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842U - Ossuary Reservoir Storage and Transfer Device - Google Patents

Ossuary Reservoir Storage and Transf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842U
KR19990015842U KR2019970029169U KR19970029169U KR19990015842U KR 19990015842 U KR19990015842 U KR 19990015842U KR 2019970029169 U KR2019970029169 U KR 2019970029169U KR 19970029169 U KR19970029169 U KR 19970029169U KR 19990015842 U KR19990015842 U KR 199900158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visitor
chain
control panel
ossu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1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종기
Original Assignee
임종기
박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기, 박주훈 filed Critical 임종기
Priority to KR2019970029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842U/en
Publication of KR19990015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42U/en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함 보관 및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화장후의 유골이 안치된 후 조문객에 의해 수시로 조문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납골당에 있어서, 조문객이 조문을 원하는 유골의 식별기호를 찾아 별도의 제어반을 통해 선택설정을 하게되면, 내부의 운영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해당 유골함을 찾게되는데, 특히 각각의 유골함 전면에는 생전의 영정이나, 혹은 이력등이 표식될 수 있도록 함으로 선택된 유골함을 조문객이 쉽게 알 수 있게 한 것인바, 외부 사용자에 의해 기입력된 내부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 제어 기능을 갖는 제어반; 상기 제어반의 신호를 인가받아 정/역 구동이 가능한 동력발생수단; 상기의 동력을 받아 입설된 상태로 연속 순환 구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지지대내에서 스프로킷과 체인이 연결되어 구동되는 체인 구동부; 상기의 체인 전면에 횡봉을 설치하고, 이에 힌지 고정됨으로 항상 일정한 위치의 유지가 가능한 복수개의 유골함을 포함하며, 상기 유골함은 그 전면에 고인의 영정이나 이력등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조문객의 전면에 해당 유골함의 영정등이 자동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and transport device for the ashes, especially in the ossuary which is prepared to be visited by the visitor at any time after the ashes are placed after cremation, and finds the identification symbols of the ashes the visitor wants to visit through a separate control panel. When the selection is made, the ashes are automatically found by the internal operation program. In particular, the front of each ashes can be marked with the life and / or history of life, so that the visitor can easily know the ashes. Bar control panel having an operation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internal operating program input by the external user; Power generation means capable of forward / reverse driving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panel; A chain drive unit connected to the sprocket and the chain in the support of the frame to enable continuous circulation driving in a standing state under the power; Install a transverse bar on the front of the chain, the hinge is fixed to it includes a plurality of ashes that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position at all times, the ashes support to allow the detention or history of the deceas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It is proposed to have the member so that the remains of the ashes can be automatically placed in front of the visitor.

Description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 및 이송장치Ossuary Reservoir Storage and Transfer Device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우리의 장례문화는 매장식문화가 유교의 영향을 받아 확산되어 있고, 화장제도는 한정적인 범위에 머물러 있음이 현실정 이다.In general, our traditional funeral culture is spreading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and the cremation system is limited.

그러나, 상기의 매장식 문화는 긍정적 측면보다는 불합리적인 요소를 보다 많이 내재하고 있어 점차 화장식 장례(납골식 장묘제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국가적으로도 이러한 제도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However, since the burial culture has more irrational factors than positive aspects, it tends to prefer cremation funeral (civil funeral system), and the country is actively recommending the use of such system. to be.

현실적으로, 매장풍습에 따라 좁은 국토의 산야가 잠식되고 있으며, 부분적 혹은 대형화된 밀집 공원묘지는 미관상 결코 좋지 못한 것이며, 무분별한 개인 및 문중묘지의 설치에 따라 장례에 소요되는 과다한 비용은 물론 묘지터에 대한 각종의 소유권 분쟁이 우려될 수 있는 것이다.In reality, the burial customs are encroaching on the narrow lands and mountains, and the partial or enlarged densely populated park cemeteries are by no means aesthetically pleasing, and the excessive cost of funerals due to the indiscreet installation of individual and literary cemeteries, as well as the graveyards Various ownership disputes can be a concern.

따라서, 그 대안으로 모색되는 것이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장문화가 될 것이다.Therefore, what is sought as an alternative would be a cremation culture as described above.

상기의 화장문화는 본래 불교의 다비식에서 전래되온 것으로 인도는 물론 많은 불교국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구미 각국에서도 자국의 산야를 보호하거나, 혹은 공원화를 조성하기 위해 납골당의 설치를 확대시키고 있다.The cremation culture was originally derived from Buddhist dabyes, and is practiced in many Buddhist countries, as well as in India. In addition, Western countries are expanding the establishment of ossuary halls to protect their mountains and parks.

그러나, 상기의 납골당을 설치 사용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예기치 않은 문제점이 포함되어 있었다.However, the following unexpected problems have been included in installing and using the ossuary.

즉, 보관되어 있는 해당 유골함을 신속하게 유가족 등의 조문객이 찾아내어 안정시킨 상태에서 조문을 할 수 있는 제반 설비나 시설이 부족한 관계로, 이를 준비하기에 필요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며, 또한 납골당의 지하화 조성에 따르 문제점은 물론 폭이 좁은 면적에 많은 수의 유골함을 안치하기는 매우 곤란한 관계로 현재의 설치 면적을 최소화시킬 별도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re is a shortage of facilities and facilities that can be found in a stable state by a visitor, such as a family member, in order to quickly find the ashes that are stored, and it takes more time than necessary to prepare them. The problem with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is, of course,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place a large number of ashes in a narrow area. Therefore, a separate plan should be devised to minimize the current installation area.

이와 함께,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 곤란하여, 예컨대 쓰레기 매립장등의 운휴지 활용도가 낮고, 납골당이라는 선입견에 따라 부지 선정에 많은 애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due to the difficulty of efficient use of the land, the utilization of idle land such as landfills is low, and many difficulties have arisen in selecting a site due to the preconceived notion of the ossuary.

따라서, 대형화, 밀집화의 공원묘지 형태를 벗어나, 각종 운휴지등에 많은 수의 유골함이 봉안되어 적절히 인출될 수 있도록 현대화된 자동화 시설을 갖추고 손쉽게 조문객이 조문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한다.Therefore, beyond the form of park cemetery of large-scale and densely populated, a large number of ash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various kinds of holiday areas, and modernized automation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visitors can easily visit.

본 고안은 상기의 요망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입설된 상태에서 연속 순환 구동이 가능한 체인 구동부를 마련하고, 이에 고유의 식별 기호가 부착된 복수개의 유골함을 힌지 고정하여 컴퓨터 제어에 의해 조문객이 원하는 해당 유골함의 선별인출이 가능케 함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n drive unit capable of continuous circular driving in a standing state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requirements, and fixed the hinges of a plurality of ashes attached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symbol, the corresponding ashes desired by the visitor by computer control It is proposed that the selective withdrawal of the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의 구성을 정면에서 도시한 상태도.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1 from the front;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상태도.Figure 3 is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의 설치에 따라 조문객이 재를 올리도록 작동됨을 도시한 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activist works to raise the ash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이 지하에 다수개로 매설된 상태에서 봉분이 형성됨을 도시해 보인 구조도.Figure 5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that the rod is formed in a state buried a plur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groun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체인 구동부11 : 구동모터10: chain drive unit 11: drive motor

12,12a : 스프로킷13 : 엔들레스 체인12,12a: Sprocket 13: Endless chain

14 : 프레임 지지대15 : 횡봉14 frame support 15 horizontal bar

16 : 곽체16a : 지지부재16: body 16a: support member

17 : 유골함20 : 가로벽17: ashes 20: horizontal wall

21 : 투시부30 : 제어반21: see through 30: control panel

이와 같은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 및 이송장치는 외부 사용자에 의해 기 입력된 내부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 제어 기능을 갖는 제어반; 상기 제어반의 신호를 인가 받아 정/역 구동이 가능한 동력발생수단; 상기의 동력을 받아 입설된 상태로 연속 순환 구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지지대내에서 스프로킷과 체인이 연결되어 구동되는 체인 구동부; 상기의 체인 전면에 횡봉을 설치하고, 이에 힌지 고정됨으로 항상 일정한 위치의 유지가 가능한 복수개의 유골함을 포함하며, 상기 유골함은 그 전면에 고인의 영정이나 이력등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조문객의 전면에 해당 유골함의 영정 등이 자동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Such ossuary remains and storage device is a control panel having an operation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internal operating program previously input by an external user; Power generation means capable of forward / reverse driving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panel; A chain drive unit connected to the sprocket and the chain in the support of the frame to enable continuous circulation driving in a standing state under the power; Install a transverse bar on the front of the chain, the hinge is fixed to it includes a plurality of ashes that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position at all times, the ashes support to allow the detention or history of the deceas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er is provided so as to automatically locate the remains of the ashes on the front of the visitor.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써 명기하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re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drawings.

첨부된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로써, 본 고안의 구성이 가장 적절하게 도시되어 있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appropriately shown.

본 고안의 유골함 보관 및 이송장치는 납골당이라는 보다 대형화된 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문중별, 가족묘등 개별적인 설치가 가능한 것이고, 각각의 체인 구동부(10)는 대체적으로 지하에 위치된 채 상단 일부만 지상으로 돌출되게 하고, 이에 봉분이 형성되도록 함이 요망될 것이나,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인 구동부(10) 전체를 지상에 설치하고, 조문객과 분리되도록 가로벽(20)을 설치한 후, 상기 가로벽(20)에 형성된 투시부(21)를 통해 내부의 유골함과 영정이 외부의 조문객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함도 가능할 것이다.The ashes storage and transport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larger structure called the ossuary, but can be individually installed, such as doors, family graves, each chain drive 10 is generally located in the upper basement Only a part of the projecting to the ground, it will be desirable to form a rod there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stall the entire chain drive unit 10 on the ground, and after installing the horizontal wall 20 to be separated from the visitor In addition, the ashes and spirits of the interio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visitor through the see-through part 21 formed on the horizontal wall 20.

조문객은 납골당내의 가로벽(20)앞에서, 혹은 개별화된 봉분앞에서(봉분 앞을 개방시키어 투시부를 형성하는데, 특히 그 위치는 가로벽과 마찬가지로 상석을 기준으로 다소 상단에 위치케 함이 필요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투명창이 설치되도록 하며, 고인의 영정이 외부의 조문객을 향해 빈 공간없이 투영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두 개의 슬라이드 개/폐식 문을 설치함으로 두 개의 유골함이 동시 노출됨에 있어,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를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도록 함)본인이 조문코자 하는 유골의 식별기호를 제어반(30)을 통해 선택하게 되면, 체인 구동부(10)가 안치된 순서별(혹은 다른 기준에 의해)로 식별기호(예컨대, 성별, 이름, 나이, 사망년월일 등등을 일련 번호화 한)가 매김 되어 고정된 유골함을 입력된 내부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정/역 구동하면서 투시부에 위치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visitor is in front of the horizontal wall 20 in the ossuary, or in front of the individualized bonbun (opening the front of the bonbon to form a see-through, especially its position needs to be positioned at the top with respect to the upper stone as well as the horizontal wall. The transparent window should be installed to prevent foreign objects from entering, and the size of the deceased's spirit will be projected to the outside visitor without empty space, and the two ashes will be exposed simultaneously by installing two slide open / close doors. If the user selects through the control panel 30, the identification symbol of the ashes to be consulte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chain drive unit 10 is placed (or other criteria) Internal operations entered with fixed ashes labeled with identifiers (e.g., serialization of gender, name, age, date of death, etc.) While it is driven according to the program forward / reverse will thereby be positioned in the perspective part.

이때, 체인 구동부(10)는 제어반(30)의 신호를 입력받아 정/역 구동이 가능한 동력발생수단으로 구동모터(11)가 마련되고, 상기의 동력을 받아 상/하 스프로킷(12),(12a)이 적정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엔들레스 체인(13)으로 상호 연결되는데, 일정한 폭을 기준으로 좌/우 복수로 엔들레스 체인(13)을 걸어놓는다.At this time, the chain drive unit 10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11 as a power generating means capable of forward / reverse drive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panel 30, the upper / lower sprockets 12, ( 12a) is interconnected to the endless chain 13 so that it can rotate at an appropriate speed.

상기 스프로킷(12),(12a)과 엔들레스 체인(13)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입설 상태의 프레임 지지대(14)내에 위치되어 외부와의 간섭없이 견고하게 설치된다.The sprockets 12, 12a and the endless chain 13 are located in the frame support 14 in a standing position which maintains a constant height and are firmly installed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outside.

복수의 엔들레스 체인(13) 전면으로는 상기 양 체인(13)에 고정된 횡봉(15)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는바, 이러한 횡봉(15)에 유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됨으로 체인(13)의 순화 구동에도 항상 일정한 위치와 방향에서 같이 구동될 수 있도록 역시 복수개의 곽체(16)가 고정되는데(바람직하게는 약 30기 정도), 상기 곽체(16)의 내부에는 유골함(17)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며, 곽체(16)의 전면으로는 고인의 영정이나 이력등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16a)를 구비하는바, 이는 첨부된 도 2 의 정면도에 그 외부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In front of the plurality of endless chains 13, a plurality of side bars 15 fixed to both chains 13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hains 13 are fixed to the side bars 15 so as to be hinged to be movable. Also, a plurality of the bodies 16 are fixed (preferably about 30 units), so that the ashes 17 are settled in the interior of the bodies 16 so that they can always be driven together in a constant position and direction even in the purifying drive of To the front of the body 16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16a)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deceased's life or history, which is an external form of the front view of FIG. Is shown.

첨부된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상태도인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체인 구동부(10)를 원형으로 2중 배열시킨 것인바, 이때 조문객의 편익을 위해 안쪽에 위치하는 체인 구동부(10)는 곽체(16)의 전면이 안쪽을 향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는 반대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체인 구동부(10)는 곽체(16)의 전면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여러명의 조문객이 내/외부에서 동시에 조문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Attached Figure 3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chain drive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double in a circular bar, the chain drive unit located inside for the convenience of the visitor 10,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6 can face inward, and on the contrary, the chain drive unit 10 located on the outside faces the front side of the body 16 outwards, so that a number of alumni visitor from inside / outside. At the same time,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provisions.

도 4 는 본 고안의 설치에 따라 조문객이 재를 올리도록 작동됨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조문객이 재를 올리게 되는 실례를 설명해보인 것인바, 예컨대 체인 구동부(10)는 조문객과 격리된 채로 위치되어 지하에 매설된 상태로 봉분이 형성되게 하거나, 혹은 구축물에 의해 가려지게 하는 것으로, 유골함(17)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봉분의 전면등에 개폐식 투명창이 설치된 투시부(21)를 두되, 그 높이는 상석 상단에 위치되게 하여 조문객이 재를 올릴시에 조문객의 전면에 해당 유골함의 영정등이 자동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visitor is operated to raise the ash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visitor raises the ash, for example, the chain drive unit 10 is located in isolation from the visitor. In order to be formed in the basement buried or to be covered by the construction, to put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the ash box (17) to have a see-through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 retractable transparent window on the front of the bonbun, the height of the top stone It is configured to be located at the top so that the ashes of the ashes can be automatically placed on the front of the visitor when the visitor raises ashes.

이와함께, 야간 조문객을 위해 상기 투시부(21)에는 별도의 조광 센서를 부착하고 제어반(30)을 작동시킴에 있어 자동으로 점멸구동되는 조명장치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long with this, the illumination unit for attaching a separate dimmer sensor and operating the control panel 30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see-through part 21 for the night visitor.

이하,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changes may be made.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대형화되고, 밀집된 공원묘지의 개설을 탈피할 대안으로 대두될 수 있으며, 무분별한 개인 및 문중의 묘지를 설치를 억제할 수 있고, 현재화되고, 쾌적한 실내에서 원하는 고인의 유골함을 손쉽게 찾아 조문할 수 있도록 하여 조문객의 편익은 물론 사회적인 장묘제도의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escape the establishment of a conventional large-scale, dense park cemetery, can suppress the installation of indiscriminate individuals and crypts, and the remains of the deceased desired in the present, comfortable room By making it easier to find and to visit,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benefits of the visitor and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funeral system.

본 고안은 유골함 보관 및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화장후의 유골이 안치된 후 조문객에 의해 수시로 조문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납골당에 있어서, 개개의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수직 상태로 연속 순환 구동될 수 있는 체인 구동부를 마련하고, 그 전면으로 각각의 고유 식별기호를 갖는 유골함이 체인 구동부의 순환구동에 의해서도 본래의 위치와 방향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시키며, 이후 조문객이 조문을 원하는 유골의 식별기호를 찾아 별도의 제어반을 통해 선택설정을 하게되면, 평소 고정된 상태의 체인 구동부가 내부의 운영 프로그램에 의해 순환 구동하면서 해당 유골함을 찾게되는데, 특히 각각의 유골함 전면에는 생전의 영정이나, 혹은 이력등이 표식될 수 있도록 함으로 선택된 유골함을 조문객이 쉽게 알 수 있게 하고, 이후 상기의 영정(유골함)이 조문객과 구획된 벽 사이의 투시구 전면 위치, 고정되도록 하되, 투시구에는 두 개의 문이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두 개의 노출된 유골함중 필요에 다라 어느 하나가 가려질 수 있도록 하여 조문에 따른 편리성을 도모하는 것이며, 복수개의 유골함이 입설상태로 설치되어 좁은 면적의 활용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게 한 것임은 물론 유골함의 보관에 따른 경제성을 극대화시키고, 또한 인입 및 인출시의 용이성은 물론 보다 쾌적하고, 단정한 형태의 납골당이 구현됨으로 장례문화에 있어서,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과 국민의 장묘관행을 개선한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 및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e box storage and transfer device, in particular, in the ossuary, which is provided to allow frequent visits by the visitor after the ashes are placed after cremation, which can be continuously circulated in a vertical state by individual power generating means. A chain drive unit is provided, and the ashes each having a unique identification symbol on its front face are pivotally fixed so that the original position and direction are maintained even by the circular drive of the chain drive unit. If you find a symbol and make a selection through a separate control panel, the chain drive in the fixed state is circulated by the internal operation program to find the ashes, especially on the front of each ashes. Visitors can easily see the remains that have been chosen by allowing the back to be marked Then, the above-mentioned spirit (the ashes) is fixed to the perspective position of the perspective port between the visitor and the partitioned wall, but the two doors are slidably installed in the perspective port to meet the needs of the two exposed ashes.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the constitution by allowing one to be hidden, and maximized the economics of storing the ashes as well as maximizing utilization of the narrow area by plural ashes installed in the standing state. In addition, with the ease and ease of import and withdrawal, the ossuary party in a more pleasant and tidy form is realized, so that the funeral culture can be used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country and the burial place for the ossuary for improving the funeral practices of the people. There is this.

Claims (1)

외부 사용자에 의해 기 입력된 내부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 제어 기능을 갖는 제어반; 상기 제어반의 신호를 인가받아 정/역 구동이 가능한 동력발생수단; 상기의 동력을 받아 입설된 상태로 연속 순환 구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지지대내에서 스프로킷과 체인이 연결되어 구동되는 체인 구동부; 상기의 체인 전면에 횡봉을 설치하고, 이에 힌지 고정됨으로 항상 일정한 위치의 유지가 가능한 복수개의 유골함을 포함하며, 상기 유골함은 그 전면에 고인의 영정이나 이력등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조문객의 전면에 해당 유골함의 영정등이 자동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 및 이송장치.A control panel having an operation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n internal operating program previously input by an external user; Power generation means capable of forward / reverse driving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panel; A chain drive unit connected to the sprocket and the chain in the support of the frame to enable continuous circulation driving in a standing state under the power; Install a transverse bar on the front of the chain, the hinge is fixed to it includes a plurality of ashes that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position at all times, the ashes support to allow the detention or history of the deceas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The device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ossuary remains for the ossuary is provided with a member to automatically locate the remains of the ashes on the front of the visitor.
KR2019970029169U 1997-10-21 1997-10-21 Ossuary Reservoir Storage and Transfer Device KR1999001584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69U KR19990015842U (en) 1997-10-21 1997-10-21 Ossuary Reservoir Storage and Transf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69U KR19990015842U (en) 1997-10-21 1997-10-21 Ossuary Reservoir Storage and Transf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42U true KR19990015842U (en) 1999-05-15

Family

ID=6967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169U KR19990015842U (en) 1997-10-21 1997-10-21 Ossuary Reservoir Storage and Transf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842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00B1 (en) * 2001-04-09 2008-02-11 박영일 An equipment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
CN115405151A (en) * 2022-08-22 2022-11-29 江西广泉钢艺集团有限公司 Intelligent bone ash storage rack for worshi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00B1 (en) * 2001-04-09 2008-02-11 박영일 An equipment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
CN115405151A (en) * 2022-08-22 2022-11-29 江西广泉钢艺集团有限公司 Intelligent bone ash storage rack for worship
CN115405151B (en) * 2022-08-22 2023-10-10 江西广泉钢艺集团有限公司 Intelligent bone ash storage rack for worsh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ncis Cemeteries as cultural landscapes
EP0248894A1 (en) Storage and display system
Blair Ilkhanid Architecture and Society: An Analysis of the Endowment Deed of the Rabʿ-i Rashīdī
Klaassens et al. Postmodern crematoria in the Netherlands: A search for a final sense of place
Robb Burial and social reproduction in the peninsular Italian Neolithic
Belakehal et al. Sunlighting and daylighting strategies in the traditional urban spaces and buildings of the hot arid regions
KR19990015842U (en) Ossuary Reservoir Storage and Transfer Device
KR200167016Y1 (en) Storage room structure for remains cases in a charnel house
JP2819247B2 (en) Automatic transport mausoleum worship equipment
KR200467602Y1 (en) A cinerary urn cabinet
KR100219114B1 (en) Charnel custody apparatus
KR200167015Y1 (en) Turntable type storage for remains cases in a charnel house
KR100272315B1 (en) Collective buial-cast system for relocation of unclaimed burials and niche cluster system for cremated remains utilizing retaining wall
JP5424627B2 (en) Douchi Tomb
KR200285594Y1 (en) Grand-scale charnel house
JPH0318590Y2 (en)
Lufkin A Home between Death and Life: Mausoleums as Liminal Spaces of Memory for Classical Reform Jews of Temple Emanu-El, 1890–1945
JP3085654U (en) Built-in tombstone with three-dimensional figure
KR200245087Y1 (en) Burial grave and charnel house mixing graveyard
KR200285593Y1 (en) Grand-scale charnel house builded in slopes
JPH1181744A (en) Construction of collective graveyard and method for laying ashes of the dead to rest
KR200278391Y1 (en) a charnel
KR200281241Y1 (en) A case for ashes box
JP3047101U (en) Buddhist altar
Rosenberg Landscape and commemoration: the kibbutz ceme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