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407U -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407U
KR19990018407U KR2019970031635U KR19970031635U KR19990018407U KR 19990018407 U KR19990018407 U KR 19990018407U KR 2019970031635 U KR2019970031635 U KR 2019970031635U KR 19970031635 U KR19970031635 U KR 19970031635U KR 19990018407 U KR19990018407 U KR 199900184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hole
microwave oven
welding jig
wi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금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1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407U/ko
Publication of KR19990018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407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구조 종래에는 전자렌지가 작동되고 있는 도중에 어린이들이 장난삼아 쇠로된 젓가락이나 철선 등을 후판에 형성된 용접지그홀 속으로 집어넣은후 이리저리 휘젓다보면 상판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해 조리실내로 젓가락이나 철선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고주파가 젓가락이나 철선을 타고 외부로 누출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이를 방지하고자 용접지그홀이 노출되지 않도록 스크류를 체결하므로 스크류 사용에 따른 부품비증가와 이를 체결하기 위한 작업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판(100)에 형성된 배수홀(110)의 일측 주연에 반달형의 랜싱부(111)를 형성하므로서 외부에서 와이어를 용접지그홀(210)을 통해 넣은후 휘젓더라도 랜싱부(111)에 의해 와이어(300)가 배수홀(110)을 통과하지 못하여 조리실내로는 들어갈 우려가 없어 고주파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없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조리실 상판에 형성된 배수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판에 형성된 배수홀 일측 주연에 랜싱부를 형성하여 후판의 용접 지그홀을 통해 와이어를 넣은후 이리저리 휘젓더라도 랜싱부에 의해 차단되어 배수홀를 통하여서는 조리실내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므로서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할수 있는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회동되는 트레이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이에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조리실 내부로 조사되도록 하여 상기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단순기능의 전자렌지와 상기 고주파와 함께 조리실의 상면과 하부에 히터를 설치하여 그릴 및 오븐 요리를 병행하는 다기능 전자렌지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의 전자렌지는 조리실과 전장실로 나뉘어져 구성되는데, 상기 전장실은 전자렌지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곳으로서, 전장실에는 조리를 위해 조리실에 놓여진 음식물의 조리 가열원인 고주파를 발진하는데 필요한 구성부품인 고압 트랜스, 고압 콘덴서, 고압 다이오드, 마그네트론 및 이러한 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자렌지에서 상기한 고주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의 경우, 고주파를 발진하기 위해서는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고전압을 인가하는 장치로서 상기 고압트랜스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자렌지는 조리실을 형성하고, 각 전장부품들이 조립되는 전장부를 구성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양측면 및 상면을 감싸주도록 하는 외상, 그리고 캐비티의 전면에 구성된 도어와 각종 기능을 콘트롤 하도록 설치된 콘트롤 패널, 그리고 측면판의 하부를 감싸고 전장부의 저면을 형성하여 주는 저판을 차례로 결합하고, 마지막으로 외상이 감싸도록 하여 그 외상과 저판 및 후판을 다수개의 스크류로 조립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캐비티의 상판에는 도장을 한후 도장액이 원활히 배출될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수홀이 천공되어 있고, 후판에는 후판과 상판, 측판을 서로 용접 할수 있도록 용접 지그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전자렌지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안전규격에 합격을 하여야 만이 되기 때문에 국내에서 미리 테스트를 통하여 안전규격에 통과될수 있는가를 시험하게 되는데 즉,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선단이 약 170 도 정도 절곡되고 철선으로 된 와이어(30)를 후판(20)의 용접지그홀(21)로 집어넣어 이리저리 쑤셔보는데, 이때 상판(10)에는 도장액이 원활히 배출될수 있도록 배수홀(11)이 천공되어 있는데 상기 배수홀(11)은 단순히 상판(10)에 평탄하게 구멍만을 뚫은 것이기 때문에 후판(20)의 용접지그홀(21)을 통한 와이어(30)가 상기 배수홀(11)로 들어갈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테스트용 와이어(30)가 배수홀(11)을 통하여 조리실(40)로 들어가는데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전자렌지를 판매하게 될 경우 가정에서 전자렌지를 사용도중 어린이들이 호기심에 후판(20)의 용접지그홀(21)을 통하여 젓가락이나 철선으로 된 물질을 집어넣어 장난을 칠 때 상기 젓가락이나 철선이 배수홀(11)을 통하여 조리실(40)내로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전자렌지를 작동중에는 조리실(40)에는 고주파가 계속해서 조사되는 상태이므로 젓가락이나 철선이 조리실(40)내로 유입되면 안테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주파가 젓가락이나 철선을 타고 외부로 누출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자 전자렌지를 출하 할 때에는 후판(20)에 천공된 용접지그홀(21)에 스크류(도면중 미도시)를 체결하여 용접지그홀(21)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이는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함에 따른 원가상승은 물론 스크류를 일일이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회동시켜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후판에 형성된 용접지그홀을 막아주지 않고서도 상판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하여 와이어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스크류 삭제에 따른 원가절감은 물론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상기 배수홀의 일측주연에 반달형의 랜싱부를 형성하므로서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후판에 형성된 용접지그홀을 통하여 와이어를 집어넣더라도 랜싱부에 의해 와이어가 상판의 배수홀을 통해서는 조리실내로 들어가지를 않아 고주파 누설을 방지하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구성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판 110 : 배수홀
111 : 랜싱부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별첨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캐비티의 상판(100)에 도장 배수홀(11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110)의 일측주연에 반달형의 랜싱부(111)를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후판이고, (210)은 후판에 형성된 용접지그홀이며, (300)은 와이어, (400)은 조리실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고주파가 외부로 누출되는 지를 시험하기 위하여 테스트용 와이어(300)를 후판(200)의 용접지그홀(210)을 통하여 집어 넣은후 이리저리 휘젓더라도 조리실(400)내로는 와이어(300)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 것으로 즉, 종래에는 조리실(40)내에 도장작업 한후 도장액이 원활히 외부로 빠질수 있도록 형성된 배수홀(11)을 통하여 와이어(30)가 조리실(40)내로 들어갔으나 본 고안은 배수홀(110)의 일측 주연에 랜싱부(111)를 형성하므로서 와이어(300)가 랜싱부(111)에 막혀 배수홀(110)을 통과할수 없어 조리실(400)내로는 들어가지를 못하는 것이다.
상기의 랜싱부(111)는 판금가공에서 재료의 일부를 전단하고 전단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서 굽혀세우는 작업을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랜싱부(111)는 반달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후판(200)에 형성되는 용접지그홀(210)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상판(100)에 배수홀(110)을 형성할시 위치나 갯수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형성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전자렌지를 가정에서 사용중 어린이가 호기심에 쇠로된 젓가락이나 철선 등을 후판(200)에 형성된 용접지그홀(210)로 집어 넣은후 이리저리 휘저으면서 장난을 치더라도 랜싱부(111)에 차단되어 배수홀(110)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조리실(400)로는 집어 넣을수가 없어 고주파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전자렌를 가동중에 젓가락이나 철선 등을 후판(200)의 용접지그홀(210)을 통해 집어 넣더라도 조리실(400)내로는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므로서 종래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접지그홀(21)을 아예 스크류를 체결하여 막아버림으로 인한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판에 형성된 배수홀 일측주연에 랜싱부를 형성하므로서 젓가락이나 철선으로 된 와이어등이 후판의 용접지그홀을 통해 조리실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스크류를 사용하여 용접지그홀을 막아버릴 필요가 없어 스크류 삭제에 따른 원가절감은 물론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공정을 삭제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캐비티의 상판(100)에 배수홀(11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110)의 일측 주연에 반달형의 랜싱부(111)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도장용배수홀 구조
KR2019970031635U 1997-11-11 1997-11-11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 KR199900184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635U KR19990018407U (ko) 1997-11-11 1997-11-11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635U KR19990018407U (ko) 1997-11-11 1997-11-11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407U true KR19990018407U (ko) 1999-06-05

Family

ID=6967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635U KR19990018407U (ko) 1997-11-11 1997-11-11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40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8407U (ko)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
KR100189375B1 (ko) 전자렌지의 고압트랜스 조립장치
KR19990018410U (ko) 전자렌지의 도장용 배수홀 구조
JP3113551B2 (ja) 調理器
KR100285860B1 (ko)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고정 구조
KR100299828B1 (ko) 세척액 배수용 홀을 가지는 전자렌지용 캐비넷
KR200150895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히터 고정구조
KR100286561B1 (ko) 전자렌지의전원코드조립구조
KR200239623Y1 (ko) 전자렌지의 히터 고정구조
KR0140615Y1 (ko) 트레이 모터용 커버
KR100277581B1 (ko) 전자렌지
KR200153348Y1 (ko) 전자렌지의 도어구조
KR200150819Y1 (ko) 매트장치채용 전자렌지
KR200165771Y1 (ko) 전자 렌지의 스터러 커버 고정 구조
KR200244056Y1 (ko) 전자레인지의 램프 고정장치
KR0154645B1 (ko) 전자렌지의 회전식 히터
KR100223400B1 (ko) 전자 렌지의 2단 조리용 선반
KR960016633B1 (ko) 트레이 모터용 커버
KR100602279B1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상부플레이트구조
KR100299826B1 (ko) 전자렌지의푸트구조
KR200213193Y1 (ko) 전자렌지의 냉각팬용 분산판
KR980008913U (ko) 전자렌지의 턴테이블모터 취부장치
KR20050005023A (ko) 전자레인지의 케비티어셈블리
KR20050100180A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KR19990023533U (ko) 전자렌지의 스터러팬과 트레이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