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935U - 화분설치대 - Google Patents

화분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935U
KR19990015935U KR2019970029302U KR19970029302U KR19990015935U KR 19990015935 U KR19990015935 U KR 19990015935U KR 2019970029302 U KR2019970029302 U KR 2019970029302U KR 19970029302 U KR19970029302 U KR 19970029302U KR 19990015935 U KR19990015935 U KR 199900159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water
support
pots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규
Original Assignee
김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규 filed Critical 김석규
Priority to KR2019970029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935U/ko
Publication of KR19990015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935U/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설치대에 탈착가능케 형성되며 화분을 받쳐주는 동시에 화분에서 흐르는 유수를 한 곳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물받침대를 구비한 화분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화분설치대는 받침다리의 돌기에 화분 받침대의 체결홈이 끼워져 결합되므로써 상호 체결력이 약하고 각 격자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의하여 화분 받침대의 상측에 적재된 화분의 하중에 견디는 전체강도가 저하되는 것은 물론 화분 받침대에 안착된 화분에서 새어나온 유수가 격자사이에 형성된 다 수개의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어 바닥면을 더럽히므로 각 화분에 별도로 물받이를 형성하여야 하며 각각의 물받이에 고인 물을 수시로 처리해야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던바 본 고안은 다 수개의 강관이 상호 연결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에 탈착가능토록 분리형성되는 물받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강관의 외주연에 억지끼움되어 상호 체결되는 클립으로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화분이 안착되는 칸막이가 물받침대의 바닥면과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화분의 하중에 견디도록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화분설치대이다.

Description

화분설치대
본 고안은 화분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설치대에 탈착가능케 형성되며 화분을 받쳐주는 동시에 화분에서 흐르는 유수를 한 곳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물받침대를 구비한 화분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설치대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평면상에 다 수개의 격자(3)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각 격자(3) 사이에 배수구(5)가 형성되고 저부면 소정 부위에 체결홀(미도시)이 다 수개 천공되는 화분받침대(1)와, 상기 체결홀(미도시)에 삽입되는 돌기(7)를 다단으로 형성된 안착면(9)에 다 수개 형성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화분받침대(1)가 직교하며 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다리(11)로 구성된다.
종래의 화분설치대는 화분받침대(1)의 상부면에 화분을 안착하여 다 수개 형성된 격자(3)에 의하여 화분을 지지하며, 화분에서 새어나온 유수는 각 격자(3)사이에 형성된 배수구(5)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화분 받침대(1)는, 저부면에 형성된 체결홈(미도시)에 수직으로 한 쌍의 받침다리(11)가 결합되어 지지되므로써 화분의 하중에 견디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받침다리(11)는 상부면이 다단으로 절곡되는 안착면(9)을 형성하고 각 안착면(9)에 하나씩의 화분받침대(1)가 설치되어 다 수개의 화분 받침대(1)이 계단식으로 적층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분설치대는 받침다리의 돌기에 화분 받침대의 체결홈이 끼워져 결합되므로써 상호 체결력이 약하고 각 격자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의하여 화분 받침대의 상측에 적재된 화분의 하중에 견디는 전체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분 받침대에 안착된 화분에서 새어나온 유수가 격자사이에 형성된 다 수개의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어 바닥면을 더럽히므로 각 화분에 별도로 물받이를 형성하여야 하며 각각의 물받이에 고인 물을 수시로 처리해야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 수개의 강관이 상호 연결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에 탈착가능토록 분리형성되는 물받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강관의 외주연에 억지끼움되어 상호 체결되는 클립으로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화분이 안착되는 칸막이가 물받침대의 바닥면과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화분의 하중에 견디도록 강도를 향상시킨 화분설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칸막이를 형성하는 한편 바닥면을 임의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한 곳으로 물이 고이게한 후 배출하는 화분설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다 수개의 강관이 연결구에 체결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화분에서 나오는 물을 안내하여 배수하는 배수구가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강관에 억지끼움되는 고정 클립이 저부면 외측에 다 수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각단에 각각 설치되는 물받침대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화분설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화분설치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물받침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물받침대에 형성된 고정클립의 예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분 받침대, 3 : 격자,
5 : 배수구, 7 : 돌기,
9 : 안착면, 11 : 받침 다리,
100 : 지지대, 103 : 강관,
105 : 물받침대, 107 : 안착홈,
109 : 칸막이, 111 : 관통홀,
113 : 바닥층, 115 : 배수구,
117, 119 : 고정 클립, 121 : 저수조,
123 : 배출구, 125 : 마개,
127 : 체결 클립, 129 : 연결고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화분설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물받침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도 2의 A - A선과 B - B선 단면도이다.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다 수개의 강관(103) 끝단을 연결구(101)로 체결하여 다층을 이루는 지지대(100)를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대(100)는 각 강관(103)이 직육면체로 조합되어 계단식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형성된 지지대(100)의 각단 상부면에는 화분이 안착되는 물받침대(105)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물받침대(105)의 내부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홈(107)이 형성된다.
이러한 물받침대(105)의 안착홈(107)에는 내부 바닥면과 수직으로 직교하며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칸막이(109)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칸막이(109)의 상부면에 화분이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때, 각 칸막이(109)의 중앙부 측면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각 칸막이(109)를 흐르는 유수를 한 군데로 모이도록 한다.
상기 물받침대(105)에 형성된 각 칸막이(109) 사이의 바닥층(113)은, 화분에서 배출된 유수가 중앙부를 향하여 모이도록 양끝단에서 중앙으로 기울어져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층(113)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배수구(115)가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각 칸막이(109)의 관통홀(111)과 바닥층(113)을 따라 안내된 유수가 중앙부로 모여 배수구(115)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바닥층(113)은 각 칸막이(109)와 상호 연결되어 물받침대(105)의 전체강도를 증대시키며 화분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물받침대(105)의 저부면 양측단에는 다 수개의 고정 클립(117)이 형성되어 지지대(100)의 강관(103)에 억지끼움되므로써 지지대(100)에 물받침대(105)가 탈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클립(117)은 강관(103)에 원활히 체결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물받침대(105)를 강관(103)에 체결할 때 각 단의 위치에 따라 고정 클립(117)의 방향이 조절됨은 물론이다.
즉, 지지대(100)의 상단에 설치될 때는 각 고정 클립(117)이 강관(103)과 맞물리도록 물받침대(105)의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나 하단에 설치될 때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단의 고정 클립(117)은 전방강관과 맞물리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타측단의 고정 클립(119)은 후방강관과 맞물리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수구(115)의 하측에는 저수조(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저수조(121)는 상기 배수구(115)로부터 방출된 유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일측면에는 개폐수단에 의하여 임의로 개폐되는 배출구(123)가 형성되어 저장된 유수를 외부로 방출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수단은 탄성재로 이루어져 배출구(123)에 억지끼움되므로써 개폐토록하는 마개(125)를 구비한다. 이러한 마개(125)는 일측단에 연결고리(129)가 형성되어 저수조(121)의 측면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수조(121)의 상부면에도 강관(103)과 억지끼움되어 체결되는 체결 클립(127)이 다 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 클립(127)은 저수조(121)의 상부면 끝단에서 사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물받침대에 의한 배수과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 수개의 강관(103)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00)에 물받침대(105)가 탈착되며 설치된다. 즉, 물받침대(105)의 외측 저부면에 다 수개 형성된 고정 클립(117)이 강관(103)에 억지끼움되므로써 상호 체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물받침대(105)의 상부면에 화분이 얹혀진다.
즉, 물받침대(105)의 상부면에 다 수개 형성된 칸막이(109)에 의하여 화분의 바닥면이 지지되며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00)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화분을 안착하는 물받침대(105)는 지지대(100)의 강관(103)에 고정 클립(117)이 억지끼움되면서 결합되어 체결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바닥면(113)과 칸막이(109)가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화분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다.
이렇게 물받침대(105)에 안착된 화분에 물을 줄 경우, 화분에서 넘친 물이 물받침대(105)의 각 칸막이(109)안으로 유입되고 일정한 각도로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진 바닥층(113)을 따라 배수구(115)가 형성된 중심으로 모인다.
이때 각 칸막이(109)의 중앙부 측벽에는 상호 연통하도록 천공된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유수가 중앙으로 모이도록 한다. 따라서 물받침대(105)의 중앙부에 모인 유수는 배수구(115)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렇게 방출된 유수는 배수구(115)와 근접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저수조(121)로 수직낙하하며 유입되어 일정량이 저장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115)와 저수조(121)가 상호 배관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일정량의 유수가 저장되는 저수조(121)에 저장용량보다 많은 량의 유수가 유입되면 저수조(121)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출구(115)를 개방하여 유수를 방출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115)를 개방하는 개폐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마개(125)를 배출구(115)에 억지끼움하므로써 개폐하도록 한다. 이러한 마개(125)는 일측에 연결고리(129)가 형성되어 저수조(121)에 체결된다.
이러한 저수조(121)의 상부면에는 상기 물받침대(105)에 형성된 고정 클립(117)과 동일한 구조의 체결 클립(127)이 사방으로 다 수개 형성되어 지지대(100)의 강관(103)과 상호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 수개가 연결되어 지지대를 형성하는 강관에 고정 클립으로 억지끼움되어 체결되므로써 결합력이 증대되는 동시에 화분에서 유출된 유수를 한 곳으로 모아 일정량을 저수한 후 원하는 시기에 외부로 배출하므로써 화분에서 넘친 물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다 수개의 강관(103)이 연결구(101)에 체결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00)와,
    상부에 안착홈(107)이 형성되고, 화분에서 나오는 물을 안내하여 배수하는 배수구(115)가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강관(103)에 억지끼움되는 고정 클립(117)이 저부면 외측에 다 수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00)의 각단에 각각 설치되는 물받침대(10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설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받침대(105)의 안착홈(107) 바닥면과 수직으로 직교하며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 측면에 관통홀(111)이 천공되는 칸막이(109)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설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받침대(105)의 안착홈(107) 내벽의 양측끝단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수구(115)로 유수를 안내하는 바닥층(1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침대를 구비한 화분설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15)를 통하여 유출된 유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어 유수를 방출하는 배출구(123)가 일측면에 형성되며, 외측 바닥면에 체결 클립(127)이 다 수개 형성되어 강관(103)에 고정되는 저수조(121)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설치대.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탄성재로 이루어져 배출구(123)에 억지끼움되는 마개(1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설치대.
KR2019970029302U 1997-10-22 1997-10-22 화분설치대 KR199900159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302U KR19990015935U (ko) 1997-10-22 1997-10-22 화분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302U KR19990015935U (ko) 1997-10-22 1997-10-22 화분설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935U true KR19990015935U (ko) 1999-05-15

Family

ID=6969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302U KR19990015935U (ko) 1997-10-22 1997-10-22 화분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93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2934A (en) Drainer for drying and storing kitchen and other utensils
KR101931303B1 (ko) 화분 받침대
US20090000189A1 (en) Modular planter system
WO2019003201A2 (en) CULTURE GRID SYSTEM INCLUDING INTEGRATED VENT TRAYS
JP2012517221A (ja) 植物栽培用の器具およびシステム
KR20090002388U (ko) 화분 받침대
KR200385115Y1 (ko) 지주식 화분 받침대
US5782368A (en) Rack for receiving objects delivering liquids and dirts
KR19990015935U (ko) 화분설치대
KR20010025722A (ko)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KR20150103390A (ko) 무동력 관수 화분
KR102081449B1 (ko) 입형화분 프레임
JP6736800B1 (ja) 鉢受台用受皿
KR102074819B1 (ko) 화분 받침대
KR101196121B1 (ko) 식생 상자 조립체
KR200488835Y1 (ko)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JP3151391U (ja) 植え鉢
JPH07322782A (ja) 鉢植え栽培用底面灌水装置
WO2020202610A1 (ja) 鉢受台用受皿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JP6701474B1 (ja) 鉢受台
CN218635768U (zh) 一种模块化可拆卸茶盘
WO2020110454A1 (ja) 鉢受台
CN211582801U (zh) 餐具沥水盒
CN220504214U (zh) 一种装配式景观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