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353U - Data transceiver betwe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ata transceiver betwe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353U
KR19990016353U KR2019970029751U KR19970029751U KR19990016353U KR 19990016353 U KR19990016353 U KR 19990016353U KR 2019970029751 U KR2019970029751 U KR 2019970029751U KR 19970029751 U KR19970029751 U KR 19970029751U KR 19990016353 U KR19990016353 U KR 199900163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portable communication
display device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7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정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9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353U/en
Publication of KR19990016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353U/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데이터 송수신장치는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상호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data transceiving device relates to an interfac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는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그리고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하거나,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그리고 동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가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ata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converts the data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transmits the data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re each provided with an interface device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after receiving the correct data.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시청하기 위해 휴대용 통신기기가 디스플레이장치와 직접 통신함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Therefore,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to view th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n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Data transceiver betwe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신호, 동기신호 및 오디오신호와 같은 멀티미디어 신호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데이터로 변환시켜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각각 구비시키고, 이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re each provided with an interface device capable of converting and transmitting multimedia signals such as video signals, synchronization signals, and audio signals into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일반적으로, 무선호출기나 휴대폰, PCS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통신을 하기위한 휴대용 통신기기는 개인이 휴대할 수 있어 이동이 쉬울 뿐만 아니라, 영상표시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과 신호적으로 접속이 가능하여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계속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general,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while being carried by an individual, such as a wireless pager, a mobile phone, a PCS phone, etc., can be easily carried by an individual, and can be easily moved, and includes a computer system including a display device such as an image display device. It is widely used due t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cess the signal and processing data, and the demand is continuously increasing.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통신기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을 나타낸 개념적 블록도이다.1 is a conceptu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휴대용 통신기기(110)는 컴퓨터 본체(13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컴퓨터 본체(130)는 자신이 처리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20)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As show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exchange data with the computer main body 130, and the computer main body 130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20 to display an image processed by the computer main body 130. Send and receive data.

여기서, 컴퓨터 본체(130)와 디스플레이장치(120)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볼 수도 있으며, 컴퓨터 본체(130)와 휴대용 통신기기(110)는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단말기등을 이용한 직렬통신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Here, the computer main body 130 and the display device 120 may be viewed as a single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 main body 130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be connected to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PDA (Portable digital assistant) terminal. Send and receive data by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20)는 컴퓨터 본체(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화상으로 표시해주는 장치로서 음극선관(CRT) 이나 액정표시소자(LCD) 또는 플라즈마표시패널(PDP) 등과 같은 표시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화면의 크기는 상관이 없다.The display device 120 displays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computer main body 130 as an image, and may use display means such as a cathode ray tube (CR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 plasma display panel (PDP). The size of the screen does not matter.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바 대로 휴대용 통신기기(110)와 디스플레이장치(120) 사이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직접적인 통신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 there is no direct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display apparatus 120.

결과적으로,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는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직접적인 아닌 컴퓨터 본체를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밖에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As a resul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only have to communicate indirectly through the computer body, not directly,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컴퓨터 본체를 통하지 않고 직접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through which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can transmit and receive multimedia data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a computer main body.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통신기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을 나타낸 개념적 블록도,1 is a conceptu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 : 휴대용 통신기기211 : 제 1 인터페이스 장치210: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211: first interface device

220 : 디스플레이장치221 : 제 2 인터페이스 장치220: display device 221: second interface devi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특징은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그리고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하거나,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그리고 동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가 각각 구비하여 상호 통신하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a data transceiver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receive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to convert the data into data conform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or to transmit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each have an interface device for receiving data conform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transmitted from a device and converting the same into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기기(210)와 디스플레이장치(220)는 휴대용 통신기기(210)에 구비된 제 1 인터페이스 장치(211)와 디스플레이장치(220)에 구비된 제 2 인터페이스 장치(221)를 통해 신호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210 and the display device 220 may use the first interface device 211 provid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210 and the second interface device 221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220. Through signal connection, data can be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each other.

여기서, 제 1 인터페이스 장치(211) 및 제 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그 기능이 동일한데, 상호 통신을 위해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그리고 동기신호와 같은 멀티미디어 신호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하거나,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 그리고 동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해준다.Here, the first interface device 211 and the second interface device 221 have the same function, and converts multimedia signals such as video signals, audio signals, and synchronization signals into data conform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for mutual communication. It converts the multimedia data into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from an external device.

또한 제 1 인터페이스 장치(211) 및 제 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상술한 바와는 다르게 휴대용 통신기기(210)와 디스플레이장치(22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하여 상호통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above, the first interface device 211 and the second interface device 221 may be separately provided outsid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210 and the display device 220 to be used for mutual communication.

그리고 상술한 바와 상호통신하는 휴대용 통신기기(210)와 디스플레이장치(220)는 인터페이스 장치(211)(221)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한 데이터의 전송으로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210 and the display device 220 whic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ransmission of data by wireless or wired between the interface devices 211 and 22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내장하는 기억장치(310)와, 기억장치(310)로부터 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로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20)와,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를 로드받아 그에 따른 데이터 포맷에 의해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330)와, 디지털 신호처리부(330)의 출력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송신 인터페이스부(340)와, 송신 인터페이스부(3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350)와,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360)와, 데이터 수신부(36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처리를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처리부(330)로 출력하는 수신 인터페이스부(37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terface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310 hav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tocols embedded therein, a control unit 320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loading a desired communication protocol from the storage unit 310, and a control unit 32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30 fo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rotocol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and signal process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data format and converting the output data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30 into a finally transmitted signal.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interface unit 340, a data transmitter 350 for transmitting data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interface unit 340, a data receiver 360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a data receiver 360 Converts the converted data into a signal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30. It is.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춘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interfac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betwe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component is as follows.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을 위한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동기신호가 디지털 신호처리부(330)로 입력되면 제어부(320)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억장치(310)로부터 디지털 신호처리부(330)로 로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the case of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when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transmission are input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30, the control unit 320 store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from the storage device 31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3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loading.

여기서, 기억장치(310)는 통상적으로 롬(ROM)으로 구성되며, 통신을 위한 규약인 통신 프로토콜을 하나 이상 내장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memory device 310 is generally configured as a ROM, and includ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that is a protocol for communication.

디지털 신호처리부(330)는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로딩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포맷에 의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동기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출력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30 digitally processes and output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by a data forma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load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20.

디지털 신호처리부(33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송신 인터페이스부(340)에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송신되는가 등과 같은 송신방식에 따른 최종 전송신호로 변환되어 데이터 송신부(350)로 출력되고,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어 진다.The data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30 is converted into a final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 transmission method such as whether the transmission interface unit 340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 or wirelessly, and is output to the data transmission unit 350 and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It is done.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는, 상술한 송신의 경우와는 반대의 순서로 신호의 흐름이 형성되며, 송신 인터페이스부(340) 및 데이터 송신부(350)대신 수신 인터페이스부(370)와 데이터 수신부(360)가 사용된다.In the case of receiving the multimedia data, a signal flow is 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and instead of the transmission interface unit 340 and the data transmission unit 350, the reception interface unit 370 and the data reception unit 360 are provided. ) Is used.

즉, 데이터 수신부(360)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 인터페이스부(370)는 이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처리를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처리부(330)로 출력한다.That is, when data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er 360, the reception interface unit 370 receives the signal, converts the signal into a signal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30.

디지털 신호처리부(330)는 수신 인터페이스부(3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즉,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동기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및 음성을 취급하는 회로부로 출력해준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30 digitally processes the signal input from the receiving interface unit 370, converts the signal into a multimedia signal, that i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outputs it to a circuit unit that handles video and audio.

이러한 수신과정도 제어부(320)의 제어를 받아 수행되며, 디지털 신호처리부(330)에 의한 신호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기억장치(3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디지털 신호처리부(330)로 로딩할 필요가 있다.This receiving process is also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20. In order to perform the signal processing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30, a communication protocol correspon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memory device 310 is transferr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30. You need to load 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의하면, 비디오신호, 동기신호 및 오디오신호와 같은 멀티미디어 신호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데이터로 변환시켜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각각 구비시키고, 이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통신기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시청하기 위해 휴대용 통신기기가 디스플레이장치와 직접 통신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betwe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capable of converting multimedia signals such as video signals, synchronization signals, and audio signals into data conform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m. The device is provid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respectively,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terface device, so that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in order to view multimedia information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n the display device. There is.

Claims (5)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그리고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하거나,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그리고 동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가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Receives video signal, audio signal and sync signal and converts it into data conform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or converts it to video signal, audio signal and sync signal after receiving data conform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from an external device.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each having an interface device for outputting the dat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wired or wireless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device comprises: 각각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And a data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each of which is independently provided outsid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device comprises: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내장하는 기억장치;A storage device incorporat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tocols;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로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loading a desired communication protocol from the storage device;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통신 프로토콜을 로드받아 그에 따른 데이터 포맷에 의해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동기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A digital signal processor which receives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nd digitally processe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a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의 출력 데이터를 소정의 송신방식에 다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송신 인터페이스부;A transmission interface unit converting the output data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into a signal different from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method and outputting the signal; 상기 송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A dat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data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interface unit;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A dat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처리를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수신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And a receiving interface unit converting the data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into a signal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는;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memory device comprises; 롬(ROM)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장치.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M (ROM).
KR2019970029751U 1997-10-27 1997-10-27 Data transceiver betwe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999001635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751U KR19990016353U (en) 1997-10-27 1997-10-27 Data transceiver betwe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751U KR19990016353U (en) 1997-10-27 1997-10-27 Data transceiver betwe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353U true KR19990016353U (en) 1999-05-25

Family

ID=6969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751U KR19990016353U (en) 1997-10-27 1997-10-27 Data transceiver betwe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353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422B1 (en) * 2001-10-30 2004-01-13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Interlocking video phone with wireless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422B1 (en) * 2001-10-30 2004-01-13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Interlocking video phone with wireless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789B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683626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facing video information in a computer system
US85819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20055792A1 (en) Factory mode free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9990016353U (en) Data transceiver betwe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AU698175B2 (en) Portable multi-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US20020186164A1 (en) Searching apparatus
US783099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39957B1 (en) How to check short text serv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9990031426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External Device Using TV Receiver
US6573973B2 (en) System for inserting additional moving picture data into moving picture data that are being communicated between terminals
EP0827315A2 (en) Cellular phone with facsimile function
CN111028753B (en) Data driving delay compens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00347637A (en) Display device, computer, and computer system
KR20040107071A (en) Digital camera having bluetooth therein
JPH01160286A (en) Still picture video telephone system
KR100435117B1 (en) communication timing acquisition method of mobile phone for communicating with peripheral device
KR100463219B1 (en) Image communication system
KR100441494B1 (en) communication timing control method of mobile phone for communicating with peripheral device
AU200320402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facing video information in computer system
KR20020017119A (en) The device of display for a portable
JPH07131768A (en) Television receiver
CN114661647A (en) Universal serial bus concentrator and concentrator system
KR20100004241A (en)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t and receiving
CN117440532A (e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of docking station and USB data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