크(8)가 회동함에 따라 가압되어 고정중심축D(9a)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써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접점을 온(on)시키는 작용을 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기 위한 핸들(9)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식화한 것으로서, 도 4a와 같이 도어(3)의 록킹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에서 도 4C와 같이 도어(3)가 닫힐 때 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4a상태는 래치(2)가 래치 홀더(4)에서 완전히 벗어나고, 스프링(6)은 스프링 가이드(7) 헤드부의 턱단을 밀고 있는 상태이다.
이 때의 스프링(6) 상태를 도 4a의 "가"방향에서 바라보면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 가이드(7)는 래치 홀더(4)를 반시계방향으로 밀게 되므로써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에는 고정중심축D(9a)를 중심으로 핸들(9)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어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접점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식기세척기가 동작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4b는 도어(3)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3)를 닫기 위해 도어(3)를 래치(2) 방향으로 일정한 힘으로 밀어 스프링(6)이 최대로 압축된 임계시점의 상태도로서, 이를 "나"방향에서 바라보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 때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도어(3)에 가해지는 작용력(즉, 도어(3)를 닫히는 방향으로 미는힘)에 의해 본체(1)쪽으로 이동하던 도어(3)는 래치 홀더(4) 상단이 래치(2) 선단의 피걸림편(2a)에 닿음에 따라 래치 홀더(4)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 홀더(4)는 고정중심축A(5)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래치 홀더(4) 하단의 원동 기어부(4b)는 자연적으로 스프링 가이드(7) 헤드부의 피동 기어부(7b)에 맞물리게 된다.
이는 상기 래치 홀더(4) 하단의 원동 기어부(4b)와 스프링 가이드(7) 헤드부의 형상이 기어 형태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부의 피동 기어부(7b)가 래치 홀더(4)의 원동핑거 사이에 맞물려 상기 스프링 가이드(7)가 래치 홀더(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스프링 가이드(7)의 회동력은 다시 고정중심축B(8a)를 중심으로 래치 링크(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이는, 스프링 가이드(7)의 U자형홈(7a)내에 래치 링크(8)의 가변중심축C(8b)가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 가이드(7)와 래치 링크(8)가 연동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치 홀더(4)에 물려 상기 래치 홀더(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의 스프링 가이드(7)의 회동이 계속되다가 고정중심축A(5)와 고정중심축B(8a) 및 가변중심축C(8b)가 일직선에 위치하는 임계시점인 도 4b 상태가 되면, 상기 스프링 가이드(7)의 외주면에 설치된 스프링(6)은 래치 링크(8)의 가변중심축C(8b)에 의해 밀려 올라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즉, 스프링 가이드(7)가 래치 홀더(4)에 맞물려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래치 링크(8)의 가변중심축C(8b)는 스프링 가이드(7)의 U자형홈(7a) 상부로 점점 이동하게 되며, 이 때 스프링(6)은 상단이 스프링 가이드(7)의 양측 턱단에 걸려 있고 하단이 래치 링크(8)의 가변중심축C(8b)에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스프링 가이드(7)의 U자형홈(7a) 상부로 이동하는 래치 링크(8)의 가변중심축C(8b)에 의해 점점 상부로 밀려나면서 압축된다.
이 때에는 상기 고정중심축A(5)와 가변중심축C(8b)의 중심을 잇는 거리가 가장 멀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6)이 최대로 압축된 임계시점인 도 4b상태를 지난 후부터 래치(2)는 래치 홀더(4)의 홀딩핑거(4a)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 때에는 사용자가 도어(3)를 밀지 않더라도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 홀더(4)가 계속 회전하므로써 도어(3)는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3)가 도 4b의 임계 상태를 지난 시점부터는 래치 링크(8)의 가변중심축C(8b)가 받치고 있는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 가이드(7)는 래치 홀더(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밀게 되며, 상기 래치 홀더(4)의 원동 기어부(4b)에 맞물린 스프링 가이드(7)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계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 가이드(7)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시, 래치 링크(8)는 가변중심축C(8b)가 스프링 가이드(7)의 U자형홈(7a)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인해 스프링 가이드(7)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회동하는 래치 링크(8)는 일정시점에서 핸들(9)의 일측에 맞닿아 가압하므로써 핸들(9)을 고정중심축D(9a)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핸들(9)의 선단부가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접점을 눌러 온시키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피걸림부재인 래치(2)의 피걸림편(2a)은 완전히 회전을 완료한 걸림부재인 래치 홀더(4)의 홀딩핑거(4a)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래치 홀더(4)는 스프링(6)이 가하는 압력에 의해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4c는 위에서 설명한 도 4b의 상태를 지나 도어(3)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c의 "다"방향에서 바라보면 스프링(6)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래치(2)의 피걸림편(2a)에 래치 홀더(4)에 록킹된 상태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접점이 온되므로 식기 세척기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요컨데, 본 고안은 스프링(6) 및 링크 등을 이용한 토글 기구를 이용하여 식기세척기의 도어(3)를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식기 세척기 뿐만 아니라 그 밖의 다른 가전제품 등의 도어장치에도 응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는 토글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도어(3)를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닫을 수 있고, 열 경우에도 핸들(9)을 당기면 핸들(9)과 래치 홀더(4)를 직접 연결해주는 스프링 가이드(7) 및 래치 링크(8)가 있어서 쉽게 도어(3)를 열 수 있으므로 인해,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는 닫을 때에는 래치 홀더(4)가 고정중심축A(5)를 중심으로 회동하므로써 개폐기구가 연동하여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3)가 쉽게 닫히고, 도어(3)를 열 때에는 핸들(9)을 앞으로 당기기만 하면 핸들(9)이 고정중심축D(9a)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기구를 연동시켜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3)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토글 메커니즘을 이용하므로써 조작이 간편하고 록킹이 확실하게 수행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3)를 닫은 후에도 도어(3)와 가스켓(15)을 계속적으로 밀착시켜 가스켓(15)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고정위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완벽한 실링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식기 세척조의 본체 상단에 고정되는 피걸림부재인 래치와,
    상기 식기 세척조의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래치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게 되는 걸림부재인 래치 홀더와,
    상기 래치 홀더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래치 홀더에 맞물려 래치 홀더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외주면 상에 스프링이 삽입되고 하방으로 개구부를 갖는 U자형홈이 형성된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도어부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의 U자형홈 내에 스프링 하단을 지지하는 가변중심축이 위치하여, 도어 개폐시 스프링 가이드와 연동하는 래치 링크와,
    상기 래치 링크의 회동시 회전력을 받아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써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을 눌러 온시키는 핸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선단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피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래치 홀더 일측 선단에는 도어 록킹시 상기 래치의 피걸림편이 그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포크형상의 홀딩핑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홀더 하부에는 원동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의 헤드부에는 피동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동 기어부와 피동 기어부가 맞물려 연동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19970035647U 1997-12-04 1997-12-04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232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647U KR19990023287U (ko) 1997-12-04 1997-12-04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647U KR19990023287U (ko) 1997-12-04 1997-12-04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287U true KR19990023287U (ko) 1999-07-05

Family

ID=6969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647U KR19990023287U (ko) 1997-12-04 1997-12-04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32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134B1 (ko) * 2004-05-20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294777B1 (ko) * 2006-02-13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134B1 (ko) * 2004-05-20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294777B1 (ko) * 2006-02-13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1277B1 (en) Machine for treating textile items, in particular a washing machine
KR100457586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TWI294474B (ko)
KR19990023287U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JP2002165744A (ja) 引出し式食器洗浄機
CN100546529C (zh) 电热水壶壶盖的开盖结构
US6653581B2 (en) Device for closing the door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a dishwahser
KR101372269B1 (ko) 드럼세탁기
KR20010065127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
JP4761572B2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CN209429749U (zh) 全自动锁体
CN217696117U (zh) 烹饪器具
KR100585355B1 (ko) 도어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CN113425158A (zh) 液体加热容器
KR20030062538A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0335110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
CN115263096B (zh) 一种用于家用电器的门锁
KR0166862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0269558B1 (ko) 세정기
CN217066048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9306508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01167867Y (zh) 电热水壶壶盖的开盖结构
CN217696052U (zh) 烹饪器具
CN215128196U (zh) 一种洗碗机的自动关门机构
FR2997283A1 (fr) Machine a laver et a secher la vaisselle comprenant un dispositif d'ouverture partielle de por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