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646U - 소화전용화재발신기 - Google Patents

소화전용화재발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646U
KR19990022646U KR2019990005262U KR19990005262U KR19990022646U KR 19990022646 U KR19990022646 U KR 19990022646U KR 2019990005262 U KR2019990005262 U KR 2019990005262U KR 19990005262 U KR19990005262 U KR 19990005262U KR 19990022646 U KR19990022646 U KR 199900226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window
push switch
se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암
Original Assignee
김용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암 filed Critical 김용암
Priority to KR2019990005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646U/ko
Publication of KR199900226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646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합부재들의 분리없이 발신후 버튼의 복귀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버튼을 보호하는 투시창이 초기의 상태로 세팅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소화전용 화재발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시창(50)을 누름스위치의 버튼(62)에 일체로 부착함과 함께 이 투시창(50)이 누름압력에 대해 소정의 저항력을 갖도록 양단이 전장판(20)에 형성한 도피홈(22)에 고정되어 버튼(62)의 누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인 판스프링(40)에 의해 투시창(50)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성과, 상기 누름스위치를 버튼(62)의 누름과 재누름에 의해 전기적인 접촉을 개로 또는 폐로하는 왕복식 누름스위치(60)로 하여 이 왕복식 누름스위치(60)의 복귀가 판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왕복식 누름스위치(60)의 버튼(62)에 판스프링(40)을 끼운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화전용 화재발신기 {Afire transmitter for a fire hydrant}
본 고안은 옥내에 설치하여 화재의 비상시 버튼의 누름에 따라 비상신호를 발신하는 소화전용 화재발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신후 버튼의 복귀가 간단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버튼을 보호하는 투시창이 버튼의 복귀와 더불어 초기의 상태로 세팅되는 소화전용 화재발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빌딩등의 구조물 내의 벽체에 설치되는 소화전은 상하측에 각각 상측도어 및 하측도어에 의해 개폐자유로운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하측의 수납공간에는 급수호스를 내장하고, 상측의 수납공간 및 이를 개폐하는 상측도어에는 화재발신기 및 벨소자와 발광소자를 갖는 수신기등이 설치된다. 이때 소화전용 화재발신기는 수신기와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수신기의 벨소자 및 발광소자에 전기적인 신호를 발신하도록 조작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소화전용 화재발신기는 전장판에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누름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전장판을 사이에 두고 백커버 및 누름 스위치에 대향하도록 투시창을 구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프론트커버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에 화재에 의한 비상시에 화재발신기의 프론트커버에 구비한 투시창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이탈시키거나 또는 깨트린후 누름스위치의 버튼을 눌러서 수신기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소화전 화재발신기는 발신을 위한 조작후 이탈되거나 또는 깨진 투시창을 프론트커버를 분리한후 프론트커버에 재조립해야하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은 눌렀던 버튼의 복귀도 백커버를 분리한후 초기 상태로 되돌려야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소화전용 화재발신기는 발신후 투시창과 버튼을 초기의 상태로 복귀하기 위하여 프로트커버 및 배커버를 분리한후 수행해야하는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발신기를 이루는 부재들의 분리없이 발신후 버튼의 복귀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버튼을 보호하는 투시창이 초기의 상태로 세팅되는 소화전용 화재발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누름스위치를 설치한 전장판을 사이에 두고 백커버 및 압지면을 이루는 누름스위치의 버튼에 대향하는 투시창을 구비하여 소화전 외부로 노출되는 프론트커버를 결합한 소화전용 화재발신기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버튼에 일체로 부착하고, 상기 투시창이 누름압력에 대해 소정의 저항력을 갖도록 양단이 전장판에 형성한 도피홈에 고정되어 버튼의 누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인 판스프링에 의해 투시창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스위치는 버튼의 누름과 재누름에 의해 전기적인 접촉을 개로 또는 폐로하는 왕복식 누름스위치로 구비하고, 이 왕복식 누름스위치의 복귀가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왕복식 누름스위치의 버튼에 판스프링을 끼운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재발신기를 적용한 소화전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소화전용 화재발신기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1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안 부호의 설명 *
10: 소화전용 화재발신기 12: 프론트커버
20: 전장판 22: 도피홈
30: 백커버 40: 판스프링
50: 투시창 60: 왕복식 누름스위치
62: 버튼 100: 소화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부호 100은 소화전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소화전(100)은 급수호스를 내장한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하측도어(2)와, 하측도어(2)의 상측에 구비하여 수신기를 포함한 전장품을 내장한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상측도어(4)와, 상측도어(4)에 투시창(50)이 투시되도록 장착한 소화전용 화재발신기(10)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소화전용 화재발신기(10)는 도2와 도3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과 재누름에 의해 전기적인 접촉을 개로 또는 폐로하는 왕복식 누름스위치(60)를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도록 전장판(20)에 설치하고, 이 전장판(20)을 사이에 두고 백커버(30)및 왕복식 누름스위치(60)에 대향하는 통공(14)을 형성한 프론트커버(12)를 결합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서 왕복식 누름스위치(60)는 프론트커버(12)의 통공(14)을 통해 누름면을 이루는 버튼(62)과, 버튼(62)에 구비되어 버튼(62)의 동작을 구속하는 잠금수단 및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는 잠금수단을 구비한 접점부(70)을 갖는다. 이러한 잠금수단 및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는 잠금수단을 구비한 접점부(70)을 갖는다. 이러한 잠금수단을 구비한 접점부(70)는 버튼(62)의 누름동작에 대해 버튼(62)의 소정위치에 구비한 가동단자가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고정단자에 접점을 이루거나, 접점을 이룬 상태에서 형합식으로 버튼(62)이 고정되는 통상의 왕복식 누름스위치(60)의 구성으로 도면상에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왕복식 누름스위치(60)의 버튼(62)에는 프론트커버(12)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는 면적으로, 즉, 프론트커버(12)에 형성한 통공(14)보다 큰 면적의 투시창(50)을 일체로 부착한다.
또한 투시창(50)이 누름압력에 대해 소정의 저항력을 갖도록 양단이 전장판(20)에 형성한 도피홈(22)에 고정되어 버튼(62)의 누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인 판스프링(40)에 의해 투시창(50)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아울러 왕복식 누름스위치(60)의 버튼(62)에 판스프링(40)을 끼워지도록 하여 왕복식 누름스위치(60)의 복귀가 판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2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버튼(62),투시창(50),판스프링(40)은 본 고안에 의한 소화전용 화재발신기(10)의 작동전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이를 외부인에게 알리기 위하여 투시창(50)을 밀면 도3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투시창(50)은 판스프링(40)의 탄성적인 저항력에 의해 일정 압력하에서 밀리게 된다.
이때 투시창(50)이 버튼(62)에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판스프링(40)의 수축과 동시에 버튼(62)이 후진 하게된다. 이에 버튼(62)은 판스프링(40)이 수축된 상태로 접점부(70)가 접점을 이루어 전기적인 신호를 발신함과 함께 통산의 잠금수단에 의해 투시창(50)을 통한 버튼(62)의 압력을 해제하여도 접점 상태에서 버튼(62)이 고정된다.
이후 화재가 진압된 상태에서 버튼(62)을 다시 누르면, 버튼(62) 및 판스프링(40)의 복원력을 구속한 잠금수단이 해제됨과 함께 판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버튼(62)이 전진하여 초기의 상태로 세팅된다.
이때 버튼(62)에 투시창(50)이 일체로 부착됨으로서, 투시창(50)이 판스프링(4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프론트커버(12)의 통공(14)을 막는 초기의 상태로 세팅된다.
본 고안은 화재시 이를 알리기 위한 화재발신기의 조작후 부품의 분리 없이 버튼 및 투시창의 초기의 상태로 세팅됨으로써, 후 발신을 위한 정비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시창이 파손된 방지된 상태로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누름스위치를 설치한 전장판을 사이에 두고 백커버 및 압지면을 이루는 누름스위치의 버튼에 대향하도록 투시창을 구비하여 소화전 외부로 노출되는 프론트커버를 결합한 소화전용 화재발신기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50)은 버튼(62)에 일체로 부착하고, 상기 투시창(50)이 누름압력에 대해 소정의 저항력을 갖도록 양단이 전장판(20)에 형성한 도피홈(22)에 고정되어 버튼(62)의 누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인 판스프링(40)에 의해 투시창(50)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용 화재발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누름스위치는 버튼(62)의 누름과 재누름에 의해 전기적인 접촉을 개로 또는 폐로하는 왕복식 누름스위치(60)로 구비하고, 이 왕복식 누름스위치(60)의 복귀가 판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왕복식 누름스위치(60)의 버튼(62)에 판스프링(40)을 끼운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용 화재발신기.
KR2019990005262U 1999-03-31 1999-03-31 소화전용화재발신기 KR199900226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62U KR19990022646U (ko) 1999-03-31 1999-03-31 소화전용화재발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62U KR19990022646U (ko) 1999-03-31 1999-03-31 소화전용화재발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646U true KR19990022646U (ko) 1999-07-05

Family

ID=5475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262U KR19990022646U (ko) 1999-03-31 1999-03-31 소화전용화재발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26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15B1 (ko) * 2014-05-12 2015-04-16 이충언 전자담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15B1 (ko) * 2014-05-12 2015-04-16 이충언 전자담배
WO2015174708A1 (ko) * 2014-05-12 2015-11-19 이충언 전자담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3094C2 (ru) Радиосистема с универсальным связным интерфейсом
JP4617380B2 (ja) 1または複数のサージ電圧保護素子を有する差込型サージ電圧サプレッサ
WO2008046175A1 (en) Throat microphone assembly and communications assembly
CA2411644A1 (en) Internal fault indicator for power electrical devices
WO2002066932A3 (de) Steckvorrichtung
KR19990022646U (ko) 소화전용화재발신기
KR101700232B1 (ko)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KR200341240Y1 (ko) 화재발신기용 비상스위치의 누름장치
PL1676289T3 (pl) Wyłącznik ochronny z bimetaliczną tarczą zatrzaskową
KR200490138Y1 (ko) 결합분리형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CN220152668U (zh) 智能控制设备
KR200288998Y1 (ko)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US5831229A (en) Mechanical-type automatic circuit-breaking appliance switch assembly
CN105333404B (zh) 照明装置的端盖和照明装置
KR19990022775U (ko) 소화전용화재발신기의투시창개폐장치
KR200179012Y1 (ko) 화재발신기용 비상스위치의 누름장치
KR20210127576A (ko) 스마트 소화방재장치
KR200243651Y1 (ko)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
JP2520201B2 (ja) 火災発信機
KR200155283Y1 (ko) 소방용 경보장치
US20040245856A1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for preventing error pushing
KR200155282Y1 (ko) 소방용 경보장치
CN214753478U (zh) 一种防火门开关门状态监测开关
KR200424931Y1 (ko)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하여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출입문
CN220963181U (zh) 附件集成模块及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