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403U -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403U
KR19990018403U KR2019970031631U KR19970031631U KR19990018403U KR 19990018403 U KR19990018403 U KR 19990018403U KR 2019970031631 U KR2019970031631 U KR 2019970031631U KR 19970031631 U KR19970031631 U KR 19970031631U KR 19990018403 U KR19990018403 U KR 199900184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waveguide
high frequency
magnetron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1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403U/ko
Publication of KR19990018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403U/ko

Links

Landscapes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전자렌지의 캐비티 일 측면에 마그네트론을 고정한 도파관을 설치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진한 고주파를 분산하기 때문에 고주파가 캐비티 내에 고르게 조사되지 않고 고주파가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여 조리가 균일하지 못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조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캐비티(100)의 일측벽에 설치되는 기존의 메인 도파관(200) 외주면에 다수의 멀티형 도파관(210)을 형성한 후, 캐비티(100)의 상하 좌우면과 후면에 형성한 개구부(110)에 상기 멀티형 도파관(210)을 접속시켜서 마그네트론(30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가 캐비티(100)내의 여러 방향에서 조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균일하게 행하여 지면서도 조리효율이 향상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마그네트론을 메인 도파관에 고정한 후에 메인 도파관을 조리실 측판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 도파관에는 캐비티 각 면에 연결되는 도파관을 설치하며 도파관이 연결된 캐비티 각 면에는 개구부를 형성하므로서 캐비티 각면에서 고주파를 조사하여 분산효율을 향상한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로서, 일측 전장실에는 마그네트론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되는 고주파는 도파관을 통하여 캐비티 내부로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티의 바닥에는 음식물이 얹혀지는 트레이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트레이의 하부에는 트레이를 회동 시킬 수 있는 트레이 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를 따라 그 위에 놓여진 조리용기가 회동하게 되므로써 캐비티로 조사되는 고주파가 용기 속의 음식물에 고르게 전달되어 균일하게 가열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진하는 고주파만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단기능 전자렌지와, 캐비티 일측에 히터를 설치하거나 컨벡션팬을 설치하여 상기의 고주파에 의한 조리 외에 그릴요리와 오븐요리를 병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 전자렌지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기능과 다기능으로 구분되는 전자렌지는 모두 조리물의 양에 따라 고주파나 히터의 강약을 조절하고 가동시간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전장실의 전면판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전자렌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인 멤브레인 키보드와 도어오픈용 버튼,그리고 전자렌지의 작동상태나 설정된 기능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용 창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마그네트론과 히터등은 상기 멤브레인 키보드의 선택에 따라 가동되며, 이에따라 발생된 고주파는 도파관을 통해 캐비티 내의 음식물에 조사된다.
또한 상기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의 후미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냉각팬을 설치하여 냉각팬에서 생성되는 바람이 전면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을 식힌후, 흡기덕트를 통하여 캐비티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캐비티로 유입된 바람은 캐비티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캐비티의 타측 벽에 설치된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렌지의 캐비티 일측 도파관에는 마그네트론을 설치하여 고주파를 발생하도록 한 것인데, 주로 전장실의 저면판에 취부된 고압트렌스의 제 1 차 및 제 2 차 유도코일이 상호 유도작용을 하여 생성된 고전압을 안정적으로 마그네트론에 인가함에 따라 마그네트론이 고주파를 생성토록 한 것이다.
상기 마그테트론의 구성을 살펴보면 주요 구성품인 양극(anode), 다수개의 방열판, 영구자석 등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양극에 방열판이 끼워지고, 상기 양극 상하에는 영구자석이 끼워지며, 그 이외의 부품들이 상기 부품들과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극은 그 중심축에 음극이 놓여져 있고, 상기 축과 평행하게 자계가 가해지게 되어 있는데, 이 자계를 만드는 것은 페라이트로 된 영구자석이다.
또, 중앙의 음극에서 나온 전자는 주위에 있는 양극을 향해 튀어나가게 되나,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강한 자계 때문에 진로가 구부러져 소용돌이를 돌아 양극으로 향한다. 이렇게 양극의 공동에 전자가 들어가면 공동은 코일과 콘덴서의 직렬회로와 같은 작용을 해서 진동전류를 일으켜 고주파를 발진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마그네트론이 고주파를 발진시킬 때 상당한 열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양극에 발열판을 설치하여 그 열을 분산시키고 이 분산된 열을 전장실의 일측에 설치된 냉각팬에서 발생하는 냉각공기로 냉각시키고 있다.
전자렌지의 전장실 일측 도파관에 상기 마그테트론을 설치하여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도파관을 통해 캐비티 내부로 조사되게 하여 캐비티 내부에 놓여진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렌지는 도 1 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주파를 캐비티내로 유입하기 위한 개구부(11)를 캐비티(10) 일면의 소정 위치에 1개구로만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10)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11)에만 도파관(20)을 설치하며, 상기 도파관(20)에 마그네트론(30)을 결합하여 마그네트론(30)에서 발진된 고주파를 하나의 도파관(20)을 통해 캐비티(10) 내로 분산시켰다.
이에 따라 고주파의 분산이 효율적으로 되지 않아 고주파가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기 때문에 캐비티내의 음식물에 고주파가 골고루 조사되지 않아 과조리 되거나 미조리되는 부분이 생기므로 조리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전자렌지는 분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터러 팬을 설치하여 회전하는 스터러 팬에 도파관에서 분산된 고주파가 난반사되어 음식물에 고주파가 골고루 조사되도록 하거나, 트레이 모터를 설치하여 음식물이 놓이는 트레이를 회전시키므로써 고주파를 간접분산하여 분산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스터러 팬이나 트레이 회동방식으로 고주파를 분산시키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모터를 설치해야 하며 여러 가지 다른 장치들이 필요함에 따라 부품수의 증가로 원가가 상승하고 작업공정의 증가로 인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스터러 팬이나 트레이의 회동 없이도 고주파를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조리효율을 향상시킨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캐비티 일측면에 메인 도파관을 설치하고 상기 메인 도파관에서 캐비티의 상면과 양 측면 및 후면등 각 면에 도파관을 설치하며, 캐비티 각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므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파관을 캐비티의 일측면이 아닌 상,하,좌,우 각 면에 설치하여 고주파가 캐비티에 곳곳에서 분산되므로써 캐비티 내에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효율을 향상하므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캐비티 110 : 개구부
200 : 메인 도파관 210 : 도파관
300 : 마그네트론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그네트론(300)을 메인 도파관(200)에 고정시킨후 상기 메인 도파관(200)을 캐비티(100) 측판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 도파관(200)에는 캐비티(100) 각 면과 메인 도파관(200)을 연결하는 도파관(210)을 설치하며, 도파관(210)이 연결된 캐비티(100) 각 면에는 개구부(1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캐비티(100) 각 면에서 고주파가 조사되도록 한 것으로 즉, 캐비티(100) 각 면에 개구부(110)를 형성한 다음 캐비티(100) 일 측면에 설치된 메인 도파관(200)과 상기 개구부(110)를 연결하는 도파관(210)을 설치하면 메인 도파관(200)에 고정된 마그네트론(300)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메인 도파관(200)을 통해 캐비티(100) 각 면에 연결된 도파관(210)으로 분산되어 캐비티(100) 각 면에 형성된 개구부(110)를 거쳐 캐비티(100) 내로 분산되게 된다.
이처럼 캐비티(100) 각 면에 멀티형 도파관(210)을 설치하면 고주파가 캐비티(100)의 상, 하, 좌, 우 및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분산되므로 고주파가 캐비티(100)내에 골고루 조사되어 별도로 고주파 분산 장치인 스터러 팬이나 트레이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기타 장치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고주파를 효율적으로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고주파가 캐비티(100)의 각 면에서 분산되므로 캐비티(100)의 형태가 정육면체이거나 직육면체이거나 관계없이 마그네트론(300)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고르게 분산하게 되어 제품의 조리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캐비티 각 면에 도파관을 연결하여 메인 도파관에 고정된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된 고주파를 캐비티 각 면에 형성한 개구부에서 분산할 수 있도록 하여 스터러 팬이나 트레이의 회동에 의하지 않더라도 고주파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분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스터러팬 모터나 트레이 모터 및 이를 위한 장치들을 생략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공정을 같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장실내 부품 설치를 위한 공간 구성이 편리한 것이며, 또한 캐비티의 형태가 옆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라 하더라도 고주파를 고르게 조사하여 조리효율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마그네트론(300)을 메인 도파관(200)에 고정시킨후 상기 메인 도파관(200)을 캐비티(100) 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메인 도파관(200)에는 캐비티(100) 각 면과 메인 도파관(200)을 연결하는 도파관(210)을 설치하며, 도파관(210)이 연결된 캐비티(100) 각 면에는 개구부(1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
KR2019970031631U 1997-11-11 1997-11-11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 KR199900184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631U KR19990018403U (ko) 1997-11-11 1997-11-11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631U KR19990018403U (ko) 1997-11-11 1997-11-11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403U true KR19990018403U (ko) 1999-06-05

Family

ID=6967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631U KR19990018403U (ko) 1997-11-11 1997-11-11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40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844A (ko) * 2009-06-19 201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
WO2018147571A1 (ko) * 2017-02-13 2018-08-16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844A (ko) * 2009-06-19 201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
WO2018147571A1 (ko) * 2017-02-13 2018-08-16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39054A (en) Electronic oven
KR19980017873A (ko) 전자렌지의 도파관 구조
GB2100558A (en) High-frequency heating appliance
KR19990018403U (ko) 전자렌지의 멀티형 도파관
KR100189375B1 (ko) 전자렌지의 고압트랜스 조립장치
KR200227318Y1 (ko) 전자렌지용마그네트론의설치구조
KR200213193Y1 (ko) 전자렌지의 냉각팬용 분산판
KR19990017316U (ko) 전자렌지의 도파관
KR200213184Y1 (ko) 전자렌지의 냉각팬용 분산판
KR19990023511U (ko)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
KR100284084B1 (ko) 전자렌지
KR200165206Y1 (ko) 전자렌지의전장실냉각구조
KR100618229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베이스 장착구조
JP2911410B2 (ja) 高周波加熱調理装置
KR19990023519U (ko)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방열판
KR100300120B1 (ko) 컨백션렌지
KR19990019807U (ko) 전자렌지의 냉각팬 브라켓
KR200239617Y1 (ko) 전자렌지
KR20050036439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플레이트구조
KR200150819Y1 (ko) 매트장치채용 전자렌지
KR100286178B1 (ko) 전자레인지
KR200157587Y1 (ko)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안테나 냉각구조
KR100277964B1 (ko) 전자렌지
KR200217977Y1 (ko) 전자렌지의 컨벡션 모터 조립장치
KR200149667Y1 (ko) 마그네트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