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495U - 승강식 다용도 칠판 - Google Patents

승강식 다용도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495U
KR19990018495U KR2019970031726U KR19970031726U KR19990018495U KR 19990018495 U KR19990018495 U KR 19990018495U KR 2019970031726 U KR2019970031726 U KR 2019970031726U KR 19970031726 U KR19970031726 U KR 19970031726U KR 19990018495 U KR19990018495 U KR 199900184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frame
blackboard
center
scree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헌
Original Assignee
박우헌
주식회사 동양흑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헌, 주식회사 동양흑판 filed Critical 박우헌
Priority to KR2019970031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495U/ko
Publication of KR19990018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495U/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보드(20) 및 칠판(30)이 중앙프레임(10a), 좌,우측프레임(10b)(10c)에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프레임(10b)(10c) 전방에 위치하되 상기 스크린보드(20)보다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된 칠판(30)에 안내레일이 부착되어, 상기 좌,우측프레임(10b)(10c)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된 축(71a)에 설치된 휠(72)이 상기 안내레일에 회전가능토록 끼워지며, 상기 중앙 및 좌,우측프레임(10)은 각각 벽면(50)에 부착된 승강조절구(60)와 연결되고 안내봉이 벽면에 고정된 안내부재(40)에 끼워져 있어, 스크린보드(20)와 칠판(30)이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되고 필요에 따라 스크린보드(10)의 경사각도도 조절할 수 있으며, 칠판의 좌,우 이동기구 및 승강기구의 구조가 간단하여 적은힘으로 용이하게 칠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칠판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칠판의 내구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승강식 다용도 칠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식 다용도 칠판
본 고안은 승강식 다용도 칠판으로서, 특히 다수의 승강프레임의 전방에 각각 교습판을 부착시켜 교습판의 높이와 경사각도를 조절하고 교습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승강식 칠판 겸용 스크린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다용도 칠판은 중앙에 칠판을 설치하고 좌,우측에 미닫이식이나 여닫이식으로 모눈, 원고, 지도, 오선칠판등의 보조교습판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칠판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보조교습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다목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의 다용도 칠판은 보조교습판의 좌,우이동 기구가 복잡할 뿐만아니라 칠판의 승강조절기구 또한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칠판의 좌우이동구조 및 승강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식 다용도 칠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습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환등기에서 투사된 영상이 스크린보드에 선명하게 투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에 위치한 주교습판과 좌,우측에 위치한 보조교습판의 높이를 다같이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승강식 다용도 칠판이 표현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구성인 프레임이 표현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부구성인 승강조절구가 표현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부구성인 안내부재가 표현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부구성인 안내레일 및 휠이 표현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부구성인 각도조절기구가 표현된 측면도.
도 9는 도 8의 각조조절기구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부구성인 체인이 표현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중앙프레임 10b,c: 좌,우측 프레임
20: 스크린보드 30: 칠판
40: 안내부재 50: 벽면
60: 승강조절구 61: 실린더
62: 피스톤봉 63: 피스톤
71: 체착편 71a: 축
72: 휠 73: 안내레일
80: 각도조절기구 80a, 80b: 제1,2 링크부재
81,84: 통공 82,86: 체착편
83,85: 힌지축 87: 나사봉
88: 압박편 89: 연결핀
90: 경첩 91: 자석
92: 자성체 93: 체인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면의 전방에 위치되는 좌,우측 및 중앙프레임과,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중앙프레임에 연결되어 중앙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조절구와, 벽면에 고정된 안내부재와, 상기 중앙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부재에 상하이동 가능토록 끼워진 안내봉과, 상기 중앙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된 주교습판과, 상기 주교습판보다 전방으로 이격되어 좌,우측프레임의 전방에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보조교습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주교습판은 스크린보드로 형성되어 OHP용 또는 필기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보조교습판은 학습용 칠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벽면상에 설치되는 중앙프레임(10a)과, 상기 중앙프레임(10a)의 좌,우로 벽면상에 설치되는 좌,우측프레임(10b)(10c)과, 중앙프레임(10)의 전방에 위치되는 스크린보드(20)와, 상기 좌,우측프레임(10b)(10c)의 전방에 각각 설치되는 칠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프레임(10a) 및 좌,우측프레임(10b)(10c)는 도 2 및 도 4에 표현된 바와같이 각각 상부패널(11)을 갖는 4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측에 수직방향의 안내봉(12)이 각각 고정되어 벽면(50)에 부착된 안내부재(40)에 상기 안내봉(12)이 상하이동가능토록 끼워져 있으며, 상기 안내부재(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 베어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각각 벽면에 부착된 승강조절구(6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조절구(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면(50)에 고정되어 고압의 가스가 충전된 실린더(61)와, 상기 실린더(61)에 내장되고 구멍(63a)이 천공된 피스톤(63)과, 상기 피스톤(63)과 승강프레임의 상부패널(11)에 일단부가 각각 고정된 피스톤 봉(62)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좌,우측프레임(10b)(10c)의 각각의 상하패널(11)(13) 좌,우측에 각각 2개의 체착편(71)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체착편(71)에는 축(71a)이 돌출되며 상기 축(71a)의 선단에 회전가능토록 휠(72)이 삽입되어 있고, 좌,우 칠판(30)의 상,하측 배면에 안내레일(73)이 각각 부착되어 상기 안내레일(73)의 요홈부에 상기 휠이 회전가능토록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크린보드(20)와 중앙프레임(10a)은 그 저면부가 경첩(90)으로 연결되고 그 상측부는 각도조절기구(8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조조절기구(8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2링크부재(80a)(80b)로 구성되고 그 링크부재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홈(81)(8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링크부재(80a)의 선단부에 설치된 연결핀(89)이 상기 제2링크부재(80b)의 홈(84)에 좌우이동 가능토록 관통되어 있다.
제2링크부재(80b)의 선단부에 나사봉(87)이 나사결합되어 나사봉(87)의 두부가 제1링크부재(80a)의 홈(81)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링크부재(80a)와 상기 나사봉(87)의 두부사이에 압박편(88)이 위치되어 있다.
한편, 제1,2링크부재(80a)(80b)의 끝단부에 각각 힌지축(83)(85)으로 연결된 제1,2체착편(82)(86)이 설치되어 제1체착편(82)은 스크린보드(20)의 상측배면에 고정되고 제2체착편(86)은 승강프레임의 상부패널(11)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린보드(20)의 상측부를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연결핀(89)이 제2링크부재(80b)의 홈(84)에 안내되면서 제1링크부재(80a)가 제2링크부재(80b)로부터 이격되므로 스크린보드(20)는 경첩(90)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경사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스크린보드(20)를 소정의 경사각도에서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나사봉(87)을 조여주면 압박편(88)이 제1링크부재(80a)를 제2링크부재(80b)로 압박하므로 제1,2링크부재(80a)(80b)가 상호 고정되어 스크린보드(20)의 회동이 방지된다.
또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크린보드(20)와 중앙프레임(10a)의 상측부는 체인(93)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각도조절기구(80)의 이완으로 인하여 스크린보드(20)가 급격하게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하게 된다.
한편, 스크린보드(20)의 배면 상측에 자성체(92)가 부착되고 중앙프레임(10a)의 상부패널(11)에 자석(91)이 부착되어 스크린보드(20)의 직립시 스크린보드(20)가 승강프레임(10)에 견실하게 부착된다.
미설명부호 21은 손잡이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스크린보드(20) 또는 칠판(3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하측방향으로 스크린보드 또는 칠판을 밀어주면 스크린보드(20) 또는 칠판(30)과 연결된 중앙프레임(10a), 좌측프레임(10b) 또는 우측프레임(10c)이 상,하방향으로 압력을 받게되고, 이에따라 고압의 가스가 충전된 실린더(61) 내의 피스톤(63) 및 피스톤 봉(62)이 상,하 이동되어 상기 피스톤봉(62)의 선단부가 고정된 상부패널(11)를 갖는 중앙프레임(10a), 좌측프레임(10b) 또는 우측프레임(10c)이 승강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들은 각각 안내봉(12)이 벽면에 부착된 안내부재(40)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 요동없이 승강된다.
스크린보드(20) 또는 칠판(30)이 희망하는 높이까지 승강된 경우에 스크린보드(20) 또는 칠판(30)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시키면 실린더(61)내의 가스압에 의하여 해당프레임이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한편, 스크린보드(20)의 상측부를 전방으로 당겨주면 각도조절기구(80)의 제1링크부재(80a)가 제2링크부재(80b)로부터 이격되어 스크린보드(20)의 상측부가 경첩(9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고 소정의 위치에서 나사봉(87)을 조여주면 스크린보드(20)가 소정의 경사각도에서 고정된다.
좌,우 칠판(30)을 중앙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크린보드(20)를 직립되게 한 다음 좌,우칠판(30)을 중앙으로 밀어주면 좌우칠판(30)의 안내레일(73)에 삽입된 휠(72)이 회전되면서 좌우칠판(30)이 중앙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보드(20) 및 칠판(30)이 중앙프레임(10a), 좌,우측프레임(10b)(10c)에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프레임(10b)(10c) 전방에 위치하되 상기 스크린보드(20)보다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된 칠판(30)에 안내레일이 부착되어, 상기 좌,우측프레임(10b)(10c)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된 축(71a)에 설치된 휠(72)이 상기 안내레일에 회전가능토록 끼워지며, 상기 중앙 및 좌,우측프레임(10)은 각각 벽면(50)에 부착된 승강조절구(60)와 연결되고 안내봉이 벽면에 고정된 안내부재(40)에 끼워져 있어, 스크린보드(20)와 칠판(30)이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되고 필요에 따라 스크린보드(10)의 경사각도도 조절할 수 있으며, 칠판의 좌,우 이동기구 및 승강기구의 구조가 간단하여 적은힘으로 용이하게 칠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칠판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칠판의 내구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벽면의 전방에 위치되는 중앙 및 좌,우측프레임과,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중앙프레임에 연결되어 중앙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조절구와, 벽면에 고정된 안내부재와, 상기 중앙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부재에 상하이동 가능토록 끼워진 안내봉과, 상기 중앙프레임의 전방에 부착된 주교습판과, 상기 주교습판보다 전방으로 이격되어 좌,우측프레임의 전방에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보조교습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다용도 칠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프레임은 벽면에 고정된 승강조절구와 연결됨과 아울러 벽면에 고정된 안내부재에 상,하이동가능토록 끼워지는 안내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다용도 칠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구는 가스가 충전되고 벽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내장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피스톤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다용도 칠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교습판은 배면에 안내레일이 부착되고, 상기 좌,우측프레임은 전방으로 돌출된 축이 설치되며, 상기 축에 휠이 끼워지고, 상기 휠은 상기 안내레일에 회전가능토록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다용도 칠판.
KR2019970031726U 1997-11-11 1997-11-11 승강식 다용도 칠판 KR199900184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726U KR19990018495U (ko) 1997-11-11 1997-11-11 승강식 다용도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726U KR19990018495U (ko) 1997-11-11 1997-11-11 승강식 다용도 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495U true KR19990018495U (ko) 1999-06-05

Family

ID=6969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726U KR19990018495U (ko) 1997-11-11 1997-11-11 승강식 다용도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49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43A (ko) * 2001-09-25 2003-04-10 이철규 영상교육용 칠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43A (ko) * 2001-09-25 2003-04-10 이철규 영상교육용 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604B2 (en) Telescopic and foldable table
US4703700A (en) Height adjustable desk
CN105919291A (zh) 学习桌的桌面倾斜机构及其学习桌
KR100248292B1 (ko) 승강식칠판겸용스크린보드
KR19990018495U (ko) 승강식 다용도 칠판
CN207893375U (zh) 一种电子白板的教学平台
DK137091D0 (da) Autolift
CN210783591U (zh) 一种可移动升降的黑板
KR100237860B1 (ko) 승강식 다용도 칠판
JP2590732Y2 (ja) 筆記ボード装置
CN209048499U (zh) 医疗床的桥式底座
CN210601164U (zh) 一种抗摔型台灯
CN216602015U (zh) 一种教育宣讲用讲台
CN213539656U (zh) 一种电力施工的升降装置
CN211140756U (zh) 推板机
KR200275702Y1 (ko) 전체 승강 칠판
CN215153421U (zh) 升降式书写板
JP3039344U (ja) ゴルフ練習用傾斜台
CN217137143U (zh) 一种讲桌的升降控制系统
CN213820728U (zh) 一种可调节展示柜
CN209463539U (zh) 桌子及其调整机构
CN210652443U (zh) 一种方便调节使用位置的儿童用白板
JPS643391Y2 (ko)
JPS643388Y2 (ko)
JPS63378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