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801U - 라면조리용포트 - Google Patents

라면조리용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801U
KR19990022801U KR2019990006391U KR19990006391U KR19990022801U KR 19990022801 U KR19990022801 U KR 19990022801U KR 2019990006391 U KR2019990006391 U KR 2019990006391U KR 19990006391 U KR19990006391 U KR 19990006391U KR 19990022801 U KR19990022801 U KR 199900228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connector
rame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0028Y1 (ko
Inventor
배예준
신앙
정용설
Original Assignee
배예준
신앙
정용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예준, 신앙, 정용설 filed Critical 배예준
Priority to KR2019990006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0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8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8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028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면 조리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포트(1)의 용기(2) 바닥부(2a)에 전열선(3)이 내장됨과 더불어 상기 전열선(3)을 수용하는 하우징(4)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용기(2)의 외측에 용기(2)를 옮길 수 있도록 된 손잡이(5)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5)의 상부에 덮개(6)가 힌지결합되되 그 내측에 수용공간(7)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2)의 하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5)의 하단에 고정되는 전원연결기(8)가 구비되되, 상기 전원연결기(8)의 중앙부에는 상기 전열선(3)의 연결단자(9)와 접속되는 숫 커넥터(10)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2) 및 전원연결기(8)와는 분리설치되는 전원공급기(11)가 후방에 전원코드(12)를 구비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기(11)의 중앙부에는 상기 전원연결기(8)의 숫 커넥터(10)가 삽입되는 암 커넥터(13)가 회전가능하게 상방향으로 돌출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기(11)의 일측에 돌출된 버튼 데스크(14)의 상부에 자동 조리용 타이머(15)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라면 조리시의 안전성을 극대화하여 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간편한 라면 조리와 용기의 편리한 세척을 도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라면 조리용 포트{A pot for cooking a noodle}
본 고안은 라면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면을 안전하게 조리함과 더불어 조리후 용기의 세척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도록 한 라면 조리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라면은 플라스틱류의 용기에 함께 포장되어 뜨거운 물을 부어줌으로써 조리가 되는 용기면과, 비닐류의 봉지에 포장되어 냄비와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가능하도록 된 봉지면이 있는 바, 라면의 조리를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뜨거운 물이 필요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봉지면은 가장 보편적으로 소비자에게 보급되는 식품으로서,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라면이 조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봉지면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우선 봉지를 뜯고 봉지 내부의 라면과 분말 혹은 액상의 스프를 끓는 물에 넣어 익히게 되는 바, 이러한 조리를 위해서는 냄비와 같은 조리용 용기와 물을 끓이기 위한 열원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냄비에 물을 넣고 라면을 끓이는 과정이 경험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라면을 자주 조리해 보지 않은 소비자의 경우에는 물의 양이나 가열시간을 적정하게 맞추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라면 조리를 실패하는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냄비 대신에 전기의 열원을 이용한 커피 포트를 사용하여 라면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커피 포트의 수용부와 열원 공급부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피 포트의 세척이 상당히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상기 냄비나 커피 포트의 경우 그 몸체가 상당한 온도의 열로 달구어지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생겨 특히 어린이의 경우에는 종종 냄비로 인한 화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라면을 보다 안전하게 조리하면서도 라면이 정확하게 조리되도록 함과 더불어 라면 조리후의 용기세척을 용기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라면 조리용 포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부에 전열선이 원형을 이루면서 내장됨과 더불어 상기 전열선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된 용기와, 이 용기의 외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용기를 옮길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상부에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그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용기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전열선의 연결단자와 접속되는 숫커넥터가 그 중앙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전원연결기와, 이 전원연결기와 분리설치되어 후방에 전원코드를 구비하면서 상기 전원연결기의 숫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암 커넥터가 회전가능하게 중앙부에 돌출설치된 전원공급기 및, 이 전원공급기의 일측에 돌출된 버튼 데스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용기의 물을 다단계로 가열할 수 있도록 된 자동 조리용 타이머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라면 조리용 포트는 우선 상기 용기와 전원공급기가 서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라면 조리후 용기만을 탈착하여 세척을 할 수 있고, 또한 안전성을 위하여 용기의 전원이 단절될 경우 신속하게 용기가 냉각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 조리용 타이머에 의해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라면 조리시간을 설정하여 라면을 정확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라면을 조리할 수 있는 전용 포트에 의해 라면 조리시의 안전성을 극대화하여 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간편한 라면 조리와 용기의 편리한 세척을 도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면 조리용 포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면 조리용 포트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라면 조리용 포트의 바닥부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라면 조리용 포트에 설치된 자동 조리용 타이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포트 2 : 용기
2a : 바닥부 3 : 전열선
4 : 하우징 5 : 손잡이
6 : 덮개 7 : 수용공간
8 : 전원연결기 9 : 연결단자
10 : 숫 커넥터 10a : 접촉단자
11 : 전원공급기 12 : 전원코드
13 : 암 커넥터 14 : 버튼 데스크
15 : 타이머 16 : 온도감지센서
17 : 히터 18 : 고정홈
18a : 로케이터 19 : 돌출삽입부
19a : 가이드홈 20 : 판 스프링
21 : +단자 22 : -단자
23 : 절연체 24 : 작동 스위치
25 : 서모스태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면 조리용 포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면 조리용 포트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라면 조리용 포트의 바닥부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포트(1)를 이루는 용기(2)의 바닥부(2a)에 전열선(3)이 원형을 이루면서 내장됨과 더불어 상기 전열선(3)을 수용하는 하우징(4)이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용기(2)의 외측에 용기(2)를 옮길 수 있도록 된 손잡이(5)가 일체로 부착설치되며, 상기 손잡이(5)의 상부에 덮개(6)가 힌지결합되되 그 내측에 수용공간(7)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2)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5)의 하단에 고정되는 전원연결기(8)가 구비되되, 상기 전원연결기(8)의 중앙부에는 상기 전열선(3)의 연결단자(9)와 접속되는 숫커넥터()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2) 및 전원연결기(8)와는 분리설치되는 전원공급기(11)가 후방에 전원코드(12)를 구비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기(11)의 중앙부에는 상기 전원연결기(8)의 숫 커넥터(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암 커넥터(13)가 회전가능하게 상방향으로 돌출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기(11)의 일측에 돌출된 버튼 데스크(14)의 상부에 자동 조리용 타이머(15)가 설치되어 용기(2) 내부의 온도감지센서(16)를 통해 용기(2)의 물을 다단계로 가열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라면 조리용 포트(1)는 상기 전원연결기(8)와 일체로 형성된 용기(2)가 상기 전원공급기(11)와는 분리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라면의 조리후 용기(2)를 전원공급기(11)에서 분리시켜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용기(2)의 바닥부(2a)에 돌출된 하우징(4)의 내측에 전열선(3)이 내장된 오픈형의 히터(17)가 구비되어, 전원의 오프시 용기(2)의 내외부를 통해 히터(17)가 보다 빨리 냉각됨으로써 라면 조리후 용기(2)가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포트(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덮개(6)는 그 내측에 수용공간(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덮개(6)를 수평방향으로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손잡이(5)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고정되고, 상기 덮개(6) 내측의 수용공간(7)이 나타나면서 보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간이용기를 이룰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2)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전원연결기(8)와 이 전원연결기(8)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공급기(11)는 각각 전원연결기(8)의 숫 커넥터(10)와 전원공급기(11)의 암 커넥터(13)의 결합에 의해 서로 통전되는 바, 상기 숫 커넥터(10)가 고정되는 암 커넥터(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전원공급기(11)에 결합되는 용기(2) 및 전원연결기(8)가 회전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숫 커넥터(10)를 가지는 전원연결기(8)는 하부방향으로 고정홈(18)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기(8)의 고정홈(18)에 대응되게 전원공급기(11)의 상방향으로 돌출결합부(19)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8)과 돌출결합부(19)의 삽입에 의해 상기 숫 커넥터(10)와 암 커넥터(13)가 자연스럽게 결합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암 커넥터(13)의 외측에는 각각 판 스프링(20)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홈(18)과 돌출결합부(19)가 삽입될 경우에 상기 암 커넥터(13)가 고정홈(18)의 중앙에 탄력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력을 견고히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18)의 바닥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좌우로 각각 로케이터(18a)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로케이터(18a)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9a)이 상기 돌출결합부(19)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 상기 로케이터(18a)와 가이드홈(19a)의 결합에 의해 용기(2)의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숫 커넥터(10)와 암 커넥터(13)가 통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 커넥터(13)의 내측에 각각 설치된 +단자(21)와 -단자(2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되되, 상기 +단자(21)와 -단자(22)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그 상하부에 공간을 두고 그 공간에 절연체(23)를 삽입하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암 커넥터(13)에 삽입되는 숫 커넥터(10)의 접촉단자(10a)가 절연체(23) 접촉되는 경우에는 통전이 되지 않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로케이터(18a)와 가이드홈(19a)을 두어 이 들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항상 암 커넥터(13)의 +-단자(21,22)와 숫 커넥터(10)의 접촉단자(10a)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라면 조리용 포트(1)의 또다른 특징은 자동 조리용 타이머(15)의 설치에 있는 바, 상기 자동 조리용 타이머(15)는 포트(1)의 작동 스위치(24)와 함께 상기 전원공급기(11)의 버튼 데스크(14)에 설치되어, 라면의 조리를 위한 열의 온도를 다단계로 설정함으로써 라면의 정확한 조리를 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조리용 타이머(15)의 작동구조는 우선 1단계로 상기 작동 스위치(24)의 온에 의해 물의 온도가 100℃까지 상승하도록 약 4분 정도 물을 가열할 수 있게 자동 조리용 타이머(15)가 시간 및 물의 온도를 설정하고, 물의 온도가 100℃에 이르게 되면 상기 용기(2)의 내측에 설치된 온도 감지센서(16)의 신호에 의해 이와 연결된 서모스태터(25)가 물의 온도를 100℃ 이하로 낮추어 주는 2단계 과정을 거치면서 라면이 자동으로 조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라면 조리용 포트(1)가 자동으로 물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라면을 처음 끓이는 소비자일 경우에는 손쉽고 간편하게 라면을 조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라면 조리용 포트(1)에 안전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장치가 다수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라면 조리용 포트에 의하면, 라면 조리시의 안전성을 극대화하여 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간편한 라면 조리와 용기의 편리한 세척을 도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바닥부(2a)에 전열선(3)이 원형을 이루면서 내장됨과 더불어 상기 전열선(3)을 수용하는 하우징(4)이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된 용기(2);와
    상기 용기(2)의 외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용기(2)를 옮길 수 있도록 된 손잡이(5);와
    상기 손잡이(5)의 상부에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그 내측에 수용공간(7)이 형성된 덮개(6);와
    상기 용기(2)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5)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전열선(3)의 연결단자(9)와 접속되는 숫 커넥터(10)가 그 중앙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전원연결기(8);와
    상기 전원연결기(8)와 분리설치되어 후방에 전원코드(12)를 구비하면서 상기 전원연결기(8)의 숫 커넥터(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암 커넥터(13)가 회전가능하게 중앙부에 돌출설치된 전원공급기(11); 및
    상기 전원공급기(11)의 일측에 돌출된 버튼 데스크(14)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온도감지센서(16)를 통해 상기 용기(2)의 물을 다단계로 가열할 수 있도록 된 자동 조리용 타이머(15);로 이루어진 라면 조리용 포트.
KR2019990006391U 1999-04-19 1999-04-19 라면 조리용 포트 KR200250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91U KR200250028Y1 (ko) 1999-04-19 1999-04-19 라면 조리용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91U KR200250028Y1 (ko) 1999-04-19 1999-04-19 라면 조리용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801U true KR19990022801U (ko) 1999-07-05
KR200250028Y1 KR200250028Y1 (ko) 2001-11-16

Family

ID=5475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391U KR200250028Y1 (ko) 1999-04-19 1999-04-19 라면 조리용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0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150B1 (ko) * 2004-11-02 2006-05-15 이봉철 라면 간편 조리기
KR100753719B1 (ko) * 2006-04-10 2007-08-30 윤호형 라면조리포트
KR100816290B1 (ko) * 2006-11-24 2008-04-07 박현성 자동 라면조리기
KR101241184B1 (ko) * 2011-07-27 2013-03-13 주식회사 리홈 저온 가열 조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6766A (ja) * 2012-12-10 2015-12-24 ハム・ヨンスンHAM, Yong Seung 即席調理システム
KR20210089879A (ko) 2020-01-09 2021-07-19 이주원 전기쿠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150B1 (ko) * 2004-11-02 2006-05-15 이봉철 라면 간편 조리기
KR100753719B1 (ko) * 2006-04-10 2007-08-30 윤호형 라면조리포트
KR100816290B1 (ko) * 2006-11-24 2008-04-07 박현성 자동 라면조리기
KR101241184B1 (ko) * 2011-07-27 2013-03-13 주식회사 리홈 저온 가열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028Y1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1494A (en) Rechargeable battery heating unit
CN112804917B (zh) 电水壶
KR200406420Y1 (ko) 다기능 무선 전기포트
CN201088488Y (zh) 具有小型烹饪器的烤箱
JPS5844368B2 (ja) 料理器具
CN202234933U (zh) 无绳电气装置以及用于无绳装置的无绳电源
GB2365757A (en) Electric fryer separably connected to base
EP1512355A2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US3998143A (en) Battery powered coffee maker
EP3373777A1 (en) A device for making beverages having foam detection apparatus
KR200250028Y1 (ko) 라면 조리용 포트
GB2516053A (en) Electrical appliances and components
CN108720550A (zh) 烹饪用锅具及烹饪控制方法
AU2003257801A1 (en) A jug, an electrothermal jug and an electrothermal jug without wire for cooking beverage
US20080041237A1 (en) Automatic egg boiler
US5415572A (en) Adaptor for electric cooking apparatus
US3366776A (en) Holder for an electrically heated cooking vessel
EP1196066A1 (en) A kettle
US20230113939A1 (en) Modular multi-cooker
CN211299499U (zh) 一种养生壶
US3602129A (en) Percolator-controlalator
KR200240903Y1 (ko) 전기쿠커
CN219699606U (zh) 一种多烹饪方式锅具
CN219982688U (zh) 热饮制备装置
JPS6052804B2 (ja) 電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