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919U -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 - Google Patents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919U
KR19990017919U KR2019970031059U KR19970031059U KR19990017919U KR 19990017919 U KR19990017919 U KR 19990017919U KR 2019970031059 U KR2019970031059 U KR 2019970031059U KR 19970031059 U KR19970031059 U KR 19970031059U KR 19990017919 U KR19990017919 U KR 199900179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spoon
tongs
food
spo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이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수 filed Critical 이형수
Priority to KR2019970031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919U/ko
Publication of KR199900179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919U/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벌의 식사 도구인 젓가락과 숟가락에서 음식물을 입안으로 집어 넣는 부위가 식탁에 닿지 않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젓가락과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위생 젓가락은 음식물을 집는 집게부(1)와 손잡이부(12)로 구성된 공지의 젓가락(10)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젓가락(10)의 양면에 집게부(12)를 식탁(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돌기(13)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위생 숟가락은 음식물을 뜨는 수저부(21)와 손잡이부(22)로 구성된 공지의 숟가락(20)에 있어서, 상기 수저부(21)의 후방에 위치하는 손잡이부(22)의 전방 저면에 수저부(21)를 식탁(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돌기(23)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
본 고안은 한벌의 식사 도구인 젓가락 및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젓가락과 숟가락에서 음식물을 입안으로 집어 넣는 부위가 식탁에 닿지 않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젓가락과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과 숟가락은 한벌로 사용되는 식사 도구로 젓가락은 반찬등의 음식물을 집어서 입안으로 집어 넣는 데 주로 사용하며, 숟가락은 밥이나 국물을 떠먹는 데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식사중 젓가락과 숟가락에서 입안에 접촉하는 부위가 식탁에 닿기 때문에, 식탁의 청결상태에 따라서 젓가락과 숟가락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젓가락과 숟가락은 음식물을 입안으로 집어 넣는 부위가 식탁의 표면에 그대로 닿기 때문에 식탁에 앉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젓가락과 숟가락을 통해 음식물과 같이 입안으로 유입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와 같은 비위생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특히 대중음식점에서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손님들이 젓가락과 숟가락과 식탁에 놓지 않고 사용하지 않는 것은 다른 한손을 이용하여 번갈아 잡고서 불편하게 음식물을 먹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식탁에 별도로 젓가락과 숟가락을 받쳐주는 받침대를 놓고서 사용하였으나, 이는 사용의 불편함 및 일정 면적을 차지하는 관계로 식탁을 비좁게 만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주부들이 이용을 꺼려 결과적으로 받침대의 구입비용만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한벌의 식사 도구인 젓가락 및 숟가락에서 음식물을 입안으로 집어 넣는 부위가 식탁에 닿지 않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젓가락과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식물을 입안으로 집어 넣는 젓가락 및 숟가락의 집게부와 수저부의 후방부에 식탁으로부터 집게부와 수저부를 이격시키는 받침돌기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위생젓가락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숟가락의 사시도.
도 5는 위생 숟가락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젓가락11 : 집게부
12 : 손잡이부13 : 받침돌기
20 : 숟가락21 : 수저부
22 : 손잡이부23 : 받침돌기
1 : 식탁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은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위생 젓가락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식물을 집는 집게부(11)와 손잡이부(12)로 구성된 공지의 젓가락(10)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젓가락(10)의 양면에 집게부(12)를 식탁(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돌기(13)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돌기(13)는 젓가락(10)으로 음식물을 집어서 입안으로 넣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도록 사용할 때 입압과 접촉하지 않는 집게부(11)의 바로 뒤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한다.
이때, 받침돌기(13)는 음식물을 입안으로 집어 넣는, 즉 젓가락(10)을 사용할 때 입안에 접촉하는 부위인 집게부(11)가 식탁(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적당한 높이로 돌출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위생 숟가락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식물을 뜨는 수저부(21)와 손잡이부(22)로 구성된 공지의 숟가락(20)에 있어서, 상기 수저부(21)의 후방에 위치하는 손잡이부(22)의 전방 저면에 수저부(21)를 식탁(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돌기(23)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돌기(23)는 숟가락(20)으로 밥이나 국물을 떠먹는 데 아무런 지장이 없도록 사용할 때 입안과 접촉하지 않는 수저부(21)의 바로 뒤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한다.
이때, 받침돌기(23)는 음식물을 입안으로 집어 넣는, 즉 숟가락(20)을 사용할 때 입안에 접촉하는 부위인 수저부(21)가 식탁(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적당한 높이로 돌출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위생 젓가락(10) 및 위생 숙다락(20)은 식사중 평상시와 같이 젓가락(10)과 숟가락(20)을 식탁(1)에 놓으면 도 3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젓가락(10)과 숟가락(20)에서 입안으로 들어가는 부위인 집게부(11)와 수저부(21)가 받침돌기(13)(23)에 의해 식탁(1)에 닿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젓가락(10)과 숟가락(2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젓가락(10)과 숟가락(20)을 식탁(1)에 놓으면 받침돌기(12)(23)가 식탁(1)에 접촉하면서 집게부(11) 및 수저부(21)를 식탁(1)의 표면으로 부터 상부로 소정의 높이 이격시키므로 식탁(1)에 앉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종래와 같이 집게부(11)와 수저부(21)를 통해 입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은 음식물을 입안으로 집어 넣는 부위가 식탁에 닿지 않으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젓가락과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음식물을 집는 집게부(11)와 손잡이부(12)로 구성된 공지의 젓가락(10)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젓가락(10)의 양면에 집게부(12)를 식탁(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돌기(13)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2. 음식물을 뜨는 수저부(21)와 손잡이부(22)로 구성된 공지의 숟가락(20)에 있어서, 상기 수저부(21)의 후방에 위치하는 손잡이부(22)의 전방 저면에 수저부(21)를 식탁(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돌기(23)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숟가락.
KR2019970031059U 1997-11-05 1997-11-05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 KR199900179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059U KR19990017919U (ko) 1997-11-05 1997-11-05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059U KR19990017919U (ko) 1997-11-05 1997-11-05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19U true KR19990017919U (ko) 1999-06-05

Family

ID=6969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059U KR19990017919U (ko) 1997-11-05 1997-11-05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91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981A (en) Tableware with utensil support
KR19990017919U (ko) 위생 젓가락 및 숟가락
JPS6324910A (ja) 足部分付採食用食器
KR200380935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KR200317777Y1 (ko) 지지대가 형성된 식사도구
JP3118634U (ja) 食卓用品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USD495555S1 (en) Flatware utensil
KR200240977Y1 (ko) 숟가락.젓가락.칼.포크의 1 회용 받침대
KR20180000188U (ko) 숟가락
KR200175671Y1 (ko) 음식용구 받침부를 가진 음식용 용기
KR200470807Y1 (ko) 배식용 위생 주걱
GB2179238A (en) Disposable chopsticks
KR20230042609A (ko) 수저받침대가 있는 식기
KR200406037Y1 (ko) 음식용기 뚜껑 수저 받침대
KR200334779Y1 (ko) 수저 받침접시
KR20100118659A (ko) 위생 식사도구.
KR200399404Y1 (ko) 위생 수저
KR20130006449U (ko) 수저받침대
KR200319611Y1 (ko) 위생 방균(防菌) 수저
KR200168663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261656Y1 (ko) 개인용 위생 수저통
KR200234277Y1 (ko) 깨끗한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