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511U -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511U
KR19990020511U KR2019970033987U KR19970033987U KR19990020511U KR 19990020511 U KR19990020511 U KR 19990020511U KR 2019970033987 U KR2019970033987 U KR 2019970033987U KR 19970033987 U KR19970033987 U KR 19970033987U KR 19990020511 U KR19990020511 U KR 199900205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ontainer
refrigerator
type contain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3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511U/ko
Publication of KR19990020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511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장실의 특선실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랍식 용기의 전면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인출 및 수납창을 형성하고, 그 인출 및 수납창을 개폐시키는 회전 도어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서랍식 용기를 전방으로 인출시키지 않고도 서랍식 용기의 앞쪽에 보관된 과일 및 야채 등의 내용물을 꺼내거나 그 앞쪽에 내용물을 보관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보다 향상시키며, 또한 서랍식 용기의 인출 및 수납 동작의 감소로 소음 발생을 저감시킨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 및 야채 등의 내용물이 보관되는 서랍식 용기를 전방으로 인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꺼내거나 보관하도록 하여 서랍식 용기의 사용상 편리함을 배가시키며, 또한 서랍식 용기의 인출 및 수납 동작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본체의 내부가 냉동실 및 냉동실로 분리 형성되어 있어, 냉동을 요하는 냉동 식품은 냉동실에 저장하고, 냉장을 요하는 냉장 식품은 냉장실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의 내부는 위치 별로 온도가 상이하여, 냉장 식품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위치에 냉장 식품을 저장하게 되는 바, 통상적으로 냉장실의 최상부 온도가 가장 낮고 하측으로 갈수록 온도가 약간씩 상승하여, 충분히 신선도가 요구되고 냉기에 의한 냉해를 입어서는 안되는 과일, 야채 등은 냉장실의 하측에 형성된 특선실에 보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냉장실의 하측에 특선실이 형성되는 전형적인 냉장고의 실시 형태가 첨부 도면 도 1, 2 및 도 3a, 3b에 개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의 냉장실(20)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으로 특선실(30)이 형성되어 있고, 그 특선실(30)의 양측 내벽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 레일(4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40)에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서랍식 용기(5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직선상의 상부 가이드(41)와 하부 가이드(42)의 사이에 가이드 홈(43)이 구비된 형상으로써, 특선실(30)의 양측 내벽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 상기 하부 가이드(42)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서랍식 용기(50)의 전진 및 후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진 및 후진 방지 스토퍼(44)(4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랍식 용기(50)는 저부에 과일 및 야채 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갖는 함체 형상이며, 양측 상단부에 가이드 레일(40)의 가이드 홈(43)으로 위치하는 걸림 지지부(5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 지지부(51)의 후방측 상,하부에는 상부 가이드 롤러(52) 및 하부 가이드 롤러(5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 롤러(52) 및 하부 가이드 롤러(53)는 그 회전 중심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상부 가이드(41)의 하면 및 하부 가이드(42)의 상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서랍식 용기(50)의 슬라이드 동작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식 용기(50)의 선단 상부에는 서랍식 용기(50)의 인출 및 수납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특선실(30)을 이용함에 있어서는, 냉장실(20)의 특선실(30)에 서랍식 용기(50)가 수납된 상태에서 손잡이(54)를 잡고 서랍식 용기(5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랍식 용기(50)의 양측 걸림 지지부(51)에 결합된 상부 가이드 롤러(52) 및 하부 가이드 롤러(53)가 가이드 레일(40)의 상부 가이드(42) 및 하부 가이드(42)에 각각 지지되어 있으므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랍식 용기(50)가 가이드 레일(40)의 안내를 받으며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하부 가이드(42)에 형성된 전진 방지 스토퍼(44)에 하부 가이드 롤러(53)가 걸리게 되므로 서랍식 용기(50)는 더 이상 인출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특선실(30)의 전방으로 서랍식 용기(50)가 인출된 상태에서 과일 및 야채 등의 내용물을 저장하거나, 그 서랍식 용기(50)로부터 과일 및 야채 등의 내용물을 꺼내게 된다.
이 후, 손잡이(54)를 이용하여 서랍식 용기(50)를 다시 특선실(30)의 후방측으로 밀어 넣으면, 인출시와 마찬가지로 상부 가이드 롤러(52) 및 하부 가이드 롤러(53)의 안내를 받으면서 특선실(3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서랍식 용기(50)는 하부 가이드 롤러(53)가 하부 가이드(42)의 후진 방지 스토퍼(45)에 걸려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냉장고에서 서랍식 용기(50)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그 서랍식 용기(50)에 과일 및 야채 등의 내용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서랍식 용기(50)의 뒤쪽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낼 경우에는 부득이 서랍식 용기(50)를 전방측으로 잡아 당겨 내용물을 꺼내야 하지만, 서랍식 용기(50)의 앞쪽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내거나 서랍식 용기(50)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앞쪽에 내용물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서랍식 용기(50)를 전방측으로 인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서랍식 용기(50)의 인출 및 수납 동작으로 상부 가이드 롤러(52) 및 하부 가이드 롤러(53)의 마찰에 따른 소음을 더욱 증가시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서랍식 용기를 전방으로 인출시키지 않고도 서랍식 용기의 앞쪽에 보관된 과일 및 야채 등의 내용물을 꺼내거나 그 앞쪽에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서랍식 용기의 인출 및 수납 동작의 감소로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a, 3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는 서랍식 용기가 특선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보인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3b는 서랍식 용기의 사용을 위하여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결합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서랍식 용기의 록킹수단을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특선실의 내부에 서랍식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장고 본체 30 ; 특선실
60 ; 서랍식 용기 61 ; 인출 및 수납창
62,63 ; 힌지홈 64,65 ; 록킹홈
70 ; 회전 도어 71,72 ; 힌지돌기
73,74 ; 록킹돌기 75 ; 도어 손잡이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장고 본체의 특선실에 서랍식 용기가 인출 및 수납되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용기의 전면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인출 및 수납창을 형성하고, 그 인출 및 수납창을 개폐시키는 회전 도어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도어는 일측 변부의 상하부에 힌지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그 회전 도어의 힌지돌기는 인출 및 수납창의 일측 변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힌지홈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도어에 개폐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어 손잡이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도어는 록킹수단에 의해 서랍식 용기에 록킹되도록 구성되며, 그 일실시례로써, 회전 도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록킹돌기와, 그 록킹돌기에 대향되는 인출 및 수납창의 내측면에 록킹돌기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록킹홈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결합 상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서랍식 용기의 록킹수단을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서랍식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는, 냉장고 본체(10)의 특선실(3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40)의 안내를 받으며 서랍식 용기(60)가 슬라이드되면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용기(60)의 전면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인출 및 수납창(61)을 형성하고, 그 인출 및 수납창(61)을 개폐시키는 회전 도어(7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인출 및 수납창(61)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 등과 같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회전 도어(70)의 형상은 인출 및 수납창(61)을 효과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면 어떠하여도 무방하지만, 가능하면 인출 및 수납창(6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회전 도어(70)는 일측 변부의 상하부에 힌지돌기(71)(7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회전 도어(70)의 힌지돌기(71)(72)는 인출 및 수납창(61)의 일측 변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힌지홈(62)(상측의 힌지홈은 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어 회전 도어(70)의 회전 동작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 도어(70)는 록킹수단에 의하여 서랍식 용기(60)의 전면에 록킹되는 바, 록킹수단의 일실시례에 의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도어(7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는 록킹돌기(73)(74)와, 그 록킹돌기(73)(74)에 대향되는 인출 및 수납창(61)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되는 록킹홈(64)(65)로 구성한다.
상기 록킹돌기(73)(74) 및 록킹홈(64)(65)은 도면에 각각 2개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각각 3개로 형성하거나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도 본 고안의 실시례에 한정하지 않으며, 회전 도어(70)를 견고하게 록킹시키기 위한 구성이라면 어떠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70)의 전면에 도어 손잡이(75)를 형성하여 회전 도어(70)의 개폐 동작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그 도어 손잡이(75)의 형상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면중 종래의 기술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의 특선실(30)에 수납된 서랍식 용기(60)에 과일 및 야채 등의 내용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그 서랍식 용기(60)의 뒤쪽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낼 경우에는 기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랍식 용기(60)를 손잡이(54)를 이용하여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면, 서랍식 용기(60)가 통상적인 가이드 레일(40)의 안내를 받으며 특선실(30)로부터 인출된다.
이와 같이 특선실(30)의 전방측으로 인출된 서랍식 용기(60)로부터 뒤쪽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으며, 이 후, 서랍식 용기(60)를 후방으로 밀어 특선실(30)에 수납시키게 된다.
한편, 서랍식 용기(60)의 앞쪽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내거나 서랍식 용기(60)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앞쪽에 내용물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랍식 용기(60)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지 않고 특선실(30)에 수납된 상태에서 도어 손잡이(75)를 이용하여 회전 도어(70)를 개방시킴으로써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어 손잡이(75)를 소정의 힘으로 잡아당기면, 서랍식 용기(60)의 인출 및 수납창(61)에 형성된 록킹홈(64)(65)으로부터 록킹돌기(73)(74)가 벗어나면서 회전 도어(70)가 힌지돌기(71)(72)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된다.
이 후, 인출 및 수납창(61)을 통해 서랍식 용기(60)의 내부로 내용물을 꺼내거나 집어 넣는 작업을 완료하고 도어 손잡이(75)를 이용하여 회전 도어(70)를 가볍게 밀어 넣으면, 회전 도어(70)의 록킹돌기(73)(74)가 서랍식 용기(60)의 록킹홈(64)(65)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형합됨으로써 회전 도어(70)가 서랍식 용기(60)에 록킹되며, 이와 같이 록킹돌기(73)(74)와 록킹홈(64)(65)이 결합된 상태에는 회전 도어(70)가 임의로 회전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도어(70)에 의해 서랍식 용기(60)의 인출 및 수납창(61)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는, 냉장실의 특선실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랍식 용기의 서랍식 용기의 전면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인출 및 수납창을 형성하고, 그 인출 및 수납창을 개폐시키는 회전 도어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서랍식 용기를 전방으로 인출시키지 않고도 서랍식 용기의 앞쪽에 보관된 과일 및 야채 등의 내용물을 꺼내거나 그 앞쪽에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보다 향상시키며, 또한 서랍식 용기의 인출 및 수납 동작의 감소로 소음 발생을 저감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냉장고 본체의 특선실에 서랍식 용기가 인출 및 수납되도록 구성된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용기의 전면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인출 및 수납창을 형성하고, 그 인출 및 수납창을 개폐시키는 회전 도어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도어는 일측 변부의 상하부에 힌지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그 회전 도어의 힌지돌기는 인출 및 수납창의 일측 변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힌지홈에 결합되어 회전 도어의 회전 동작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도어에 개폐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어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도어는 록킹수단에 의해 서랍식 용기에 록킹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회전 도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록킹돌기와, 그 록킹돌기에 대향되는 인출 및 수납창의 내측면에 록킹돌기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록킹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KR2019970033987U 1997-11-26 1997-11-26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KR199900205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987U KR19990020511U (ko) 1997-11-26 1997-11-26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987U KR19990020511U (ko) 1997-11-26 1997-11-26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511U true KR19990020511U (ko) 1999-06-15

Family

ID=6969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987U KR19990020511U (ko) 1997-11-26 1997-11-26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51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7402A (zh) * 2022-04-25 2022-07-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盖板结构、冰箱抽屉、冰箱及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7402A (zh) * 2022-04-25 2022-07-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盖板结构、冰箱抽屉、冰箱及控制方法
CN114777402B (zh) * 2022-04-25 2024-05-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盖板结构、冰箱抽屉、冰箱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6678B2 (ja) 冷蔵庫の野菜室
US8333446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leakage of cooling air for refrigerator
KR102472387B1 (ko) 냉장고
KR20060081923A (ko) 냉장고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EP2725314B1 (en) Refrigerator
KR101210801B1 (ko) 냉장고 서랍의 소음 저감구조
KR970000101B1 (ko) 저장고
KR101106645B1 (ko) 냉장고
JPH06257935A (ja) 貯蔵庫
KR101013683B1 (ko) 냉장고
KR100392404B1 (ko) 냉장고
KR101392524B1 (ko) 냉장고 내부도어 개폐구조
KR19990020511U (ko)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KR19990020512U (ko) 냉장고의 서랍식 용기 인출 및 수납장치
KR101269831B1 (ko) 멀티도어 홈바가 구비된 냉장고도어
KR20060032686A (ko) 냉장고 인출식 선반
KR20040082699A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200180354Y1 (ko) 냉장고의 특선실구조
KR19980082301A (ko) 냉장고
JPH11311479A (ja) 冷蔵庫
KR0137800Y1 (ko) 회전선반의 조립 구조물
KR0120643Y1 (ko) 냉장고용 선반의 고정구조
KR20040082705A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0117749Y1 (ko) 냉장고용 서브-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