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956A - 유체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유체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956A
KR19990021956A KR1019970708431A KR19970708431A KR19990021956A KR 19990021956 A KR19990021956 A KR 19990021956A KR 1019970708431 A KR1019970708431 A KR 1019970708431A KR 19970708431 A KR19970708431 A KR 19970708431A KR 19990021956 A KR19990021956 A KR 19990021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cup
cup
dispenser
hold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해리 플레위트
Original Assignee
페터 죤 기딩스
스미스클라인비이참피이엘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터 죤 기딩스, 스미스클라인비이참피이엘시이 filed Critical 페터 죤 기딩스
Publication of KR1999002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9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26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26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 G01F11/26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for liquid or semi-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흘러내릴 수 있는 유체용 디스펜서는 유체용 용기와, 용기의 네크 내의 음용 컵용 홀더와, 유체를 용기로부터 네크를 따라서 홀더를 지나 마우스 개구로 통과시키는 네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와, 음용 컵용 홀더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개방 상부를 가지는 마우스 개구에 알맞은 제거 가능한 뚜껑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펜서의 전환 또는 교반은 유체가 용기로부터 통로를 통해 음용 컵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직립 방위로의 교반의 중단 또는 재전환은 음용 컵 내에서 유체의 일정량을 유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유체용 디스펜서
종종 용기로부터 정확한 단위 량의 유체(여기서 사용된 유체는 높은 유동성 액체 내지 점성이지만 흘러내릴 수 있는 액체 범위일 수 있는 액체를 포함한다)를 정확한 단위 투여량으로 분배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이런 유체의 예가 입으로 투여하기 위한 의학의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약품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아의 입으로 먹는 약 형태는 종종 시럽 형태로 제공된다. 특히, 이런 형태의 약을 정확한 량으로, 즉, 투여된 량이 효율을 위해 너무 적거나 안전한 투여량보다 많지 않게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예정량을 가진 흘러내릴 수 있는 유체의 투여량을 정확하게 분배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과 장점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진다.
본 발명은 유체, 특히 액체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한 예의 네크와 마우스 영역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흘러내릴 수 있는 유체용 디스펜서는,
마우스 개구 내에서 종료하는 상향으로 연장하는 네크를 가진 유체용 용기와,
상기 용기의 네크 내에 음용 컵용 홀더와 유체를 상기 용기로부터 네크를 따라서 상기 홀더를 지나 마우스 개구로 통과시키는 상기 네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와,
상기 홀더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마우스 개구와 동일한 방향으로 직면하는 개방 상부를 가진 음용 컵과,
상기 마우스 개구용 제거 가능한 유체 기밀 뚜껑을 포함하며,
디스펜서의 전환 또는 교반이 유체가 용기로부터 통로를 통해 음용 컵을 향해서 통과하도록 하고, 디스펜서의 각 재전환, 교반의 중단 또는 직립 방위로의 복귀로 음용 컵 내의 유체의 예정량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체는 적합하게 의약품의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입으로 투여되는 약품과 같은 약품, 또는 입안을 가시는 약 등일 수 있다. 유체는 물과 비슷한 점성과 이동성을 가진 수성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거나, 시럽과 같은 점성이지만 흘러내릴 수 있는 유체일 수 있다.
용기 본체는 홀더 내에 적합한 체적을 가진 음용 컵을 수용하기 위한 적당한 폭, 즉, 직경의 마우스 개구와 네크를 가진 병 또는 주둥이가 넓은 병일 수 있다. 용기 본체는 적합하게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재료로 만들 수 있다.
홀더는 플라스틱 용기 본체와 일체형일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 프레임을 포함한다. 변경적으로, 홀더는 네크를 가로지르는 다이어프램 또는 칸막이 벽(bulkhead)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다시 상기 본체와 일체될 수 있다. 변경적으로, 홀더는 용기 본체와 분리된 개별 부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웨지 끼움, 마찰 끼움, 스냅 끼움 또는 스크류 끼움 등에 의해 네크에 유지될 수 있다. 홀더는 적합하게 네크 내에, 마우스 개구의 상류에 또는 상류보다 짧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적합하게, 홀더는 음용 컵이 끼워지는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이런 리셉터클은 리셉터클의 외주변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네크를 향해 리브를 연장해서, 예를 들어 방사 방향으로 해서 네크 내에 유지될 수 있다. 리브 사이 및/또는 리셉터클과 네크 사이의 공간은 적합하게 통로를 포함한다. 변경적으로, 리셉터클은 상술한 다이어프램 또는 칸막이 벽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 또는 칸막이 벽 내의 구멍은 유체가 관통하는 통로를 포함한다. 변경적으로, 리셉터클은 네크의 한 측면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다른 측면 상에 리셉터클과 내부 네크 벽 사이의 통로를 형성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리셉터클은 컵모양(여기서 음용 컵과 구별하기 위해서 리셉터클 컵이라 함)일 수 있다. 리셉터클 컵으로 음용 컵이 끼워진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컵은 일반적으로 음용 컵의 하부와 전체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이다. 이 실시예에서, 음용 컵의 상부 외부, 예를 들어, 림은 적합하게 리셉터클 컵과 음용 컵 사이의 유체 기밀한 시일을 형성한다. 이것은 사용동안 용기를 전환 또는 교반할 때 유체가 쉽게 음용 컵과 리셉터클 컵 사이로 침투할 수 없음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음용 컵의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소아 시럽 형태는 매우 끈적끈적할 수 있으며, 음용 컵의 외부면의 오염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음용 컵은 적어도 투여되어질 유체의 예정량을 유지하는 것이다. 음용 컵은 사용하기 편리하게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유지하기 편리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음용 컵은 간단하게 홀더 내에 놓이고 홀더 내에 제거 가능하게 단단하게 끼워져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상술한 리셉터클에 거의 유체 기밀한 시일을 형성한다).
유체 기밀 뚜껑은 마우스 개구 위에 끼워지는 캡일 수 있고, 종래의 마찰, 스크류 끼움 또는 스냅 끼움 작용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유지된다. 뚜껑은 이 기술 분야에 알려진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체가 용기로부터 통로를 통해 음용 컵으로 갈 수 있도록 뚜껑과 음용 컵 사이에 적당한 공간이 있다. 예를 들어, 뚜껑은 마우스 개구 위의 돔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뚜껑이 마우스 상의 제위치에 놓이면 음용 컵상에 압력을 주어 홀더 내에 뚜껑을 유지하면서 디스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 또는 교반된다. 그러므로, 뚜껑은 제 위치에 놓일 때 음용 컵과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부품을 가질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뚜껑이 제 위치에 놓일 때 음용 컵과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부품은 뚜껑으로부터 음용 컵으로 연장하여 음용 컵의 내부 바닥과 접촉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이런 형태의 플런저는 만일 음용 컵이 재전환 또는 교반의 중단의 결과로서 가득 찬다면, 채워진 음용 컵으로부터 뚜껑을 제거하여 플런저를 음용 컵으로부터 철회시킬 수 있는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것은 변위 체적의 결과로써 유체 표면을 떨어뜨려, 음용 컵을 너무 채우지 않고 누설의 위험을 감소한다. 플런저는 뚜껑과 일체형, 예를 들어 원통형 형태로 할 수 있다.
적합하게 음용 컵은 홀더로부터 음용 컵을 미는 탄성 작용에 대향해 홀더 내에 끼워지므로 상술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뚜껑은 이 탄성력에 대항해 음용 컵상에 압력을 준다. 이것은 또한 뚜껑이 제거되어 디스펜서를 개방할 때 음용 컵이 사용자가 보다 접근하기 쉽도록 용기의 마우스 내의 음용 컵을 상승하는 탄성 작용 하에서 튀어 오르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가 상술한 리셉터클 컵이면, 리셉터클 컵의 바닥에 탄성 부재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재료 스프링 리프가 리셉터클 컵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홀더는 또한 용기의 직립 방위에 대해 경사진 방위 내에 음용 컵을 유지하고, 그리고 뚜껑이 제거될 때 음용 컵을 직립 방위로 하고, 적합하게 상기 탄성 작용에 의해 직립 방위로 가압한다. 뚜껑이 음용 컵상에 압력을 주어 홀더 내에 유지하면서 디스펜서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 또는 교반되면 뚜껑은 음용 컵상에 지탱될 수 있어 음용 컵을 경사 방위로 가압한다.
예를 들어, 유지 음용 컵의 바닥과 개방 상부 사이의 축선은 용기의 베이스와 마우스 개구사이의 길이 방향 축선에 1°와 45°사이의 각일 수 있다. 홀더는 예를 들어 음용 컵과 결합하고 경사 방위를 일으키는 표면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음용 컵의 경사 방위에 대해서 뚜껑이 제 위치에 놓이면 음용 컵의 완전한 충전을 방지하고 그럼으로써 음용 컵이 직립 방위로 복귀할 때에 음용 컵이 유체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것은 사용중의 누설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비제한 예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편편한 밑바닥(도시 생략)으로 직립될 수 있는 병의 형태의 용기(1)를 포함한다. 용기(1)는 마우스 개구(3) 내에 종단하는 상향 연장 네크(2)를 가진다. 네크(2)에는 음용 컵(6)에 대한 리셉터클 컵(5)의 형태의 홀더(4)가 있다. 리셉터클 컵(5)은 일반적으로 음용 컵(6)의 하부분의 형상에 전체적으로 대응하고, 음용 컵(6)의 개방 상부를 마우스 개구(3)와 동일한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직면하도록 하고, 음용 컵(6)의 방위에 따라 고정적이지만 해제 가능하게 유지한다. 음용 컵(6)의 상부 외부림(7)은 리셉터클(5)의 대응 내부 림부에 대향해 놓이므로, 음용 컵(6)과 리셉터클 컵(5) 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형성한다.
리셉터클 컵(5)으로부터 네크(2)의 벽을 향해 방사하고 있는 것은 리브(8)이고, 리브는 네크(2)에 웨지 결합하는 끼움체(9)와 리셉터클(5)을 연결한다. 리브(8)사이와 리셉터클 컵(5)과 네크(2) 사이의 공간(10)은 사용중 용기(1)로부터 네크(2)를 따라서 마우스 개구(3)를 향해 유체가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리셉터클 컵(5)의 하부분 내에는 리셉터클(5)을 가압하는 음용 컵(6)에 대향해서 탄성 작용을 발휘하는 리프 스프링(11)이 있다.
마우스 개구(3)위에는 스크류 끼움(13)에 의해 네크(2)에 유지되는 제거 가능한 뚜껑(12)이 있다. 뚜껑(12)이 네크(2)상에 제위치에 놓일 때 음용 컵(6)의 내부 바닥과 접촉하는 플런저(14)가 뚜껑(12)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해 있다. 플런저(14)는 음용 컵(6)을 스프링(11)의 탄성력에 대향해 리셉터클을 하향으로 가압하고 음용 컵(6)의 상부 외부림(7)을 리셉터클 컵(5)의 대응부에 대향해 가압한다.
디스펜서의 연속 작업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디스펜서가 거꾸로(전환) 되어 있다. 유체(15)는 용기(1)로부터 통로(10)를 통해 마우스 개구(3)를 향해 흐르고, 뚜껑(12)으로 흐른다. 디스펜서를 재전환한 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유체(16)는 음용 컵(6)을 채우고, 초과의 유체(17)는 통로(10)를 통해서 용기(1)로 다시 배출된다. 음용 컵(6)의 상부 외부림(7)과 리셉터클 컵(5) 사이의 접촉으로 유체 기밀 시일을 만들어 음용 컵(6)의 외부면의 접촉을 방지하고 젖게 하거나 또는 끈적하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변경적으로, 배출 홀을 리셉터클(5)의 밑바닥 내에 제공하여 초과 유체를 다시 용기로 배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2)이 제거되면, 음용 컵(6)으로부터의 플런저(14)의 제거는 음용 컵(6)내의 유체(18)레벨을 음용 컵의 림(7)아래로 떨어뜨리고 또한 음용 컵(6)을 스프링(11)의 탄성 작용 하에서 리셉터클 컵(5)으로부터 다소 상향으로 들어올려져서, 사용자가 사용동안 보다 쉽게 음용 컵(6)을 잡고 제거하도록 한다.
사용후, 음용 컵(6)을 리셉터클 컵(5)으로 복귀하고, 뚜껑(12)을 네크(12)상의 위치로 복귀하면 도 1에 도시한 형상으로 되돌아오고, 디스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공정에 사용되기 위해 준비를 한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제 2 예는 편편한 밑바닥(도시 생략)으로 직립될 수 있는 병의 형태의 용기(21)를 포함한다. 용기(1)는 마우스 개구(23) 내에 종단하는 상향 연장 네크(22)를 가진다. 네크(22)에는 음용 컵(25)에 대한 리셉터클 컵의 형태의 홀더(24)가 있다. 리셉터클 컵(24)은 일반적으로 음용 컵(25)의 하부분의 형상에 전체적으로 대응하고, 음용 컵(25)의 개방 상부와 음용 컵(25)의 바닥 사이의 축선 A-B가 마우스 개구(23)와 용기(21)의 편편한 밑바닥(도시 생략) 사이의 축선 A-C에 대한 각 α로 경사지는 방위로 고정적이지만 해제 가능하게 유지한다.
홀더(24)는 네크(22)에 웨지 결합한다. 홀더(24)와 네크(22) 사이의 공간(26)은 사용동안 용기(21)로부터 네크(22)를 따라서 마우스 개구(23)를 향해 유체가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리셉터클 컵(24)의 하부분 내에는 홀더(24)를 가압하는, 음용 컵(25)에 대향해서 탄성 작용을 발휘하는 리프 스프링(27)이 있다.
마우스 개구(23)위에는 스크류 끼움(29)에 의해 네크(22)에 유지되는 제거 가능한 뚜껑(28)이 있다. 뚜껑(28)이 네크(22)상에 제위치에 놓일 때 음용 컵(25)의 상부림(31)과 접촉하는 부분(30)이 뚜껑(12)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해 있다. 부분(30)은 음용 컵(25)을 스프링(27)의 탄성력에 대향해 홀더(24)를 하향으로 가압하고 도 5에 도시한 각 α에서 경사 방위시킨다.
디스펜서의 연속 작업을 도 5와 도 6을 통해 도시하고 도 1 내지 도 4의 디스펜서의 작업과 유사하다. 도 5의 디스펜서가 거꾸로(전환) 되어 있다. 유체(32)는 용기(21)로부터 통로(26)를 통해 마우스 개구(23)를 향해 흐르고, 뚜껑(28)으로 흐른다. 디스펜서를 재전환하면, 유체(33)는 부분적으로 음용 컵(25)을 채우고, 초과의 유체(33)는 통로(26)를 통해서 용기(21)로 다시 배출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8)이 제거되면, 부분(30)의 제거는 음용 컵(25)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27)의 탄성 작용 하에서 상향으로 들어올려 직립 방위가 되도록 야기한다. 이 방위의 변화는 유체(33)의 레벨을 음용 컵(25)의 림의 아래로 떨어뜨리므로 음용 컵(25)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고, 그럼으로써 누설의 위험을 감소한다. 그럼으로써 또한 음용 컵(25)은 홀더(24)로부터 들어올려져서, 사용자가 사용동안 보다 쉽게 음용 컵(6)을 잡고 제거하도록 한다.
사용후, 음용 컵(25)을 홀더(24)로 복귀하고, 뚜껑(28)을 네크(12)상의 위치로 복귀하면 도 5에 도시한 형상으로 되돌아오고, 디스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공정에 사용되기 위해 준비된다.
도 1 내지 도 6의 전체 디스펜서는 입안을 가시는 약, 입으로 먹는 약품과 같은 유체용 디스펜서의 제조의 기술 분야에 알려진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Claims (9)

  1. 흘러내릴 수 있는 유체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마우스 개구(3)내에서 종료하는 상향으로 연장하는 네크(2)를 가진 유체용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네크(2) 내에 음용 컵(6)용 홀더(4)와 유체를 상기 용기(1)로부터 네크(2)를 따라서 상기 홀더(4)를 지나 마우스 개구(3)로 통과시키는 상기 네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10)와,
    상기 홀더(4)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마우스 개구(3)와 동일한 방향으로 직면하는 개방 상부를 가진 음용 컵(6)과,
    상기 마우스 개구(3)용 제거 가능한 유체 기밀 뚜껑(12)을 포함하며,
    디스펜서의 전환 또는 교반이 유체가 용기(1)로부터 통로(10)를 통해 음용 컵(6)을 향해서 통과하도록 하고, 디스펜서의 각 재전환, 교반의 중단 또는 직립 방위로의 복귀로 음용 컵(6)내의 유체의 예정량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는 음용 컵(6)이 끼워지는 컵 모양(여기서 음용 컵과 구별하기 위해서 리셉터클 컵이라 함) 형태의 리셉터클(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컵(6)의 상부 외부는 리셉터클 컵(5)의 상부로 끼워지므로, 음용 컵(5)과 리셉터클 컵(5)사이에 유체 기밀 시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이 마우스 개구(3)상의 제 위치에 놓이면 음용 컵(6)상에 압력을 주어 상기 음용 컵을 홀더(4)내에 유지하면서 디스펜서를 전환 또는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은 뚜껑(12)이 제 위치에 놓일 때 음용 컵(6)과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부분(1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은 뚜껑(12)이 제 위치에 놓일 때 음용 컵(6)과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부분(14)은 뚜껑(12)으로부터 상기 음용 컵(6)으로 연장하여 음용 컵(6)의 내부 바닥과 접촉하는 플런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컵(6)은 홀더(4)로부터 음용 컵(6)을 가압하는 탄성 작용에 대향해 홀더(4)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는 리셉터클 컵(5)이고 상기 리셉터클 컵(5)의 바닥에 탄성 부재(11)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컵(25)이 용기의 직립 방위에 대해서 경사 방위로 홀더(24)내에 유지되고, 뚜껑(28)이 제거되면 음용 컵(25)이 직립 위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KR1019970708431A 1995-05-25 1996-05-24 유체용 디스펜서 KR19990021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10652.2 1995-05-25
GBGB9510652.2A GB9510652D0 (en) 1995-05-25 1995-05-25 Fluid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956A true KR19990021956A (ko) 1999-03-25

Family

ID=1077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431A KR19990021956A (ko) 1995-05-25 1996-05-24 유체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927354A (ko)
EP (1) EP0828997A1 (ko)
JP (1) JP2002515117A (ko)
KR (1) KR19990021956A (ko)
AU (1) AU712979B2 (ko)
BR (1) BR9608814A (ko)
CA (1) CA2219850A1 (ko)
GB (1) GB9510652D0 (ko)
MX (1) MX9709097A (ko)
NZ (1) NZ309771A (ko)
TW (1) TW328934B (ko)
WO (1) WO1996037757A1 (ko)
ZA (1) ZA9641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25938A (en) * 1998-08-26 2002-02-10 Innoscent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flowable material, particularly medicines
NL1030129C2 (nl) * 2005-10-06 2007-04-10 Euro Trol Bv Samenstel en werkwijze voor het inbrengen van een dosis van een mengsubstantie in een houder.
WO2009022312A2 (en) * 2007-08-14 2009-02-19 Mednet Gmbh A quantity specific dos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JP4796679B2 (ja) * 2007-08-30 2011-10-19 株式会社タフコ 飲料用容器
US9523596B2 (en) * 2012-02-14 2016-12-20 Westrock Slatersville, Llc Auto-refill single dose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6754A (en) * 1933-04-22 1934-07-17 Charles W Dennis Bottle for ink or other liquids
US2446085A (en) * 1945-03-02 1948-07-27 Gronemeyer Erich Measuring device with distortable portioning means
US2768660A (en) * 1954-01-15 1956-10-30 Russell Theodore Liquid measuring dispenser
US2803270A (en) * 1954-11-01 1957-08-20 Carroll Dunham Smith Pharmacal Liquid dispensing device
US3043483A (en) * 1957-11-18 1962-07-10 Clarence W Vogt Dispensing container
US4159791A (en) * 1977-04-04 1979-07-03 Crutcher William C 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US4319614A (en) * 1980-03-28 1982-03-16 Boice William E Salad dressing bottle and top stopper with individual server
FR2669007A3 (fr) * 1990-11-12 1992-05-15 Lustiere Jacques Bouchon-doseur pour prelever par doses determinees un produit liquide contenu dans un recip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28934B (en) 1998-04-01
WO1996037757A1 (en) 1996-11-28
NZ309771A (en) 1999-10-28
CA2219850A1 (en) 1996-11-28
MX9709097A (es) 1998-02-28
AU6001796A (en) 1996-12-11
BR9608814A (pt) 1999-06-15
JP2002515117A (ja) 2002-05-21
ZA964123B (en) 1997-02-04
AU712979B2 (en) 1999-11-18
GB9510652D0 (en) 1995-07-19
EP0828997A1 (en) 1998-03-18
US5927354A (en) 199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3846B1 (en) Device for dispensing amounts of a liquid and base member for such a dispensing device
US2661870A (en) Multiple liquid dispensing container
US5626262A (en) Dispensing container with drainage passages
CA2415209C (en) Dropper cap
US4516697A (en) Liquid product dispenser
US5381930A (en) Dispensing device for a measured volume of liquid
US5845814A (en) Bottle for separatedly preserving substances and subsequently dispensing their mixture dropwise
US4190180A (en) Liquid dispenser
US4003503A (en) Dispensing device for highly viscous liquids supported in inclined position
US6412664B1 (en) Cap for dispensing viscous liquids
KR19990021956A (ko) 유체용 디스펜서
US3787904A (en) Liquid dispensing and metering device
US6382472B1 (en) Viscous fluid dispenser
JP3810571B2 (ja) 液剤製品
US5988434A (en) Dosage withdrawal apparatus
MXPA97009097A (en) Recipe
US4421249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fluids
US8517219B1 (e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to use it
US20230365300A1 (en) Bottle and stand for removing contents from bottle
US2184253A (en) Dispenser
CN1187879A (zh) 容量器
EP0160139B1 (en) Dispensing container for liquid products
JPH0130389Y2 (ko)
JP4316082B2 (ja) 粘性の高い半流動物取り出し容器
WO2001036920A1 (en)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