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063A - Suspension device with adjustable hook distance - Google Patents

Suspension device with adjustable hook di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063A
KR19990016063A KR1019970038488A KR19970038488A KR19990016063A KR 19990016063 A KR19990016063 A KR 19990016063A KR 1019970038488 A KR1019970038488 A KR 1019970038488A KR 19970038488 A KR19970038488 A KR 19970038488A KR 19990016063 A KR19990016063 A KR 19990016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device
horizontal bar
modular assembly
rai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4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코우안 이
Original Assignee
코우안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우안 이 filed Critical 코우안 이
Priority to KR101997003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063A/en
Publication of KR1999001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063A/en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호이스트용 매달음 장치에 관해 개시된다. 개시된 호이스트장치용 매달음 장치는 그 표면에 레일(21)을 가진 수평바(2)를 포함한다. 복수의 매달음 막대들(3)은 그 일단들이 수평 바(2)에 서로 이격되게 연결되고, 타단들은 걸쇠부재(31)에 함께 연결된다. 두 개의 후크부재(4)는 레일(21)을 따라 서로간의 거리조정을 위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평 바(2)에 장착된 슬라이더(41)들을 포함한다. 이로써, 호이스트 장치는 모듈형 조립체(5)에 수평분력을 가하지 않고 들어올리거나, 상기 조립체(5)를 건물내로 운반할 수 있도록 걸쇠부재(31)를 잡고 있을 수 있다.A hanging device for a hoist is disclosed. The suspension device for the disclosed hoist device comprises a horizontal bar 2 with a rail 21 on its surface. The plurality of hanging bars 3 ar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horizontal bar 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other ends are connected to the clasp member 31 together. The two hook members 4 comprise sliders 41 mounted on the horizontal bar 2 so as to be slidable for distance adjustment to each other along the rail 21. As a result, the hoist device can be lifted without applying a horizontal component to the modular assembly 5 or can be held by the latch member 31 so as to transport the assembly 5 into the building.

Description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한 후크들을 가진 매달음 장치Suspension device with adjustable hook distance

본 발명은 호이스트의 매달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후크간의 이격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매달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ing device of a hoi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spens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hooks.

크레인을 사용하여 모듈형 조립체를 건물내로 운반시키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네 개의 체인은 모듈형 조립체의 네 모퉁이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체인들의 타단부는 상기 크레인의 후크에 연결된다. 모듈형 조립체를 운반시킬 때, 체인들과 후크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는 변하지 않는다. 모듈형 조립체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하여, 각각의 체인은 상기 모듈형 조립체의 각 모퉁이에 미리 형성된 스냅링에 지면에서 일하고 있는 작업자에 의해 묶여진다. 건물의 원하는 층에 올려진 후에, 모듈형 조립체는 건물내에서 일하고 있는 네명의 작업자들에 의해 체인들로부터 분리되어진다.In a conventional method of transporting a modular assembly into a building using a crane, four chains are connected at one end to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modular assembly and the other ends of the chains are connected to the hooks of the crane. When carrying the modular assembly,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chains and the hook does not change. In order to lift the modular assembly from the ground, each chain is tied by an operator working on the ground to a pre-formed snap ring at each corner of the modular assembly. After being mounted on the desired floor of the building, the modula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chains by four workers working in the building.

상기한 종래의 매달음 장치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hanging device is as follows.

첫째, 체인들로부터 모듈형 조립체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하여 지면과 건물의 원하는 층에 각각 4명의 작업자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작업이 노동집약적이다.First, four workers are needed on the ground and on the desired floor of the building to join and separate the modular assembly from the chains. Therefore, work is labor intensive.

둘째, 만약에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한명 또는 두명의 작업자만이 모듈형 조립체를 체인으로부터 결합 및 분리하는데 이용된다면, 작업시간은 증가뒬 것이다.Second, if only one or two workers were used to join and separate the modular assembly from the chain, to reduce labor costs, the work time would be increased.

셋째, 일반적으로, 건물의 서로 다른 층들에 사용된 모듈형 조립체들의 치수와 형상이 다양할지도 모른다. 체인들은 조정될 수 없기 때문에 체인들에 매달려진 모듈형 조립체는 이송도중에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립체의 위치설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Third, in general, the dimensions and shapes of the modular assemblies used in the different floors of a building may vary. Since the chains cannot be adjusted, the modular assembly suspended from the chains can be tilted during transport. Thus, it may adversely affect the positioning of the assembly.

넷째, 모듈형 조립체의 몇몇 측면들에 창을 만들기 위한 개구부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형 조립체들의 강도는 모든면에서 일정치않다. 종래의 체인들은 후크에 집중시키기 때문에 수평분력들은 모듈형 조립체의 중심을 향하여 형성된다. 이 분력들은 강도가 약한 면에서 상기 조립품들의 비틀어짐 및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다.Fourth, the strength of the modular assemblies is not constant in all respects because openings are made in some sides of the modular assembly to create a window. Since conventional chains concentrate on hooks, horizontal components are formed towards the center of the modular assembly. These components can cause twisting and deformation of the assemblies in terms of strength.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통상적으로 종래 기술과 관련된 상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매달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spension device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usually associated with the prior art.

도 1은 호이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매달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nected to a hoist device.

도 2는 도 1의 매달음장치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hanging device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달음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2...수평바 3...매달음 막대2 ... horizontal bar 3 ... hanging bar

4...후크부재 5...모듈형 조립체4.Hook member 5 ... Modular assembly

21...레일 22...비례자21 ... Rail 22 ... Professor

23...피봇시트 41...슬라이더23.Pivot Sheet 41 ... Slider

42...체인 43...후크부42 Chain 43 Hook part

44...잠금부재 31...걸쇠부재44.Lock member 31 ... Latch member

50...무게중심 51...고정시트50 ... center of gravity 51 ... fixed seat

52, 53...모듈형 조립체의 위치52, 53 ... Position of modular assembly

220...비례자의 영점 C...중심선220 zero point of proportionality C centerline

d1...비례자의 영점으로부터 제1슬라이더까지의 거리d 1 ... distance from the zero point of the proportional slider to the first slider

d2...비례자의 영점으로부터 제2슬라이더까지의 거리d 2 ... distance from the zero point of the proportional slider to the second slid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에 레일이 구비된 수평 바(bar)를 포함한다. 복수의 매달음 막대는 그 일단들이 수평 바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각각 연결되고, 타단들은 걸쇠부재에 함께 연결된다. 두 개의 후크부재는 레일을 따라 그 사이의 거리조정을 위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평 바에 장착된 슬라이더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bar (bar) having a rail on the surface. The plurality of suspending ba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at one end to the horizontal ba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other ends are connected to the latch member together. The two hook members have a slider mounted on the horizontal bar slidably for adjusting the distance therebetween.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호이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매달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매달음 장치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nected to a hoist device.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suspension device of FIG. 1. FIG.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hoo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달음 장치는 도브테일 형태의 레일(21)과, 레일(21)의 상면에 비례자(22)가 마련된 수평 바(2)를 구비한다. 비례자(22)들은 레일(21)의 중간지점에 영점을 가지며 양단으로 감에 따라 눈금값이 증가한다. 복수의 피봇 시트(23)들은 상기 수평바(2)에 서로 이격되게 장착된다.1 and 2, a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vetail rail 21 and a horizontal bar 2 provided with a proportional member 22 on an upper surface of the rail 21. Equipped. The proportional members 22 have a zero point at the midpoint of the rail 21 and increase in scale as they go to both ends. The plurality of pivot sheets 23 are mounted on the horizontal bar 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복수의 매달음 막대(3)들은 일단이 피봇시트(23)들에 각각 피봇결합 되어 있으며, 타단은 호이스트 장치(미도시)의 후크가 결합되는 걸쇠부재(31)에 연결된다.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anging rods 3 is pivotally coupled to the pivot sheets 23, and the other end of the suspension rods 3 is connected to the latch member 31 to which the hook of the hoist device (not shown) is coupled.

두 후크부재(4)는 수평 바(2)에 매달려진다. 각 후크부재(4)는 상기 레일(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있도록 도브테일 홈을 가진 슬라이더(41)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41)에 연결된 체인(42)과, 상기 체인(42)의 타단에 연결된 후크부(43)를 포함한다. 잠금부재(44)는 레일(21)에 대하여 슬라이더(41)를 고정시키기 위해 각 슬라이더(41)에 마련된다.The two hook members 4 are suspended on the horizontal bar 2. Each hook member 4 has a slider 41 having a dovetail groove so as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rail 21, a chain 4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lider 41, and the other end of the chain 42. It includes a hook portion 43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44 is provided on each slider 41 to fix the slider 41 with respect to the rail 21.

걸쇠부재(31)와 결합될 부위를 가진 크레인은 본 발명에 따른 매달음 장치를 적재하물 예컨데, 운송될 모듈형 조립체로 이동시킨다. 두 개의 후크부재(4)에 의하여, 매달음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전체적으로 사각단면이거나, 미도시된 L모양과 같은 불규칙한 단면을 가진 모듈형 조립체일 수도 있는 적재하물을 잡고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듈형 조립체(5)는 체인(42)들의 후크부(43)에 걸릴 수 있도록 그상면의 위치 52와 위치 53에 두 개의 고정시트(51)가 미리 형성된다. 모듈형 조립체(5)가 기울어지지 않게 하거나, 균형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시트(51)의 위치 52와 위치 53은 도 3의 부호 50으로 표시된 무게중심(50)을 판단하기 위한 전산화된 계산과, 무게중심(50)의 양측에 무게중심(50)을 지나고 모듈형 조립체(5)의 두 측면과 교차하는 가상의 수평선(501)을 선택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A crane having a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clasp member 31 moves the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a load for example a modular assembly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the two hook members 4, the suspending device can hold the load, which may be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shown in FIG. 3 or a modular assembly with an irregular cross section, such as an L shape not shown. Referring to FIG. 3, the modular assembly 5 is pre-formed with two fastening seats 51 at positions 52 and 53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be hooked to the hook portions 43 of the chains 42. In order to keep the modular assembly 5 from tilting or keeping it in a balanced position, the positions 52 and 53 of the fixing seat 51 are computerized calculations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gravity 50 indicated by the sign 50 in FIG. 3. And by selecting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501 past the center of gravity 50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gravity 50 and intersecting the two sides of the modular assembly 5.

위치 52와 위치 53을 연결하는 직선 501은 무게중심(50)을 지나기 때문에 점 52에서 모듈형 조립체(5)에 적용된 힘과, 위치 52와 무게중심(5)사이의 거리의 곱은 위치 53에서 모듈형 조립체(5)에 가해지는 힘과, 위치 53과 무게중심(50)사이의 거리의 곱과 같다. 다시 말해, 위치 52와 위치 53에 발생된 토크들은 같다. 그러므로, 후크부재(4)들이 각각의 고정시트(51)(52)에 끼워질 때, 모듈형 조립체(5)는 기울어짐 없이 균형된 위치에 매달음 장치로부터 매달리게 된다. 단면이 사각형인 모듈형 조립체(5)에서 위치 52와 위치 53은 무게중심으로 부터 거리가 사실상 같다. 그러나, 모듈형 조립체가 사각형이 아니고 L모양과 같은 불규칙한 형태일 때 무게중심은 그 중심에 있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무게중심으로부터 각각의 후크끼움 위치까지의 거리가 분명히 서로 같지 않을 것이다.Since the straight line 501 connecting position 52 and position 53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50, the product of the force applied to the modular assembly 5 at point 52 and the distance between position 52 and the center of gravity (5) is the module at position 53 Equal to the product of the force exerted on the mold assembly 5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53 and the center of gravity 50. In other words, the torques generated at position 52 and position 53 are the same. Therefore, when the hook members 4 are fitted to the respective fixing sheets 51 and 52, the modular assembly 5 is suspended from the suspending device in a balanced position without tilting. In modular assembly 5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positions 52 and 53 are substantially equal in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However, when the modular assembly is not rectangular and irregularly shaped like an L shape, the center of gravity will not be at its center. And, the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respective hooking positions will obviously not be equal to each other.

작동중에, 본 발명의 매달음 장치는 크레인에 의해 모듈형 조립체(5)로 이동되기 전에 두 후크부재(4)의 두 슬라이더(41)사이의 거리는 적재화물의 두 후크 끼움위치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상기 조정은 수평 바(21)에 마련된 비례자(22)의 영점(220)을 참조하여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점(220)으로부터 제1슬라이더(41)까지의 거리(d1)는 영점(220)으로부터 제2슬라이더(41)까지의 거리(d2)와 같다. 그러나, 만약 무게중심이 모듈형 조립체의 중심에 있지 않다면, 상기 거리들은 서로 다를것이다. 체인(42)의 후크부(43)들이 각각 고정시트(51)와 결합될 때, 중심선(C)은 무게중심(50)을 지나게 된다. 다시 말해, 모듈형 조립체의 무게중심은 걸쇠부재(31)의 직하방에 위치한다.During operation, the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being moved to the modular assembly 5 by a cran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liders 41 of the two hook members 4 correspond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hooking positions of the load. Should be adjusted as much as possible. The adjustment may be conveniently made with reference to the zero point 220 of the proportioner 22 provided in the horizontal bar 21. As shown in FIG. 1, the distance d 1 from the zero point 220 to the first slider 41 is equal to the distance d 2 from the zero point 220 to the second slider 41. However, if the center of gravity is not at the center of the modular assembly, the distances will be different. When the hook portions 43 of the chain 42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fixing sheet 51, the center line C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50.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dular assembly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clasp member 31.

모듈형 조립체가 소정 위치에 이송된 후, 조립체는 매달음 장치로부터 하역된다. 다른 적재물이 다음 작업에 이송될 경우, 작업자는 비례자(22)를 참조하여 슬라이더(41)들 사이의 거리를 다시 조정할지도 모른다. 본 발명의 매달음 장치는 체인(42)들의 길이를 변화시킬 필요없이 레일(21)을 따라 후크부재(4)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각기 다른 크기와 형상의 모듈형 조립체들을 나르는데에 적합화된다.After the modular assembly is transported to the desired location, the assembly is unloaded from the suspension device. When another load is transferred to the next job, the operator may refer to the proportioner 22 to re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liders 41. The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apted to carrying modular assemblie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members 4 along the rail 21 without having to change the length of the chains 42. do.

본 발명에 따른 매달음 장치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Advantages of the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지상에서는 모듈형 조립체을 매달음 장치에 싣기 위하여, 한명의 작업자만이 필요하다. 그리고, 건물내에서는 모듈형 조립체를 하역하기 위하여 한명의 작업자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운용비를 줄일 수 있다.First, on the ground, only one operator is needed to load the modular assembly into the suspension device. And only one worker is needed in the building to unload the modular assembly. Therefore, the operating cost can be reduced.

둘째, 레일(21)을 따라 후크부재(4)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에 의해 매달음 장치는 다른 사양의 모듈형 조립체들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모듈형 조립체들도 편리하게 위치선정할 수 있다.Secondly,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members 4 along the rail 21, the suspending device can be used for modular assembli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Thus, other modular assemblies can be conveniently positioned.

셋째, 매달음 장치는 똑같은 체인세트를 사용하여 다른 크기와 다른 형태를 가진 서로 다른 모듈형 조립체들을 매다는데 적당하다. 따라서, 싣는 작업과 하역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Third, the suspension device is suitable for suspending different modular assemblie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using the same chainset. Therefore, the loading operation and the unloading operation can be made convenient.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매달음 장치를 이용하면, 모듈형 조립체에 가해지는 힘들은 대체로 최소의 수평분력을 가진 사실상 수직방향힘이다. 그러므로 모듈형 조립체의 비틀어짐과 변형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Fourth, with the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orces exerted on the modular assembly are generally vertical forces with a minimum horizontal component. Therefore, the risk of twisting and deformation of the modular assembly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생각되는 것들과 연관지어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가장 넓은 해석의 사상과 범위내에 포함된 다양한 변형과 그 균등물까지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intended that the invention not be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also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thereof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broadest interpret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Claims (3)

상면에 레일(21)이 마련된 수평 바(2)와,A horizontal bar 2 provided with a rail 2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일단이 상기 수평 바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복수의 매달음 막대(3)와,A plurality of hanging bars 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other end form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end; 상기 매달음 막대(3)들의 타단들을 상호 매어주는 걸쇠부재(31)와,A clasp member 31 for tying the other ends of the hanging bars 3 to each other; 상기 레일(21)을 따라 그 사이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수평 바(2)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최소한 두 개의 후크부재(4)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매달음 장치.Suspension device for a hoi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two hook members (4) movably mounted to the horizontal bar (2) to enable distance adjustment therebetween along the rail (2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크부재(4)는 상기 레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슬라이더(41)와,The hook member 4 includes a plurality of sliders 41 slidably mounted on the rail,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매달린 후크부(43)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음 장치.Susp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portion (43) suspended from the slid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평 바(2)는 그 표면에 비례자(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음 장치.Susp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bar (2) has a proportional portion (22) formed on its surface.
KR1019970038488A 1997-08-13 1997-08-13 Suspension device with adjustable hook distance KR199900160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488A KR19990016063A (en) 1997-08-13 1997-08-13 Suspension device with adjustable hook d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488A KR19990016063A (en) 1997-08-13 1997-08-13 Suspension device with adjustable hook dis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063A true KR19990016063A (en) 1999-03-05

Family

ID=6600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488A KR19990016063A (en) 1997-08-13 1997-08-13 Suspension device with adjustable hook dist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06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08B1 (en) * 2007-04-10 2008-03-11 신상욱 Steel form separator
CN108715395A (en) * 2018-07-30 2018-10-30 华业钢构有限公司 A kind of roofdeck module hoisting device and its hanging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08B1 (en) * 2007-04-10 2008-03-11 신상욱 Steel form separator
CN108715395A (en) * 2018-07-30 2018-10-30 华业钢构有限公司 A kind of roofdeck module hoisting device and its hanging method
CN108715395B (en) * 2018-07-30 2024-03-22 华业钢构有限公司 Roof platform module lifting device and lif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6063A (en) Suspension device with adjustable hook distance
JP7201629B2 (en) Loading/unloading balance and loading/unloading method
JPH07137979A (en) Sling
US3788694A (en) Article handling system
JPH1160138A (en) Hoisting tool for crane
JPH09110361A (en) Lifting jig for freight-looseness prevention
JP6152466B1 (en) Unloading gondola and unloading method using the same
KR0138693B1 (en) A hanger for conveying a carrier of a truck
JPH0721486Y2 (en) Hanging tool
JPH0439217Y2 (en)
JP3245359U (en) pallet hanging equipment
JP7486793B2 (en) Lifting balance
JPH0570090A (en) Conveying method for reinforcing bar
JPH1135296A (en) Suspension device used by mounted on forklift truck
JP2946068B2 (en) Architectural panel flat hanging equipment
JP2007099402A (en) Sling unit for lengthy material
JPS61257890A (en) Panel hanging jig and panel hanger using said jig
JP2510948Y2 (en) Lift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 material carrier
JPH0761774A (en) Method for taking in carried-in goods by crane
JPH0769577A (en) Steel beam member erection method using crane
JPH0544933U (en) Lifting equipment with vertical shutter
JPH056317Y2 (en)
JPH0543018Y2 (en)
KR200297462Y1 (en) Heavyweight article transfer device for pallet
JPH0430227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