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699A -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699A
KR19990020699A KR1019970044167A KR19970044167A KR19990020699A KR 19990020699 A KR19990020699 A KR 19990020699A KR 1019970044167 A KR1019970044167 A KR 1019970044167A KR 19970044167 A KR19970044167 A KR 19970044167A KR 19990020699 A KR19990020699 A KR 19990020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lectromagnet
sleeve
electromagnetic force
hydrodynamic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천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7004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699A/ko
Priority to JP34789797A priority patent/JP3294178B2/ja
Priority to US08/991,973 priority patent/US5872409A/en
Priority to DE19756927A priority patent/DE19756927C1/de
Priority to CN97122097A priority patent/CN1084444C/zh
Publication of KR1999002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699A/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과 슬리브의 사이 간격이 일정속도 이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편심을 유지하여 동압이 감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일의 압력발생률이 증가되고 고속에서 동특성이 향상되는 유체동압 베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을 회전지지하는 슬리브; 상기 축과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축이 회전되는 동안 동압을 발생시키는 오일;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그리고 상기 축의 편심량이 감소될 때 상기 각 전자석 마다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축을 원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제어기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본 발명은 유체동압 베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과 슬리브 사이의 간격이 일정속도 이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함으로써, 축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 오일 훨 현상이 감소되고 또한 저진동 저소음의 동특성이 향상되는 유체동압 베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핀들모터에 사용되는 유체동압베어링은 축과 이를 회전지지하는 슬리브의 사이에 동압을 발생시키는 오일이 충진된다. 도 1은 종래 스핀들 모터의 단면도 로서, 하우징(1)의 상부 중앙에 슬리브(1a)가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되고 슬리브(1a)의 내부에 축(2)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하우징(1)의 상부 외주연에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코어(1b)가 구비되며 축(2)의 상단에는 캡 형태의 로터(3)가 구비된다. 로터(3)는 내주연에 코어(1b)를 감싸는 자성체(3a)가 구비되며 코어(1b)에 권회된 코일(1c)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체(3a)에 자기력이 발생되고 로터(3)가 축(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스핀들모터는 축(2)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슬리브(1a)와의 사이에 충진된 오일에 압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축(2)이 반경반향으로 회전지지 되며 또한 축(2)이 회전되는 동안 로터(3)의 상부에 놓인 디스크가 함께 회전되면서 디스크의 정보가 재생된다.
그러나 유체동압 베어링의 경우 오일 훨(Oil whirl) 이라는 불안정 현상이 저속에서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오일 훨 현상은 슬리브(1a)와 축(2) 간의 베어링 편심률이 일정 속도 이상에서 점점 감소하면서 시작된다. 이는 속도의 증가에 따라 좀머펠트 수(sommer felt number)의 감소로 베어링 편심률(eccentricity)이 점점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축(2)을 따라 회전하는 오일이 일정한 속도 분포를 갖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축(2)의 외주면에 동압발생홈이 없는 진원형의 유체동압 베어링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고속에서 저진동, 저소음의 동특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과 슬리브의 사이 간격이 일정속도 이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편심을 유지하여 동압이 감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일의 압력발생률이 증가되고 고속에서 동특성이 향상되는 유체동압 베어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을 회전지지하는 슬리브; 상기 축과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축이 회전되는 동안 동압을 발생시키는 오일;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그리고 상기 축의 편심량이 감소될 때 상기 각 전자석 마다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축을 원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제어기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스핀들모터의 유체동압 베어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핀들모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편심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편심수단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슬리브 12 : 축
13 : 오일 19 : 편심수단
20 : 전자석 21 : 전자기력발생부
22 : 전자석코일 23 : 끼움부
24 : 유도코일 25 : 증폭기
26 : 제어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핀들모터의 단면도 이다. 슬리브(11)가 결합된 하우징(10)이 구비되고 하우징(10)의 상부 외주연에는 코일(15)이 권회된 코어(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슬리브(11)의 내부에 축(12)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축(12)의 상단에 허브(16)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허브(16)의 외주연에 로터(17)가 허브(16)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로터(17)는 하부가 개방되며 코어(14)를 감싸는 형태로 허브(16)의 상부에 구비된다. 또한 로터(17)의 내주면에는 자성체(18)가 구비되며 코일(15)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체(18)에 자기력이 발생되고 로터(17)가 축(12)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된다.
또한 슬리브(11)의 내부에 축(12)을 전자기력으로 끌어 당기는 편심수단(19)이 구비된다. 편심수단(19)은 축(12)이 일정속도 이상 회전될 때 발생되는 오일 훨 현상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축(12)을 원하는 방향으로 견인하여 편심률이 증가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 편심수단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 편심수단이 도시된 슬리브의 평단면도 이다. 편심수단(19)은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20)이 슬리브(11)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이들 전자석(20)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며 슬리브(11)의 외주면에 각 전자석(20)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끼움부(23)가 구비된다.
또한 각 전자석(20)은 축(12)을 향한 전방에 상,하측으로 한쌍의 전자기력발생부(21)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전자기력발생부(21)는 전자석코일(22)이 권회되며 이들 전자석코일(22)은 축(12)의 회전속도에 따라 전원이 인가된다. 즉 축(12)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편심량이 감소될 때 전원이 각 전자석코일(22)에 인가되며 이와 동시에 전자기력발생부(21)에서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축(12)이 전자석(20) 쪽으로 당겨진다. 그리고 해당 전자기력발생부(21) 마다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코일(24)이 구비된다. 유도코일(24)은 축(12)과 전자석(20) 사이의 거리차를 감지하여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며 유도전류는 증폭기(25)에서 증폭된 다음 제어기(26)를 거쳐 각 전자석(20)이 제어된다. 즉 제어기(26)에서 보내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전자석(20)의 전자석코일(22)에 전원이 인가되고 전자기력발생부(21)에서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축(12)이 원하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예컨데 축(12)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당겨져 편심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할수 있다. 그리고 축(12)이 각 전자석(20)을 향해 연속적으로 편심되는 상태 즉 슬리브(11)의 내부에서 스크롤(scroll)의 상태로 공전되도록하여 오일(13)의 압축성이 증가되도록 할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슬리브(11)의 내부에 축(12)을 원하는 방향으로 강제 편심시키는 편심수단(19)이 구비된다. 편심수단(19)은 축(12)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편심량이 감소되어 오일(13)의 동압이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오일 훨 현상이 감소된다. 편심수단(19)은 슬리브(11)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전자석(20)으로 구성되며 각 전자석(20)은 슬리브(11) 내부에 다수개 구비된 끼움부(23)에 끼워져 조립된다. 또한 각 전자석(20)은 축(12)을 향한 전방으로 상하측으로 한쌍의 전자기력발생부(21)가 구비되며 이들 전자기력발생부(21)에 권회된 전자석코일(22)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또한 각 전자기력발생부(21)에는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코일(24)이 구비된다. 유도코일(24)은 축(12)과 각 전자석(20)과의 거리차가 발생될 때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며 유도전류는 증폭기(25)를 거쳐 제어기(26) 쪽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각 전자석(20)에 구비된 유도코일(24)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따라 제어기(26)에서 해당 전자석(20)이 제어된다. 축(12)의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12)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고속으로 회전되면 편심량이 감소된다. 이때 다수개의 전자석(20)에 구비된 유도코일(24)에서 축(12)과의 거리차 또는 회전속도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되며 이는 증폭기(25)에서 증폭된 다음 제어기(26) 쪽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기(24)는 해당 전자석코일(22) 쪽으로 전원인가 신호를 마이콤으로 보낸다. 따라서 전원이 해당 전자석코일(22)에 인가되면 각 전자기력발생부(21)에서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축(12)을 원하는 방향으로 당긴다. 따라서 축(12)이 슬리브(11)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편심되어 오일(13)의 동압이 증가되며 오일 훨 현상이 감소됨으로 고속회전시 동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각 전자석(20)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축(12)이 연속적으로 편심되며 스크롤의 상태로 회전되어 오일(13)의 압력이 증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브의 내부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이 다수개 구비된다. 이들 전자석은 축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편심량이 감소되어 동압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코일과 전자기력발생부가 다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편심량이 감소될 때 이를 유도코일이 감지하면 각 전자석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며 이때 해당 전자기력발생부에서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축이 원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고 슬리브와의 편심량이 증가되어 동압이 커짐으로 고속회전시 저소음 저진동의 동특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축(12)을 회전지지하는 슬리브(11);
    상기 축(12)과 상기 슬리브(11)와의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축(12)이 회전되는 동안 동압을 발생시키는 오일(13);
    상기 슬리브(11)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20);
    그리고 상기 축(12)의 편심량이 감소될 때 상기 각 전자석(20) 마다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축(12)을 원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제어기(26)를 구비하는 유체동압 베어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자석(20) 마다 상기 축(12)의 편심량이 감소될 때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코일(24)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전류를 증폭하는 증폭기(25)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기(26)는 상기 유도코일(24)의 유도전류량에 따라 상기 각 전자석(20) 쪽으로 전원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 베어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자석(20)은 상기 축(12)을 향하여 상하측으로 한쌍의 전자기력발생부(21)가 구비되며 상기 각 전자기력발생부(21) 마다 전자석코일(22)이 권회되고 상기 슬리브(11)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전자석(20)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끼움부(2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 베어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자기력발생부(21) 마다 상기 유도코일(24)이 권회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압 베어링장치.
KR1019970044167A 1997-08-30 1997-08-30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KR19990020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67A KR19990020699A (ko) 1997-08-30 1997-08-30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JP34789797A JP3294178B2 (ja) 1997-08-30 1997-12-17 ベ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ブラシレスdcモータ
US08/991,973 US5872409A (en) 1997-08-30 1997-12-17 Bearing system and brushless DC motor using such system
DE19756927A DE19756927C1 (de) 1997-08-30 1997-12-19 Lagersystem, sowie hiermit ausgestatteter bürstenloser Gleichstrommotor
CN97122097A CN1084444C (zh) 1997-08-30 1997-12-22 轴承装置及使用该装置的无刷直流电动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67A KR19990020699A (ko) 1997-08-30 1997-08-30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99A true KR19990020699A (ko) 1999-03-25

Family

ID=6603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167A KR19990020699A (ko) 1997-08-30 1997-08-30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6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4803A (en) Brushless DC motor
US7268453B2 (en) Axial magnetic bearing apparatus
JP3294178B2 (ja) ベ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ブラシレスdcモータ
JPS61179329A (ja) スラスト軸受を備えた回転支持装置
EP1113567A4 (en) DISC DRIVE MOTOR
EP0333200B1 (en) Turbo-molecular pump
EP0644802B1 (en) A rotary atomizer and a method of operating it
JP3820479B2 (ja) フライホイール装置
KR19990027969A (ko) 유체동압 베어링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20699A (ko)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KR19990020697A (ko)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GB2298464B (en) A spindle unit having dynamic pressure bearings
JP4005826B2 (ja) 永久磁石モータ
KR19990020700A (ko)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KR19990020698A (ko) 유체동압 베어링 장치
JPH1155918A (ja)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スピンドルモータを採用した回転体装置
KR19990017837A (ko) 스핀들모터의 축지지장치
JPH04340353A (ja) 周波数発電機付きモータ装置
CN114679027B (zh) 一种多盘式轴向磁通储能调相机
KR19990020701A (ko) 소결함유 베어링 장치
KR100266739B1 (ko) 디지털 비디오디스크용 스핀들모터
KR19990017840A (ko) 유체동압 베어링장치
JP2990304B2 (ja) 回転機
KR100430425B1 (ko) 유체동압 베어링 모터
KR200304620Y1 (ko) 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