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765A -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765A
KR19990018765A KR1019970041991A KR19970041991A KR19990018765A KR 19990018765 A KR19990018765 A KR 19990018765A KR 1019970041991 A KR1019970041991 A KR 1019970041991A KR 19970041991 A KR19970041991 A KR 19970041991A KR 19990018765 A KR19990018765 A KR 19990018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ace
self
disc playe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5646B1 (ko
Inventor
손진승
강혜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1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646B1/ko
Priority to TW088101176A priority patent/TW442785B/zh
Publication of KR1999001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11B19/2027Turntables or rotors incorporating balancing means; Means for detecting imbal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8Reducing friction, adhesion, dra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eccentricity of the disc or disc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Abstract

데크플레이트와,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핀들모터와, 스핀들모터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디스크가 놓이는 턴테이블과, 디스크를 잡아주는 클램퍼와,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광픽업을 포함하여 된 디스크 플레이어의 회전체에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채용되어 디스크의 편심질량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내부진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자기보상형 볼밸런서는 스핀들모터의 회전자, 스핀들모터의 회전축, 턴테이블, 클램퍼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재에 결합설치되며, 인입형성된 환형의 레이스를 갖는 몸체와, 디스크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스핀들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그 무게중심이 디스크의 무게중심과 대향되게 위치되도록 레이스 내부에 놓인 다수의 볼과, 레이스의 개구를 덮어주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의 회전중심을 가로 질러 절개한 레이스의 내부 단면은 저면과, 내측벽 및 외측벽을 가지며, 디스크가 기록 및/또는 재생시의 속도로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다수의 볼 각각이 외측벽에 접촉되도록 외측벽 및/또는 저면이 볼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Self-compensating Dynamic Ball Balancer)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회전체에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채용되어 디스크의 편심질량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내부진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플레이어는 컴팩트 디스크(CD), 씨디롬(CD-ROM), 디지탈 비데오 디스크(DVD), 디브이디롬(DVD-ROM)등의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로 외부 충격 및 내부진동으로부터 디스크 및 광픽업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미도시)에 힌지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데크베이스(10)와, 이 데크베이스(10)에 결합된 데크플레이트(20)와, 상기 데크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디스크(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핀들모터(21)와, 상기 스핀들모터(21)의 회전축(22)에 결합되며 디스크(1)가 놓이는 턴테이블(23)과, 상기 턴테이블(23)과 마주하도록 하우징의 상부 내면에 설치되어 턴테이블(23) 상의 디스크(1)를 클램핑하는 클램퍼(40)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에 디스크(1)의 반경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록/재생동작을 수행하는 광픽업(25)으로 구성된다. 이 디스크 플레이어는 상기 데크베이스(10)를 통해 전달된 외부 진동이 상기 데크플레이트(20)와 스핀들모터(21) 및 광픽업(25)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데크베이스(10)와 데크플레이트(20) 사이에 완충부재(30)를 구비한다. 이 완충부재(30)는 외부충격을 잘 흡수 할 수 있도록 된 강성이 약한 재질 예컨대, 연질의 고무나 폴리우레탄등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디스크 플레이어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크(1)의 구동 및 광픽업을 효과적으로 보호 할 수 있다. 반면, 디스크의 편심질량에 의하여 스핀들모터의 회전시 야기되는 내부 진동을 완화하는 방안이 전혀 고려 되지 않았다. 여기서, 디스크 편심질량은 디스크의 제조 공정상의 오차에 의해 디스크의 중심과 무게중심의 불일치에 의한 것으로 훨링(whirling)에 의해 스핀들모터의 회전축이 공전(公轉)하도록 한다.
따라서, 1 배속 또는 2 배속의 저배속 모델에서는 스핀들모터 회전축의 공전에 의한 영향이 큰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6배속, 8배속, 20배속등의 고배속 모델에서는 정보의 기록/재생이 어려울 정도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스핀들모터가 설치된 데크플레이트의 질량을 크게 하거나, 상기한 완충부재의 강성을 크게 하여 데크플레이트가 편심질량에 의해 움직임을 완화하도록 하였다. 데크플레이트의 질량을 크게한 경우 고속회전시 그 효과가 충분치 못하고, 완충부재의 강성을 크게한 경우, 외부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 출원 제96-44932호(출원일: 1996년 10월 9일 , 발명의 명칭: 디스크 플레이어), 국내 특허 출원 제97-503호(1997년 1월 10일, 발명의 명칭: 디스크 플레이어 및, 이에 채용되는 자기보상형 밸런서 일체형 턴테이블, 자기보상형 밸런서 일체형 클램퍼 및 자기보상형 밸런서 일체형 스핀들모터), 국내 특허 출원 제97-2986호(출원일: 1997년 1월 31일, 발명의 명칭: 자기보상형 밸런서 및 이를 채용한 디스크 플레이어)를 통하여 자기보상형 밸런서를 채용한 디스크 플레이어를 개시한 바 있다. 이 개시된 장치들은 디스크의 회전속도에 따른 디스크의 편심질량 위치와 공전 중심에 대한 회전축의 위치관계를 이용한 것이다.
즉,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디스크의 회전속도에 따른 디스크의 편심질량위치와 공전 중심에 대한 회전축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수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고유진동수 이하인 경우, 디스크의 공전 및 자전운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상기 고유진동수는 상기 완충부재의 탄성계수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설치된 부재들의 질량에 의해 결정되며, 디스크와 나란한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수를 말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의 회전중심()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디스크의 불평형질량 즉, 편심질량()이 존재하는 경우, 디스크의 회전중심()은 공전중심(c)를 원점으로로 변위되면서 공전운동을 하게 된다. 회전중심각각에 대응되는 디스크의 편심질량() 위치는위치로 변위된다. 이때 공전중심(c)과 디스크(1)의 편심질량() 각각의 위치는 상기 디스크(1)의 회전중심(,) 각각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위치에 놓인다.
도 2b는 상기 스핀들모터 회전축의 회전수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고유진동수와 비슷한 경우, 디스크의 공전 및 자전운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의 회전중심(,) 각각을 기준으로 공전중심(c)과 디스크(1)의 편심질량 각각의 위치는 직각을 이룬다.
도 2c는 상기 스핀들모터 회전축의 회전수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고유진동수보다 큰 경우, 디스크의 공전 및 자전운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디스크의 정상회전속도가 이에 해당되며, 상기 디스크의 회전중심(,) 각각을 기준으로 공전중심(c)과 디스크의 편심질량 위치각각이 동일한 방향에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전중심과 디스크의 편심질량 관계를 이용하기 위하여, 회전체 예컨대, 턴테이블, 스핀들모터의 회전자, 스핀들모터의 회전축, 클램퍼등에 자기보상형 밸런서를 채용한 것으로, 자기보상형 밸런서의 보상질량과, 편심질량이 회전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도록 하여 디스크 플레이어의 내부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이와 같이, 자기보상형 밸런서를 채용한 경우,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완충부재를 채용함으로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발명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다수의 볼이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레이스의 형상을 변형하여 회전체가 데크 플레이트의 고유 진동수 이상으로 회전시 볼과 레이스의 접촉면적을 줄여 밸런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디스크의 회전속도에 따른 디스크의 편심질량위치와 공전 중심에 대한 회전축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보상형 볼밸런서를 채용한 디스크 플레이어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보상형 볼밸런서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를 채용한 경우, 디스크의 회전속도에 따른 디스크의 편심질량위치와 공전 중심에 대한 회전축의 위치관계를 보인 도면.
도 7a 내지 도 7k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스의 내부 단면 형상을 각각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50 : 데크베이스
60 : 완충부재 70 : 데크플레이트
75 : 광픽업 101 : 스핀들모터
201 : 턴테이블 301 : 클램퍼
400 : 자기보상형 볼밸런서410 : 몸체
415 : 레이스 415a : 내측벽
415b : 저면 415c : 외측벽
420 : 볼 430 : 커버부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핀들모터와,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가 놓이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 상에 놓인 디스크를 잡아주는 클램퍼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상에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광픽업을 포함하여 된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되며,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자,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축, 상기 턴테이블, 상기 클램퍼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재에 결합설치되며, 인입형성된 환형의 레이스를 갖는 몸체와, 상기 디스크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그 무게중심이 상기 디스크의 무게중심과 대향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레이스 내부에 놓인 다수의 볼과, 상기 레이스의 개구를 덮어주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내부진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그 회전중심을 가로 질러 절개한 레이스의 내부 단면은 저면과, 내측벽 및 외측벽을 가지며, 상기 디스크가 기록 및/또는 재생시의 속도로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다수의 볼 각각이 상기 레이스의 외측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레이스의 외측벽 및/또는 저면이 상기 볼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보상형 볼밸런서(400)는 데크베이스(50), 이 데크베이스(50)에 탄성결합된 데크플레이트(70), 상기 데크베이스(50)와 데크플레이트(70) 사이에 게재된 완충부재(60), 상기 데크플레이트(70)에 설치된 스핀들모터(101), 턴테이블(201) 및 광픽업(75), 상기 턴테이블(201)과 마주하여 상기 턴테이블(201)에 놓인 디스크(1)를 잡아주는 클램퍼(301)를 갖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회전체 즉, 상기한 스핀들모터(101), 턴테이블(201) 및 클램퍼(301)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재에 설치된다.
상기 자기보상형 볼밸런서(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 형성된 레이스(415)를 갖는 환형의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 내부에 놓인 다수의 볼(420) 및 상기 몸체(410)에 결합되어 상기 레이스(415)를 덮어주는 커버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재(430)와 상기 몸체(410)의 결합은 접착재를 이용하거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홈과 돌기 또는 스크류를 이용함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레이스(415)는 상기 볼(420)이 공급될 수 있도록 그 상부 전면에 걸쳐 개구될 수도 있고, 상기 레이스 상부 일부에 상기 볼(420)이 들어 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다수의 볼(420)들은 상기한 회전체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몸체(410)의 중심에 대향되는 반경방향으로 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기보상형 볼밸런서(400)는 통상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410)가 상기한 스핀들모터(101), 턴테이블(210) 및 클램퍼(301 중 어느 한 부재에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410)의 중앙에는 결합공(410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기보상형 볼밸런서(400)는 상기 몸체(410)가 상기 스핀들모터(101), 턴테이블(201) 및 클램퍼(3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의 진동감소 효과를 설명한다.
디스크(1)의 회전수가 고유진동수 이하인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의 위치(,)을 기준으로 디스크(1)의 편심질량()의 위치(,)와, 레이스, 볼 및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자기보상형 밸런서의 무게 중심 즉, 보상질량()의 위치(,)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할때 상기 공진중심(c)과 반대되는 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회전축의 공진방경이 커지게 된다.
반면, 디스크(1)의 회전수가 고유진동수보다 상당히 큰 경우, 실질적으로 디스크가 정상속도로 회전되는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할때, 상기 공진중심(c)과 디스크(1)의 편심질량() 위치(,)가 동일한 쪽에 위치하고, 상기 보상질량()의 위치(,)가 원심력에 의해 반대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디스크(1)의 편심질량()에 의한 불평형이 상쇄되어 상기 회전축의 공진반경이 대폭 줄어들게 되고, 디스크(1)의 편심질량()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의 내부 가진력이 완화된다.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스(415)의 형상을 바꾸어 디스크 플레이어가 회전시 즉, 상기 자기보상형 볼밸런서가 정상 동작시 볼과 레이스 사이의 미끄럼 마찰력이 구름 마찰력에 비해 크므로 미끄럼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스(415)는 내측벽(415a), 저면(415b) 및 외측벽(415c)를 가지며, 상기 레이스(415)의 저면(415b) 및/또는 외측벽(415c)에 걸쳐 형상을 변경하였다.
이는 상기 레이스(415)가 고속 회전시 볼들(420)이 보상위치를 찾기 위하여 상기 레이스(415) 내에서 움직일 때, 상기 볼들(420)은 상기 레이스(415)에 대해 축방향과,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볼들(415)은 상기 레이스(415)의 회전력에 의해 원심력을 받으므로 상기 레이스(415)와 접촉에 있어서, 축방향으로는 주로 미끄럼 접촉이 일어나고,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구름접촉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물리적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볼(420)이 레이스(415)의 저면(415b)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거나, 접촉부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 전체적인 마찰력이 작아져서 밸런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몸체(410)는 그 회전중심을 가로 질러 절개한 레이스(415) 내부 단면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415)를 이루는 내측벽(415a)과 외측벽(415b)의 형상이 상호 비대칭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내측벽(415a)은 상기 저면(415b)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벽(415c)은 상기 볼들(420)이 원심력에 의해 접촉시 상기 볼들(420) 각각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k를 참조하여 상기 레이스(41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k 각각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7a을 참조하면, 상기 레이스(415)는 그 내측벽(415a)이 저면(415b)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벽(415c)은 그 전체에 걸쳐 볼(420)과의 접촉면적이 넓도록 된 원호 형상이다. 여기서, 상기 외측벽(415c)의 직경은 상기 볼(420)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몸체(410)의 회전시 볼(420)들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저면(415b)에서 이격되고, 상기 외측벽(415c)에만 접촉된다. 그러므로, 상기 저면(415b)의 정밀 가공이 불필요하며, 상기 볼(420)과 레이스(415)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레이스(415)의 외측벽(415c)은 상기 내측벽(415a)과 나란하도록 상기 저면(415b)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외측벽(415c)의 중앙 일부분이 오목하게 인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레이스(415)의 외측벽(415c)이 노치(notch)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410)의 회전시 볼(420)들이 상기 외측벽(415c)에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저면(415b)의 정밀 가공이 불필요하고, 볼(420)과 레이스(415)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레이스(415)의 외측벽(415c)은 상하 방향 비대칭의 노치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벽(415c)의 상부는 상기 저면(415b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415c)의 하부와 상기 저면(415b)의 일부에 걸쳐 볼(420)이 접촉되도록 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는 노치형상으로 인입형성 구조이다.
도 7e를 참조하면, 레이스(415)의 외측벽(415c)의 하부와 저면(415b)의 일부에 걸쳐 경사면(415d)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410)의 회전시 저면(415b)과 상기 경사면(415d)에 접촉되던 볼(420)이 상기 외측벽(415c)과 상기 경사면(415d)에 접촉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볼(420)과 저면(415b) 사이에 생기는 미끄럼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저면(415b)에 대한 상기 경사면(415d)의 기울기는 대략 15°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f를 참조하면, 레이스(415)의 외측벽(415c)은 상하 방향 비대칭의 라운드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외측벽(415c)의 상부는 상기 저면(415b)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415c)의 중앙부와 하부에 걸쳐 라운드 형상이 형성된다.
도 7g를 참조하면, 외측벽(415c)의 중앙부에 상기 내측벽(415a)쪽으로 돌출된 웨지(wedge)형상의 돌출부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외측벽(415c)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은 상기 저면(415b)에 수직한 방향을 가진다.
도 7h를 참조하면, 외측벽(415c)에 내측벽(415a)쪽으로 돌출된 웨지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정점 부분의 상기 볼(420) 접점되는 부분은 인입형성된 라운드형상을 가진다.
도 7i를 참조하면, 외측벽(415c)의 중앙부에 내측벽(415a) 쪽으로 돌출된 2중 웨지 형상의 돌출부를 가진다.
도 7j를 참조하면, 외측벽(415c)의 중앙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돌출 형성된 사각형상의 한쌍의 돌기부를 가진다. 상기 돌기부의 모서리가 상기 볼(420)과 접촉되어 상기 볼(4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도 7k를 참조하면, 레이스(415)의 외측벽(415c)은 그 전반에 걸쳐 톱니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도 7a 내지 도 7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스의 형상을 변형하는 경우, 본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사각단면을 갖는 레이스에 비하여 미끄럼 마찰력이 작아지므로 마모가 적게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작은 마찰력에 의해 볼(420)이 진동에 의해 보상위치를 정확히 찾지 못하고 레이스(415)를 돌아 다니는 불안정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상기 레이스 내부에 저점도를 갖는 오일 성분의 유체(미도시)를 소량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입된 유체는 상기 볼들의 표면을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두께로 덮을 수 있을 정도의 양이면 족하다. 예컨대, 채용된 볼들의 직경이 5미리미터 이하인 경우, 점도 0.6에서 60cs 사이의 저점도 유체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는 레이스의 외측벽 형상을 변경하여 볼과 레이스 저면 사이의 미끄럼 마찰력을 대폭 줄이고, 상기 볼이 레이스 내에 대해 구름 접촉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볼들이 질량 불평형에 의해 내부진동을 억제하는 위치로 신속히 이동되어 밸런서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량의 유체를 레이스 내부에 주입하여 상기 볼들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볼들이 보상위치 주변에서 댐핑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4)

  1.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핀들모터와,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가 놓이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 상에 놓인 디스크를 잡아주는 클램퍼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상에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광픽업을 포함하여 된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되며,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자,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축, 상기 턴테이블, 상기 클램퍼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재에 결합설치되며, 인입형성된 환형의 레이스를 갖는 몸체와, 상기 디스크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그 무게중심이 상기 디스크의 무게중심과 대향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레이스 내부에 놓인 다수의 볼과, 상기 레이스의 개구를 덮어주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내부진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그 회전중심을 가로 질러 절개한 레이스의 내부 단면은 저면과, 내측벽 및 외측벽을 가지며, 상기 디스크가 기록 및/또는 재생시의 속도로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다수의 볼 각각이 상기 레이스의 외측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레이스의 외측벽 및/또는 저면이 상기 볼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의 외측벽은 그 전체에 걸쳐 상기 볼과의 접촉면적이 넓도록 원호 형상으로 되어 상기 몸체의 회전시 상기 볼들이 원심력에 의해 레이스의 저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외측벽에 접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회전시 상기 볼과 외측벽이 상호 선접촉되도록 상기 외측벽의 직경은 상기 볼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의 외측벽은 레이스의 내측벽과 나란하도록 상기 저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외측벽 중앙 일부분이 오목하게 인입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의 외측벽은 레이스의 내측벽과 나란하도록 상기 저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외측벽 중앙 일부분이 노치(notch)형상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상부는 상기 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의 하부와 상기 저면의 일부에 걸쳐 볼이 접촉되도록 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는 노치형상으로 인입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의 외측벽의 하부와 상기 저면의 일부에 걸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회전시 상기 저면과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던 볼이 상기 외측벽과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상부는 상기 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의 중앙부와 하부에 걸쳐 라운드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은 상기 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의 중앙부에 상기 내측벽쪽으로 웨지(wedge)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은 상기 내측벽 쪽으로 돌출된 웨지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정점 부분의 상기 볼()이 접점되는 부분은 인입 형성된 라운드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중앙부에 상기 내측벽 쪽으로 돌출된 2중 웨지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중앙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돌출 형성된 사각형상의 한쌍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은 그 전반에 걸쳐 톱니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 내부에는 상기 볼들의 표면을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두께로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미량의 유체가 주입되어 회전시 상기 레이스와 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KR1019970041991A 1997-08-28 1997-08-28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KR10025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991A KR100255646B1 (ko) 1997-08-28 1997-08-28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TW088101176A TW442785B (en) 1997-08-28 1999-01-27 Self-compensating dynamic ball balancer for disk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991A KR100255646B1 (ko) 1997-08-28 1997-08-28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65A true KR19990018765A (ko) 1999-03-15
KR100255646B1 KR100255646B1 (ko) 2000-07-01

Family

ID=1951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991A KR100255646B1 (ko) 1997-08-28 1997-08-28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55646B1 (ko)
TW (1) TW44278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006A (ko) * 1999-12-21 2001-07-09 이형도 디스크 회전장치
KR20020006738A (ko) * 2000-07-13 2002-01-26 이형도 디스크 구동모터
WO2003050413A2 (en) * 2001-12-13 2003-06-19 Lg Innotek Co., Ltd Spindle motor
KR100445565B1 (ko) * 1999-05-08 2004-08-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스크 드라이브의 자동조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539B1 (ko) 2003-05-13 2006-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565B1 (ko) * 1999-05-08 2004-08-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스크 드라이브의 자동조심장치
KR20010063006A (ko) * 1999-12-21 2001-07-09 이형도 디스크 회전장치
KR20020006738A (ko) * 2000-07-13 2002-01-26 이형도 디스크 구동모터
WO2003050413A2 (en) * 2001-12-13 2003-06-19 Lg Innotek Co., Ltd Spindle motor
KR20030048800A (ko) * 2001-12-13 2003-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모터
US7461391B2 (en) 2001-12-13 2008-12-02 Lg Innotex Co. Ltd. Spindle motor with stability and vibration reduction mechanism
US7971213B2 (en) 2001-12-13 2011-06-28 Lg Innotek Co. Ltd. Spindle motor with stability and vibration reduction mechanism
US8166496B2 (en) 2001-12-13 2012-04-24 Lg Innotek Co. Ltd. Automatic balancing spindle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2785B (en) 2001-06-23
KR100255646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466B1 (ko) 디스크장치
US6333912B1 (en) Self-compensating dynamic ball balancer for disk player
KR100269139B1 (ko) 자기보상형 밸런서
KR100265729B1 (ko) (디스크플레이어및,이에채용되는자기보상형밸런서일체형턴테이블,자기보상형밸런서일체형클램퍼및자기보상형밸런서일체형스핀들모터
KR100396546B1 (ko) 디스크 플레이어 및, 이에 채용되는 자기보상형 밸런서일체형 턴테이블, 자기보상형 밸런서 일체형 클램퍼 및자기보상형 밸런서 일체형 스핀들모터
KR19990063032A (ko) 디스크장치
US6116112A (en) Self-compensating dynamic balancer
KR100255646B1 (ko)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볼밸런서
JP2004104985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バ用スピンドルモータ
US20030123375A1 (en) Rotary driving mechanism
KR100611964B1 (ko)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밸런서 및 자기보상형밸런서 일체형 턴테이블
JP3440014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用セルフ補償形ボールバランサー
KR100219630B1 (ko)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30304B1 (ko) 자기보상형 진자밸런서를 채용한 디스크 플레이어
KR20010023979A (ko) 디스크 장치
KR200334857Y1 (ko) 자기보상형 밸런서
KR19980026494A (ko) 디스크 플레이어
KR200325120Y1 (ko) 자기보상형 밸런서
KR100224867B1 (ko)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밸런서 일체형 턴테이블
KR200325121Y1 (ko) 자기보상형 밸런서
KR19980065480A (ko) 디스크 플레이어 및 이에 채용되는 자기보상형 밸런서 일체형 턴테이블, 자기보상형 밸런서 일체형 클램퍼 및 자기보상형 밸런서 일체형 스핀들모터
KR100423002B1 (ko) 스핀들 모터의 자동 평형 장치
KR19990057698A (ko) 밸런서 일체형 광디스크
KR19990048146A (ko) 자기보상형 밸런서 일체형 턴테이블
US20030058779A1 (en) Spindle device of a disc p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