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062A -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062A
KR19990017062A KR1019970039829A KR19970039829A KR19990017062A KR 19990017062 A KR19990017062 A KR 19990017062A KR 1019970039829 A KR1019970039829 A KR 1019970039829A KR 19970039829 A KR19970039829 A KR 19970039829A KR 19990017062 A KR19990017062 A KR 19990017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holding time
mobile phone
level
call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
황인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3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062A/ko
Publication of KR19990017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화유지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채널낭비 및 사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통화유지시간을 재설정하고 통화유지시간 설정값 및 통화요청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통화요청신호에 따라 일정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할당된 채널로 통화를 시작하여 수신신호레벨을 측정하는 단계와, 수신신호레벨이 기준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설정된 통화유지시간동안 통화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통화유지시간동안 수신신호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복구되지 않으면 통화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통신서비스의 신뢰성 및 채널할당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
본 발명은 휴대전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는 이동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무선통신장치로 아날로그방식으로 서비스가 시작되어 현재 디지털방식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급속히 증가함으로 인한 무선주파수 부족이 큰 문제로 대두되어 주파수 이용효율 향상이 해결되어야할 중요 과제로 자리잡는 있는 실정이다.
한편, 휴대전화를 이용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기술중 음성부호화, 변복조기술 및 액세스(Access)기술은 필수 기술로서, 특히 음성부호화는 각 지역별로 그 지역의 특성에 맞는 각각의 음성부호화 표준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때 음성부호화 표준방식으로는 일본의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유럽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및 북미의 TIA(Telecommunication Indudiry Association)가 있으며 각 음성부호화 표준방식은 나름대로의 프로토콜(Protocol) 즉, 통신규약에 따라 통신이 수행된다.
이하, GSM이 적용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휴대전화는 통화시 통화관련 정보를 기지국과 주고 받는다. 따라서 휴대전화 및 기지국은 통신중 RSSI(Radio Signal Strength Indicator)(수신신호레벨)을 측정하다가 이 값이 기준레벨 이하로 내려가면 자체의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동안 통화상태를 유지시키고 즉, 끊어지지 않도록 하고 그 시간내에 상기 RSSI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복구되면 통화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복구되지 않으면 통화를 정지시킨다.
이때 GSM 의 Spec 4.5.1.6을 살펴보면, 상기 RSSI레벨이 기준레벨 이하로 내려가면 15초동안 통화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설정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15초를 카운팅하기 위해 T3230 타이머가 사용되며, 타이머의 카운팅값은 휴대폰의 SIM 카드에 저장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의 통화유지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통화성능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통화상태를 유지시키고 통화성능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복귀되지 않을 경우 통화를 정지시키므로 사용자는 기설정된 시간에 대한 부당요금을 부담하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고, 통화상태를 유지시키는 시간동안 정보전송이 불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채널이 낭비된다.
둘째, 중요한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 일시적인 통신성능 저하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시간동안만 통화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통신이 두절되므로 사용자에게 물질적 또는 정신적으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통화유지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채널낭비 및 사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통화유지시간을 재설정하고 통화유지시간 설정값 및 통화요청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통화요청신호에 따라 일정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할당된 채널로 통화를 시작하여 수신신호레벨을 측정하는 단계와, 수신신호레벨이 기준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설정된 통화유지시간동안 통화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통화유지시간동안 수신신호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복구되지 않으면 통화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이때 본 발명은 GSM이 적용된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통화유지시간을 설정하고 통화버튼을 눌러 통화를 요청한다(S11).
이때 사용자는 중요한 통화를 하고자하거나 불필요한 요금부담을 덜고자 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 통신유지시간 변경을 원하면 휴대전화의 일정버튼 예를 들어, 메뉴버튼을 누르고 LCD화면상에 표시되는 표시내용에 따라 통화유지시간 설정을 선택하여 15초 이내의 범위에서 자신이 원하는 시간(본 발명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10초라 가정)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화유지시간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입력 신호처리 및 LCD 화면처리 지원하기위해 제어부의 제어알고리즘이 일부 변경된다.
이어서 상기 통화버튼을 누름에 따른 신호가 기지국에 전송된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의 통화요청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에 채널을 할당한다(S12).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눌러 통화를 개시한다(S13). 그리고 휴대전화 및 기지국은 각각 'RSSI'레벨을 측정하여(S15), 기준값 이하인지 즉, 통신가능 한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그리고 그 판단결과(S16), 'RSSI'레벨이 기준값 이하이면 휴대전화는 사용자가 설정한 10초동안 자체의 타이머를 '온'시키고, 반면에 기지국은 기존의 GSM Spec에 설정된 타이머(T3230)를 '온'시켜(S17), 15초동안 통화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어서 휴대전화는 10초 이내에 'RSSI'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복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18), 자체 타이머의 카운팅이 완료되어 10초 이내에 'RSSI'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복구되지 않으면 통화정지신호를 전송하고(S19), 통화를 정지시켜(S20), 'Idle'상태 즉, 대기상태로 전환한다(S21).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GSM의 통신규약에 통화유지시간은 15초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통신규약중 상기 통화유지시간에 관련된 부분을 일부 수정하여 통화유지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15초 초과하는 범위에서 통화유지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통신규약을 새롭게 설정하였을 경우 통화유지시간을 설정하는 세부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15초 이내에서 자체적으로 통화유지시간을 설정할때와 마찬가지로 15초를 초과하는 범위에서 자신이 원하는 통화유지시간을 설정한다. 이어서 이와 같이 설정된 통화유지시간 데이터는 기지국과의 통신망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기지국은 휴대전화에 해당하는 채널의 통화유지시간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으로 재설정하여 통화유지시간 설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휴대전화 또는 기지국은 신 통신규약에 따라 설정된 통화유지시간 예를 들어, 20초가 경과되는 동안에도 'RSSI'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복구되지 않을 경우 통화정지 신호를 전송하여 통화를 정지시키고, 상기 20초내에 'RSSI'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복구되면 통화를 재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원할 경우 통화유지시간을 늘려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통화유지시간을 줄여 불필요한 요금부담을 억제하므로 통신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불필요한 통화중 통화성능이 저하될 때 통화유지시간을 줄여 불필요한 통신채널 사용을 억제하고 채널할당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2)

  1.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통화유지시간을 재설정하고 통화유지시간 설정값 및 통화요청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화요청신호에 따라 일정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채널로 통화를 시작하여 수신신호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신호레벨이 기준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통화유지시간동안 통화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통화유지시간동안 수신신호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복구되지 않으면 통화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유지시간을 재설정하는 단계는 통신규약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화유지시간을 재설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
KR1019970039829A 1997-08-21 1997-08-21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 KR19990017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829A KR19990017062A (ko) 1997-08-21 1997-08-21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829A KR19990017062A (ko) 1997-08-21 1997-08-21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062A true KR19990017062A (ko) 1999-03-15

Family

ID=6604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829A KR19990017062A (ko) 1997-08-21 1997-08-21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0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179B1 (ko) * 2004-05-1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절된 통신 링크를 복구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179B1 (ko) * 2004-05-1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절된 통신 링크를 복구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612B2 (en) Push to talk mobil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JPH0731662Y2 (ja) 携帯電話機
KR19980086819A (ko) 멀티모드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A2598673C (en)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cal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20090275360A1 (en) Hybri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acquiring system for data service in hybri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6799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alk group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H08265846A (ja) 無線通信端末装置とその運転方法
US75329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dicated paging channels for walkie-talkie services
JPH10191430A (ja) 空きチャネル割当方法
US20100144390A1 (en) Dialing device for mobile phon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9990017062A (ko) 휴대전화의 통화유지방법
JP2694816B2 (ja) 位置登録禁止機能を有する携帯用電話機
JPH11308674A (ja) 無線伝送システム
JPH09214422A (ja) 移動通信の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同報通信方法
KR100266796B1 (ko) 통화중셀방송서비스가가능한시분할다중접속휴대용무선단말기및그제어방법
KR100566985B1 (ko) 주소록별 통화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H0738950A (ja) 移動通信における位置登録方式
KR100565280B1 (ko) 휴대폰/무선전화기 겸용 장치
KR100240290B1 (ko) 디지탈휴대전화기의밧데리절약방법
JPH06260991A (ja) 無線電話装置
KR100548374B1 (ko) 이동 단말기의 디테치 방법
KR20040100150A (ko) 무전기 및 무선 전화 겸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주파수송수신 장치
KR100274800B1 (ko) 무선전화기의 수신볼륨 레벨조정방법
KR100890262B1 (ko) 휴대 단말기의 푸쉬 투 톡 통신 방법.
KR100251727B1 (ko) 차세대 디지탈 무선 전화기에서 통화 실패 원인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