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739U - 골프공 저장공급기 - Google Patents

골프공 저장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739U
KR19990019739U KR2019970033129U KR19970033129U KR19990019739U KR 19990019739 U KR19990019739 U KR 19990019739U KR 2019970033129 U KR2019970033129 U KR 2019970033129U KR 19970033129 U KR19970033129 U KR 19970033129U KR 19990019739 U KR19990019739 U KR 199900197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guide rail
supply
golf ball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9501Y1 (ko
Inventor
최윤필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최윤필
이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필, 이철호 filed Critical 최윤필
Priority to KR2019970033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50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목적)
본 고안은 골프연습장에서 골퍼가 타구한 볼을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포집하고, 이와 같이 포집된 볼을 티업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골프공 저장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구성)
본 고안의 골프공 저장공급기의 전체적인 구성은, 볼을 투입하기 위한 덮개(13)의 하부에 수납함(12)이 구비된 본체(1)와; 상기 수납함(12)에 충만되어 있는 볼(11)을 이송장치(10)로 공급하기 위하여 하부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부안내레일(6)과; 일측면에 볼(11)을 유입하기 위한 절개부(3a)와 볼을 배출하는 통공(3b)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3)의 상부에 모우터(5)를 장착하여, 상기 모우터 축에는 원판(9) 상에 적정수의 돌출턱(9a)이 일체로 형성된 임펠러(7)를 장착한 이송장치(10)와; 상기 이송장치(10)에서 이송되는 볼을 송풍기(8)로 이송하기 위한 하부안내레일(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저장공급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골프공 저장공기
본 고안은 골프연습장에서 골퍼가 타구한 볼을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포집하고, 이와 같이 포집된 볼을 티업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골프공 저장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연습장의 시스템은 타석에서 골퍼가 타구를 하면 필드상에 적정거리를 유지하여 볼을 포집하기위한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한 요홈부를 따라서 이동된 볼을 콘베이어장치에 의해서 본 고안인 볼 저장공기에 공급하면, 이 볼 저장공급기에서 티업장치로 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시스템중 종래의 볼 저장공급기는 내부에 아무런 장치가 내설되지 않은 중공부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티업장치에 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제안하기에 이른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개수의 볼을 저장하면서 이를 연속적으로 티업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골프공 저장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볼을 투입하기 위한 덮개(13)의 하부에 수납함(12)이 구비된 본체(1)와; 상기 수납함(12)에 충만되어 있는 볼(11)을 이송장치(10)로 공급하기 위하여 하부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부안내레일(6)과; 일측면에 볼(11)을 유입하기 위한 절개부(3a)와 볼을 배출하는 통공(3b)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3)의 상부에 모우터(5)를 장착하여, 상기 모우터 축에는 원판(9) 상에 적정수의 돌출턱(9a)이 일체로 형성된 임펠러(7)를 장착한 이송장치(10)와; 상기 이송장치(10)에서 이송되는 볼을 송풍기(8)로 이송하기 위한 하부안내레일(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저장공급기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구성요소인 이송장치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3 : 하우징
4 : 하부안내레일5 : 모우터
6 : 임펠러10 : 이송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구성요소인 이송장치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1)은 골프공(11)을 저장하기 위한 본체로서, 이 본체(1)는 철판을 절곡하여 일정한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상부의 일정개소에는 볼(11)을 투입하기 위한 덮개(1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덮개(13)의 저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납함(12)의 저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부 안내레일(6)을 고정 장착하고 있다.
상부안내레일(6)의 단부에는 이송장치(10)가 장착되는 바, 이 이송장치(10)의 구성은, 일측에 개구부(14)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하우징(3)이 본체(1)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이하우징(3)상에는 임펠러(7)를 입설하고, 임펠러(7)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에는 하우징(3)의 상면을 관통해서 설치된 모우터(5)의 축과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임펠러(7)의 하단부에는 원판(9)을 일체로 형성하여 원판(9)의 상면에 볼(11)을 모우터(5)의 회전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돌출편(9a)이 등간격으로 배설하고 있다.
돌출편(9a)은 용도에 따라 적정수로 배열할 수 있으나 가장 적합한 것은 3개를 배설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3)의 저부 외주연 상에는 임펠러(7)에 의해서 이송되는 볼(11)을 하부 안내레일(4)로 보내기 위한 통공(3b)이 형성되어 외측에서 하부 안내레일(4)을 고정한 것이다.
또한 하부 안내레일(4)의 타단부에는 송풍기(8)에 구비되어 있는 송풍로(8a)와 연통되도록 융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덮개(13)를 개방하여 수납함(12)에 볼을 투입하면 이 볼(11)은 상부안내레일(6)을 따라 서서히 이동하여 임펠러(7) 상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와 하우징(3) 상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턱에 의해서 모우터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우징(3)의 내부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3)의 내부로 낙하한 볼(11)은 모우터(5)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원판(9)의 상면에 놓여지게 되고 이 볼(11)은 원판(7)의 상면에 배설되어 있는 걸림턱(9a)에 의해서 이동되면서 하우징(3)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3b)으로 공급되어 하부 안내레일(4)로 이송하는 것이다.
하부안내레일(4)은 송풍기(8)의 단부에 삽설되어 있는 송풍로(8a)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이송되는 볼(11)은 송풍펜(8)의 장력에 의해서 송풍로(8a)와 연결되어 있는 티업장치에 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볼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함과 수납함에서 공급되는 볼(11)을 임펠러에 의해서 송풍기로 보내는 이송장치와 이송장치에 의해서 공급되는 볼을 티업 장치에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송풍기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많은 양의 볼을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티업장치에 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볼을 투입하기 위한 덮개(13)의 하부에 수납함(12)이 구비된 본체(1)와; 상기 수납함(12)에 충만되어 있는 볼(11)을 이송장치(10)로 공급하기 위하여 하부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부안내레일(6)과; 일측면에 볼(11)을 유입하기 위한 절개부(3a)와 볼을 배출하는 통공(3b)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3)의 상부에 모우터(5)를 장착하여, 상기 모우터 축에는 원판(9) 상에 적정수의 돌출턱(9a)이 일체로 형성된 임펠러(7)를 장착한 이송장치(10)와; 상기 이송장치(10)에서 이송되는 볼을 송풍기(8)로 이송하기 위한 하부안내레일(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저장공급기.
KR2019970033129U 1997-11-21 1997-11-21 골프공 저장공급기 KR200169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129U KR200169501Y1 (ko) 1997-11-21 1997-11-21 골프공 저장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129U KR200169501Y1 (ko) 1997-11-21 1997-11-21 골프공 저장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739U true KR19990019739U (ko) 1999-06-15
KR200169501Y1 KR200169501Y1 (ko) 2000-03-02

Family

ID=1951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129U KR200169501Y1 (ko) 1997-11-21 1997-11-21 골프공 저장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5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65B1 (ko) * 2007-12-06 2008-06-10 (주)훼밀리골프 자연낙하방식을 이용한 골프공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210B1 (ko) * 2010-07-09 2012-12-27 조완제 골프 타석 경사 조절장치의 골프공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65B1 (ko) * 2007-12-06 2008-06-10 (주)훼밀리골프 자연낙하방식을 이용한 골프공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501Y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4350A (en) Pitching machine
US4730728A (en) Golf accessory carrying device
US5088600A (en) Golf club shaft protector tube
EP0071115A2 (en) Golf bag
US7611416B1 (en) Cue stick apparatus and method
US20020092862A1 (en) Portable golf ball storage, dispensing and display apparatus
US5549518A (en) Golf ball dispensing device with lightly-actuated pivotal track
GR3002184T3 (en) Rotatable club holder insert for a golf bag
US5259622A (en) Golf ball teeing apparatus
US6615982B1 (en) Golf bag
KR200169501Y1 (ko) 골프공 저장공급기
KR920004351B1 (ko) 타격연습기
US5582325A (en) Portable golf ball dispenser
US20070117657A1 (en) Golf accessory
WO2000054853A1 (en) Golf club support
US4371022A (en) Golf club caddy
US7198574B2 (en) Putter with integral ball retriever
WO2001064299A1 (en) Golf club carriers
US6176794B1 (en) Impact boosting power tee for golf ball
JPS6133981Y2 (ko)
JP3972154B2 (ja) 物体供給装置
KR200164304Y1 (ko) 골프공 공급장치의 골프공 안내장치
CA2308708A1 (en) Putting box
US6334546B1 (en) Ball cartridge means for storing, delivering and collecting practice ball
EP27282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intb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