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417A -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417A
KR19990016417A KR1019970038947A KR19970038947A KR19990016417A KR 19990016417 A KR19990016417 A KR 19990016417A KR 1019970038947 A KR1019970038947 A KR 1019970038947A KR 19970038947 A KR19970038947 A KR 19970038947A KR 19990016417 A KR19990016417 A KR 19990016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signal
wireless
transmitte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황규
Original Assignee
최황규
류시균
주식회사 아리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황규, 류시균, 주식회사 아리컴 filed Critical 최황규
Priority to KR101997003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417A/ko
Publication of KR1999001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417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선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PC의 모뎀과 전화선(국선)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시켜 PC 통신이 가능토록 해주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부에서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하여 처리한 후 모뎀 접속부로 전달해주고, 그 모뎀 접속부로부터 전달되는 송신 데이터는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고정장치로 송신해주며, 모뎀 접속부에서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수신 신호를 PC내에 장착된 모뎀으로 전송해주고, 그 모뎀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에 전달해주며, 또한 시스템 제어부에서 모뎀 접속부와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 함으로써 가정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PC내의 모뎀과 전화선간을 접속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본 발명은 무선 모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선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PC의 모뎀과 전화선(국선)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시켜 PC 통신이 가능토록 해주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뎀은 단말, 컴퓨터를 통신 회선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변복조 장치를 말하며, 음성을 전송할 목적으로 부설된 전화 회선을 통신 회선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가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를 직접 보낼 수 없기 때문에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모뎀을 사용한다.
요즘들어 PC의 활용이 급증하면서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PC 주변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이러한 PC의 주변기기들을 무선으로 접속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몇몇 사용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PC 주변기기의 무선 접속은 유선에 비해 사용이 자유로우며 이동시에도 번거로운 선의 이동이나 재작업이 필요없고 PC 본체와 주변기기 사이에 어느 정도 거리를 허용하므로 유선에 비해 사용이 자유롭다. 이로 인하여 현재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등의 무선접속 장치들이 속속 개발되어 사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기는 주로 PC의 인접에 설치되는 기기들이고 주로 적외선을 사용하여 통신하므로 이로 인하여 장애물에 취약하며 송수신 양단에 모두 무선 접속을 위한 장치가 부가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들어 인터넷 등 컴퓨터 통신의 저변 확대에 따라 일반가정 및 사무실에서 PC와 모뎀을 사용한 PC 통신 사용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가정 및 LAN이 설치되지 않은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통신은 모두 기존의 전화선에 연결된 모뎀을 통하여 접속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종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뎀의 사용 일예가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 되었다.
여기서, 참조번호 1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PC이고, 참조번호 2는 상기 PC(1)내에 장착되는 모뎀이며, 참조번호 3은 일반 전화기이고, 참조번호 4는 상기 일반전화기와 연결되어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화기 단자이면서 상기 모뎀(2)과 접속되어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해주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전화기 단자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뎀장치의 사용은, 벽에 고정된 전화기 단자(4)와 PC(1)내에 장착되는 모뎀(2)을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5)을 통해 연결하고, PC(1)를 조작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뎀의 사용 방법은, 일반적으로 전화선에 연결되는 전화기 단자가 벽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므로 그 전화기 단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PC와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길게하여 접속하거나 상기 PC를 전화기 단자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모뎀과 전화선이 접속되도록 연결해야지만 통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즉,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길게하여 모뎀과 전화선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케이블이 길수록 상대적으로 외부 노이즈의 유입이 용이해져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통신 불량시 전화기 단자를 확인하거나 PC의 모뎀 접속부를 확인할때도 매우 불편함이 존재한다.
그리고 PC를 전화기 단자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PC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이동자가 한정될 뿐만 아니라 본체와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연결을 해체시킨 후 다시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 또한 많은 불편함을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뎀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화선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PC의 모뎀과 전화선(국선)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시켜 PC 통신이 가능토록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은,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하여 처리한 후 모뎀 접속수단으로 전달해주고, 그 모뎀 접속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송신 데이터는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고정장치로 송신해주는 무선 송수신수단과;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수신 신호는 PC내에 장착된 모뎀으로 전송해주고, 상기 모뎀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에 전달해주는 모뎀 접속수단과; 상기 모뎀 접속수단의 신호 전송 및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의 데이터 송수신과 음성 송수신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모뎀 접속수단 및 무선 송수신수단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모뎀 접속수단과 상기 PC내의 모뎀을 접속해주는 통신 케이블을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뎀의 사용 일예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의 개념도,
도 3 은 도 2의 무선 모뎀장치 개략 구성도,
도 4 는 도 3의 무선 모뎀장치 각부 상세 블록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송신 요구시의 송신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서 수신 요구시의 수신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서 데이터 통신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도로서,
(a)는 통화채널 초기 설정시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도,
(b)는 통화채널 설정 이외에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도,
도 8 은 본 발명의 무선 모뎀장치에서 고정 장치로 전송되는 제어 코드 할당
일예도,
도 9 는 본 발명의 무선 모뎀장치에서 휴대 장치로 전송되는 제어 코드 할당
일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C 11 : 모뎀
20 : 고정장치 30 : 무선 모뎀장치
31 : 무선 송수신부 32 : 모뎀 접속부
33 : 시스템 제어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의 개념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0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PC이며, 11은 상기 PC(10)내에 내장되는 모뎀이고, 20은 전화선과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인터페이스해주는 고정장치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0은 상기 모뎀(11)과 상기 고정장치(20)간의 무선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해주고, 상기 고정장치(20)의 무선 신호를 인터페이스하여 통화가 가능토록 해주는 무선 모뎀장치이다.
도면중 미설명 참조번호 40은 상기 무선 모뎀부(30)와 상기 모뎀(11)과를 연결해주기 위한 통신 케이블이고, 50은 상기 고정장치(20)와 전화선을 연결해주는 전화 단자이다.
상기에서, 무선 모뎀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하여 처리한 후 모뎀 접속부(32)로 전달해주고, 그 모뎀 접속부(32)로부터 전달되는 송신 데이터는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고정장치(20)로 송신해주는 무선 송수신수부(31)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31)를 통해 전달되는 수신 신호는 PC(10)내에 장착된 모뎀(11)으로 전송해주고, 상기 모뎀(11)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31)에 전달해주는 모뎀 접속부(32)와, 상기 모뎀 접속부(32)의 신호 전송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31)의 데이터 송수신과 음성 송수신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모뎀 접속부(32) 및 무선 송수신부(31)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33)로 구성 된다.
또한, 상기 무선 송수신부(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20)와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절체해주기 위한 듀플렉서(34)를 통한 FM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원래의 신호로 만드는 FM수신기(31a)와, 상기 FM수신기(31a)를 통한 신호의 S/N비를 높여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자동 이득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신장기(31b)와, 송신되는 신호의 S/N비를 높여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자동 이득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압신기(31c)와, 상기 압신기(31c)로부터 출력되는 QAM신호를 FM변조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33)에서 발생되는 제어코드의 디지털 신호를 FSK 형태로 변조하여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20)로 전송해주는 FM송신기(31d)와, 전압 제어 발진기(VCO)로 이루어져 상기 시스템 제어부(33)로부터 발생되는 4비트의 채널 번호를 입력받아 이에 해당하는 채널의 설정을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FM수신기(31a) 및 FM송신기(31d)에 각각 전달해주는 위상동기루프회로(31e)로 구성 된다.
그리고, 상기 모뎀 접속부(32)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31)내의 신장기(31b)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모뎀카드로 전달하고 그 모뎀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압신기(31d)로 전달해주는 스피치 네트워크회로(32a)와, PC(10)내에 장착되는 모뎀(11)의 통화 요구시 이를 검출하는 통화요구 검출기(32b)와, 상기 통화요구 검출기(32b)에 의해 통화채널이 설정된 경우 송출되는 전화번호에 대한 DTMF신호를 해독하여 디지털 코드로 변환한 후 상기 시스템 제어부(33)에 전달해주는 DTMF 디코더(32c)와, 상기 모뎀카드가 아닌 외부로부터 통화의 시도가 있는 경우 발생되는 링 제어코드에 의해 링을 발생하는 링 발생기(32d)로 구성 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33)는 1칩 마이크로 콘트롤러(33a)로 구성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화기는 전화선(국선)과 접속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장치로 이루어지며, 송신시 휴대장치에서 다이얼링을 하면 고정장치에서 이를 수신한 후 접속된 전화선으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후 상대방에서 전화를 받으면 전술한 과정과 같이 휴대장치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고정장치를 통해 국선으로 전달되고,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는 상기 고정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휴대장치로 전달 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수신시 상대방으로부터 링신호가 전달되면 고정장치는 이를 휴대장치로 전송해주게 되고, 휴대장치에서 전화를 받으면 상기와 같은 통화 루프가 형성되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무선전화기는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FM변조된 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기존의 적외선 무선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시의 장애 요인인 장애물의 영향을 덜 받게 되어 통신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는 그대로 이용하고, PC(10)내의 모뎀(11)도 기존의 모뎀을 그대로 사용하며, 단지 휴대장치(본 발명에서는 무선 모뎀장치임)에 상기 모뎀(11)과 접속 가능토록 모뎀 접속부(32)를 부가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 및 통화를 위한 무선 송수신부(31)를 구비하고, 상기 모뎀 접속부(32)와 무선 송수신부(31)를 콘트롤하는 시스템 제어부(33)를 구비하여 통화는 물론 PC 통신까지도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모뎀 접속장치(30)의 모뎀 접속부(32)와 상기 PC(10)내의 모뎀(11)과는 기존과 동일한 통신 케이블(40)을 이용하여 접속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모뎀장치의 프로그램 작성을 위해서는 먼저 통화채널 설정 등에 필요한 제어코드의 교환이 필요하다. 제어코드의 교환을 위해서는 먼저 데이터 전송 포맷과 코드값의 배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는 기존의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의 포맷과 동일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무선전화기에서 사용하는 도 7과 같은 데이터 포맷을 그대로 사용하는데, 여기서 (A)는 통화채널 초기 설정시에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이고, (B)는 통화채널 설정 이외에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이다.
아울러, 도 8은 무선 모뎀장치에서 무선전화기 고정장치로 전송되는 제어 코드의 할당 일예도이고, 도 9는 상기 고정장치에서 무선 모뎀장치로 전송되는 코드의 할당 일예도이다.
데이터 송신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10)내의 모뎀(11)의 전화 접속선에 기존의 전화선에 공급되는 것과 동일한 전압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모뎀(11)이 통화를 시도하여 전화접속부의 온-훅크 릴레이의 동작으로 전류 루프가 형성되면 통화요구 검출기(32b)는 이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모뎀의 통화요구를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33)는 상기와 같이 통화요구가 검출되면 고정장치(20)와의 통화채널 설정 프로토콜에 의하여 안정된 통화 채널을 설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하는 전화번호가 모뎀(11)으로부터 출력되면 DTMF디코더(32c)는 그 전화번호에 대한 DTMF신호를 해독하여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부(33)에 전달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33)는 해당 제어코드를 무선 송수신부(31)내 FM송신기(31d)의 송신 데이터 입력선에 디지털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전화번호가 고정장치(20)를 경유하여 송출된다.
이후 대기 상태로 진입하게 되고, 상대방으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데이터 통신이 시작된다.
즉,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상대방 데이터는 고정장치(20)에서 무선으로 송신되고, 이 무선 신호는 무선 모뎀장치(30)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후 듀플렉서(34)에서 수신측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FM수신기(31a)는 FM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여 원래의 신호로 만들게 된다. 여기서 수신되는 신호는 제어코드와 모뎀 통신 데이터 신호의 두가지 종류로 구분되며, 제어코드는 고정장치(20)와 통화의 시작과 끝, 채널 설정, 비밀번호의 설정 등을 위한 디지털 신호로서, 수신되는 제어코드 신호는 제어코드에 대한 디지털 신호가 FSK(주파수 변조 방식) 형태도 변조된 신호이다. 따라서 FM수신기(31a)는 이 신호를 복조하여 원래의 제어코드인 디지털 신호를 찾아내며, 이 디지털 신호는 시스템 제어부(33)내의 마이크로 콘트롤러(33a)로 입력되어 해석된다.
아울러 복조된 데이터는 신장기(31b)에 전달되며, 상기 신장기(31b)는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자동 조정하여 S/N비를 높여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되고, 이렇게 S/N비를 높인 수신신호를 모뎀 접속부(32)에 전달해준다.
상기에서, 데이터 수신시 위상동기루프회로(31e)는 15채널 MCA(Multiple Channel Access)를 위한 전압제어발진기(VCO)를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33)로부터 4비트의 채널 번호를 입력받아 이헤 해당하는 채널의 설정을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FM수신기(31a)에 전달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모뎀 접속부(32)내의 스피치 네트워크회로(32a)는 상기 신장기(31b)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신호를 통화요구 검출기(32b)를 통해 모뎀(11)으로 전달해주게 되며, 모뎀(11)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받은 PC(10)는 기존과 같은 처리 동작을 거쳐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뎀(11)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통화요구 검출기(32B)를 통해 다시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회로(32a)로 전달되며, 이 스피치 네트워크회로(32a)를 통한 송신 데이터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31)내의 압신기(31c)에 전달되어 이득이 자동 조정되어 통화 품질이 높아진 상태에서 상기 FM송신기(31d)에 전달 된다.
상기 FM송신기(31d)는 입력되는 통신 데이터 신호인 QAM(구적 진폭 변조)신호를 FM변조하고, 아울러 상기 시스템 제어부(33)에서 발생되는 제어코드의 디지털 신호를 FSK형태로 변조하여 상기 고정장치(20)로 전송해준다. 여기서 FM송신기(31d)는 송신 파워 신호에 의하여 송신시에만 구동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시에도 위상동기루프회로(31e)는 15채널 MCA(Multiple Channel Access)를 위한 전압제어발진기(VCO)를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33)로부터 4비트의 채널 번호를 입력받아 이헤 해당하는 채널의 설정을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FM송신기(31d)에 전달해주게 된다.
상기에서, 시스템 제어부(33)는 1칩 마이크로 콘트롤러(33a)로 이루어지며, 고정장치(20)와의 통화 시도, 통화채널 설정, 통화 종료 등의 각종 제어를 담당하게 되며, 또한, 입력 포트로부터 모뎀으로부터의 통화요구 신호를 입력받아 통화채널을 설정하며, DTMF 신호에 대한 코드를 입력받아 이를 고정장치(20)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어코드의 전송은 FM송신기의 송신 데이터 입력선에 디지털 신호를 전송 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수신된 제어코드를 해석하는 역할도 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수신시에는 도 6과 같은 수순에 의하여 채널을 설정하게 되고, 그 채널의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데이터 통신은 전술한 데이터 송신시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전화선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PC의 모뎀과 전화선(국선)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시켜 PC 통신이 수행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정용 무선전화기의 신호 방식이 FM변조신호이므로 장애물에 대한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어 통화 품질은 물론 통신의 신뢰성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장치와 PC의 모뎀간을 인터페이스해주므로 고정장치와 PC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휴대장치(무선 모뎀장치)만을 PC가 있는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므로 기존과 같이 PC를 전화기 단자가 있는 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도 해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하여 처리한 후 모뎀 접속수단으로 전달해주고, 그 모뎀 접속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송신 데이터는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고정장치로 송신해주는 무선 송수신수단과;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수신 신호는 PC내에 장착된 모뎀으로 전송해주고, 상기 모뎀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에 전달해주는 모뎀 접속수단과; 상기 모뎀 접속수단의 신호 전송 및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의 데이터 송수신과 음성 송수신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모뎀 접속수단 및 무선 송수신수단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은, 상기 고정장치와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절체해주기 위한 듀플렉서(34)를 통한 FM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원래의 신호로 만드는 FM수신기(31a)와, 상기 FM수신기(31a)를 통한 신호의 S/N비를 높여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자동 이득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신장기(31b)와, 송신되는 신호의 S/N비를 높여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자동 이득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압신기(31c)와, 상기 압신기(31c)로부터 출력되는 QAM신호를 FM변조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33)에서 발생되는 제어코드의 디지털 신호를 FSK 형태로 변조하여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로 전송해주는 FM송신기(31d)와, 전압 제어 발진기(VCO)로 이루어져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4비트의 채널 번호를 입력받아 이에 해당하는 채널의 설정을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FM수신기(31a) 및 FM송신기(31d)에 각각 전달해주는 위상동기루프회로(31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접속수단은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내의 신장기(31b)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모뎀카드로 전달하고 그 모뎀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압신기(31d)로 전달해주는 스피치 네트워크회로(32a)와, PC내에 장착되는 모뎀(11)의 통화 요구시 이를 검출하는 통화요구 검출기(32b)와, 상기 통화요구 검출기(32b)에 의해 통화채널이 설정된 경우 송출되는 전화번호에 대한 DTMF신호를 해독하여 디지털 코드로 변환한 후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 전달해주는 DTMF 디코더(32c)와, 상기 모뎀카드가 아닌 외부로부터 통화의 시도가 있는 경우 발생되는 링 제어코드에 의해 링을 발생하는 링 발생기(32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KR1019970038947A 1997-08-14 1997-08-14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KR19990016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947A KR19990016417A (ko) 1997-08-14 1997-08-14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947A KR19990016417A (ko) 1997-08-14 1997-08-14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17A true KR19990016417A (ko) 1999-03-05

Family

ID=6600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947A KR19990016417A (ko) 1997-08-14 1997-08-14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4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589A (ko) * 2000-03-22 2000-07-05 원문희 일반가정용 무선전화기(휴대이동장치)를 이용한 컴퓨터모뎀 접속 장치
KR20010091245A (ko) * 2000-03-14 2001-10-23 오병훈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KR100379636B1 (ko) * 2000-08-31 2003-04-08 김명호 전화선로를 이용한 모뎀접속 무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245A (ko) * 2000-03-14 2001-10-23 오병훈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KR20000036589A (ko) * 2000-03-22 2000-07-05 원문희 일반가정용 무선전화기(휴대이동장치)를 이용한 컴퓨터모뎀 접속 장치
KR100379636B1 (ko) * 2000-08-31 2003-04-08 김명호 전화선로를 이용한 모뎀접속 무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9506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power control
US6337979B1 (e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JP2002503920A (ja) 機密情報を安全に送信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KR20010099822A (ko) 무선전화 잭과 rf 무선통신을 결합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2502207A (ja) 非セルラー方式コードレス/ワイヤレス式データ通信用の分散モデム
US7409195B2 (en) Wireless modem
GB2296631A (e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46772A (ko)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KR960004959B1 (ko) 인입 전화 호출 접속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US5822367A (en) Digital mobile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16417A (ko)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모뎀장치
JPH0927086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能付パーソナル・ハンディホン・システム
US8243698B2 (en) Device for converting UMTS signals to another signal standard
JPH0846710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1273443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339553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KR100234056B1 (ko) 모뎀 내장형 무선전화기
JP2869271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CN1110909C (zh) 无绳数据/传真调制解调器
KR100443011B1 (ko) 전력선 안테나를 이용한 더불유엘엘 단말기시스템
JP3033580B2 (ja) 移動無線端末
EP0670650A1 (en) Portable communications interface network
JP3055058B2 (ja) 中継機能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無線局
KR19980033479A (ko) 무선 모뎀 접속 시스템
KR100468580B1 (ko) 공중통신망 접속 휴대전화기 장치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