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094U - 식품 저장고 - Google Patents

식품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094U
KR19990019094U KR2019970032428U KR19970032428U KR19990019094U KR 19990019094 U KR19990019094 U KR 19990019094U KR 2019970032428 U KR2019970032428 U KR 2019970032428U KR 19970032428 U KR19970032428 U KR 19970032428U KR 19990019094 U KR19990019094 U KR 19990019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food
evaporator
tub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섭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32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094U/ko
Publication of KR19990019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094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식품 저장고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증발기가 동관으로 구성되어 단순히 내부용기의 외주에 권취됨으로써 냉매가 순차적으로 흐르는 구성이었는 바, 저장실과의 열전달효율이 매우 낮고 저장실을 균일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없었다.
본 고안에서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부용기와, 이 내부용기에 단열재를 개재하여 감싸는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외주에 권취되어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내부용기의 외주에 권취되어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히터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여 음식물을 소정의 상태로 숙성시킨 뒤 냉장보관하는 식품 저장고에 있어서, 증발기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냉매의 입출구를 형성하는 두 헤더와, 두 헤더 사이에 이들과 직교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내부용기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소정형태로 벤딩되며 양단이 두 헤더에 연통하도록 접합되어 냉매가 동시에 흐르는 다수의 튜브로 구성되어 저장실과의 신속한 열교환은 물론 저장실을 균일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식품 저장고
본 고안은 음식물을 소망하는 상태로 숙성시켜 냉장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식품 저장고(storage for preserving a food)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저장실(cavity)을 냉각시키는 냉각시스템(cooling system)의 증발기(evaporator)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김치등과 같은 발효식품은 섭취자의 기호에 따라 좋은 맛을 내기 위하여 적절한 숙성이 필요하며, 어느 정도의 숙성 후에는 항상 소망하는 숙성상태의 김치를 즐길 수 있도록 필요 이상의 과도한 숙성방지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저장된 음식물과의 열교환으로 음식물을 숙성 또는 냉각시키는 열교환장치를 이용하여 김치 등의 식품을 소망하는 상태로 숙성시킨 뒤 냉장보관 할 수 있는 이른 바, "식품 저장고"가 출현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 식품 저장고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본체(1)의 외부용기(3) 하측에 압축기(compressor:8) 등의 전장품들이 설치되는 구동실(driving room:7)이 배플판(baffle plate:5)에 의해 구획되고, 상측에는 저장실(6)을 형성하는 내부용기(4)가 설치된다. 외부용기(3)의 내주에는 압축기(8)에서 공급된 냉매가스를 외기와의 열교환으로 액화시키는 응축기(condenser:9)가 권취되고, 내부용기(4)의 외주 상측에는 액냉매를 저장실(6)과의 열교환으로 기화시킴으로써 저장실(6)을 냉각시키는 증발기(evaporator:10)가 권취된다. 이에 따라 외부 및 내부용기(3)(4) 사이에는 단열재(14)가 충진되고, 커버(cover:12)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본체(1)의 상부에는 저장실(6)을 개폐하는 도어(door:2)가 단열재(15)를 충진하여 힌지조립체(hinge assembly:13)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용기(4)의 외주 하측에는 저장실(6)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히터(11)가 권취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식품 저장고는 증발기(10)가 동관을 내부용기(4)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여러번 감아줌으로써 구성되므로, 작업공정이 상당히 복잡하고 생산성도 저하되었다. 또한 내부용기(4)와 증발기(10)간의 접촉면적이 매우 작고 밀착성도 떨어져 양자간의 열전달효율이 매우 낮을 뿐 아니라 해당 온도에의 도달시간이 길어 저장된 음식물을 소망하는 상태로 확실히 냉장보관하기 어려웠다. 특히 냉매가 증발기(10)의 입구로부터 그 출구쪽으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저장실(6)을 냉각하게 되는 바, 그 출구측으로 갈수록 냉매의 온도상승에 의해 증발량이 감소하여 저장실(6)의 각 부위별 온도차이가 심하게 발생됨으로써 음식물을 균일하게 냉장보관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들을 감안하여 저장실과 증발기 간의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장실의 각 부위를 균일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는 식품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용기와의 접촉면적과 밀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내부용기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식품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식품 저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부용기와, 이 내부용기를 단열재를 개재하여 감싸는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외주에 권취되어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내부용기의 외주에 권취되어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히터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여 음식물을 소정의 상태로 숙성시킨 뒤 냉장보관하는 식품 저장고에 있어서, 증발기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냉매의 입출구를 형성하는 두 헤더(header)와, 두 헤더 사이에 이들과 직교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내부용기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소정형태로 벤딩되며 양단이 두 헤더에 연통하도록 접합되어 냉매가 동시에 흐르는 다수의 튜브(tub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튜브가 장방형 단면을 갖는 평판형으로 구성되어 상호 구획된 복수의 냉매유로를 가지며, 평면부가 내부용기의 외주에 접촉하도록 그 폭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저장실과 증발기간에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저장실의 온도를 각 부위에서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내부용기와의 조립작업도 매우 간편해지게 되므로 식품 저장고의 냉장성능과 신뢰성 및 생산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식품 저장고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식품 저장고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증발기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도어(door)
3 : (본체의) 외부용기 4 : (본체의) 내부용기
6 : (본체의) 저장실 9 : 응축기(condenser)
11 : 히터(heater) 16 : 증발기(evaporator)
17 : (증발기의) 헤더(header) 18 : (증발기의) 튜브(tube)
18a : (튜브의) 냉매유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본 고안에 의한 식품 저장고는 내부에 저장실(6)을 구비하여 예를들어 김치등과 같은 발효식품을 적절히 숙성시킨 뒤 소망하는 숙성상태로 냉장보관하는 본체(1)와, 이 본체(1)의 상부에 힌지조립체(13)에 의해 연결되어 그 저장실(6)을 개폐하는 도어(2)로 구성된다.
본체(1)는 저장실(6)를 형성하는 내부용기(4) 및 이 내부용기(4)를 감싸는 외부용기(3)로 구성되고, 외부용기(3)의 하측에는 내부용기(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압축기(8) 등의 전장품이 설치되는 구동실(7)이 배플판(5)에 의해 구획된다.
외부용기(3)의 내주에는 압축기(8)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스를 외기와의 열교환으로 액화시키는 응축기(9)가 권취되고, 이 응축기(9)와 대향하는 내부용기(4)의 외주 상측에는 액화된 냉매를 저장실(6)과의 열교환을 통해 기화시킴으로써 저장실(6)을 소정온도로 냉각 유지시키는 증발기(16)가 권취된다. 또한 내부용기(4)의 외주 하측에는 저장실(6)을 일정시간동안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김치 등의 식품을 소망하는 상태로 숙성시키는 히터(11)가 권취된다.
이에 따라 본체(1)의 저장실(6)은 외부와 확실한 단열이 요구되는 바, 외부용기(3)와 내부용기(4) 사이에는 저장실(6)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14)가 충진되어 커버(12)에 의해 밀폐되고, 도어(2)의 내부 역시 단열재(15)가 충진된다. 이러한 단열재(14)(15)는 예컨대, 우레탄을 그 설치위치에서 발포성형함으로써 구성된다.
한편 증발기(16)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냉매의 입구 및 출구의 기능을 가지는 두 헤더(17)와, 이 두 헤더(17) 사이에 이들과 직교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뒤 양단이 각 헤더(17)에 연통하도록 접합됨으로써 냉매가 동시에 흐르는 다수의 튜브(18)로 구성된다. 이때 각 튜브(18)는 내부용기(4)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소정형태로 벤딩(bending)된다.
튜브(18)는 바람직하기로 장방형 단면을 갖는 평판형으로 구성되어 그 한쪽 평면부가 내부용기(4)의 외주에 접촉하도록 그 폭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튜브(18)는 냉매의 전열면적 증대를 위해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냉매유로(18a)를 갖는다. 이러한 튜브(18)는 그 내부를 복수의 냉매유로(18a)로 구획하는 격벽을 별도로 제작하여 접합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제작이 상당히 어렵고 번잡하므로 압출가공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헤더(17) 역시 튜브(18)와 마찬가지로 장방형 단면을 갖는 평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두 헤더(17)에는 각 튜브(18)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슬롯(fixing slot:17a)들이 상호 대향하도록 그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 증발기(16)의 헤더(17)와 튜브(18)들은 바람직하기로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재로 구성되고, 양자간의 접합도 이들보다 낮은 용융온도를 갖는 동종재질의 크래드(clad) 소재에 의해 브레이징(brazing) 용접됨으로써 일체로 구성된다. 즉 헤더(17) 또는 튜브(18) 또는 양자의 표면에 이들보다 일정온도이상 낮은 용융점을 갖는 크래드 소재를 도포하여 양자를 가조립한 뒤, 소정온도의 브레이징로에 통과시키면 크래드 소재만이 용융 및 소성됨으로써 헤더(17)와 튜브(18)가 상호 접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식품 저장고는 증발기(16)와 내부용기(4)간의 접촉면적이 종래에 비해 대폭 증대됨은 물론 상호간에 견고히 밀착되게 되므로 저장실(6)과의 열전달이 매우 신속히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은 증발기(16)가 고열전도율의 알루미늄재로 구성될 뿐 아니라 각 튜브(18)가 복수의 냉매유로(18a)를 가지므로 그 전열성능이 매우 우수한 효율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냉매가 각 튜브(18)들을 동시에 흐르게 되므로 그 입구로부터 출구쪽으로 순차적으로 흐르는 종래와 달리 저장실(6)의 각 부위에서 균일한 열교환이 이루어져 저장실(6)의 온도를 일정하게 형성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 증발기(16)는 내부용기(4)의 외형에 대응하는 소정의 형태로 제작되므로 단순히 양자를 결합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증발기(16)를 내부용기(4)에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며, 동관에 비해 저렴한 알루미늄재 적용으로 생산원가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저장실과 증발기간에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저장실의 온도를 각 부위에서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음식물을 소망하는 상태로 정확하게 냉장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용기와의 조립작업도 매우 간편해지게 되므로 단순작업으로도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식품 저장고의 냉장성능과 신뢰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를 단열재를 개재하여 감싸는 외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에 권취되어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에 권취되어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여 음식물을 소정의 상태로 숙성시킨 뒤 냉장보관하는 식품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6)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냉매의 입출구를 형성하는 두 헤더(17)와,
    상기 두 헤더(17) 사이에 이들과 직교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용기(4)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소정형태로 벤딩되며 양단이 두 헤더(17)에 연통하도록 접합되어 상기 냉매가 동시에 흐르는 다수의 튜브(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8)가 장방형 단면을 갖는 평판형으로 구성되고, 평면부가 상기 내부용기(4)의 외주에 접촉하도록 그 폭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튜브(18)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냉매유로(18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6)의 헤더(17)와 튜브(18)가 고열전율의 알루미늄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17)와 튜브(18)가 이들보다 용융점이 낮은 동종재질의 크래드 소재에 의해 상호 브레이징 용접됨으로써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고.
KR2019970032428U 1997-11-17 1997-11-17 식품 저장고 KR199900190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428U KR19990019094U (ko) 1997-11-17 1997-11-17 식품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428U KR19990019094U (ko) 1997-11-17 1997-11-17 식품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94U true KR19990019094U (ko) 1999-06-05

Family

ID=6969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428U KR19990019094U (ko) 1997-11-17 1997-11-17 식품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09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27B1 (ko) * 2008-01-29 2010-02-11 김기숙 김치냉장고용 냉매관 설치방법
KR101244164B1 (ko) * 2012-10-30 2013-03-26 동산기계 주식회사 발효 탱크
US11691800B2 (en) * 2019-05-16 2023-07-04 Thaddeus Medical Systems, Inc. Transportable active cooling contai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27B1 (ko) * 2008-01-29 2010-02-11 김기숙 김치냉장고용 냉매관 설치방법
KR101244164B1 (ko) * 2012-10-30 2013-03-26 동산기계 주식회사 발효 탱크
US11691800B2 (en) * 2019-05-16 2023-07-04 Thaddeus Medical Systems, Inc. Transportable active cooling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170B1 (ko) 냉장고
US8365551B2 (en) Vacuum insulato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090165491A1 (en) Icemaker for a refrigerator
EP3076107A1 (en) Refrigerator and heat exchanger used therein
US10677507B2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9990019094U (ko) 식품 저장고
KR20100078480A (ko) 냉장고용 증발기 설치방법 및 냉장고용 증발기 어셈블리
KR20170109941A (ko)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493793B1 (ko) 저장고 및 증발기 일체구조
KR100379278B1 (ko) 김치저장고의 저장실내 온도편차 방지를 위한 증발관설치구조
CN220771470U (zh) 用于冷冻冷藏设备的排水管组件和冷冻冷藏设备
KR20100043845A (ko) 냉장고용 증발기 및 냉장고용 증발기 설치구조
KR100372364B1 (ko) 냉수 제조시스템
KR100469782B1 (ko) 김치냉장고의 증발관 설치구조
JP7385912B2 (ja) 冷蔵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2148B2 (ko)
US11098944B2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US2132534A (en) Refrigeration
KR200142513Y1 (ko) 분리형 냉장고
KR100583403B1 (ko) 김치저장고의 저장실내 열손실 보상구조
KR20020039065A (ko) 김치냉장고의 증발 장치
JPH11108533A (ja) 冷凍庫、冷蔵庫等における冷却装置の冷却パイプの装着構造
JPH04236086A (ja) 冷凍冷蔵庫の冷却器の構造
KR200288708Y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증발관 설치구조
KR20100078479A (ko) 냉장고용 증발기 및 냉장고용 증발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