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686U -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5686U KR19990015686U KR2019970028971U KR19970028971U KR19990015686U KR 19990015686 U KR19990015686 U KR 19990015686U KR 2019970028971 U KR2019970028971 U KR 2019970028971U KR 19970028971 U KR19970028971 U KR 19970028971U KR 19990015686 U KR19990015686 U KR 1999001568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w material
- cup
- receiving means
- material receiving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잔류원료받이수단(600)이 설치되는 컵이송장치(340)는,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브라켓트(341)내에 설치되도록 된 기어드모터(342)와, 이 기어드모터(342)의 일측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작동되도록 된 모터(343)와, 결합홈(344a)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기어드모터(342)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된 회전축(344)과, 하측외주면에 요홈(345a)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회전축(344)에 설치되도록 된 회전부재(345)와, 이 회전부재(345)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343)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된 마이크로스위치(346)와, 상기 회전부재(345)에 설치되어 상기 컵디스펜서(330)로 부터 투출된 컵(X)을 고정시키도록 된 홀더부재(347)와, 상기 브라켓트(341)의 일측면에 설치되도록 된 걸림부재(348)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재(347)의 설치부위와는 반대부위의 회전축(344)에는, 상기 홀더부재(347)에 위치 고정된 컵(X)이 회전축(344)과 더불어 음료구입구(410)의 방향으로 회전된 후 외력에 의해 투출구(317)로 부터 비산되는 잔류원료를 포집하기 위해 보조컵(610)과 연결브라켓트(620) 및 설치브라켓트(630)로 구성된 잔류 원료받이수단(50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잔류원료받이수단(600)의 보조컵(610)에 의해 투출구(317)로부터 비산되는 원료가 용이하게 포집되므로 상기 본체(300)내부의 위생상태가 불결해지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잔류원료받이수단(600)의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성 및 생산원가가 절감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컵으로 각각 투출된 원료와 물을 사용자가 스틱을 사용하여 혼합한 후 마시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축에 설치된 착탈가능한 잔류원료받이수단에 의해 투출구로부터 투출되는 잔류원료가 용이하게 포집됨은 물론, 상기 잔류원료받이수단의 부품을 최소화하여 생산성 및 생산원가가 절감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와 물이 각각의 호스를 통해 한 개의 컵으로 공급되도록 된 자동판매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0)의 일측전면에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도어(4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는, 각각의 분말원료가 저장되도록 다수개의 원료통(310)이 상기 본체(300)의 중간부위에는 반원형상으로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료통(310)의 하단부에는 일회작동시 일인분의 원료를 투출시키도록 된 투출장치(3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투출장치(315)의 하단전방부에는 상기 투출장치(315)의 작동에 의해 원료가 투출되도록 투출구(317)가 설치되되, 상기 투출구(317)의 끝단이 반원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는, 온수를 보관하도록 된 급수통(320)이 하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컵을 보관하도록 된 컵디스펜서(3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컵디스펜서(330)의 하부에는 상기 컵디스펜서(330)를 통해 투출된 컵을 정위치에 위치이동시키도록 된 컵이송장치(340)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이 컵이송장치(340)의 하부에는 상기 컵이송장치(340)에 의해 위치이동된 컵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컵하우징(35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는, 스틱(도시되어있지 않음)이 담겨진 스틱박스(360)가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통(320)의 상측에는 소정형상의 배수대(37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출구(317)의 끝단에는 온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380)이 브라켓트(385)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트(385)의 일측부에는 온수의 투출시 발생된 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3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390)이 흡입덕트(395)와 일체로 설치되되, 상기 흡입덕트(395)의 일측 끝단은 상기 컵하우징(350)과 연통되도록 설치됨은 물론 타측 끝단은 상기 배기팬(39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하우징(350)과 대면되는 도어(400)의 소정부위에는 음료를 구입할 수 있도록 음료구입구(4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컵이송장치(34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브라켓트(341)와, 이 브라켓트(341)내에 설치되도록 된 기어드모터(342)와, 이 기어드모터(342)의 일측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도록 된 모터(343)와, 상기 기어드모터(342)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모터(343)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된 회전축(344)과, 하측 외주면에 소정형상의 요홈(345a)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회전축(344)에 설치되도록 된 회전부재(345)와, 이 회전부재(345)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터(343)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된 마이크로스위치(346)와, 상기 회전부재(345)에 설치되어 상기 컵디스펜서(330)로 부터 투출된 컵을 고정시키도록 된 홀더부재(347) 및, 상기 브라켓트(34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상기 홀더부재(347)와 걸려지도록 된 걸림부재(348)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재(347)는, 상기 회전축(345)에 결합되는 몸체부(347a)의 외주면에 반원모양으로 일체로 형성된 고정브라켓트(347b)와, 상기 고정브라켓트(347b)와 반대되는 반원모양으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가 상기 고정브라켓트(347b)에 스프링(347c)을 매개로 결합됨은 물론 타측 끝단부에는 90°로 절곡형성된 벤딩부(347d)가 갖춰진 회동브라켓트(347e)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348)는, 상기 브라켓트(341)의 일측면에 설치되도록 된 지지브라켓트(348a)와, 이 지지브라켓트(348a)와 스프링(348b)을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상기 벤딩부(347d)와 걸려져 회전되도록 된 걸림브라켓트(348c)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컵하우징(35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브라켓트(351)와, 이 브라켓트(351)에 설치되어 상기 컵이송장치(340)로부터 투출된 컵이 안착되도록 된 컵홀더(352)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전술한 자동판매기의 작동과정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커피의 판매가 인식되면, 컵디스펜서(330)에서 한 개의 컵이 하측으로 투출됨과 더불어, 투출된 컵은 컵이송장치(340)에 의해 원료통(310)의 하측으로 회전이동된 후 상기 원료통(310)에서 투출되는 분말원료를 받게 된다.
이후, 온수통에서 가열된 온수가 노즐(380)을 통해 상기 컵으로 분사됨과 동시에 배기팬(390)이 작동되어 상기 온수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본체(30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컵디스펜서(330)에서 투출된 컵은 고정브라켓트(347b)와 회동브라켓트(347e)에 의해 환형의 테형상으로 형성된 홀더부재(347)에 걸려 위치 고정되게 된다.(도 4)
그리고, 모터(343)가 회전되면 상기 홀더부재(347)의 컵을 회전시키게 되는바, 이때 상기 모터(343)의 초기 구동시간은 마이크로스위치(346)에 의해 감지되며, 마이컴은 상기 컵이 원료통(310) 투출구(317)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모터(343)를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투출구(317)의 하측에 컵이 위치되면 투출장치(315)가 작동되어 원료통(310)에 있던 원료를 상기 컵으로 소정의 양만큼 투출시키게 된다.
이후, 마이컴은 상기 모터(343)를 재구동시켜 홀더부재(347) 및 컵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홀더부재(347) 및 컵이 컵하우징(35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홀더부재(347)의 회동브라켓트(347e)는 걸림부재(348)에 걸려 정지하게 되고 고정브라켓트(347b)만이 계속해서 회동하게 된다.
이에따라 고정브라켓트(347b)와 회동브라켓트(347e)로 형성된 테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되고, 이로인해 홀더부재(347)에 걸려있던 컵은 하측으로 자유낙하하게 되어 컵하우징(350)으로 안착되게 된다. (도 5)
상기 컵하우징(350)으로 컵이 안착되면 상기 회동브라켓트(347e)는 걸림브라켓트(347c)를 밀치고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6)
그리고, 상기 컵으로 원료와 온수의 공급이 종료되면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틱박스(360)에 부착된 모터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스틱박스(360)내의 스틱은 상기 컵으로 투출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판매기의 이용자는 컵하우징(350)내의 컵을 꺼내어 스틱으로 원료와 온수를 충분히 혼합한 후 음용하도록 되어 있어, 각각의 원료가 한 개의 혼합기에 의해 전체적으로 혼합되는 자동판매기보다 위생상태는 증진되게 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디스펜서(330)로부터 컵(X)이 투출되어 홀더부재(347)에 상기 컵(X)이 위치 고정되면 원료통(310)의 원료(Y)가 투출구(317)를 통해 상기 컵(X)으로 투출되며, 상기 원료(Y)의 투출이 종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43)의 동력에 의해 상기 컵(X)이 회전축(344)과 더불어 회전되어 음료구입구(410)의 방향으로 위치 고정되게 되는 바, 이때 본체(300)에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원료투출후 각각의 투출구(317)에 잔존되어 있던 원료(Y)가 상기 본체(300)의 내부로 비산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본체(300)내부의 위생상태가 불결해지는 문제점이 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44)이 소정부위에 잔류원료를 포집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잔류원료받이수단(500)이 설치되었는 바, 상기 잔유원료받이수단(500)은, 상기 홀더부재(347)의 설치부위와는 반대부위의 회전축(344)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된 고무벨트(510)와, 상기 고무벨트(510)의 소정부위에 양끝단이 결합되어 설치되도록 된 보조링(520) 및, 상기 보조링(520)내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통(310)의 투출구(317)로 부터 비산되는 잔류원료를 포집하도록 된 보조컵(5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컵디스펜서(330)로부터 컵(X)이 투출되어 홀더부재(347)에 위치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컵(X)으로 원료통(310)의 원료(Y)투출이 종료되면, 모터(343)의 동력에 의해 상기 컵(X)이 회전축(344)과 더불어 회전되어 음료구입구(410)의 방향으로 위치 고정되게 된다.
이때, 본체(300)에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원료투출후 각각의 투출구(317)에 잔존되어 있던 잔류원료는 상기 투출구(317)에서 떨어져 상기 본체(300)의 내부로 비산되게 되는 바, 상기 투출구(317)에서 떨어져 상기 본체(300)의 내부로 비산되는 잔류원료는 고무벨트(510) 및 보조링(520)을 매개로 상기 회전축(344)에 설치된 보조컵(530)으로 포집되므로, 본체(300)의 내부로 비산되는 잔류원료에 의해 상기 본체(300)내부의 위생상태가 불결해지는 문제점이 해소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잔류원료받이수단(500)은 비교적 부품수가 많아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잔류원료받이수단(500)의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게 되어 실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전축의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설치홈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설치홈에 브라켓트부재를 매개로 착탈가능한 잔류원료받이수단이 홀더부재의 설치부위와는 반대부위를 향하도록 설치되어져, 투출구로부터 투출되는 잔류원료를 용이하게 포집함은 물론, 상기 잔류원료받이수단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생산성 및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실용성을 증진시키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컵디스펜서로 부터 투출된 컵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부재의 설치부위와는 반대부위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원료통의 투출구로부터 투출되는 잔류원료를 포집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에 있어서, 상기 원료통의 투출구로부터 투출되는 잔류원료를 포집하도록 된 보조컵과, 상기 보조컵의 외주면 소정부위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된 연결브라켓트 및, 상기 연결브라켓트의 타단에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일체로 결합됨은 물론 상기 보조컵을 상기 회전축에 설치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상부면에 형성된 소정형상의 설치홈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 설치브라켓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컵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컵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컵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과 도 8은 종래의 컵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잔류원료받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잔류원료받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0 : 컵이송장치341 : 브라켓트
342 : 기어드모터343 : 모터
344 : 회전축344a : 결합홈
345 : 회전부재345a : 요홈
346 : 마이크로스위치347 : 홀더부재
347a : 몸체부347b : 고정브라켓트
347c : 스프링347d : 벤딩부
347e : 회동브라켓트 600 : 잔류원료받이수단
610 : 보조컵620 : 연결브라켓트
630 : 설치브라켓트650 : 설치홈
X : 컵Y : 원료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잔류원료받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조는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본 고안 잔류원료받이수단(600)이 설치되는 컵이송장치(340)에 대해서만 도 2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본체(300)의 내부중앙 소정부위에는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브라켓트(3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브라켓트(341)내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도록 된 모터(343) 및 상기 모터(343)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된 회전축(344)이 일체로 결합된 기어드모터(3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44)에는 하측 외주면에 소정형상의 요홈(345a)이 형성된 회전부재(3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45)의 외측에는 상기 모터(343)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된 마이크로스위치(346)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45)에는 상기 컵디스펜서(330)로 부터 투출된 컵을 고정시키도록 된 홀더부재(347)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브라켓트(341)의 일측면에는 회전되는 상기 홀더부재(347)와 걸려지도록 된 걸림부재(34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재(347)의 설치부위와는 반대부위의 회전축(344)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재(347)에 위치 고정된 컵(X)이 회전축(344)과 더불어 음료구입구(410; 도 4에 도시됨)의 방향으로 회전된 후 외력에 의해 투출구(317; 도 4에 도시됨)로 부터 비산되는 잔류원료를 포집하기 위한 잔류원료받이수단(50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잔류원료받이수단(6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료통(310)의 투출구(317)로부터 투출되는 잔류원료를 포집하도록 된 보조컵(610)과, 상기 보조컵(610)의 외주면 소정부위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된 연결브라켓트(620) 및, 상기 연결브라켓트(620)의 타단에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일체로 결합됨은 물론 상기 보조컵(610)을 상기 회전축(344)에 설치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344)의 상부면에 형성된 소정형상의 설치홈(650)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 설치브라켓트(630)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잔류원료받이수단(6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과 도 7에 도시된 컵디스펜서(330)로부터 컵(X)이 투출되어 홀더부재(347)에 상기 컵(X)이 위치 고정되면, 원료통(310)의 원료(Y)가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투출구(317)를 통해 상기 컵(X)으로 투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컵(X)으로 원료(Y)의 투출이 종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43)의 동력에 의해 상기 컵(X)이 회전축(344)가 더불어 회전되어 음료구입구(410)의 방향으로 위치 고정되게 된다.
이때, 본체(300)에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원료투출후 각각의 투출구(317)에 잔존되어 있던 잔류원료(Y)는 상기 투출구(317)에서 떨어져 상기 본체(300)의 내부로 비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출구(317)에서 떨어져 상기 본체(300)의 내부로 비산되는 잔류원료는 도 10에 도시된 잔류원료받이수단(600)의 보조컵(610)으로 포집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잔류원료받이수단(600)은, 상기 회전축(344)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자동판매기 관리자는 상기 회전축(344)에서 상기 잔류원료받이수단(600)을 탈거하여 포집된 잔류원료를 청소하게 되므로 상기 본체(300)의 내부가 불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조컵과 연결브라켓트와 설치브라켓트로 이루어진 잔류원료받이수단이 회전축에 형성된 설치홈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져, 홀더부재에 위치 고정된 컵이 회전축과 더불어 음료구입구의 방향으로 회전된 후 본체에 외력이 가해져 투출구에 잔존되어 있던 원료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비산되더라도, 상기 잔류원료받이수단의 보조컵에 의해 비산되는 원료가 용이하게 포집되므로 상기 본체내부의 위생상태가 불결해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잔류원료받이수단의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성 및 생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이로인해 실용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컵디스펜서로 부터 투출된 컵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부재의 설치부위와는 반대부위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원료통의 투출구로부터 투출되는 잔류원료를 포집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에 있어서,상기 원료통이 투출구로부터 투출되는 잔류원료를 포집하도록 된 보조컵과, 상기 보조컵의 외주면 소정부위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된 연결브라켓트 및, 상기 연결브라켓트의 타단에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일체로 결합됨은 물론 상기 보조컵을 상기 회전축에 설치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상부면에 형성된 소정형상의 설치홈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 설치브라켓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8971U KR19990015686U (ko) | 1997-10-18 | 1997-10-18 |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8971U KR19990015686U (ko) | 1997-10-18 | 1997-10-18 |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5686U true KR19990015686U (ko) | 1999-05-15 |
Family
ID=6969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28971U KR19990015686U (ko) | 1997-10-18 | 1997-10-18 |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15686U (ko) |
-
1997
- 1997-10-18 KR KR2019970028971U patent/KR19990015686U/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517015B1 (en) | Dish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dispenser | |
US6116460A (en) | Vending machine | |
CN101307556B (zh) | 衣物处理装置 | |
US8359888B2 (en) | Dispensing system for powdered treating agent for use in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 |
US4165821A (en) | Beverage dispensing machine for mixing granular concentrate and water | |
US3769818A (en) | Lint filter for washing machine | |
KR19990015686U (ko) | 자동판매기의 잔류원료받이수단 | |
JP2007241879A (ja) | 飲料提供装置 | |
KR100277190B1 (ko) | 자동판매기 | |
KR20210026748A (ko) | 건조 장치가 구비된 텀블러 세척 장치 | |
JP2008167849A (ja) | 飲料供給装置 | |
KR19990028952U (ko) | 자동판매기의 컵이송장치 | |
CN210146554U (zh) | 一种新型口腔科调拌刀清洗装置 | |
JP4206175B2 (ja) | 飲料ディスペンサ | |
JP4256557B2 (ja) | 飲料調合装置 | |
KR19990015685U (ko) | 자동판매기의 컵이송장치 | |
GB2114878A (en) | Multi-purpose device for washing and cleaning vehicles | |
KR200162571Y1 (ko) |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 |
JP2903795B2 (ja) | 自動販売機の機内洗浄装置 | |
GB2306301A (en) | Cleaning apparatus with a detergent dispenser | |
KR200162570Y1 (ko) | 자동판매기의 스틱투출통 | |
KR200159929Y1 (ko) | 자동판매기의 배기팬 고정케이스 | |
KR19990015606U (ko) |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 |
JPH01317491A (ja) | 洗濯機等の洗剤供給装置 | |
CN114532853A (zh) | 一种用于茶吧机的清洗系统及茶吧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C193 |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