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622A -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622A
KR19990020622A KR1019970044087A KR19970044087A KR19990020622A KR 19990020622 A KR19990020622 A KR 19990020622A KR 1019970044087 A KR1019970044087 A KR 1019970044087A KR 19970044087 A KR19970044087 A KR 19970044087A KR 19990020622 A KR19990020622 A KR 19990020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b
binary
reconstructed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5754B1 (ko
Inventor
한석원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754B1/ko
Priority to US08/940,394 priority patent/US6133955A/en
Priority to GB9721072A priority patent/GB2328821B/en
Priority to CNB971170452A priority patent/CN1159922C/zh
Priority to JP27697897A priority patent/JP3976854B2/ja
Priority to FR9712614A priority patent/FR2768003B1/fr
Priority to DE1997144859 priority patent/DE19744859B4/de
Publication of KR1999002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 H04N19/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with binary alpha-plane coding for video objects, e.g. context-based arithmetic encoding [CA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20Contour coding, e.g. using detection of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물체를 나타내는 이진 화소와 배경을 나타내는 이진화소를 구비하는 MxN 화소크기의 이진 알파 블록 (BAB: Binary Alpha Block)을 포함하는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에 기반하여 현재 프레임의 BAB를 부호화하기 위한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M과 N은 각각 짝수의 양의 정수인 상기 방법이 현재 프레임의 BAB의 짝수번째 수직라인을 순서대로 샘플링하여 제 1 블록을 생성하기위한 수직 서브 샘플링 단계와; 상기 제 1 블록의 짝수번째 수평라인을 순서대로 샘플링하여 제 1-1 블록을 생성하기위한 수평 서브 샘플링 단계와; 상기 제 1-1 블록의 수평라인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 1-1 블록을 이용하여 만든 재구성된 수평라인을, 상기 제 1-1 블록의 수평라인을 짝수번 째 수평라인으로서 놓는 다는 전제하에, 홀수번 째 수평라인으로서 순서대로 끼워넣어 재구성된 제 1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재구성된 제 1 블록의 수직라인의 사이사이에 상기 재구성된 제 1 블록을 이용하여 만든 재구성된 수직라인을, 상기 재구성된 제 1 블록의 수직라인을 짝수번 째 수직라인으로서 놓는 다는 전제하에, 홀수번 째 수직라인으로서 순서대로 끼워넣어 재구성된 BAB를 생성한 후 상기 재구성된 BAB에 대해 콘텍스트 기반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수평라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진 화소 (제 1 목표화소)및 상기 재구성된 수직라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진 화소 (제 2 목표 화소)에 대한 제 1 및 제 2 콘텍스트 값은, 이전 프레임상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와 각각 동일한 위치에 있는 이진 화소,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제 1 블록내에서의 이진 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 위치의 위쪽, 왼쪽 및 대각선 방향의 네 구석에 있는 이진 화소의 각각 총 7개씩의 이진 화소의 값에다가 상기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의 아래쪽과 오른쪽에 있는 이진화소의 값을 각각 포함한 각각 총 8개씩의 이진 화소의 값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본 발명은 이진 형상 신호(Binary Shape Signal)를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텍스트 기반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전화, 원격 회의(teleconference) 및 고선명 텔레비전 시스템과 같은 디지탈 텔레비전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프레임 신호의 영상 라인 신호는 화소값이라 불리는 디지탈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각 영상 프레임 신호를 규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양의 디지탈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의 전송 채널에서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특히 영상 전화 내지 원격 회의 시스템과 같은 저전송률 영상 신호 부호화기(low bit-rate video signal encoder)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압축 기법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야 한다.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저전송률 부호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기법주의 하나는 이른 바 물체 지향 해석 및 합성 부호화 기법(Object-oriented analysis-sysnthesis coding technique)이 있으며, 상기 기법에서 입력 영상신호는 다수의 물체로 분할되고 각 물체의 움직임, 윤곽선 및 화소 데이터를 정의 하기위한 변수들은 각각 다른 부호화 채널을 통해 처리된다.
상기 물체 지향 해석 및 합성 부호화 기법의 일 실시예는 소위 동영상 전문가 그룹 4(MPEG-4)로서, MPEG-4는 저전송률 통신, 쌍방향 멀티미디어(interactive multimedia) 및 감시기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 주제 단위 쌍방향성(content-based interactivity), 개량 부호화 효율 및/또는 범용성을 만족시켜 주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부호화 표준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조: MPEG-4 Video Verification Model Version 2.0,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IEC JTC1/SC29/WG11 N1260, March 1996)
MPEG-4에 따르면 입력 영상은 다수 개의 비디오 물체 평면(VOP: Video Object Plane)으로 나뉘는데, VOP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고 다룰 수 있는 비트 스트림으로 된 실체에 해당한다. VOP는 그 폭과 높이가 각각 물체를 둘러싸는 16 화소의 정수배인 사각형 중에서 최소 크기인 경계 사각형(bounding rectangle)으로 표현되므로 부호화기가 입력 영상을 VOP 단위, 즉 물체 단위로 처리할 수 있다.
저전송률 부호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영상 신호를 부호화 함에 있어서 프레임 또는 VOP내의 물체의 위치 및 모양은 이진 화소값으로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프레임 또는 VOP내의 물체 화소값은 1로 배경 화소값은 0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된 물체의 모양 및 위치를 나타내는 프레임 내지 VOP를 구성하는 이진 형상 신호는 보통 16x16화소 크기의 이진 화소값을 갖는 이진 알파 블록 (Binary Alpha Block: BAB)으로서 표현되는 데, 여기서 이진 화소는 예를 들면, 0을 화소값으로서 갖는 배경을 나타내는 이진 화소와 예를 들면, 1을 화소값으로서 갖는 물체를 나타내는 이진 화소 중의 하나이다.
BAB를 부호화 하는 데는 종래에 콘텍스트 기반 아리스메틱 부호화(Context-based Arithmetic Coding: CAE ) 방법과 같은 비트 맵 기반 형상 부호화(Bit- map- based shape coding)기법이 이용된다. (참조: MPEG-4 Video Verification Model Version 2.0,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IEC JTC1/SC29/WG11 N1260, March 1996)
예를 들면, 종래의 CAE 기법을 이용하면, 상기 이진 형상 신호를 부호화 하는 데 있어서 인트라 모드에서는 물체의 모양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호화한 부호화된 이진 형상 신호 정보를 얻고, 인터 모드에서는 현재 프레임 (또는 VOP)내의 이진 형상 신호와 가장 유사한 이전 프레임 (또는 VOP)내의 이진 형상 신호를 움직임 예측 및 보상법에 의해 찾아서 이 둘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에러 데이터를 부호화 하여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및 해당 움직임 벡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에 의하면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기에서 복호화하여 원래의 형상을 복원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해상도의 화면밖에는 얻을 수 가 없다. 따라서 보다 해상도가 높은 화면을 원할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해상도를 높여가는 스케일러빌리티(scalability)를 구현하여 이진 형상 신호를 부호화하는 것이 해당 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스케일러빌리티를 구현하여 부호화한다는 의미는 일반적으로 해상도가 낮은 화면, 예를 들면 베이스 레이어 (Base Layer)를 부호화하는 동시에, 이 화면을 기초로 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보태어 좀더 해상도가 높은 화면, 예를 들면 인핸스먼트 레이어 (Enhancement Layer)를 부호화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스케일러빌리티를 구현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는 복호화기로 전송된다. 복호화기는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여러 방식으로 복호화할 수 있는 데, 낮은 계층의 레이어만 복호화하여 상대적으로 해상도가 낮은 화면을 복원할 수도 있고 낮은 계층의 레이어 및 그것보다 높은 계층의 레이어를 복호화하여 상대적으로 해상도가 높은 화면을 복원할 수도 있으며, 전송된 모든 계층의 레이어를 복호화하면 원래의 화면과 같은 해상도를 갖는 화면을 복원해 낼 수도 있다. 다만, 낮은 계층의 레이어는 그것보다 높은 계층의 레이어의 복호화 여부에 상관없이 복호화되어야 한다. 이렇게 스케일러빌리티를 구현한 부호화/복호화 방식은 에러에 강한 특성을 보일 수 있고, 과도하게 해상도가 높은 정밀한 화면을 전송함으로서 생기는 비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레이어를 부호화하든 인핸스먼트 레이어를 부호화하든 얼마나 효과적인 CAE방법을 이용하는 가하는 것이 해당 분야에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의 CAE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콘텍스트 값이 표시된 이진 화소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CAE 방법의 일 과정을 설명한다.
CAE 방법은 VOP 또는 프레임 내의 예를 들면, 16x16 화소 크기를 갖는 이진 알파 블록(BAB)의 각각의 이진 화소값을 부호화하는 기법이다. 부호화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래스터 순서, 즉 BAB내의 이진 화소들의 위치면 에서 볼 때 윗쪽 우선 및 왼쪽 우선의 순서이다.
CAE 방법은 기본적으로 부호화 하고자 하는 BAB내의 각각의 이진 화소에 대한 콘텍스트 값을 상기 BAB내의 각각의 이진 화소값에 기반하여 계산함으로서 시작된다. 각각의 이진 화소에 대한 콘텍스트 값은, 미리 결정된 확률 테이블상에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기록되어 있는 확률값중에서 어느 것을 상기 각각의 이진 화소에 대한 확률값으로서 선택해야 하는 지를 알려주는 값, 즉 상기 확률값이 기록되어 있는 순서를 지정하는 인덱스값이다.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테이블상에서 상기 인덱스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확률값을 알면, 해당하는 이진 화소의 값이 배경 화소를 나타내는 이진 화소값, 예를 들면, 0인지 아니면 물체 화소를 나타내는 이진 화소값, 예를 들면, 1 인지를 알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
그다음 상기 BAB내의 각각의 이진 화소에 대한 콘텍스트값을 BAB단위로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콘텍스트값을 전송기를 통해 복호화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복호화기에서는 상기 부호화된 콘텍스트값을 복호화하여 재구성된 콘텍스트값을 구하고 이에 따라 상기 부호화기에서 사용한 것과 똑같은 미리 결정된 확률 테이블상에서 각각의 해당 이진 화소에대한 확률값을 찾아서 결국 상기 각각의 이진 화소의 값을 예를 들면, 0 또는 1로서 재구성한다. 이렇게 해서 결국 복호화기에서는 재구성된 BAB가 구해지는 것이다.
이때, BAB내의 이진 화소에 대한 콘텍스트 값을 계산함에 있어서 그 주변의 이진 화소의 값을 어떻게 잘 이용하는 가하는 것이 상기 BAB에 대한 CAE의 효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는 점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CAE 방법에서 채용하고 있는, 주변의 다수개의 이진 화소의 이진 화소값을 이용한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 계산 방법에 대해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에는 인트라 모드에서 BAB내의 X 위치에 있는 이진화소(이하 편의상 이진 화소 X로 칭함)와, X의 콘텍스트 값(이하 C로 표시)을 구하는 데 이용되는 그곳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이진 화소 X주위에 있는 10개의 이진 화소들의 콘텍스트 값 C0 내지 C9를 표시한 인트라 모드에서 이용되는 이진 화소 세트 (100)가 도시된다. 도 1a를 참조로 할 때 C는 C0 내지 C9를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1:
에 의해 구하는 데, 여기서 Ck는 콘텍스트값이 Ck인 이진 화소의 이진화소값 즉 0 또는 1을 의미한다.
도 1b에는 인터 모드에서 현재 프레임 (또는 VOP)의 BAB내의 Y 위치에 있는 이진화소(이하 편의상 이진 화소 Y로 칭함)와, Y의 콘텍스트 값(이하 C'로 표시)을 구하는 데 이용되는 그곳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이진 화소 Y주위에 있는 현재 프레임 (또는 VOP)의 BAB내의 4개의 이진 화소들의 콘텍스트 값 C'0 내지 C'3를 표시한 인터 모드에서 이용되는 현재 프레임의 이진 화소 세트 (110)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1c에는 인터 모드에서 C'를 구하는 데 이용되는 그곳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현재 프레임 (또는 VOP)의 BAB와 가장 유사한 이전 프레임 (또는 VOP)의 BAB내의 5개의 이진 화소들의 콘텍스트 값 C'4 내지 C'8를 표시한 인터모드에서 이용되는 이전 프레임의 이진 화소 세트 (120)가 도시되는 데, 여기서 콘텍스트 값 C'6를 갖는 이전 프레임 (또는 VOP)의 BAB내의 이진 화소가 도 1b에 도시된 이진 화소 Y의 위치에 매칭 내지 대응되는 것을 전제로한다.
도 1b 및 1c를 참조로 할 때, C'는 C'0내지 C'8를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2:
에 의해 구하는 데, 여기서 C'k는 콘텍스트값이 C'k인 이진 화소의 이진화소값 즉 0 또는 1을 의미한다.
그다음, 위와 같은 방법으로 구한 BAB내의 각각의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 값을 기초로 미리 결정된 확률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이진 화소값을 재구성하여 만든 재구성된 BAB를 구하여 이것을 원래의 BAB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화소의 위치에 있는 화소의 값을 1로하고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화소의 값을 0으로하여 만들어진 (상기 BAB와 동일한 크기의)에러 데이터 블록을 구한 다음 상기 에러 데이터 블록을 종래의 부호화 방법 예를 들면, RCB(Reference Contour Based)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블록을 전송기를 통해 복호화기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종래의 CAE 방법에 의하면 BAB내의 각각의 화소에 대해 BAB 단위로 부호화된 콘텍스트값을 모두 복호화기로 전송하는 대신에 BAB단위로 해당 BAB에 대한 여러 가지 모드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모드 신호를 전송했다. 예를 들면, 인터/인트라 모드를 구분하는 모드 신호의 부호화, 부호화 하고자하는 BAB내의 이진 화소값이 모두 배경 화소 또는 물체 화소를 나타내는 이진 화소임을 알리는 모드 신호의 부호화, 인터 모드에서 움직임 벡터가 0인 경우를 알리는 모드 신호의 부호화등이 그것이다. 복호화기는 상기 BAB 단위로 부호화된 콘텍스트값, 상기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블록 및 상기에서 언급한 부호화된 모드 신호를 기초로 원래의 BAB와 동일한 BAB를 복원된 BAB로서 복원내지 복호화 해내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CAE 방법에 따르면, 부호화 하고자하는 BAB내의 이진 화소값과 재구성된 BAB내의 이진 화소값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이 상당히 많아서 결국 에러 데이터 블록을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데 상당한 부담이 따랐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CAE 방법에 따른 모드 부호화로는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과적으로 이진 형상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콘텍스트 기반 부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를 나타내는 이진 화소와 배경을 나타내는 이진화소를 구비하는 MxN 화소크기의 이진 알파 블록 (BAB: Binary Alpha Block)을 포함하는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에 기반하여 현재 프레임의 BAB를 부호화하기 위한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M과 N은 각각 짝수의 양의 정수인 상기 방법이 현재 프레임의 BAB의 짝수번째 수직라인을 순서대로 샘플링하여 제 1 블록을 생성하기위한 수직 서브 샘플링 단계와; 상기 제 1 블록의 짝수번째 수평라인을 순서대로 샘플링하여 제 1-1 블록을 생성하기위한 수평 서브 샘플링 단계와; 상기 제 1-1 블록의 수평라인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 1-1 블록을 이용하여 만든 재구성된 수평라인을, 상기 제 1-1 블록의 수평라인을 짝수번 째 수평라인으로서 놓는 다는 전제하에, 홀수번 째 수평라인으로서 순서대로 끼워넣어 재구성된 제 1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재구성된 제 1 블록의 수직라인의 사이사이에 상기 재구성된 제 1 블록을 이용하여 만든 재구성된 수직라인을, 상기 재구성된 제 1 블록의 수직라인을 짝수번 째 수직라인으로서 놓는 다는 전제하에, 홀수번 째 수직라인으로서 순서대로 끼워넣어 재구성된 BAB를 생성한 후 상기 재구성된 BAB에 대해 콘텍스트 기반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수평라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진 화소 (제 1 목표화소)및 상기 재구성된 수직라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진 화소 (제 2 목표 화소)에 대한 제 1 및 제 2 콘텍스트 값은, 이전 프레임상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와 각각 동일한 위치에 있는 이진 화소,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제 1 블록내에서의 이진 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 위치의 위쪽, 왼쪽 및 대각선 방향의 네 구석에 있는 이진 화소의 각각 총 7개씩의 이진 화소의 값에다가 상기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의 아래쪽과 오른쪽에 있는 이진화소의 값을 각각 포함한 각각 총 8개씩의 이진 화소의 값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의 콘텍스트 기반 아리스메틱 부호화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콘텍스트 값이 표시된 이진 화소 세트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콘텍스트 기반 아리스메틱 부호화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콘텍스트 값이 표시된 이진 화소 세트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트라 모드에서 이용되는 이진 화소 세트
110 : 인터 모드에서 이용되는 콘텍스트 값이 표시된 현재 프레임의 이진 화소 세트
120 : 인터 모드에서 이용되는 콘텍스트 값이 표시된 이전 프레임의 이진 화소 세트
200 : 제 1 블록의 재구성에 이용되는 콘텍스트 값이 표시된 이진 화소 세트
210 : BAB의 재구성에 이용되는 콘텍스트 값이 표시된 이진 화소 세트
본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개량된 CAE 방법에의해 이진 형상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에 따른 CAE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텍스트 값이 표시된 이진 화소 세트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면서 영상 프레임 또는 비디오 물체 평면 (VOP)내의 물체를 나타내는 이진 화소와 배경을 나타내는 이진화소를 구비하는 MxN 화소크기의 이진 알파 블록(BAB: Binary Alpha Block) (M과 N은 각각 짝수인 양의 정수), 예를 들면 16x16 화소 크기의 이진 알파 블록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BAB에 대한 베이스 레이어 부호화에 있어서는 인트라 및 인터 모드에서 CAE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 하기위해 우선, 상기 BAB를 서브 샘플링하여 베이스 레이어를 구한다. 즉, MxN 화소 크기의 BAB의 N개의 수직인을 상기 BAB의 가장 왼쪽의 수직라인으로부터 순서를 정할 때, 첫 번째 또는 두번째에 있는 수직라인부터 시작해서 하나 걸러 하나 씩 순서대로 택하여 즉, 수직 서브 샘플링하여 얻은 Mx(N/2) 화소크기의 제 1 블록을 구한다음, 상기 제 1 블록의 M개의 수평라인을 상기 제 1 블록의 가장 위쪽의 수평 라인으로부터 순서를 정할 때, 첫 번째 또는 두번째에 있는 수평라인부터 시작해서 하나 걸러 하나씩 순서대로 택하여 즉 수평 서브 샘플링하여 얻은 (M/2)x(N/2) 화소크기의 제 1-1 블록을 베이스 레이어로서 구한다. 여기서는 편의상 상기 수평라인 및 수직라인은 모두 짝수 번째의 것을 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다음 상기 베이스 레이어를 종래의 CAE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제 1-1 블록을 부호화된 베이스 레이어로서 구하는 것이다. 즉, 인트라 모드에서는 상기 제 1-1 블록을 종래의 CAE 방법과 같은 종래의 비트 맵 기반 형상 부호화 기법에의해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베이스 레이어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전 프레임의 제 1-1 블록들의 저장단계가 선행되는 인트라 모드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제 1-1 블록들중 현재프레임의 상기 제 1-1 블록과 가장 유사한 이전 프레임의 제 1-1 블록을 예측된 제 1-1 블록으로서 찾아낸다.
그다음,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제 1-1 블록과 상기 예측된 제 1-1 블록사이의 변위를 나타내는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을 구비한 2차원 벡터로서 표현되는 해당 움직임 벡터를 구한다. 그리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제1-1 블록과 이전 프레임의 상기 예측된 제 1-1 블록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에러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를 만든 후에 상기 해당 움직임 벡터 정보와 상기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를 결합하여 부호화된 베이스 레이어 데이터로서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및 상기 예측된 제 1-1 블록을 기초로하여 복원된 현재 프레임의 제 1-1 블록을 구하여 저장한다.
그다음, BAB에 대한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부호화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본적으로 상기 BAB, 상기 제 1 블록 및 상기 베이스 레이어인 상기 제 1-1 블록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해 인핸스 먼트 레이어를 재구성하여 재구성된 BAB 내지 재구성된 인핸스먼트 레이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 내지 부호화된 재구성된 핸스먼트 레이어를 구한다. 그다음, 상기 BAB와 재구성된 BAB 내지 재구성된 인핸스먼트 레이어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에러 데이터 블록을 구하여 이것을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블록을 구한다. 그 후, 앞서 언급한 재구성된 인핸스먼트 레이어 부호화 및 에러 데이터 블록의 부호화에 관계되는 모드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모드 신호를 만든 다음 상기 부호화된 재구성된 인핸스먼트 레이어, 상기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블록 및 상기 부호화된 모드신호를 결합하여 부호화된 인핸스 먼트 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기와 같은 인핸스먼트 레이어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인 바,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핸스먼트 레이어 부호화에 사용되는 개량된 CAE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BAB를 재구성함에 있어서, 인트라 모드에서는 종래의 재구성 방법, 예를 들면 스캔 인터리빙 (Scan Interleaving : SI)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레이어를 구하는 과정에서 샘플링되지 않은 (M/2)개의 수평라인 위치 즉 홀수 번째의 수평 라인 위치(이하 샘플링되지 않은 수평 라인 위치로 칭함)에 상기 베이스 레이어인 상기 제 1-1 블록을 이용하여 만든 재구성된 수평라인을, 상기 제 1-1 블록의 수평라인을 짝수번 째 수평라인으로서 놓는 다는 전제하에, 홀수번째 수평라인으로서 순서대로 채워넣어 Mx(N/2) 화소크기의 재구성된 제 1 블록을 구한다. 그다음, 상기 제 1 블록을 구하는 과정에서 샘플링되지 않은 (N/2)개의 수직 라인 위치 즉 홀수 번째의 수직라인 위치(이하 샘플링되지 않은 수직 라인 위치로 칭함)에 상기 재구성된 제 1 블록을 이용하여 만든 (N/2)개의 재구성된 수직라인을, 상기 재구성된 제1 블록의 수직라인을 짝수번 째 수직라인으로서 놓는 다는 전제하에, 홀수번 째의 수직라인으로서 순서대로 채워넣어 MxN 화소크기의 재구성된 BAB내지 재구성된 인핸스먼트 레이어를 구한다.
앞의 설명에서 재구성된 수평 및 수직라인을 구성하는, 재구성하된 이진 화소는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만들어 진다. 즉, 인터 모드에서는 상기 재구성된 수평 및 수직라인을 구성하는 재구성된 이진 화소(이하 각각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로 지칭함)의 이진 화소값을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CAE 방법에 의해 구하는 바, 이하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개랑된 CAE 방법에 의한 상기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의 이진 화소값을 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a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CAE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현재 프레임 (또는 VOP)을 구성하는 제 1 블록내의 콘텍스트값이 표시된 이진 화소로 세트(200)가 도시된다. 도 2a에서, A는 제 1 목표 화소의 일예를 나타내며 V0 내지 V3 및 V5 내지 V7은 그곳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주위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 값으로서 이미 알고 있는 값이다. 즉, 상기 제 1 블록내의 이진 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V0, V1 및 V2는 A가 속해있는 수평라인의 바로 위쪽 수평 라인상에서 각각 A보다 한줄 왼쪽의, A와 동일 위치의, A보다 한줄 오른쪽의 수직라인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을 각각 나타낸다.
또, 상기 제 1 블록내의 이진 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V5 ,V6 및 V7은 A가 속해있는 수평라인의 바로 아래쪽 수평 라인상에서 각각 A보다 한줄 왼쪽의, A와 동일 위치의, A보다 한줄 오른쪽의 수직라인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을 각각 나타내며 V3는 A 바로 왼쪽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 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A 바로 오른 쪽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 값은 모르므로 빈칸으로 남겨두었다.
이때 상기 제 1 목표 화소 A의 콘텍스트 값(이하 제 1 콘텍스트값으로 칭하고 V로 표시함)은 상기 V0 내지 V3 및 V5 내지 V7과, 이전 프레임 (또는 VOP)내에서 상기 이진 화소 A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이하 V4로 표시함)을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3:
에 의해 구하는 데, 여기서 Vk는 콘텍스트값이 Vk인 이진 화소의 이진화소값 즉 0 또는 1을 의미하며, 콘텍스트값이 Vk인 이진 화소가 해당 위치에 없으면 Vk는 0으로 놓는다. 상기 수학식 3에 의해 구해지는 V값은 따라서, 0부터 255의 값을 갖게 되며 상기 과정의 결과 이진 화소값을 모르는 수평라인상의 모든 이진 화소에 대한 콘텍스트 값이 구해져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확률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국에는 재구성된 제 1 블록이 만들어 진다.
요컨대, 상기 제 1 목표 화소에 대한 상기 제 1 콘텍스트값(V)은, 이전 프레임상에서 상기 제 1 목표 화소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이진 화소,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제 1 블록내에서의 이진 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상기 제 1 목표화소의 위쪽, 왼쪽 및 대각선 방향의 네 구석에 있는 이진 화소의 총 7개의 이진 화소의 값과 상기 제 1 목표 화소의 아래쪽에 있는 이진화소의 값을 포함한 총 8개의 이진 화소의 이진 화소값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목표 화소 A의 상기 제 1 콘텍스트값을 구하는 데 이용되는 8개의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인 Vk를 표시할 때의 순서 즉 k값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래스터 스캐닝 순서로 했지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순서 예를 들면, 상기 왼쪽 수직라인 우선 및 위쪽 수평라인 위치 우선의 순서(이하 왼쪽 우선 및 위쪽 우선 순서로 지칭함)로 정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그에 맞는 미리 결정된 확률테이블을 사용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 2b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CAE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현재 프레임 (또는 VOP)를 구성하는 BAB내의 이진 화소로 이루어진 이진 화소 세트 (210)가 도시된다. 도 2b에서, 제 2 목표 화소를 나타내며 V'0 내지 V'3 및 V'5 내지 V'7은 그곳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주위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 값으로서 이미 알고 있는 값이다. 즉, 상기 BAB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V'0, V'1 및 V'2는 B가 속해있는 수직 라인의 바로 왼쪽 수직 라인상에서 각각 B보다 두줄 위쪽의, B와 동일 위치의, B보다 두줄 아래쪽의 수직라인에 있는 이진 화소이 콘텍스트값을 각각 나타낸다. 또, 상기 BAB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V'5 ,V'6 및 V'7은 B가 속해있는 수직인의 바로 오른쪽 수직 라인상에서 각각 B보다 두줄 위쪽의, B와 동일 위치의, B보다 두줄 아래쪽의 수직라인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을 각각 나타내며 V'3는 B가 속한 수직라인상에서 B보다 바로 두줄 위쪽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 값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이진 화소 세트 (210)내의 빗금친 부분은 수평라인상의 이진 화소들을 표시하는 이 이진 화소들의 콘텍스트값은 알고 있기는 하지만 B의 콘텍스트 값을 구하는 데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콘텍스트값의 도시를 생략한 채 빗금으로 표시 했으며, 상기 BAB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B가 속한 수직라인상에서 B보다 바로 두줄 아래쪽에 있는 이진 화소(상기 제 1 블록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는 B의 바로 아래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 값은 모르기 때문에 빈칸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상기 제 2 목표 화소 B에 대한 콘텍스트 값(이하 제 2 콘텍스트값이라 치하고 V'로 표시함)은 상기 V'0 내지 V'3 및 V'5 내지 V'7과, 이전 프레임 (또는 VOP)내에서 상기 이진 화소 B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이하 V'4로 표시함)을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4:
에 의해 구하는 데, 여기서 V'k는 콘텍스트값이 V'k인 이진 화소의 이진화소값 즉 0 또는 1을 의미하며, 콘텍스트값이 V'k인 이진 화소가 해당 위치에 없으면 V'k는 0으로 놓는다. 상기 수학식 4에 의해 구해지는 V'B값은 따라서, 0부터 255의 값을 갖게 되며 상기 과정의 결과 상기 BAB내의 모든 이진 화소에 대한 콘텍스트 값이 구해져 결국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확률 테이블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BAB가 만들어 지는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제 2 목표 화소에 대한 상기 제 2 콘텍스트값(V')은, 이전 프레임상에서 상기 제 2 목표 화소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이진 화소,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제 1 블록내에서의 이진 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의 상기 제 2 목표화소의 위쪽, 왼쪽 및 대각선 방향의 네 구석에 있는 이진 화소의 총 7개의 이진 화소의 값과 상기 제 2 목표 화소의 오른쪽에 있는 이진화소의 값을 포함한 총 8개의 이진 화소의 이진 화소값을 이용하여 구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재구성된 BAB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용되는 개량된 CAE 방법은 인터 모드에서 일종의 인터폴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는 데, 이와 같이 인터폴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CAE 방법으로 구한 재구성된 BAB (이하 제 1 재구성된 BAB로 지칭함)는 종래의 CAE 방법에의해 구한 재구성된 BAB에 비해 원래의 BAB와의 에러가 훨씬 적다.
하지만, BAB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개량된 CAE방법과 같은 인터폴레이션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단순한 삽입 (揷入)기법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BAB를 구한 경우에 원래의 BAB와 재구성된 BAB와의 에러가 더 적을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인터 폴레이션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와 삽입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중 부호화에 유리한 경우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인터 모드에서, 상기 현재 프레임 (또는 VOP)의 MXN 화소 크기의 BAB를 삽입 기법을 이용하여 재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BAB로부터 구한 MX(N/2) 화소 크기의 제 1 블록으로부터 제 1-1 블록을 감산하여 얻은 (M/2)x(N/2) 화소 크기의 제 1-2 블록을 현재 프레임의 제 1-2 블록으로서 저장한다음, 상기의 베이스 레이어의 부호화 과정에서 얻어진 상기 해당 움직임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이전 프레임 (또는 VOP)의 제 1-2 블록중 상기 현재 프레임 (또는 VOP)의 제 1-2 블록과 가장 유사한 것을 찾아내어 그 찾아낸 제 1-2 블록의 수평라인들을, 상기 제 1-1 블록의 수평라인을 짝수번 째 수평라인으로서 놓는 다는 전제하에, 상기 제 1-1 블록의 수평라인 의 사이 사이에 홀수번재 수평라인으로서 순서대로 삽입한다. 이렇게 하면 결국 삽입 기법에 의해 Mx(N/2) 화소 크기의 재구성된 제 1 블록이 삽입에 의해 재구성된 제 1 블록으로서 구해진다.
그다음에는 인터 모드에서 상기 현재 프레임 (또는 VOP)의 BAB로부터 상기 제 1 블록을 감산하여 얻은 MX(N/2) 화소 크기의 제 2 블록을 현재 프레임의 제 2 블록으로서 저장한다음,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부호화 과정에서 얻어진 상기 해당 움직임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이전 프레임 (또는 VOP)의 제 2 블록중 상기 제 2 블록과 가장 유사한 것을 찾아내어 그 찾아낸 제 2 블록의 홀 수번 째 수직라인들을, 상기 삽입에 의해 재구성된 제 1 블록의 수직라인을 짝수번 째 수직라인으로서 놓는 다는 전제하에, 상기 삽입에 의해 재구성된 제 1 블록의 수직라인의 사이 사이에 홀수번째 수직라인으로서 순서대로 삽입항다. 이렇게 하면 결국 MxN 화소 크기의 재구성된 BAB가 삽입에 의한 재구성된 BAB(이하 제 2 재구성된 BAB로 칭함)로서 구해진다.
그다음,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드 부호화에 앞서서, 상기 제 1 재구성된 BAB를 부호화하여 만든 부호화된 제 1 재구성된 BAB가 차지하는 제 1 데이터 비트수와 상기 제 2 재구성된 BAB를 부호화하여 만든 부호화된 제 2 재구성된 BAB가 차지하는 제 2 데이터 비트 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비트수가 상기 제 2 데이터 비트수보다 같거나 작으면 상기 제 1 재구성된 BAB 및 상기 부호화된 제 1 재구성된 BAB를 선택된 재구성된 BAB 및 선택된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로서 각각 선택하고 만약에 그렇지 않으면, 즉 상기 제 1 데이터 비트수가 상기 제 2 데이터 비트수보다 크면 상기 제 2 재구성된 BAB 및 상기 부호화된 제 2 재구성된 BAB를 선택된 재구성된 BAB 및 선택된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로서 각각 선택한다.
그다음, 상기 BAB와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의 차이를 나타내는 에러 데이터 블록을 구하여 이것을 종래의 에러 데이터 블록 부호화 기법 예를 들면, RCB(Reference Contour Based) 부호화 기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블록을 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제 1 및 제 2 재구성된 BAB의 부호화 및 에러 데이터 블록의 부호화 과정에 관련되는 모드에 대한 모드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때 인터 모드에서, 모드 부호화는 BAB 단위로, 즉 각각의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에 대해 수행하는데 다음과 같은 4가지의 경우를 구별하여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4 모드, 즉:
(1)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가 인터폴레이션 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제 1 재구성된 BAB로서 상기 BAB와의 에러가 하나도 없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는 부호화 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 1 모드와;
(2)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가 인터폴레이션 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제 1 재구성된 BAB로서 상기 BAB와의 에러가 하나이상 있었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를 부호화 했음을 나타내는 제 2 모드와;
(3)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가 삽입 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제 2 재구성된 BAB로서 상기 BAB와의 에러가 하나도 없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는 부호화 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 3 모드와; 그리고
(4)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가 삽입 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제 2 재구성된 BAB로서 상기 BAB와의 에러가 하나이상 있었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를 부호화 했음을 나타내는 제 4 모드를 부호화하여 각각 부호화된 제 1 내지 제 4 모드 신호를 생성한다.
그다음, 상기 부호화된 제 1 내지 제 4 모드 신호중의 하나와,상기 선택된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 및 상기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블록을 포매팅하여 부호화된 인핸스먼트 레이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또는 VOP)내의 BAB와 같은 이진 형상 신호를 부호화함에 있어서보다 개량된 콘택스트값을 이용하여 CAE를 수행함과 동시에 모드 부호화를 적절히 결합함으로서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부호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본발명의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한 특허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는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0)

  1. 물체를 나타내는 이진 화소와 배경을 나타내는 이진화소를 구비하는 MxN 화소크기의 이진 알파 블록 (BAB: Binary Alpha Block)을 포함하는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에 기반하여 현재 프레임의 BAB를 부호화하기 위한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M과 N은 각각 짝수의 양의 정수인 상기 방법은:
    (가) 현재 프레임의 BAB의 수평라인을 상기 BAB의 가장 위쪽의 수평 라인으로부터 순서를 정할 때, 첫 번째 또는 두번째에 있는 수평라인부터 시작해서 하나 건너 하나씩 샘플링하여 Mx(N/2)화소크기의 제 1 블록을 생성하기위한 수평 서브 샘플링 단계;
    (나) 상기 제 1 블록의 수직라인을 상기 제 1 블록의 가장 왼쪽의 수직라인으로부터 순서를 정할 때, 첫 번째 또는 두번째에 있는 수직라인으로부터 시작해서 하나 건너 하나씩 샘플링하여 (M/2)x(N/2)화소크기의 베이스 레이어인 제 1-1 블록을 생성하기위한 수직 서브 샘플링 단계;
    (다) 상기 제 1-1 블록에 상기 단계 (나)에서 샘플링 되지 않은 수평라인 위치에 상기 제 1-1 블록을 이용하여 만든 (M/2)개의 재구성된 수평라인을 순서대로 끼워넣어 Mx(N/2)화소크기의 재구성된 제 1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라) 상기 재구성된 제 1 블록에 상기 단계 (가)에서 샘플링 되지 않은 수직라인 위치에 상기 재구성된 제 1 블록을 이용하여 만든 (N/2)개의 재구성된 수직 라인을 순서대로 끼워넣어 M)xN 화소크기의재구성된 BAB를 생성한 후 상기 재구성된 BAB에 대해 콘텍스트 기반 부호화하를 수행하여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수평라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진 화소(제 1 목표화소)및 상기 재구성된 수직라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진 화소(제 2 목표 화소)에 대한 제 1 및 제 2 콘텍스트 값은, 이전 프레임상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이진 화소,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제 1 블록내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위쪽, 왼쪽 및 대각선 방향의 네 구석에 있는 이진 화소의 각각 총 7개씩의 이진 화소의 값에다가 상기 제 1 및 제 2 목표 화소의 아래쪽과 오른쪽에 있는 이진화소의 값을 각각 포함한 각각의 총 8개의 이진 화소의 값을 이용하여 각각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가)는 상기 이진 알파 블록의 수직라인중 짝수번 째수직라인을 샘플링하여 제 1 블록을 생성하기위한 수직 서브 샘플링 단계이고, 상기 단계(나)는 상기 제 1 블록의 수평라인중 짝수번 째 수평라인을 샘플링하여 상기 베이스 레이어인 상기 제 1-1 블록을 생성하기위한 수평 서브 샘플링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BAB를 포함하는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에 기반하여 현재 프레임의 BAB를 부호화하는 대신에 BAB를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물체 평면 (VOP)과 이전 VOP에 기반하여 현재 VOP의 BAB를 부호화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라)에서 상기 제 1 목표 화소에 대한 상기 제 1 콘텍스트값(V)은, 이전 프레임상에서 상기 제 1 목표 화소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이진 화소,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제 1 블록내에서의 이진 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상기 제 1 목표화소의 위쪽, 왼쪽 및 대각선 방향의 네 구석에 있는 이진 화소의 총 7개의 이진 화소의 값과 상기 제 1 목표 화소의 아래쪽에 있는 이진화소의 값을 포함한 총 8개의 이진 화소의 이진 화소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에 의해 구해지며,
    상기 수학식에서 Vk는 상기 8개의 이진 화소중 래스터 스캐닝 순서로 할 때 제 k번째의 위치에 있는 콘텍스트값이 Vk인 이진 화소의 이진화소값, 0 또는 1을 의미하며, 콘텍스트값이 Vk인 이진 화소가 해당 위치에 없으면 Vk는 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라)에서 상기 제 2 목표 화소에 대한 상기 제 2 콘텍스트값(V')은, 이전 프레임상에서 상기 제 2 목표 화소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이진 화소,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제 1 블록내에서의 이진 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의 상기 제 2 목표화소의 위쪽, 왼쪽 및 대각선 방향의 네 구석에 있는 이진 화소의 총 7개의 이진 화소의 값과 상기 제 2 목표 화소의 오른쪽에 있는 이진화소의 값을 포함한 총 8개의 이진 화소의 이진 화소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에 의해 구해지며,
    상기 수학식에서 V'k는 상기 8개의 이진 화소중 왼쪽 우선 및 위쪽 우선 순서로 할 때 제 k번째의 위치에 있는 콘텍스트값 V'k인 이진 화소의 이진화소값 즉 0 또는 1을 의미하며, 콘텍스트값이 V'k인 이진 화소가 해당 위치에 없으면 V'k는 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은,
    (마) 인트라 모드에서는 상기 제 1-1 블록을 비트 맵 기반 형상 부호화 기법에의해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제 1-1 블록을 부호화된 베이스 레이어 데이터로서 제공하고, 이전 프레임의 제 1-1 블록의 저장 단계가 선행된 인터 모드에서는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이전 프레임의 제 1-1 블록들중 현재프레임의 상기 제 1-1 블록과 가장 유사한 이전 프레임의 제 1-1 블록을 예측된 제 1-1 블록으로서 찾아내어 현재 프레임의 상기 제 1-1 블록과 상기 예측된 제 1-1 블록사이의 변위를 나타내는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을 구비한 2차원 벡터로서 표현되는 해당 움직임 벡터 정보를 구하는 한편,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제1-1 블록과 이전 프레임의 상기 예측된 제 1-1 블록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에러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를 만든 후에 상기 해당 움직임 벡터 정보와 상기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를 결합하여 부호화된 베이스 레이어 데이터로서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및 상기 예측된 제 1-1 블록을 기초로하여 복원된 현재 프레임의 제 1-1 블록을 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부호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은 인터모드에서,
    (바) 이전 프레임의 제 1 블록으로부터 제 1-1 블록을 감산하여 얻은 (M/2)x(N/2) 화소크기의 이전 프레임의 제 1-2 블록을 저장하고 이전 프레임의 BAB로부터 이전 프레임의 제 1 블록을 감산하여 얻은 Mx(N/2) 화소크기의 이전 프레임의 제 2 블록을 저장하는 단계;
    (사)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제 1 블록으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제 1-1 블록을 감산하여 얻은 (M/2)x(N/2) 화소크기의 현재 프레임의 제 1-2 블록을 저장한 다음, 상기 단계 (마)에서 얻어진 상기 해당 움직임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던 상기 이전 프레임의 제 1-2 블록중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제 1-2 블록과 가장 유사한 것을 찾아내어 그 찾아낸 이전 프레임의 제 1-2 블록의 수평라인을, 상기 제 1-1 블록의 수평라인을 짝수번 째 수평라인으로서 놓는 다는 전제하에,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제 1-1 블록의 수평라인의 사이 사이에 홀수번재 수평라인으로서 순서대로 삽입하여 삽입기법에 의해 재구성된 제 1 블록을 구하는 단계;
    (아) 상기 현재 프레임의 BAB로부터 상기 제 1 블록을 감산하여 얻은 Mx(N/2) 화소 크기의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제 2 블록을 저장한 다음, 상기 단계 (마)에서 얻어진 상기 해당 움직임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이전프레임의 제 2 블록중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제 2 블록과 가장 유사한 것을 찾아내어 그 찾아낸 이전 프레임의 제 2 블록의 홀 수번 째 수직라인을, 상기 삽입에 의해 재구성된 제 1 블록의 수직라인을 짝수번 째 수직라인으로서 놓는다는 전제하에, 상기 삽입에 의해 재구성된 제 1 블록의 수직라인의 사이 사이에 홀수번째 수직라인으로서 순서대로 삽입하여 MxN 화소 크기의 삽입에 의해 재구성된 BAB를 제 2 재구성된 BAB로서 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화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은,
    (자) 상기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를 부호화된 제 1 재구성된 BAB로 지칭할 때 상기 부호화된 제 1 재구성된 BAB가 차지하는 제 1 데이터 비트수와 상기 제 2 재구성된 BAB를 부호화하여 만든 부호화된 제 2 재구성된 BAB가 차지하는 제 2 데이터 비트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비트수가 상기 제 2 데이터 비트수보다 같거나 작으면 상기 제 1 재구성된 BAB 및 상기 부호화된 제 1 재구성된 BAB를 선택된 재구성된 BAB 및 선택된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로서 각각 선택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비트수가 상기 제 2 데이터 비트수보다 크면 상기 제 2 재구성된 BAB 및 상기 부호화된 제 2 재구성된 BAB를 선택된 재구성된 BAB 및 선택된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로서 각각 선택하는 단계;
    (차) 상기 BAB와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에러 데이터 블록을 구하여 이것을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블록을 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화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은,
    (카)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에 대해 다음과 같은 4가지의 경우를 구별하여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4 모드를 부호화하여 각각 부호화된 제 1 내지 제 4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가 인터폴레이션 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제 1 재구성된 BAB로서 상기 BAB와의 에러가 하나도 없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는 부호화 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가 인터폴레이션 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제 1 재구성된 BAB로서 상기 BAB와의 에러가 하나이상 있었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를 부호화 했음을 나타내고,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가 삽입 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제 2 재구성된 BAB로서 상기 BAB와의 에러가 하나도 없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는 부호화 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며, 상기 제 4 모드는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가 삽입 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제 2 재구성된 BAB로서 상기 BAB와의 에러가 하나이상 있었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재구성된 BAB를 부호화 했음을 나타내며;
    (타) 상기 부호화된 제 1 내지 제 4 모드 신호중의 하나와, 상기 선택된 부호화된 재구성된 BAB 및 상기 부호화된 에러 데이터 블록을 포매팅하여 부호화된 인핸스먼트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M 과 N은 각각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KR1019970044087A 1997-08-30 1997-08-30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KR100255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087A KR100255754B1 (ko) 1997-08-30 1997-08-30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US08/940,394 US6133955A (en) 1997-08-30 1997-10-01 Method for encoding a binary shape signal
GB9721072A GB2328821B (en) 1997-08-30 1997-10-03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a binary shape signal
CNB971170452A CN1159922C (zh) 1997-08-30 1997-10-07 编码二进制形状信号的方法
JP27697897A JP3976854B2 (ja) 1997-08-30 1997-10-09 二値形状信号符号化方法
FR9712614A FR2768003B1 (fr) 1997-08-30 1997-10-09 Procede de codage d'un signal de forme binaire
DE1997144859 DE19744859B4 (de) 1997-08-30 1997-10-10 Verfahren zum Codieren eines binären Form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087A KR100255754B1 (ko) 1997-08-30 1997-08-30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22A true KR19990020622A (ko) 1999-03-25
KR100255754B1 KR100255754B1 (ko) 2000-05-01

Family

ID=1952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087A KR100255754B1 (ko) 1997-08-30 1997-08-30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33955A (ko)
JP (1) JP3976854B2 (ko)
KR (1) KR100255754B1 (ko)
CN (1) CN1159922C (ko)
DE (1) DE19744859B4 (ko)
FR (1) FR2768003B1 (ko)
GB (1) GB232882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459B1 (ko) * 2004-12-10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KR100747587B1 (ko) * 2006-03-31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632B1 (ko) * 1997-10-17 2006-04-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적응적으로 보더링하는 모양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303085B1 (ko) * 1998-04-24 2001-09-24 전주범 이진형상신호부호화장치및방법
CA2516943A1 (en) * 2003-02-28 2004-09-16 James Hardie International Finance B.V. Fiber cement fence system
KR100679031B1 (ko) * 2004-12-03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 계층 기반의 비디오 인코딩 방법, 디코딩 방법 및 상기방법을 이용한 장치
US7865025B2 (en) * 2006-08-01 2011-01-04 Ching-Wei Yeh Data processing method in embedded block coding with optimized truncation module
PL2721819T3 (pl) * 2011-06-16 2024-02-19 Ge Video Compression, Llc Kodowanie entropijne obsługujące przełączanie trybów
UA114674C2 (uk) 2011-07-15 2017-07-10 ДЖ.І. ВІДІЕУ КЕМПРЕШН, ЛЛСі Ініціалізація контексту в ентропійному кодуванні
EP2673954A4 (en) * 2012-01-12 2015-08-12 Mediatek Inc METHOD AND DEVICE FOR UNIFYING CONTEXT-BASED CARD SELECTIONS
US10015515B2 (en) * 2013-06-21 2018-07-03 Qualcomm Incorporated Intra prediction from a predictive block
US9883197B2 (en) 2014-01-09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Intra prediction of chroma blocks using the same vector
EP3420726B1 (en) 2016-02-26 2021-05-19 Versitech Limited Shape-adaptive model-based codec for lossy and lossless compression of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1497B1 (en) * 1997-12-02 2004-03-24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Interlaced binary shape coding apparatus
GB2333412B (en) * 1998-01-20 2002-05-15 Daewoo Electronics Co Ltd Context-based arithmetic encoding/decod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459B1 (ko) * 2004-12-10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KR100747587B1 (ko) * 2006-03-31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8003B1 (fr) 2004-08-13
JP3976854B2 (ja) 2007-09-19
GB2328821B (en) 2002-01-30
GB9721072D0 (en) 1997-12-03
US6133955A (en) 2000-10-17
GB2328821A (en) 1999-03-03
FR2768003A1 (fr) 1999-03-05
JPH1175179A (ja) 1999-03-16
CN1210429A (zh) 1999-03-10
DE19744859A1 (de) 1999-03-04
CN1159922C (zh) 2004-07-28
DE19744859B4 (de) 2005-08-18
KR100255754B1 (ko)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8789A (en) Transparent block skipping in object-based video coding systems
KR100574184B1 (ko) 비디오 인코더, 비디오 디코더, 비디오 처리기 및 그 방법
KR100501902B1 (ko) 영상정보부호화/복호화장치및방법
CN1058596C (zh) 对编码图象信号译码时实行半象素移动补偿的方法
US5694173A (en) Video data arranging method and video data encoding/decoding apparatus
KR100255754B1 (ko)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KR100295798B1 (ko) 스케일러빌리티를구현한이진현상신호부호화장치
KR20060043115A (ko) 베이스 레이어를 이용하는 영상신호의 엔코딩/디코딩 방법및 장치
AU20032446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dding Interlaced Macroblock Texture Information
JP2002519955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装置
US20060120459A1 (en) Method for coding vector refinement information required to use motion vectors in base layer pictures when encoding video signal and method for decoding video data using such coded vector refinement information
KR100281322B1 (ko)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KR19990031654A (ko)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에 있어서의 모드 부호화 방법
US6198508B1 (en) Method of encoding picture data and apparatus therefor
US7426311B1 (en) Object-based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age signals
EP0891092B1 (en) Method for restoring a binary shape signal
CN103379349B (zh) 一种视点合成预测编码方法、解码方法、对应的装置及码流
KR100186980B1 (ko) 영상데이타의 물체별 정보 계층별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9990027349A (ko) 영상정보 변환방법
CN113179408A (zh) 一种图像编解码方法及装置
KR100275273B1 (ko) 이진 형상 코더에 사용하기 위한 모드 신호 엔코딩 방법 및장치
KR19990008668A (ko) 신축형 대상물 영상의 스캔 인터리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mpeg-4의 신축형 모양정보 부호화 방법
MXPA000086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dding interlaced macroblock texture information
KR19990058282A (ko) 격행 형상 코더에 사용하기 위한 모드 코딩 방법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