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687A -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및 여기에 사용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벨트 - Google Patents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및 여기에 사용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687A
KR19990015687A KR1019970037947A KR19970037947A KR19990015687A KR 19990015687 A KR19990015687 A KR 19990015687A KR 1019970037947 A KR1019970037947 A KR 1019970037947A KR 19970037947 A KR19970037947 A KR 19970037947A KR 19990015687 A KR19990015687 A KR 19990015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leaning
industrial
cleaning belt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8916B1 (ko
Inventor
이치히로 기타무라
다쓰토시 나카지마
센리 이토
Original Assignee
고베 신시
닛폰 피루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베 신시, 닛폰 피루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베 신시
Priority to KR1019970037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9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및 여기에 사용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벨트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효과가 충분하고 용이하게 작업자의 사이드에서 대응 가능하며, 싼값으로 실시 가능한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및 여기에 사용하는 공업용 벨트의 크리닝벨트를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주행하는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벨트의 구성단위체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도록 나란하게 여유를 두고 변동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유단상의 크리닝벨트의 표면을 접촉시켜 공업용벨트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과, 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벨트의 구성단위체를 평행하게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고, 각 구성단위체를 여유있게 하여 변동가능하도록 연결하며, 벨트의 표면과 이면으로 관통하는 통과구멍을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유단상의 크리닝벨트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공업용벨트의 오물제거에 사용한다.

Description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및 여기에 사용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벨트
본 발명은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및 여기에 사용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벨트에 관한 것이다.
이 본 발명에 있어서, 「벨트」로는 직물형상체나 피형상체, 시트형상체, 직물, 편물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공업용벨트」는 구체적으로 제지기계에 사용되는 초지용 망, 프레스 펠트, 드라이어 캔버스, 부직포 제조용 벨트, 건조용 벨트, 콘베이어 벨트, 8888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지용 직물의 크리닝에 관한 것이다.
공업용벨트는 사용일수에 따라서 벨트 상에 탑재하는 반송물의 일부가 부착되어 오염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벨트를 구성하고 있는 실 등의 재질을 검사한다든지, 표면의 수지가공의 개량, 세정용의 브러쉬롤이나 고압세정 샤워장치의 설치 등 각종의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종래의 대책으로서, 벨트의 재질검사는, 재질은 고르는 것만으로는 효과가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공업용벨트의 치수 안정성 등의 다른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크며, 더욱이 작업자의 사이드에서는 재질을 적절히 변경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표면 수지가공에서는 내구성의 문제나 통기(通氣)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브러쉬롤에서는 효과가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고압세정 샤워장치에서는 장치가 고가이며, 장치의 유지관리가 번거롭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최근의 제지업계에서는, 고지(古紙)의 이용이나 종이의 고품질화를 위하여 약품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오염 정도와 품질이 악화되고 있다. 오염이 악화되면 통기도의 저하에 의한 탈수능력이나 건조능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이가 찢어지는 사고발생도 많아지고, 종이의 품질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생산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효가가 충분하고 용이하게 작업자의 사이드에서 대응 가능하며, 싼값으로 실시 가능한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및 여기에 사용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크리닝벨트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크리닝벨트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크리닝벨트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폭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크리닝벨트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폭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크리닝벨트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크리닝벨트2 : 구성단위체
3 : 경사 형상체4 : 통과구멍
5 : 연결로드6 : 공통구멍
7 : 봉8 : 공업용벨트
9 : 롤10 : 오물
11 : 오물 회수상자12 : 위사 형상체
본 발명의 크리닝방법은, 주행하는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벨트의 구성단위체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도록 나란하게 여유를 두고 변동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유단상의 크리닝벨트의 표면을 접촉시켜 공업용벨트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크리닝벨트는,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공업용벨트에서 위쪽으로 떨어져 매달아 설치되며, 이 크리닝벨트의 양단부 사이부분이 자중에 의해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접촉된다.
크리닝벨트는, 이 벨트의 일부가 공업용벨트가 팽팽하게 가설되어 있는 롤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크리닝벨트의 구성단위체의 위치가 변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크리닝벨트의 구성단위체 사이가 공업용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변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오물을 제거한다.
복수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벨트의 구성단위체를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구성단위체를 폭방향으로 평행한 축에 대해 서로 변동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형성한 크리닝벨트를 주행하는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크리닝벨트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 진동을 공업용벨트에 부여하여 오물을 제거한다.
크리닝벨트가 표면과 이면으로 관통하는 통과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떨어진 오물을 통과구멍부에서 크리닝벨트의 접촉면과 반대쪽의 표면 상으로 떠오르도록 하는 것에 의해, 크리닝벨트와 공업용벨트에 오물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공업용벨트는 초지용 드라이어 캔버스이다.
또한, 본 발명의 크리닝벨트는 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벨트의 구성 단위체를 평행하게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고, 각 구성단위체를 여유있게 설치하여 변동가능하도록 연결하며, 벨트의 표면과 이면으로 관통하는 통과구멍을 배설하여 이루어진다.
벨트의 구성단위체는 봉형상체이며, 이 봉형상체를 실형상체로 연결하여 발형상으로 하여, 봉형상체 사이에 통과구멍을 형성한 발형상체로 이루어진다.
봉형상체가 벨트의 폭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분할체를 실형상체로서 폭방향으로 연결한 봉형상체이며, 폭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고,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실형상체로서 폭방향으로 연결된 봉형상체를 하나씩 걸러 폭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하고, 연결된 실형상체를 차례로 경사진방향의 직경방향으로 연결된 실형상체로서 연결한다.
벨트의 구성단위체는 중공의 통형상체에 연결로드를 끼워 넣은 통형상체이고, 연결로드를 실형상체로 연결하여 중공의 통형상체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이루어지며, 통형상체 사이에 통과구멍이 형성된다.
벨트의 구성단위체가 측면이 대략 둥근 원형상 내지 사각형상의 블럭으로서 길이방향의 양 끝단 근처에 연결구멍을 형성하고, 블럭의 전방부와 다음 블럭의 후방부가 서로 어긋나도록 나열하여 연결구멍에 이 연결구멍의 직경보다 좁은 연결로드를 끼워 넣어 여유있게 설치하여 미끄럼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각 블럭의 전방부와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블럭의 후방부 사이에 통과구멍이 형성된다.
벨트의 구성단위체가 대략 둥근 원형상 내지 사각형상의 링이고, 이 링을 평면이 벨트면을 형성하도록 벨트의 폭방향으로 나열하고 이 열을 벗어나서 링을 전체로서 어긋나는 형태로 배열하여 실형상체로 세로방향으로 엮어서 형성한 벨트이며, 벨트의 구성단위체가 스파이럴 코일이고, 이 코일의 나선을 맞물림시켜 형성되는 공통구멍에 여유있게 설치하여 연결로드를 끼워 넣어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은 크리닝벨트의 양단부가 공업용벨트에서 위쪽으로 떨어져 설치되고, 양단부의 사이부분이 자중에 의해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접촉하여 배설된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닝벨트의 구조는 주행하는 공업용벨트에 자중(自重)으로 접촉하였을 때 구성단위체가 진동하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직물구조, 편물구조, 펠트구조, 기포(基布)에 수지를 코팅한 구조, 발형태의 구조, 스파이럴 선재를 연결로드로 연결시킨 구조 등 여러종류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성단위체의 재질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의 플라스틱, 세라믹, 고무 등의 여러종류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는 후술하겠지만, 유연하게 변형하는 크리닝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유연해야만 크리닝벨트 전체를 공업용벨트에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유연성이 결여되면 크리닝벨트에 접촉하는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있으므로, 크리닝이 불완전해지는 위험성이 있다.
크리닝벨트의 설치방법에 대하여는, 크리닝벨트의 양단부를 공업용벨트에서 위쪽으로 떨어지게 설치하고, 양단부의 사이부분을 자중에 의해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설치방법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촉시킴으로써 크리닝벨트 끝단부가 폭주하여 충돌하여 공업용벨트에 손상을 주는 위험성도 없으며, 공업용벨트의 요철이나 두껍고 얇은 등의 표면의 상황변화에 따라 일정압력으로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설치장소는 크리닝벨트의 일부는 공업용벨트가 팽팽하게 가설되어 있는 롤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크리닝벨트의 중량을 롤로서 지지할 수 있어, 공업용벨트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접촉되는 크리닝벨트로서는, 복수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단위체를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 배치하여 여유있게 설치하고, 폭방향으로 평행한 축에 대하여 변동가능하게 연결하여 형성한 크리닝벨트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한 크리닝벨트는 폭방향으로 평행한 축에 대하여 유연하게 변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크리닝벨트 전체를 균일하게 공업용벨트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공업용벨트의 접촉에 의해 크리닝벨트의 구성단위체 사이가 존재하는 여유에 의해 변동하여 진동이 발생한다. 크리닝벨트에 진동이 발생하면 당연히 공업용벨트에도 진동이 전달된다. 공업용벨트가 진동하면 오물이 공업용벨트의 표면에서 분리되어 떨어지기 쉬워져 효과적으로 오물이 제거된다. 더욱이 진동은 떨어진 오물이 공업용벨트와 크리닝벨트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떨어진 오물은 차례로 공업용벨트 상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이 진동에 의한 효과는 전술한 롤 상의 부분에서 특히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롤 상에서는 공업용벨트가 진동에 따라 이동하여 진동을 흡수해 버리지 못하기 때문에, 진동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과 이면으로 관통하는 통과구멍을 가지는 크리닝벨트를 사용함으로써, 떨어진 오물이 통과구멍부에서 크리닝벨트 표면상으로 떠오르기 때문에, 공업용벨트와 크리닝벨트 사이로 떨어진 오물의 체류가 더욱 감소한다. 오물이 체류하면 이 오물이 서서히 증가하여 결국에는 공업용벨트와 크리닝벨트가 접촉할 수 없게 되어 효과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연결되어 있는 구성단위체와 구성단위체의 사이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크리닝벨트는, 예를 들어 길이방향으로 신축한다든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구성단위체 사이로 공업용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오물을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오물을 떨어뜨리는 공업용벨트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접촉과의 진동에 의해 오물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습윤상태인 것보다도 건조상태인 드라이어 벨트 등이 보다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오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초지기계용 드라이어 캔버스의 크리닝에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리닝방법에 사용하는 크리닝벨트로서는, 주행하는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이 공업용벨트의 주행에 따라 차례로 표면이 소정 길이로 건너서 접촉하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크리닝벨트는, 양단부가 공업용벨트에서 위쪽으로 떨어져 설치되었을 때 양단부의 사이부분이 자중에 의해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 복수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단위체를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이 구성단위체를 폭방향과 평행한 축에 대하여 서로 변동가능하도록 연결시킨 것, 표면에 통과구멍을 형성한 것, 연결되는 구성단위체 사이를 서로 변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벨트로서는, 봉형상체의 벨트 구성단위체를 실형상체로 연결시킨 발형태의 벨트가 있다. 이 발형태의 벨트는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봉형상체와 봉형상체 사이가 실형상체로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벨트의 길이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하게 변형하여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또한 공업용벨트의 주행에 의해 봉형상체는 변동하여 진동한다. 그리고 봉형상체의 간격부가 통과구멍으로 된다.
통형상체를 중공(中空)으로 하고, 이 속에 연결로드를 끼워 넣어 연결로드를 실형상체로 연결한 크리닝벨트는 전술한 봉형상체를 이용한 벨트의 작용에 더하여 통형상체가 회전함으로써 보다 커다한 진동이 발생한다. 연결로드를 통형상체의 내경보다 가늘게 하여 여유있게 설치하면 진동 발생효과는 더욱 커지게 된다.
이들의 발형태의 크리닝벨트에 있어서는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봉형상체나 통형상체를 복수로 분할시킬 수도 있다. 분할하면 각 통형상체는 독립하여 회전하거나 이동하며, 봉형상체도 독립하여 이동하므로 유연성이 향상되고, 진동효과가 양호하게 된다. 분할된 봉형상체를 폭방향으로 실형상체로 연결하고 한개씩 어긋나도록 하여 이 실형상체를 세로방향으로 경사( t1 ) 형상체로서 연결하면 봉형상체의 전후, 좌우, 상하의 변동이 행해지게 되어 진동효과는 커지게 된다.
그 외에, 구성단위체를 앞쪽과 뒤쪽의 끝단부 근처에 연결구멍을 형성한 블럭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럭은 판형태의 부재도 포함하고 있다. 블럭을 폭방향으로 블럭의 앞쪽과 다음 블럭의 뒤쪽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반복하여 차례로 나열하고, 연결구멍으로 연결로드를 끼워 넣어 벨트형태로 연결하든가, 연결구멍과 연결로드의 사이로 여유를 둠으로써 블럭은 상하, 전후로 변동하여 진동을 발생한다. 여유는 연결로드로서 연결구멍 보다 좁은 것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블럭의 형상은 공업용벨트와의 접촉만으로 측면형상이 대략 둥근 원형 또는 사각형의 바닥편이 긴 것이 좋다. 블럭과 블럭의 앞쪽과 뒤쪽 사이에 통과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벨트의 구성단위체를 원형상 내지 사각형상의 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링은 선을 연결한 링뿐만 아니라, 판형상물의 안쪽에 중앙구멍을 형성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링을 폭방향으로 나열하고 이 열을 벗어나서 차례로 나열시킴으로써 링을 전체로서 어긋나는 상태로 배열하여 실형상체를 링의 구멍을 통하여 경사방향으로 엮어서 벨트로 한 것이다. 경사방향의 엮는 것은 교차하도록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오른쪽 아래에서 왼쪽 위의 양쪽으로 실형상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은 이른바 바이어스형의 조직이고, 더욱이 편물(編物)이며, 중앙구멍도 여유가 있으므로 신축성이 있어 주행하는 공업용벨트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변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링의 사이와, 링의 중앙구멍이 통과구멍으로 된다.
이 외에 벨트의 구성단위체가 스파이럴 코일이더라도 좋다. 스파이럴 코일의 나선(螺旋) 간격이 통과구멍으로 된다.
크리닝벨트는 유단(有端)상으로서, 공업용벨트의 위쪽에서 양끝단을 지지하고, 크리닝벨트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늘어뜨려져 공업용벨트에 접촉한다. 자중에 의한 접촉이므로 진동에 의한 크리닝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 연결로드로서는, 직선형태인 것뿐만 아니라 물결형태로 형성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리닝벨트는 특히 초지기계용 드라이어 캔버스의 오물을 떨어뜨리는데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크리닝벨트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제1도의 크리닝벨트(1)는 벨트의 폭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봉형상의 구성단위체(2)의 중심에 관통구멍을 가지는 구성단위체(2)가 위사형상체를 봉형상체의 중심구멍에 끼워 넣음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된 봉형상체를 한개씩 건너서 어긋나게 하여 구성단위체를 어긋난 형태로 배열하고, 위사형상체를 경사방향으로 경사형상체(3)로 연결하여 발형태의 벨트로 하였다. 바이어스상태의 조직이므로 직경방향의 신축성이 크고, 구성단위의 변동에 의해 진동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한 구성단위체의 봉형상체는 폭방향으로 분할된 것이지만, 이 외에도 평면이 작은 판상의 판재나 링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단위체는 공업용벨트의 접촉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크리닝효과가 좋다. 또한 공업용벨트와의 접촉이 부드러워 공업용벨트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구성단위체로서는, 크리닝효과는 다소 떨어지지만 예를 들면 단면이 둥근 원형상이나 구형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공업용벨트에 손상을 줄 위험성이 있는 경우에는 예리한 각을 가지는 구성단위체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구성단위체를 배치한 크리닝벨트는, 구성단위체를 공업용벨트에 구석구석까지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구성단위체의 연결방법은 어긋나는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바둑판의 눈과 같이 연결하여도 좋다.
또한, 구성단위체를 엮는다든지 접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실형상체는 공업용벨트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실형상체의 마모를 방지하여 절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구성단위체와 실형상체의 사이에는 통과구멍(4)이 형성되어 있고, 떨어진 오물이 통과구멍부로부터 크리닝벨트의 표면상으로 떠오르기 때문에 공업용벨트와 크리닝벨트의 사이에 오물의 체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오물이 체류하면 오물이 서서히 증가하여 결국에는 공업용벨트와 크리닝벨트가 접촉하지 않게 되어 크리닝효과가 없어져 버리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크리닝벨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2도에서 크리닝벨트(1)는 복수의 구성단위체(2)가 실형상체(3)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결 배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단위체(2)는 폭방향으로 연속하는 통형상의 구성단위체이다.
발형태의 구조체이므로 각각의 구성단위체(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균일한 크기인 원통형상의 구성단위체를 사용한 본 실시예의 크리닝벨트는, 공업용벨트와의 접촉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크리닝효과가 우수하고, 공업용벨트의 접촉이 부드러워 공업용벨트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통형상의 구성단위체로서는, 폭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이 물결형상으로 굴곡시킨 것이나, 폭방향으로 크기를 크고 작게 변화를 준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성단위체(2)가 실형상체(3)를 구성단위체의 표면에 원주방향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실형상체(3)를 달아 매에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형상체의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그 외에도 엮어서 연결한다든지, 구성단위체에 구멍을 형성하여 실형상체를 끼워 넣어 연결한다든지, 접착하여 연결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구성단위체와 구성단위체의 사이에 통과구멍(4)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크리닝벨트를 나타낸다.
제3도의 크리닝벨트(1)는 복수의 구성단위체인 스파이럴 코일(2)이 연결로드(5)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결 배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파이럴 코일을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나선홈을 겹쳐지도록 조합하고, 이 조합에 의해 형성된 공통구멍(6)에 연결로드(5)를 끼워 넣어서 스파이럴 코일을 연결한다.
연결로드를 중심으로 각각의 스파이럴 코일이 전후, 좌우, 상하로 변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오른쪽으로 감겨진 스파이럴 코일과, 왼쪽으로 감겨진 스파이럴 코일을 교차하도록 조합하여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주행면에 접촉하는 스파이럴 코일의 각도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주행성이 안정한 이점이 있다. 물론 오른쪽으로 감은 스파이럴 코일 끼리를 조합시켜도 좋으며, 왼쪽으로 감은 스파이럴 코일 끼리를 조합시켜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로드를 스파이럴 코일의 피치에 맞춰 물결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연결로드를 형성하면, 연결로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스파이럴 코일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고, 스파이럴 코일 사이에 여유를 주어 코일끼리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연결로드의 직경을 공통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하면, 스파이럴 코일의 변동이 생겨 진동발생효과가 양호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스파이럴 코일과 연결로드의 사이에는 통과구멍(4)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는 제3도의 길이방향에서 본 측면을 나타낸 것이며, 스파이럴 코일의 맞물림에 의한 공통구멍(6)에 연결로드(5)가 끼워 넣어져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크리닝벨트를 나타낸다.
제5도에서 크리닝벨트(1)는 복수의 블럭형상으로 구성단위체(2)를 연결로드(5)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결 배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복수의 블럭형상의 구성단위체(2)는 전후 양끝단부의 근처에 2개의 끼워져 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블럭이다.
이 블럭의 앞쪽과 다음 블럭 뒤쪽의 끼워져 통하는 구멍을 맞춰서 폭방향으로 차례로 나열하여 맞춘 공통구멍(6)에 연결로드를 끼워 넣는다. 이 연결을 반복함으로써 벨트를 형성한다. 블럭은 길이방향의 단면이 작은 판형태, 둥근 원형태, 사각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은 판형태이다. 연결된 블럭의 앞쪽과 뒤쪽 사이에 통과구멍(4)이 형성된다.
제6도는 제5도를 길이방향에서 본 측면을 나타낸 것이며, 블럭의 공통구멍(6)에 이 직경보다 가늘은 연결로드(5)가 끼워 넣어져 있어 여유가 있다. 여유가 있으면 블럭이 변동하여 진동효과가 양호하게 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크리닝벨트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크리닝벨트(1)가 공업용벨트(8)의 표면 상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크리닝벨트의 양단부에 부착봉(7)을 장착하고, 부착봉(7)을 공업용벨트에서 위쪽으로 떨어져 매달린다. 봉을 부착하여 매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치된다.
양단부를 매달아 설치하면 양단부 사이의 크리닝벨트가 자중에 의해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크리닝벨트의 끝단부가 폭주로 공업용벨트의 요철이나 두껍고 얇은 등의 표면 상황변화에 따라 일정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부착봉(7)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오물의 상황에 따라서 접촉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크리닝벨트는 그 일부가 롤(9)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크리닝벨트의 중량을 롤에서 지지할 수 있어 공업용벨트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업용벨트(8)는 롤(9)에 감겨져 주행한다. 공업용벨트(8)가 주행함으로써 공업용벨트의 전체 둘레가 크리닝벨트(1)와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공업용벨트의 오물이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오물(10)은 공업용벨트상에 유지된 채로 반송하여 롤 회전부 등에서 낙하시켜 오물 회수상자(11)로 떨어지도록 하여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크리닝벨트의 폭, 길이, 접촉되는 길이는 오물의 상황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좋으며, 폭에 대하여는 공업용벨트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효과가 충분하며, 사용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특별한 세정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공업용벨트의 오물을 제거,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6)

  1. 주행하는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벨트의 구성단위체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도록 나열하여 여유를 두고 변동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유단상의 크리닝벨트의 표면을 접촉시켜 공업용벨트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크리닝벨트는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공업용벨트에서 위쪽으로 떨어져 매달아 설치되며, 이 크리닝벨트의 양단부 사이부분이 자중에 의해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한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리닝벨트는 이 벨트의 일부가 공업용벨트가 팽팽하게 가설되어 있는 롤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리닝벨트의 구성단위체의 위치가 변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크리닝벨트의 구성단위체 사이가 공업용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변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오물을 제거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벨트의 구성단위체를 나열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구성단위체를 폭방향으로 평행한 축에 대해 서로 변동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형성한 크리닝벨트를 주행하는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크리닝벨트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 진동을 공업용벨트에 부여하여 오물을 제거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리닝벨트가 표면과 이면으로 관통하는 통과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떨어진 오물을 통과구멍부에서 크리닝벨트의 접촉면과 반대쪽의 표면 상으로 떠오르도록 하는 것에 의해, 크리닝벨트와 공업용벨트에 오물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업용벨트가 초지용 드라이어 캔버스인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방법.
  8. 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벨트의 구성단위체를 평행하게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고, 각 구성단위체를 여유있게 하여 변동가능하도록 연결하며, 벨트의 표면과 이면으로 관통하는 통과구멍을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유단상의 크리닝벨트.
  9. 제8항에 있어서, 벨트의 구성단위체가 봉형상체이며, 이 봉형상체를 실형상체로 연결하여 발형상으로 하여, 봉형상체 사이에 통과구멍을 형성한 발형상체로 이루어지는 크리닝벨트.
  10. 제9항에 있어서, 봉형상체가 벨트의 폭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분할체를 실형상체로서 폭방향으로 연결한 봉형상체인 크리닝벨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고,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실형상체로서 폭방향으로 연결된 봉형상체를 하나씩 걸러 폭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하고, 연결된 실형상체를 차례로 경사진방향의 직경방향으로 연결된 실형상체로서 연결한 크리닝벨트.
  12. 제8항에 있어서, 벨트의 구성단위체가 중공의 통형상체에 연결로드를 끼워 넣은 통형상체이고, 연결로드를 실형상체로 연결하여 중공의 통형상체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이루어지며, 통형상체 사이에 통과구멍을 형성한 크리닝벨트.
  13. 제8항에 있어서, 벨트의 구성단위체가 측면이 대략 둥근 원형상 내지 사각형상의 블럭으로서 길이방향의 양 끝단 근처에 연결구멍을 형성하고, 블럭의 전방부와 다음 블럭의 후방부가 서로 어긋나도록 나열하여 연결구멍에 이 연결구멍의 직경보다 좁은 연결로드를 끼워 넣어 여유있게 설치하여 미끄럼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각 블럭의 전방부와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블럭의 후방부 사이에 통과구멍이 형성된 크리닝벨트.
  14. 제8항에 있어서, 벨트의 구성단위체가 대략 둥근 원형상 내지 사각형상의 링이고, 이 링을 평면이 벨트면을 형성하도록 벨트의 폭방향으로 나열하고 이 열을 벗어나서 링을 전체로서 어긋나는 형태로 배열하여 실형상체로 세로방향으로 엮어 형성한 벨트인 크리닝벨트.
  15. 제8항에 있어서, 벨트의 구성단위체가 스파이럴 코일이며, 이 코일의 나선을 맞물림시켜 형성되는 공통구멍에 여유있게 설치하여 연결로드를 끼워 넣어 이루어지는 벨트인 크리닝벨트.
  16. 크리닝벨트의 양단부가 공업용벨트에서 위쪽으로 떨어져 설치되고, 양단부의 사이부분이 자중에 의해 공업용벨트의 표면에 접촉하여 배설된 공업용벨트의 크리닝벨트.
KR1019970037947A 1997-08-08 1997-08-08 공업용벨트의크리닝방법및여기에사용하는공업용벨트의크리닝벨트 KR10039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947A KR100398916B1 (ko) 1997-08-08 1997-08-08 공업용벨트의크리닝방법및여기에사용하는공업용벨트의크리닝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947A KR100398916B1 (ko) 1997-08-08 1997-08-08 공업용벨트의크리닝방법및여기에사용하는공업용벨트의크리닝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687A true KR19990015687A (ko) 1999-03-05
KR100398916B1 KR100398916B1 (ko) 2003-12-31

Family

ID=4938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947A KR100398916B1 (ko) 1997-08-08 1997-08-08 공업용벨트의크리닝방법및여기에사용하는공업용벨트의크리닝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9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8916B1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359B2 (en) Warp bound composite papermaking fabric
FI77486C (fi) Aottaskaftad pappersframstaellningsvaevnad.
EP2230340A2 (en) Heat- and corrosion-resistant fabric
US20070095415A1 (en) Papermaking clothing
RU2010132801A (ru) Сверхупругая ткань
KR102164818B1 (ko) 산업용 직물 및 그 용도
US5613527A (en) Forming screen having flattened cross threads
US4518644A (en) Paper machine screen
JP3495508B2 (ja) 工業用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工業用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ベルト
JP2010126848A (ja) 工業用二層織物
KR20050039715A (ko) 부직포 직물의 고속 스펀-본드 생산
KR100398916B1 (ko) 공업용벨트의크리닝방법및여기에사용하는공업용벨트의크리닝벨트
CN110023562B (zh) 工业纺织品
WO2016151189A1 (en) Dryer fabric
FI96705C (fi) Absorptiohuopa
KR20040082960A (ko) 솔기 루프에서 드레허 조직으로 제직된 교차기계방향사를구비한 핀 솔기의 제지기용 프레스 펠트
US6036029A (en) Device to drain a fibrous pulp suspension
CA2207232C (en) Method for cleaning industrial belt and cleaning belt for industrial belt used in the same
JP4404854B2 (ja) 帯状用具の洗浄装置
AU754960B2 (en) Method for cleaning industrial belt and cleaning belt for industrial belt used in the same
EP4375416A1 (en) Industrial woven fabric
US2978023A (en) Fourdrinier machine belt
US20030045190A1 (en) No-twist fabricated filtration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