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757A - 혀내밈 구강습관 훈련장치 - Google Patents

혀내밈 구강습관 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757A
KR19990022757A KR1019970709199A KR19970709199A KR19990022757A KR 19990022757 A KR19990022757 A KR 19990022757A KR 1019970709199 A KR1019970709199 A KR 1019970709199A KR 19970709199 A KR19970709199 A KR 19970709199A KR 19990022757 A KR19990022757 A KR 19990022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eeth
tongue
user
mo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온 쿠식
Original Assignee
레온 쿠식
쿠식 오르소페딕 시스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쿠식, 쿠식 오르소페딕 시스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레온 쿠식
Publication of KR1999002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7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0Devices for preventing finger-su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하 동작 동안, 후반부 치아에 의해 유지되어 앞니에 대해 혀를 내미는 것을 회피하도록 길들이도록 고안된 혀내밈 습관 구강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상부 첫 번째 후반부 치아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치-삽입 세그먼트;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연장하여 구개와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된 구개 의치틀; 및 혀끝이 정상적인 혀내밈을 개시하기 위해 적절하고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사용자 혀를 입 내부에서 중앙 위치에서 둘러싸는 후방으로 개방된 주머니 또는 채널을 치-삽입 세그먼트 및 상부 돌출부와 함께 생성하도록 된 하방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혀내밈 구강습관 훈련장치
정상적인 연하동작의 경우, 먼저, 혀끝이 앞니 바로 뒤에서 위턱 또는 구개의 전반부에 닿아 위치하게 된다. 연하 동작 시에, 혀 및 그 상면은 경구개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혀내밈 문제가 있는 이(보통은 어린이)는 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연하동작 시점에서 대개는 구강 내에서 혀를 너무 낮게 그리고 너무 전방에 위치시키며, 연하동작의 말미에서 상부 앞니 정면에 위치시킨다. 혀내밈 습관의 반복된 압력은 흔히 상부 앞니 및 주위 뼈를 전상방으로 옮기게 되어, 상하 앞니 사이에서 개방된 공간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 개방된 공간은 전방 치아물림 부정교합이라 불린다. 부정확하고 느린 연하동작 동안에, 혀내밈 환자는 빈번하게 그들의 아래 입술을 상부 윗니의 배면에 대고 역시 누르게 되어 부정교합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본 출원인은 이전에 혀내밈 문제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를 미합중국 특허 제4,997,182호에 개시하였다. 본 출원인은 상기 장치가 혀내밈 문제를 교정하고 부정확한 연하동작 및 다른 구강습관에 의해 야기된 부정교합의 교정을 용이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다 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장치는, 신경이 조밀하게 분포된 혀 표면이 상부 앞니 바로 뒤에 위치하고 조밀하게 신경 분포된 경구개의 전방 만곡부에 접촉하도록 길들여지는, 접촉주성 조건을 통해 작동한다고 알려졌다. 상기 길들여진 위치는 정상 연하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이다. 상기 장치는 환자의 입 내부에 정확하게 삽입하기 위한 실제적인 기술과 인내를 요구하므로, 미합중국 특허 제4,997,182호에서의 장치는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장치를 환자의 입 내부에 용이하게 끼워 넣기 위하여, 여러 특징들이 상기한 기본이 되는 미합중국 특허 제4,997,182호에서의 혀내밈 교정장치에 부가되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4,997,182호의 전체의 개시는 참조로써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본 발명은 연하 동작 및 다른 구강습관에 관련한 혀내밈 문제를 교정하기 위한 구강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2는 교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3은 교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4는 도시된 장치의 중심 대칭축을 따라 보여진 단면도.
도5는 삽입 과정 동안에 환자의 입 내부에 수용될 때의 도4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상부 후반부 치아에 끼워져 사용자로 하여금 혀를 앞니에 대해 밀어내지 않고 정확히 연하동작을 수행하도록 훈련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의 제1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1) 사용자 입의 일측에서 후반부 이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1교합홈, (2) 사용자 입의 타측에서 후반부 이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2교합홈(2), 및 (3) 상부 앞니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전방부를 포함하는 치-삽입 세그먼트;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연장하여 사용자의 혀끝을 사용자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부조직을 향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ramp)을 생성하도록 적합화된 하방돌출부; 치-삽입 세그먼트의 상부를 둥굴게 하여 제1 및 제2 교합홈을 연결하는 루프(loop) 형상을 가지며, 치-삽입 세그먼트 및 하방 돌출부와 관련하여, 사용자 혀가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구조직을 접촉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생성시키도록 적합화되는 구개 의치틀(palatal bridge)을 포함한다.
하방 돌출부, 치-교합 세그먼트 및 구개 의치틀의 결합은 혀가 둘러싸이는 후방으로 개방된 주머니 또는 채널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입의 각 측에서의 상부 후반부 치아와 상부 앞니와 세 접촉점을 형성하므로써, 장치가 끼워 넣어진 동안에, 장치로 하여금 환자의 입 속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장치가 환자의 상부 후반부 치아에 견고하게 끼워진 후, 상부 전반부 치아와 접촉하는 장치부분은, 반복적인 혀내밈 및 그로 인한 아래 입술의 압력이 경감될 때 발생하는 상부 앞니의 바람직한 하방 및 후방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도록, 장치의 정규사용 전에 절개되거나 연마되어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구개 의치틀은 구개와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적합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방 돌출부는, 환자가 그의 입을 닫았을 때, 아랫니 또는 턱에 압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회피하도록 적합화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교합홈은 중합체 물질을 정착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멍은 중합체 물질을 끼워 넣기에 적당한 경사진 모서리를 가져서 장치와 중합체 물질 사이에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개 의치틀은 루프 상부가 약2㎜ 내지 약4㎜ 정도 구개로부터 거리를 두고 안착되도록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혀내밈 교정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반부 치아의 정면에서(즉, 뺨 측으로) 환자의 입에 끼워 넣어지도록 된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측면 몰딩 상승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몰딩 상승부는 환자의 6년령 어금니로의 측면 접근을 간섭하는 것을 피하도록 적합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혀내밈 교정장치는 앞니의 정면에서 안착되도록 적합화된 적어도 하나의 순열 돌출부 및 (1) 두 개의 앞니 사이의 틈 또는 (2) 환자의 앞면의 중심선에 장치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장치의 중앙선에서 순열 돌출부 상에 마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후반부 윗니에 끼워져 혀를 앞니에 대해 밀어내지 않고 정확히 연하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자를 훈련시키기 위해 고안된 혀내밈 구강 교정장치의 제2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1) 사용자 입의 일측에서 후반부 이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1교합홈,(2) 사용자 입의 타측에서 후반부 이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2교합홈을 포함하는 치-삽입 세그먼트;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연장하여 사용자의 혀끝을 사용자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부조직을 향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ramp)을 생성하도록 적합화된 하방돌출부; 치-삽입 세그먼트의 상부에서 둥굴게 된 루프 형상을 가지고, 제1 및 제2 교합홈을 연결하며, 치-삽입 세그먼트 및 하방 돌출부와 관련하여, 사용자 혀가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구조직을 접촉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생성시키도록 적합화된 구개 의치틀(palatal bridge); 및 환자 입에 끼워 넣어지는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반부 치아의 내외 측까지 연장하는 하나이상의 측면 몰딩 상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교정장치는 중합체 물질을 장치 상에서 그리고 환자의 후반부 치아 주위에서 성형하고, 계속하여 상기 물질을 치아-형태를 이룬 탄력있는 고형제로 경화처리(고화처리)하므로써, 환자의 입에 맞추어진다. 장치를 환자의 입에 효과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형태를 이루고 경화된 물질은 환자의 이빨의 외면과 같은 형태를 따라야 하며, 형태를 갖춘 중합체 물질은 장치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측면 몰딩 상승부는 중합체 물질로 하여금 이빨들의 외면 형상과 같은 모양을 용이하게 따르도록 허용한다. 장치가 제작될 때, 측면 몰딩 상승부가 실현되므로, 환자 이빨의 외면의 본을 형성하기 위한 튼튼한 유지벽을 제공한다. 또한, 환자 이빨의 본을 뜬 후, 그러나 경화되기 전에, 측면 몰딩 상승부는 중합체 물질을 위한 주요한 지지 및 수용부를 제공한다. 제1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2실시예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반부 윗니에 끼워져 혀를 앞니에 대해 밀어내지 않고 정확히 연하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자를 훈련시키기 위해 고안된 혀내밈 구강 교정장치의 제3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 입의 일측에서 후반부 치아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1교합홈(1), 사용자 입의 타측에서 후반부 치아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2교합홈(2)을 포함하며, 각 교합홈이 중합체 물질을 정착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치-삽입 세그먼트;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연장하여, 사용자의 혀끝을 사용자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부조직을 향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을 생성하도록 적합화된 하방돌출부; 치-삽입 세그먼트의 상부를 둥굴게 하여 제1 및 제2 교합홈을 연결하는 루프 형상을 가지며, 치-삽입 세그먼트 및 하방 돌출부와 관련하여, 사용자 혀가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부조직과 접촉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생성시키도록 적합화된 구개 의치틀(palatal bridge)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구멍은 장치를 환자의 입에 맞추는 데 사용되는 중합체 물질과 기형성된 장치 사이를 용이하게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멍들은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합체 물질 부분이 구멍의 양측에서 몰딩 되도록 허용하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모서리를 갖는다. 이들 큰 직경부분은 중합체 물질이 기형성된 장치에서 분리되는 것으로부터 안정시키는 플러그 또는 언더컷으로서 작용한다. 제1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3실시예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교합홈의 상면에 중합가능 물질을 끼워넣는 단계; 장치의 중심선을 환자의 치아들 또는 입과 시각적으로 정렬시키고 장치의 치-삽입 세그먼트와 입의 양측에서의 앞니와 후반부 치아 사이에서 안정되게 세점이 접촉하도록 확실하면서 환자의 상부 치아와 같은 형태로 중합체 물질을 몰딩 하는 단계; 몰딩된 치아로부터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 중합체 물질을 경화 처리하여 그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혀내밈 교정장치를 피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끼워넣는 단계 다음 및 상기 분리 단계 전에 초기 부분적 경화처리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물질이 광-경화가능 물질이며, 상기 경화처리 단계는 광-경화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부 네 개의 앞니와 접촉하는 장치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경화된 장치를 다듬으며, 다듬어진 장치가 앞니의 생성 및 움직임과 주위 뼈로의 적응을 허용하도록 적합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용어의 정의)
다음의 용어는 아래와 같이 설명된 의미를 갖는다.
● 환자의 상부 후반부(또는 뺨측) 치아의 교합면
환자의 상부 후반부(또는 뺨측) 치아의 교합면이란 송곳니 뒤쪽에 위치된 상부 치아의 씹는 면.
● 몰딩 벽 또는 상승부
외부 몰딩 벽 또는 상승부는 환자의 상부 치아의 부분 형태로 몰딩된 중합체물질을 포함하고 지지하도록 고안된 홈의 일측의 상승부이다. 상기 상승부는 중합체 물질을 상부 원호 및 치아의 외면에 적합하도록 용이하게 형태를 만들며 지지한다.
● 교합홈
교합홈은 본 발명의 장치를 어금니의 교합면 및 측면으로의 몰딩을 용이하도록 고안된 부분이다.
● 중합체 물질
중합체 물질이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아 형상에 적합하도록 몰딩될 수 있으며, 계속하여 몰딩된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물질이다.
● 후반부 치아
후반부 치아는 송곳니 뒤쪽의 치아이며; 이들 치아는 때때로 뺨 또는 볼 쪽의 치아라고 불린다.
도1을 참조하면, 장치(20)의 치-삽입 세그먼트(1)는 거의 반원 형상이고 제1교합홈(3) 및 제2교합홈(4)으로 불리는 전반부(2) 및 두 개의 후반부를 갖는다. 전방부(2)는 참조선(5)에 의해 구분된다; 라인(5)의 정면에서의 전반부(2) 부분은, 장치가 환자의 입속에 끼워진 후 절개되거나 연마되어 제거된다. 치-삽입 세그먼트(1)는 제1교합홈(3) 및 제2교합홈(4)에서 상부 후반부 치아와 접촉하도록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치-삽입 세그먼트(1)는 송곳니 바로 뒤에 위치된 두 개의 상부 후반부 치아(즉, 제1 및 제2 어금니)의 적어도 하나와, 각 측면 상에, 접촉한다. 약 10세 미만의 어린이에 대해, 상기 치-삽입 세그먼트(1)는, 일반적으로, 제2 어금니(즉, 젖니)에 접촉하며; 10세 이상의 어린이 및 성인에 대해서는, 치-삽입 세그먼트(1)는, 일반적으로, 영구 앞어금니, 즉, 소구치에 접촉한다. 혀 채널(11)의 상부를 형성하는 구개 의치틀(6)(도4 참조)은 루프 형상(도4 및 도5에 도시된 채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구개 의치틀(6)의 상부는 구개에서 약 2㎜ 내지 약 4㎜ 정도 거리를 두고 안착된다. 제1 측면 몰딩 상승부(7) 및 제2 측면 몰딩 상승부(7')는 사용자의 영구 앞어금니 또는 젖니(즉, 임시 어금니) 옆에 안착되도록 적합화된다. 핸들(14)은 장치를 환자에 끼워 넣고 중심을 맞추는 과정을 돕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대칭 부분을 갖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도4에서의 단면도를 지지하는 축선에 대해 대칭이다.
도2는 중합체 물질이 장치와 용이하게 결합되는 제1구멍(9) 및 제2구멍(9')이 도시된, 교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하방 돌출부(8)는 도2 및 도3에서 그 측면이 도시된다. 하방 돌출부(8)는 혀가 끼워지는 채널 또는 주머니의 하부 부분을 형성한다. 채널(11)은 혀끝이 상방향으로 뻗어 사용자의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부조직과 접촉하는 방향이 되도록 형상 지워진다.
도4는 도시된 장치의 중심 대칭축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며, 상기 도면에서, 구개 의치틀(6) 및 하방 돌출부(8)로부터 형성되며, 사용자의 혀의 위치를 통제하는 채널(11)이 도시되어 있다. 도5는 환자의 입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의 도4의 단면도이다. 치아(31), 잇몸(32), 입술(33), 및 구개(34)가 역시 도시된다. 구개 의치틀(6)은 혀가 채널(11)(도4 참조)에 의해 안내되는 혀 구멍(15)(도1 참조)을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혀 구멍(15)은 혀가 다소 뻗어 구개(34)에 접촉하도록 고정된다. 혀끝과 앞니 바로 뒤의 구개의 전방 만곡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조장될 때, 양 지각-신경 밀집 구조에서의 감각적 자극은 반복된 접촉에 대해 충분하게 반응하여, 교정 연하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이상적인 위치에 혀를 위치시키는 바람직한 행동을 보상한다. 교정 장치(20)는 넓은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한된 수의 사이즈가 대부분의 환자를 수용해야 한다. 사실, 하나의 보편적인 사이즈가 4세 이상의 대부분의 어린이 또는 성인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약 50㎜ 내지 55㎜의 입에 수용되어, 제2젖니 또는 앞어금니의 외부 모서리를 격리시키도록 제작된다. 교정 장치(20)는 렉산(Lexan; 제너럴 일렉트릭, 피츠필드, MA) 폴리아모메틱 카본네이트(polyarmomatic carbonate)와 같은 메타크릴레이트(mathacrylate), 폴리카본네이트(polycarbonate)를 포함하는, 아크릭과 같이 탄력있는 고형 플라스틱, 또는 비교적 강하고, 인체친화적이며, 주조성 또는 결합성을 갖는 다른 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젝션 몰딩에 의해 제작된다.
앞니의 상부 전면 모서리 아래에 놓이는 치-삽입 세그먼트의 일부분(2)은 장치 중심선을 표시하는 마킹(marking)을 포함한다. 상기 마킹은, 그 가운데서도, 노치, 주름, 구멍, 노브, 컬러 라인 일수 있다. 상기 마킹은 앞니의 정면에 끼워지며, 두 개의 앞니 사이의 함몰부에 안착되도록 적합화된 돌기부(13)를 갖는 순열 돌출부(12)일 수 있다(도4 참조). 환자 앞니가 환자의 입의 중심선이 충분하게 확인되지 않을 경우, 코 또는 턱과 같은 앞면 마크들은 가시적으로 장치와 정렬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치-삽입 세그먼트(1)는 충분히 평탄하여, 환자의 입의 양측에서, 환자의 상부 후반부(뺨측) 치아의 교합면과의 안정적 접촉을 허용한다. 일부 또는 모든 앞니 아래에 끼워지는 치-삽입 세그먼트(1)의 부분(2')은 장치가 환자에 용이하게 끼워 넣어지도록 이용된다. 이 전방 서브포션( 상기 부분(2'))은 장치와 환자의 상부 앞니 사이에서 안정된 세 개의 접촉점, (a) 제1 교합홈(3) 및 환자의 우측에 위치된 상부 후반부 치아와 (b) 제2 교합홈(4) 및 환자의 좌측에 위치된 상부 후반부 치아 사이에서의 다른 두 개의 접촉점을 생성한다. 끼워 넣어진 후, 매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전방 서브포션(2')은 절개하여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포션(2')를 정의하는 라인(5)은, 상기 부분(2')이 절개된 후, 기구의 정면 모서리가 상부 앞니의 원호 형상의 윤곽을 가지며 그에 평행한 위치로 선정된다. 제1 교합홈(3) 및 제2 교합홈(4)은 장치가 환자에 만족스럽게 끼워지도록 환자의 상부 후반부 치아의 형상으로 몰딩되는 중합체 물질을 지지하도록 이용된다.
치-삽입 세그먼트(1)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상부 앞니에 끼워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네 개의 앞니에 끼워진다. 또한, 치-삽입 세그먼트는 입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상부 후반부 치아 아래, 바람직하게는, 각 측에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치아 아래에 끼워진다. 중합체 물질이 장치(20)에 끼워 넣어진 후, 장치는 상기 후반부 치아의 측면과의 교합면과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측면 몰딩 상승부(7) 및 제2 측면 몰딩 상승부(7')은 입의 각 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외측(즉, 볼 측)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측면 몰딩 상승부(7) 및 제2 측면 몰딩 상승부(7')는 두 개의 후반부 치아의 외측에 각각 끼워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몰딩 상승부(7) 및 제2 측면 몰딩 상승부(7')는 제1 영구 어금니(즉, 6년령 어금니)로의 측면 접근을 막지 않는다. 이 점은, 6년령 어금니의 이용이, 예를 들면, 6년령 어금니에 부착된 구강 어금니 튜브(buccal molar tube)를 이용하여, 오버제트(overjet)를 교정하기 위한 헤드기어(headgear), 속박용 원호 와이어, 또는 밴드와 같은 다른 치열교정장치를 정착시키도록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좁은 입에 대해서는, 측면 몰딩 상승부가, 환자의 치아 주위에서 경화된 중합체의 몰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용된 후, 연마되어 제거된다. 충분하게 몰딩되고 경화 처리된 중합체 물질이 상부 후반기 치아를 유지한 채로 남겨진 동안에, 잉여분의 물질의 제거는 환자의 안락함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치-삽입 세그먼트(1)에 형성된 제1 구멍(9) 및 제2 구멍(9')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8㎜의 직경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6㎜의 직경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제1 구멍(9) 및 제2 구멍(9')은 상부 후반부 치아 아래에 끼워지는 치-삽입 세그먼트(1)의 전체 면적의 약 30% 이하로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로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멍(9) 및 제2 구멍(9')은 환자 치아에 장치를 끼워 넣는데 이용되는 중합체 물질과 교정장치(20) 사이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경사진 모서리를 가진다. 상기 큰 직경 부분은 경화 처리된 중합체가 수행된 교정장치(20)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부터 안정시키는 플러그 또는 언더컷으로서 작용한다. 기구 및 경화처리 되지 않았거나 부분적으로 경화 처리한 중합체 물질 사이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한층 더 경화 처리될 것보다 약하다는 점에서, 상기 결합 안정화는 중합체 물질을 몰딩하는 동안에 환자의 치아와 같은 형태로 순응시키는 데에 관계한다.
교정장치(2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개 의치틀(6)은 상부 구개와 접촉하는 것을 피하도록 적합화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방 돌출부(8)는, 환자가 그의 턱을 닫았을 때, 환자의 하부 치아 또는 턱을 타격하거나 압력을 가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하방 돌출부(8)는 환자가 교정 장치(20) 뒤에서 무는 동작을 방지할 정도로 입의 뒤쪽으로 충분하게 돌출 된다.
예를 들면, 열에 의한 경화처리, 화학적 경화처리, 압력 경화처리와 같은, 다른 경화처리 수단이 이용될 수 있지만, 교정장치(20)는, 바람직하게 광-경화가능한 중합체 물질을 사용하여, 환자의 치아 또는 환자의 상부 치아 및 입의 형태로부터 본을 떠서 제작된 작동 모델에 끼워진다. 경화처리 전의 상기 물질은 처리 가능할 정도의 유동성이 있는 끈기를 갖지만, 적어도 기형성된 형태를 짧은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한 중합체 물질은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물질(urethanedmethacrylate material material)이다. 상기 물질은 요크(YORK)의 덴스프리(Densply)로부터 TRIAD VLC Provisional(로프 형태)로서 구득가능하다. TRIAD 로프가 사용될 때, 바람직하게는, TRIAD 로프 물질을 적용하기 전에, 기구는 겔 형태의 TRIAD VLC(덴스프리)의 우레탄-다이메타크릴레이트(urethane-dimethacrylate) 단량체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량체(뉴욕 파밍데일, 파켈로부터 SNASP 액체 단량체, 덴스프리로부터의 TRIAD VLC 본딩 에이젼트, Milford, DE, 덴스프리의 L.D. Cork division에 의해, 치열교정용 수지와 같은 판매 용액)에 의해 적셔진다.
TRIAD VLC 본딩 에이젼트로 적시는 것은 제조사의 권고사항을 따르며, 상기 권고사항은 (a) 본딩 에이젼트를 적용시키는 과정, (b) 적용된 본딩 에이젼트를 일분동안 안착하는 과정, 및 (c) 적용된 본딩 에이젼트를 적당한 약한 광원에 2분 동안 노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권고 공정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합체 물질은 후반부는 후반부 치아, 특히, 제1교합홈(3) 및 제2교합홈(4)의 주위 아래에 끼워지는 치-삽입 세그먼트(1)의 상면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질은 치-삽입 세그먼트(1)에서의 제1구멍(9) 및 제2구멍(9') 속에 채워넣어짐으로써 교정장치에 견고하게 정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일부의 중합체 물질이 제1 측면 몰딩 상승부(7) 및 제2 측면 몰딩 상승부(7')의 내면에 적용된다.
설명되지 않았지만, 교정장치(20)는 제1 내측면 몰딩 상승부(17)(도시되지 않음) 및 제2 내측면 몰딩 상승부(17')(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제1 내측면 몰딩 상승부(17) 및 제2 내측면 몰딩 상승부(17')는, 각각 중합체 물질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제1교합홈(3) 속에 끼워지는 후반부 치아 및 제2교합홈(4) 속에 끼워지는 후반부 치아의 내측에 안착된다. 통상적으로, 제1 측면 몰딩 상승부(7) 및 제2 측면 몰딩 상승부(7')는 후반부 치아가 안착되는 제1교합홈(3) 또는 제2교합홈(4)의 바닥부 상부로 약 4㎜ 내지 약 8㎜ 각각 연장한다. 제1 내측면 몰딩 상승부(17)는, 통상적으로, 제1교합홈(3) 및 제2교합홈(4)의 바닥부 상부로 약 2㎜ 내지 약 3㎜ 각각 연장한다.
교정장치(20)는, 주의해서 장치를 상부 앞니 또는 입의 중심선에 정렬하면서, 후반부 윗니에 끼워 넣어진다. 그 다음, 장치 및 중합체 물질은, 치-삽입 세그먼트(1)의 전반부(2)가 중심을 맞추고 환자의 상부 앞니 모서리에 안착되도록 주의하면서, 치아의 첨단이 교합홈의 바닥에 접촉한 채로, 환자의 후반부 치아 또는 그의 모델 상에서 본을 뜨게 된다. 장치(20)가 제1구멍(9) 및 제2구멍(9')를 가지는 경우, 상기 몰딩 과정 중에, 손가락 압력이 제1구멍(9) 및 제2구멍(9')을 통해 밀려나오는 중합체 물질에 작용되어 중합체 물질을 유지시키고, 제1구멍(9) 및 제2구멍(9')를 통해 더 이상 밀려나오는 대신에, 환자의 치아 표면 주위로 상기 물질을 유동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바람직하기로는, 중합체 물질은 치아와 맞물려 안착된 채로 부분적으로 경화 처리된다. 만일 물질이 광-경화 특성을 가진다면, 일반적으로, 적당한 광원에 노출되어 1 내지 2분 동안에 경화된다. 그 후, 교정장치(20)는 조심스레 제거되어 한층 더 경화 처리하다. 일반적으로, 중합체가 광-경화처리된 경우, 추가적인 경화처리를 약 4 내지 약 6분 동안 수행한다. 경화 처리 후, 잉여분의 중합체 물질은 다듬어져 제거한다.
상기 경화처리 및 다듬질 과정 후, 치과 치료사는 환자 치아의 유효 피팅(fitting) 표면의 부분과 같은 형태를 갖는 물질이 분리 완성되었음을 발견하게 된다. 끼워 맞춤은, 치아-형태 홈에 반죽기질의 중합체를 생성하고 다시 환자의 치아를 삽입하여 중합체 반죽이 유효 피팅면에 걸쳐 넘치게 유동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반죽은 자기 경화(화학적으로)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경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중합체 반죽은 TRIAD VLC 겔 일수 있으며, 또는, 먼저 치열교정용 수지(L.D. Cork)를 적용하고 나서 SNAP 자기-경화 수지(뉴욕, 파밍데일, 파클 바이오메트리얼 디비젼(Parkell Biomaterial Division)의 고속-경화(quick-setting) 아크릴)를 부과하여 반죽 기질을 생성시킬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두 가지의 구성요소의 반복적인 적용이 충분한 중합체 반죽을 생성시키기 위해 요구된다. 상기 중합체 반죽을 모델에 피팅할 때, 베서린(vasoline)과 같은 이탈 물질이 중합체 반죽이 모델에 부착되지 않게 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치-삽입 세그먼트(1)의 전반부(2)는, 일반적으로, 제1교합홈(3) 및 제2교합홈(4)의 바닥부보다 두텁다. 상기 두께에 대한 하나의 이유는 서브포션(2')의 마찰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의 필요성 때문이다. 다른 이유는, 사용할 때에, 전반부(2)의 나머지 부분이 환자의 정면 하부 앞니와 접촉하기 때문이다. 제1교합홈(3) 및 제2교합홈(4)을 얇게 형성한 것은, 환자가 이를 맞물 때, 보다 안정되게 환자의 하부 정면 및 후반부 이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얇은 부분이 하부 후반부 치아와 접촉할 때, 부여된 힘이 얇은 부분에 위치한 상부 후반부 치아에 의해 고를게 지탱되므로, 하부 앞니와 접촉에 의한 순 토크힘이 작용하는 전반부(2) 보다 상기 부분이 얇게 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치-삽입 세그먼트(1)는 제2 어금니(즉, 송곳니 다음의 각 측의 두 번째 치아) 아래에 끼워지고 치-삽입 세그먼트(1)의 상기 부분은 약 1㎜ 내지 약 2㎜의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기로는, 중앙 두개의 앞니 아래에 끼워진 부분은 장치와 환자의 하부 치아 사이에서 보다 고른 접촉을 허용하도록 하는 다소 큰 두께를 가진다. 예를 들면, 상기 큰 두께는 약 3㎜ 내지 약 4㎜일 수 있다. 자연적인 이 맞묾 동안, 하부 치아가 장치(20)와 일정 간격의 세 개의 접촉점, 즉, 앞니와의 하나의 접촉점, 우측 후반부 치아와의 또 하나의 접촉점, 및 좌측 후반부 치아와의 세 번째 접촉점, 과 접촉할 때, 고른 이 맞물림 또는 하부 턱의 닫음이 수행된다.
만일, 교정 장치(20)가, 끼워 맞춤 동안, 상부 치아와 세 접촉점의 최전방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치-삽입 세그먼트의 전반부(서브포션)(2')를 가진다면,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부분은 끼워 맞춤 과정이 완료된 후에 걸개 되어 제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가 환자의 입에 끼워 넣어 진 후에 절개 제거될 장치의 전방 부분의 최소량을 정의하는 라인을 따라서, 교정장치(20)는 치-삽입 세그먼트에서 결각부를 갖는다. 상기 결각부는 교정장치(20)의 불필요하게된 전반부(2')의 초기 절개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초기 절개 후, 장치(20)는 잉여분의 물질을 연마 또는 절개함으로써 한층 더 다듬을 수 있다.
치-삽입 세그먼트의 전반부(2')는, 바람직하기로는, 교정장치의 전반 부분(부분(2)의 나머지 부분)이 상부 앞니의 선단 위치로부터 약 1㎜ 내지 약 3㎜, 바람직하기로는, 약 2㎜ 떨어져 환자의 입에 수용될 정도로 절개되거나 연마된다. 이런 식으로, 교정장치는 더욱 이상적인 치아 생성을 위한 치아의 하방 및 후방 움직임과 간섭하지 않게되며, 상기 교정 움직임은 혀내밈 습관에 의해 야기된 압력을 경감하므로써 야기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다듬질 과정에서는 환자가 그의 아랫입술을 그의 상부 앞니 상방 및 뒤로 이동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위치된 교정장치(20)의 전반부(2)의 충분한 양이 그대로 남겨진다. 결과적으로, 상부 앞니를 하방 및 후방으로 움직여 한층 더 이상적인 정렬(또는 순열)을 야기하는, 연하동작 재훈련에 따라서, 장치(20)는 상부 앞니의 교정 움직임 및 생성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층 더 다듬질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혀내밈 교정장치(20)는 적어도 하루 약 2 내지 3시간(보통, 방과후, 또는 저녁 식사후) 및 한밤 동안 착용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주로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에서의 여러 가지 변경, 및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것과 달리 실시 될 수 있음은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나타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는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강습관을 교정하는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구강구조에 적합한 교정장치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혀내밈 장애를 보다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치열이 보다 이상적인 정렬을 하도록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0)

  1. 상부 후반부 치아에 끼워 넣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혀 또는 아랫입술을 앞니에 대해 내밀지 않고 연하 동작을 행하게 길들이도록 고안된 혀내밈 습관 구강교정장치에 있어서,
    (1) 사용자 입 내부의 일측에서 후반부 치아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1교합홈, (2) 사용자 입 내부의 타측에서 후반부 치아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2교합홈, 및 (3) 적어도 두 개의 상부 앞니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전반부를 포함하는 치-삽입 세그먼트;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연장하여 사용자의 혀끝을 사용자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부조직을 향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적합화된 하방돌출부; 및
    치-삽입 세그먼트의 상부에서 둥굴게 된 루프 형상을 가지고, 제1 및 제2 교합홈을 연결하며, 치-삽입 세그먼트 및 하방 돌출부와 관련하여, 사용자 혀가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구조직과 접촉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생성시키도록 된 구개 의치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혀내밈 습관 구강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개 의치틀이 구개와 접촉을 회피하도록 적합화된 혀내밈 습관 구강교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돌출부가, 환자가 그의 입을 닫을 때, 하부 치아 또는 턱에 압력을 작용시키지 않도록 적합화된 혀내밈 습관 구강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 교합홈이 중합체 물질을 정착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혀내밈 습관 구강교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연장하여, 환자의 입 내부에서 후반부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또는 외측에 끼워지도록 적합화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 몰딩 상승부
    를 포함하는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몰딩 상승부가 환자의 상부 6년령 어금니로의 측면 접근을 막는 것을 회피하도록 적합화된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
  7. 제1항의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를 피팅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을 제1 및 제2 교합홈의 상면에 피팅하기 위한 끼워넣는 단계;
    환자의 입의 중심선과 장치의 중심선을 정렬하고 장치의 치-삽입 세그먼트와 상부 앞니 및 입 양측에서의 후반부 치아 사이의 안정된 세 접촉점에서 확실하게 접촉하는 동안 환자의 상부 치아의 형태로 상기 중합체 물질을 몰딩하는 단계;
    상기 몰딩된 치아로부터 장치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합체 물질을 경화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단계 이후, 상기 분리 단계 전에, 초기 부분 경화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광-경화가능 물질이며, 상기 경화처리 단계가 광-경화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피팅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부 네 개의 앞니와 접촉하거나 구속하는 장치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경화처리된 장치를 다듬어서, 다듬어진 장치가 상부 앞니 및 골조의 움직임 및 치아생성을 허용하여 혀내밈 습관장애에 의해 야기된 개방치합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팅 방법.
  11. 상부 후반부 치아에 끼워넣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혀 또는 아랫입술을 앞니에 대해 내밀지 않고 연하 동작을 행하게 길들이도록 고안된 혀내밈 습관 구강교정장치에 있어서,
    (1) 사용자 입 내부의 일측에서 후반부 치아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1교합홈, (2) 사용자 입 내부의 타측에서 후반부 치아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2교합홈을 포함하는 치-삽입 세그먼트;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연장하여 사용자의 혀끝을 사용자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부조직을 향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적합화된 하방돌출부;
    치-삽입 세그먼트의 상부에서 둥굴게 된 루프 형상을 가지고, 제1 및 제2 교합홈을 연결하며, 치-삽입 세그먼트 및 하방 돌출부와 관련하여, 사용자 혀가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구조직과 접촉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생성시키도록 된 구개 의치틀; 및
    상기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연장하여, 환자 입에서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반부 이의 내측 또는 외측에 끼워지도록 적합화된 하나 또는 그이상의 측면 성형돌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앞니 정면에 안착되도록 적합화된 장치를 순열 돌출부, 및 (1) 정렬두 개의 앞니의 중앙 또는 (2) 환자의 안면의 중심선과 정렬시키기 위하여 상기 순열 돌출부 상에서 장치의 중간 선에서의 마크
    를 포함하는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 몰딩 상승부가 두 개의 후반부 치아의 외측 또는 내측에 안착하도록 된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 몰딩 상승부가 상부의 양 6년령 어금니를 외측으로부터 구속되지 않은 채로 두고 다른 치아교정 기구를 정착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적합화된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삽입 세그먼트가 상부 두 개의 앞니 아래에 끼워지도록 적합화된 전반부를 포함하는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
  16. 제11항의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를 피팅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을 제1 및 제2 교합홈의 상면에 피팅하기 위한 끼워넣는 단계;
    환자 입의 중심선과 장치의 중심선을 정렬하고 장치의 치-삽입 세그먼트와 상부 앞니 및 입 양측에서의 후반부 치아 사이의 안정된 세 접촉점에서 확실하게 접촉하는 동안 환자의 상부 치아의 형태로 상기 중합체 물질을 몰딩하는 단계;
    상기 몰딩된 치아로부터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중합체 물질을 경화 처리하다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팅 방법.
  17. 상부 후반부 치아에 끼워 넣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혀 또는 아랫입술을 앞니에 대해 내밀지 않고 연하 동작을 행하게 길들이도록 고안된 혀내밈 습관 구강교정장치에 있어서,
    (1) 사용자 입 내부의 일측에서 후반부 치아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1교합홈, (2) 사용자 입 내부의 타측에서 후반부 치아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지도록 된 제2교합홈을 포함하며, 각 교합홈이 중합체 물질을 정착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치-삽입 세그먼트;
    치-삽입 세그먼트로부터 연장하여 사용자의 혀끝을 사용자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부조직을 향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적합화된 하방돌출부; 및
    치-삽입 세그먼트의 상부에서 둥굴게 된 루프 형상을 가지고, 제1 및 제2 교합홈을 연결하며, 치-삽입 세그먼트 및 하방 돌출부와 관련하여, 사용자 혀가 구개의 전방 만곡부의 연구조직과 접촉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생성시키도록 된 구개 의치틀
    를 포함하는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경사진 모서리부를 갖는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
  19. 제1항의 혀내밈습관 구강교정장치를 피팅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을 제1 및 제2 교합홈의 상면에 피팅하기 위한 끼워넣는 단계;
    환자의 입의 중심선과 장치의 중심선을 정렬하고 장치의 치-삽입 세그먼트와 상부 앞니 및 입 양측에서의 후반부 치아 사이의 안정된 세 접촉점에서 확실하게 접촉하는 동안 환자의 상부 치아의 형태로 상기 중합체 물질을 몰딩하는 단계;
    몰딩된 치아로부터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중합체 물질을 경화 처리하다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팅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단계 후이지만 상기 분리단계 전에, 초기 부분적 경화처리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팅 방법.
KR1019970709199A 1995-06-09 1996-06-07 혀내밈 구강습관 훈련장치 KR19990022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95P 1995-06-09 1995-06-09
US60/000093 1995-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757A true KR19990022757A (ko) 1999-03-25

Family

ID=2168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199A KR19990022757A (ko) 1995-06-09 1996-06-07 혀내밈 구강습관 훈련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36441A4 (ko)
JP (1) JPH11509437A (ko)
KR (1) KR19990022757A (ko)
CN (1) CN1192667A (ko)
AU (1) AU708753B2 (ko)
BR (1) BR9609366A (ko)
CA (1) CA2224007A1 (ko)
WO (1) WO1996041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81170A (zh) * 2007-12-07 2008-05-21 宋芝春 口腔功能矫治器
CN107468358B (zh) * 2017-08-21 2021-04-16 四川大学 一种肌功能训练矫治系统
CA3073969C (en) * 2017-09-13 2023-01-24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al training appliance
FR3075036A1 (fr) * 2017-12-18 2019-06-21 Bloc Express Assistance Appareil de reeducation fonctionnelle destine notamment aux personnes souffrant de troubles de la deglutition
CN108324411A (zh) * 2018-03-21 2018-07-27 北京大学口腔医学院 口腔局麻治疗保护器
CN109044725B (zh) * 2018-07-09 2020-09-29 宋金亮 一种舌肌锻炼装置
CN113081424B (zh) * 2021-03-04 2022-08-26 温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吞咽训练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3278A (en) * 1956-04-05 1958-05-06 Harold M Ross Protective mouthpiece
US3132647A (en) * 1962-04-19 1964-05-12 Corniello Giuseppe Anti-snoring device
US3478742A (en) * 1967-10-23 1969-11-18 Edward H Bohlmann Orthodontic multipurpose repositioner and oral habit conditioner
US3871370A (en) * 1973-07-05 1975-03-18 Lee E Mcdonald Tongue-thrust correction appliance
US4718662A (en) * 1985-12-26 1988-01-12 North Richard B Tongue positioning and exerci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709966A (es) 1998-06-28
JPH11509437A (ja) 1999-08-24
CN1192667A (zh) 1998-09-09
BR9609366A (pt) 1999-07-27
EP0836441A1 (en) 1998-04-22
EP0836441A4 (en) 1999-11-10
WO1996041585A1 (en) 1996-12-27
AU6268096A (en) 1997-01-09
CA2224007A1 (en) 1996-12-27
AU708753B2 (en) 199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470A (en) Tongue thrust oral habit retrainer
US5885073A (en) Orthopedic incline appliance and method
US4997182A (en) Tongue thrust corrective device
ES2713628T3 (es) Aparato bucal para corregir problemas de prognatismo mandibular de clase III
AU2013205854B2 (en) An orthodontic appliance
RU2510252C2 (ru) Зубные протезы, зубные дуги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US5645420A (en) Multi-racial preformed orthodontic treatment applicance
KR101152851B1 (ko) 영상정합용 구내장착물
US20140342300A1 (en) Class ii/iii corrector accomodating bite plates
KR101763763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KR19990022757A (ko) 혀내밈 구강습관 훈련장치
US20230058103A1 (en) Method and device to increase blood circulation and to encourage tooth eruption and muscle efficiency of a dental patient
US5678991A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the correction of class III skeletal and/or dental deviations
KR20230088379A (ko) 치열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상기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치열 교정 수단
KR101940741B1 (ko)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KR102619130B1 (ko)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2597281B1 (ko)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MXPA97009966A (en) Prayer of oral habit of push of the len
JP7486133B2 (ja) 上顎拡大および下顎後方移動に用いる歯列矯正装置
AU2015100651A4 (en) An orthodontic appliance
US20150238286A1 (en) Paediatric dental impression tray
US20150196373A1 (en) Dental impression tray
MXPA97009965A (en) Orthopedic inclination apparatus and 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