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840U -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 - Google Patents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840U
KR19990015840U KR2019970029167U KR19970029167U KR19990015840U KR 19990015840 U KR19990015840 U KR 19990015840U KR 2019970029167 U KR2019970029167 U KR 2019970029167U KR 19970029167 U KR19970029167 U KR 19970029167U KR 19990015840 U KR19990015840 U KR 199900158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door
box
divided
decea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7016Y1 (ko
Inventor
임종기
Original Assignee
임종기
박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기, 박주훈 filed Critical 임종기
Priority to KR2019970029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01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01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화장후의 유골이 안치된 후 조문객에 의해 수시로 조문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납골당에 있어서, 가족별, 집안별, 혹은 어떤 특별한 관계를 갖는 고인들의 유골이 동시에, 순차적으로 안치되게 함으로 조문객의 편익 향상은 물론, 납골당 면적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지상에 구축되며,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4등분 구획되고,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마련된 직사각형 구조물 케이스와; 상기 4등분된 각각의 공간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채 각각의 공간에 내설치되며, 평면은 개방되고, 내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칸으로 구획된 납골함 박스와; 상기 납골함 박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안치된 고인의 성명이 표식 되고 인입/인출용 손잡이 홈이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구조물 케이스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잠금 장치를 통해 개/폐가능한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 고인의 영정이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마련된 후 도어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물 케이스의 외면으로 봉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우리의 장례문화는 매장식문화가 유교의 영향을 받아 확산되어 있고, 화장제도는 한정적인 범위에 머물러 있음이 현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의 매장식 문화는 긍정적 측면보다는 불합리적인 요소를 보다 많이 내재하고 있어 점차 화장식 장례(납골식 장묘제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국가적으로도 이러한 제도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실적으로, 매장풍습에 따라 좁은 국토의 산야가 잠식되고 있으며, 부분적 혹은 대형화된 밀집 공원묘지는 미관상 결코 좋지 못한 것이며, 무분별한 개인 및 문중묘지의 설치에 따라 장례에 소요되는 과다한 비용은 물론 묘지터에 대한 각종의 소유권 분쟁이 우려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모색되는 것이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장문화가 될 것이다.
상기의 화장문화는 본래 불교의 다비식에서 전래되온 것으로 인도는 물론 많은 불교국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구미 각국에서도 자국의 산야를 보호하거나, 혹은 공원화를 조성하기 위해 납골당의 설치를 확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납골당을 설치 사용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예기치 않은 문제점이 포함되어 있었다.
즉, 보관되어 있는 해당 유골함을 신속하게 유가족 등의 조문객이 찾아내어 안정시킨 상태에서 조문을 할 수 있는 제반 설비나 시설이 부족한 관계로, 이를 준비하기에 필요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며, 또한 납골당의 지하화 조성에 따른 문제점은 물론 폭이 좁은 면적에 많은 수의 유골함을 안치하기는 매우 곤란한 관계로 현재의 설치 면적을 최소화시킬 별도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가족별 묘역의(납골함) 조성화를 적은 면적에서 시행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수반된다.
이와 함께,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 곤란하여, 예컨대 쓰레기 매립장등의 운휴지 활용도가 낮고, 납골당이라는 선입견에 따라 부지 선정에 많은 애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대형화, 밀집화의 공원묘지 형태를 벗어나, 각종 운휴지 등에 많은 수의 유골함이 봉안되어 적절히 인출 및 안치될 수 있도록 현대화된 외관을 갖추고 손쉽게 조문객이 찾을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요망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지상에 구축된 구조물 케이스와, 이에 내설되는 서랍식의 납골함 박스를 일체로 제안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조립설치에 따른 구성을 정면에서 도시한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조립설치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구성을 평면에서 도시해 보인 개략도.
도 5 는 본 고안의 보관실이 개/폐됨을 도시해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조물 케이스11 : 공간부
12 : 가이드 레일13 : 납골함 박스
14 : 전면패널14a : 손잡이홈
15 : 도어15a : 힌지
15b : 잠금 장치16 : 지지부재
20 : 유골함100 : 봉분
이와 같은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는 지상에 구축되며,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4등분 구획되고,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마련된 직사각형 구조물 케이스와; 상기 4등분된 각각의 공간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채 각각의 공간에 내설치되며, 평면은 개방되고, 내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칸으로 구획된 납골함 박스와; 상기 납골함 박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안치된 고인의 성명이 표식 되고 인입/인출용 손잡이 홈이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구조물 케이스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잠금 장치를 통해 개/폐가능한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 고인의 영정이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마련된 후 도어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물 케이스의 외면으로 봉분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써 명기하였다.
첨부된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로써, 본 고안의 구성이 가장 적절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는 전기한 바와 같이 특히 가족묘등에 적합한바, 먼저 지상의 표면으로 일정 길이와 높이 및 폭을 유지하는 구조물 케이스(10)를 설치한다.
상기 구조물 케이스(10)는 내구성과 내한/내열성 등의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것이며, 내부를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개로 등분 처리하는데, 구조적인 안정감을 위해 4등분 구획이 바람직하다.
상기 4등분되어 각각의 공간부(11)가 형성되는 내부 바닥으로는 복수의 양 가이드레일(12)을 설치 고착한다.
한편, 상기 각각의 공간부(11)로는 이에 내설될 수 있는 크기와 길이를 갖는 납골함 박스(13)가 마련되어 내 설치되는데, 보다 원활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2)과 납골함 박스(13)의 바닥면이 상호 끼움 처리된 채 수평 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마치 서랍식의 구조를 갖는바, 상기의 구조는 첨부된 도 3 의 조립설치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와, 도 4 의 개략도상에 납골함 박스(13)의 상태가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납골함 박스(13)의 전면에는 상기 박스(13) 보다 다소 큰 사이즈로 전면패널(14)이 부착되는바, 상기의 전면패널(14)로 인해 내 설치됨에 따른 더 이상의 진입이 방지됨과 함께, 공간부(11)가 외부로부터 충분하게 가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전면패널(14)에는 안치되어 있는 고인들의 순서에 따라 성명 및 이력 등이 개략적으로 표식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의 편리성을 위해 손잡이홈(14a)이 형성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납골함 박스(13)는 평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복수개의 칸으로 구획되어진 구조를 갖는바, 따라서, 상기의 칸칸에 고인이 된 순서로 유골함(20)을 봉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부 구조를 갖는 상기 구조물 케이스(10)의 전면으로는 힌지(15a) 결합된 채 견고한 기능을 갖는 잠금 장치(15b)를 갖추고, 외부로부터 인위적으로 개/폐가능할 수 있는 도어(15)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도어(15)의 전면으로는 고인의 영정등이 위치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단면이 " ㄴ "형상인 지지부재(16)가 마련되는데, 내부의 납골함 박스(13)위치를 찾아 각각의 위치에 맞도록 예컨대, 도어를 4등분하여 약 4개의 영정이 걸려질 수 하며, 경우에 따라 가운데의 중앙을 선택하여 단수의 지지부재(16)를 고착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때, 도어(15)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물 케이스(10)의 외면으로는 일반 매장식 묘지와 동일한 형태의 봉분(100)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술한 도어(15)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된 도 2 는 도 1 의 조립설치에 따른 구성을 정면에서 도시한 상태도로써,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봉분(100)과 도어(15)의 설치상태가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도 5 는 본 고안의 보관실이 개/폐됨을 도시해 보인 예시도로써 유골함(20)의 인입 및 인출시나, 혹은 특별히 재를 올림에 있어 유골함(20)의 인출이 필요할 경우 개방될 것이나, 그 외에는 무분별한 도어(15)의 개방이 자제되어야 할 것이며,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15)를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내부의 유골함(20)을 인출하여 재를 올릴 시에 상기 유골함(20)이 내 설되어 별도의 장소에 위치된 채 놓여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의 평면이 개방된 상자가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상자의 전면으로는 사진첩을 넣을 수 있도록 홀더가 형성되도록 하여 조문객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대형화되고, 밀집된 공원묘지의 개선을 탈피할 대안으로 대두될 수 있으며, 무분별한 개인 및 문중의 개별적 묘지를 설치를 억제하여 이를 납골당 형식의 한정적이고도, 위생적인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보다 현대화되고, 쾌적한 실내에서 원하는 고인의 유골함을 모시고 손쉽게 찾아 조문할 수 있도록 하여 조문객의 편익은 물론 사회적인 장묘제도의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화장후의 유골이 안치된 후 조문객에 의해 수시로 주문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납골당에 있어서, 가족별, 집안별, 혹은 어떤 특별한 관계를 갖는 고인들의 유골이 동시에, 순차적으로 안치되게 함으로 조문객의 편익 향상은 물론, 납골당 면적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약 4각의 형태로 전면이 개방된 구조물 케이스의 내부를 등분하여 약 4개의 칸을 형성시키고, 상기 칸에 일정한 길이를 갖고 내부가 복수개 칸으로 구획되며, 평면이 개방된 상태인 납골함 박스가 서랍식 구조의 슬라이드 인입/인출 방식으로 내설되어 있으며, 이에 고인의 성명이 표식된 각각의 유골함을 안치 보관시킨 후 구조물 케이스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별도의 잠금 장치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 도어를 긴밀하게 폐쇄시키어 영구 보존 시키는데, 이때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는 내부에 위치하는 납골함 박스의 위치와 동일한 곳에 조문코자 하는 고인의 영정등이 걸려질 수 있도록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도어 바깥에서의 재를 올림에 지장이 없도록 배려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조물 케이스 상단면으로는 봉분이 형성되도록 하고, 도어 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외관의 단정함과 현대화를 꾀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적은 면적의 토지 활용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게 한 것임은 물론 유골함의 보관에 따른 경제성을 극대화시키고, 또한 인입 및 인출시의 용이성은 물론 보다 쾌적하고, 단정한 형태의 납골당이 구현됨으로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과 국민의 장묘관행을 개선한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Claims (1)

  1. 지상에 구축되며,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4등분 구획되고,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마련된 직사각형 구조물 케이스와; 상기 4등분된 각각의 공간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채 각각의 공간에 내설치되며, 평면은 개방되고, 내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칸으로 구획된 납골함 박스와; 상기 납골함 박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안치된 고인의 성명이 표식 되고 인입/인출용 손잡이 홈이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구조물 케이스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잠금 장치를 통해 개/폐가능한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 고인의 영정이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마련된 후 도어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물 케이스의 외면으로 봉분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
KR2019970029167U 1997-10-21 1997-10-21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167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67U KR200167016Y1 (ko) 1997-10-21 1997-10-21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67U KR200167016Y1 (ko) 1997-10-21 1997-10-21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40U true KR19990015840U (ko) 1999-05-15
KR200167016Y1 KR200167016Y1 (ko) 2000-01-15

Family

ID=1951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167U Expired - Fee Related KR200167016Y1 (ko) 1997-10-21 1997-10-21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0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8670A1 (ko) * 1999-11-23 2001-05-31 Jung Jae Duk Multiple drawer-type charnet unit
KR20020014976A (ko) * 2000-08-19 2002-02-27 김학제 동상유골안치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520B1 (ko) 2010-01-20 2011-01-31 주식회사 명우산업 슬라이딩 받침대가 구비된 납골함 안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8670A1 (ko) * 1999-11-23 2001-05-31 Jung Jae Duk Multiple drawer-type charnet unit
KR20020014976A (ko) * 2000-08-19 2002-02-27 김학제 동상유골안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016Y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8359A (en) Storage and display system
Blair Ilkhanid architecture and society: An analysis of the endowment deed of the Rabʿ-i Rashīdī
BG63798B1 (bg) Мобилен прицеп за погребална церемония
Klaassens et al. Postmodern crematoria in the Netherlands: A search for a final sense of place
KR200167016Y1 (ko)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실 구조
KR200467602Y1 (ko) 유골 함 보관장
Evans et al. After-lives of the Mongolian yurt: the ‘archaeology’of a Chinese tourist camp
KR19990015842U (ko) 납골당용 유골함 보관 및 이송장치
Yoon et al.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al Space in Le Corbusier's Venice Hospital Project
KR200207087Y1 (ko) 납골묘에 적용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
KR200399295Y1 (ko)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KR200245087Y1 (ko) 매장묘와 납골당 혼합묘지
JPH0318590Y2 (ko)
Elad Pilgrims and pilgrimage to Jerusalem during the early Muslim period
de Miguel Pastor et al. Urban Hostels. Camping in an indoor landscape. Barcelona as case study
JP3230146U (ja) 永代供養墓構造、及び供養施設
Al-Hussayen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s of Al-Medinah, Saudi Arabia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JP3348065B2 (ja) 合祀墓
JP3066720U (ja) 仏 壇
JP3047101U (ja) 仏 壇
Lyu Folding Wall
Marcoaldi Il piano integrato di Santa Maria della Pietà. Un nuovo ciclo di vita per la Casa dei Pazzerelli
KR200250660Y1 (ko)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
Bold The design of a house for a merchant, 172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0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0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