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605U -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605U
KR19990015605U KR2019970028916U KR19970028916U KR19990015605U KR 19990015605 U KR19990015605 U KR 19990015605U KR 2019970028916 U KR2019970028916 U KR 2019970028916U KR 19970028916 U KR19970028916 U KR 19970028916U KR 19990015605 U KR19990015605 U KR 199900156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ase
spiral
discharged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치동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70028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605U/ko
Publication of KR19990015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605U/ko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에 관한 것으로, 원료를 담아 저장하도록 된 케이스(310)와, 이 케이스(310)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된 뚜껑(320)과,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10)를 지지하도록 된 케이스지지부재(330)와, 이 케이스지지부재(330)의 후부에 설치되어 인가된 전원을 매개로 작동되도록 된 모터(340)와, 이 모터(340)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도록 된 스파이럴(350)과, 상기 케이스지지부재(330)의 전방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이럴(350)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310)내의 원료가 원료투출구(365)를 통해 투출되도록 된 원료투출부재(360)와,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371)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케이스(310)와 케이스지지부재(3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이럴(350)과 더불어 회전되도록 된 회전판(370) 및, 일측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310)에 설치됨은 물론 중간부위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부(381)가 상기 회전판(370)과 더불어 작동되도록 된 판스프링(3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원료투출구(365)의 끝단부위에는, 상기 스파이럴(350)의 구동과 더불어 상기 원료투출구(365)내의 원료덩어리를 원료가루로 분쇄시켜 상기 원료투출구(365)의 밖으로 투출시키기 위한 원료분쇄용막대(40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온수공급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상기 원료투출구(365)내의 원료가 굳어있더라도 상기 스파이럴(350)이 구동과 더불어 투출되는 원료덩어리가 상기 원료분쇄용막대(400)에 의해 용이하게 분쇄되므로, 상기 원료통(300)내의 원료가 상기 원료투출구(365)를 통해 용이하게 투출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본 고안은 컵으로 각각 투출된 원료와 물을 사용자가 스틱을 사용하여 혼합한 후 음용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료투출구의 끝단부위에 원료분쇄용막대가 설치되어져, 온수의 습기에 의해 원료투출부재내의 원료가 굳어 있더라도 상기 스파이럴의 구동에 의해 원료가 용이하게 투출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는 외관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측전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도어(2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온수를 보관하도록 된 급수통(110)이 하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컵을 보관하도록 된 컵디스펜서(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컵디스펜서(120)의 하부에는 상기 컵디스펜서(120)를 통해 투출된 컵을 정위치에 위치이동시키도록 된 컵이송장치(130)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이 컵이송장치(130)의 하부에는 상기 컵이송장치(130)에 의해 위치이동된 컵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컵하우징(1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스틱(도시되어있지 않음)이 담겨진 스틱박스(150)가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통(110)의 상측에는 소정형상의 배수대(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각각의 분말원료가 저장되도록 다수개의 원료통(300)이 상기 본체(100)의 중간부위에서 반원형상으로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료통(300)의 하부에는 온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170)이 브라켓트(175)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트(175)의 일측부에는 온수의 투출시 발생된 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180)이 흡입덕트(185)와 일체로 설치되되, 상기 흡입덕트(185)의 일측 끝단은 상기 컵하우징(140)과 연통되도록 설치됨은 물론 타측 끝단은 상기 배기팬(18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하우징(140)과 대면되는 상기 도어(200)의 소정부위에는 음료를 구입할 수 있도록 음료구입구(2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료통(3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를 담아 저장하도록 된 케이스(310)와, 이 케이스(310)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된 뚜껑(320)과,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10)를 지지하도록 된 케이스지지부재(330)와, 이 케이스지지부재(330)의 후부에 설치되어 인가된 전원을 매개로 작동되도록 된 모터(340)와, 이 모터(340)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도록 된 스파이럴(350)과, 상기 케이스지지부재(330)의 전방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이럴(350)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310)내의 원료가 원료투출구(365)를 통해 투출되도록 된 원료투출부재(360)와,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371)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케이스(310)와 케이스지지부재(3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이럴(350)과 더불어 회전되도록 된 회전판(370) 및, 일측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310)에 설치됨은 물론 중간부위에 일체로 형성된모양의 절곡부(381)가 상기 돌기(371)와 돌기(371)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370)의 회전시 작동되도록 된 판스프링(3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원료투출부재(360)의 끝단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노즐(170)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의 판매가 인식되면 컵디스펜서(120)에서 한 개의 컵이 하측으로 투출됨과 더불어, 투출된 컵은 컵이송장치(130)에 의해 원료통(300)의 하측으로 회전이동된 후 상기 원료통(300)에서 투출되는 분말원료를 받게 된다.
그리고, 온수통에서 가열된 온수가 노즐(170)을 통해 상기 컵으로 분사됨과 동시에 배기팬(180)이 작동되어 상기 온수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컵이송장치(130)에서 원료통(300)의 원료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컵이송장치(130)에 걸려있던 컵은 하측으로 자유낙하하게 되어 컵하우징(140)으로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컵으로 원료와 온수의 공급이 종료되면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틱박스(150)에 부착된 모터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스틱박스(150)내의 스틱은 상기 컵으로 투출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판매기의 이용자는 컵하우징(140)내의 컵을 음료구입구(21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꺼낸후, 스틱으로 원료와 온수를 충분히 혼합한 후 음용하게 된다.
그리고, 음료구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동전투입구로 투입한 동전의 액수와 음료판매가격 만큼의 차액을 동전반환구를 통해 반환받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가 컵하우징(140)내에 공급된 컵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원료나 물이 상기 컵에 완전토출되지 못하고 컵이외의 다른 부위로 토출되면, 상기 원료와 물은 배출호스를 통해 배수대(160)로 집수되며, 이는 자동판매기 관리자에 의해 청소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료통(300)에 의하면, 온수공급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료투출구(365)내의 원료가 굳어버리게 되면 상기 스파이럴(350)이 구동되어도 원료통(300)내의 원료투출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료가 투출되어도 적은양의 원료가 투출되므로 음료의 맛이 변하게 되어 이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파이럴의 구동에 의해 굳어있던 원료를 분쇄하기 위한 원료분쇄용막대가 원료투출구의 끝단부위에 설치되어져, 온수공급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상기 원료투출구내의 원료가 굳어있더라도 상기 스파이럴의 구동시 투출되는 원료덩어리가 상기 원료분쇄용막대에 의해 용이하게 분쇄됨으로써 원료통내의 원료가 상기 원료투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투출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료를 담아 저장하도록 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된 뚜껑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도록 된 케이스지지부재와, 이 케이스지지부재의 후부에 설치되어 인가된 전원을 매개로 작동되도록 된 모터와, 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도록 된 스파이럴과, 상기 케이스지지부재의 전방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이럴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내의 원료가 원료투출구를 통해 투출되도록 된 원료투출부재와,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케이스와 케이스지지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이럴과 더불어 회전되도록 된 회전판 및, 일측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됨은 물론 중간부위에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회전판과 더불어 작동되도록 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출구의 끝단부위에는, 상기 스파이럴의 구동과 더불어 상기 원료투출구내의 원료덩어리를 원료가루로 분쇄시키기 위한 원료분쇄용막대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원료통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원료투출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종래의 원료투출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원료통310 : 케이스
320 : 뚜껑330 : 케이스지지부재
340 : 모터350 : 스파이럴
360 : 원료투출부재365 : 원료투출구
370 : 회전판380 : 판스프링
381 : 절곡부400 : 원료분쇄용막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종래의 원료투출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와 정면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자동판매기의 일반적인 내부구조는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원료통(300)에 대해서만 도 2와 도 4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원료통(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를 담아 저장하도록 된 케이스(310)와, 이 케이스(310)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된 뚜껑(320)과,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10)를 지지하도록 된 케이스지지부재(330)와, 이 케이스지지부재(330)의 후부에 설치되어 인가된 전원을 매개로 작동되도록 된 모터(340)와, 이 모터(340)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도록 된 스파이럴(350)과, 상기 케이스지지부재(330)의 전방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이럴(350)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310)내의 원료가 원료투출구(365)를 통해 투출되도록 된 원료투출부재(360)와,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371)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케이스(310)와 케이스지지부재(3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이럴(350)과 더불어 회전되도록 된 회전판(370) 및, 일측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310)에 설치됨은 물론 중간부위에 일체로 형성된모양의 절곡부(381)가 상기 돌기(371)와 돌기(371)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370)의 회전시 작동되도록 된 판스프링(3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원료투출구(365)의 끝단부위에는, 상기 스파이럴(350)의 구동과 더불어 상기 원료투출구(365)내의 원료덩어리를 원료가루로 분쇄시켜 상기 원료투출구(365)의 밖으로 투출시키기 위한 원료분쇄용막대(40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의 판매가 인식되면 컵디스펜서(120)에서 한 개의 컵이 컵이송장치(130)로 투출됨과 더불어, 투출된 컵은 컵이송장치(130)에 의해 원료통(300)의 하측으로 회전이동된 후 상기 원료통(300)에서 투출되는 분말원료를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원료투출구(365)의 끝단부위에 원료분쇄용막대(400)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온수공급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상기 원료투출구(365)내의 원료가 굳어있더라도 상기 스파이럴(350)의 구동과 더불어 투출되는 원료덩어리가 상기 원료분쇄용막대(400)에 걸려 원료가루로 분쇄되어 상기 원료투출구(365)를 통해 용이하게 투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컵이송장치(130)에서 원료통(300)의 원료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컵이송장치(130)에 걸려있던 컵은 하측으로 자유낙하하게 되어 컵하우징(140)으로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컵하우징(140)에 내에 컵이 안착되면, 온수통에서 가열된 온수가 노즐(170)을 통해 상기 컵으로 분사되게 되고,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틱박스(150)내의 스틱이 상기 컵으로 투출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판매기의 이용자는 컵하우징(140)내의 컵을 음료구입구(21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꺼낸후, 스틱으로 원료와 온수를 충분히 혼합한 후 음료를 음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지지부재의 전면부위에 설치된 원료투출부재의 원료투출구내에는 일단이 모터와 결합됨은 물론 타단이 위치되도록 스파이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료투출구의 끝단부위에는 상기 스파이럴의 구동과 더불어 굳어있던 원료덩어리를 분쇄시키기 위한 원료분쇄용막대가 설치되어져, 온수공급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상기 원료투출구내의 원료가 굳어있더라도 상기 스파이럴의 구동과 더불어 투출되는 원료덩어리가 상기 원료분쇄용막대에 의해 용이하게 분쇄되므로, 원료통내의 원료가 상기 원료투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투출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원료를 담아 저장하도록 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된 뚜껑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도록 된 케이스지지부재와, 이 케이스지지부재의 후부에 설치되어 인가된 전원을 매개로 작동되도록 된 모터와, 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도록 된 스파이럴과, 상기 케이스지지부재의 전방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이럴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내의 원료가 원료투출구를 통해 투출되도록 된 원료투출부재와,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케이스와 케이스지지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이럴과 더불어 회전되도록 된 회전판 및, 일측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됨은 물론 중간부위에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회전판과 더불어 작동되도록 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출구의 끝단부위에는, 상기 스파이럴의 구동과 더불어 상기 원료투출구내의 원료덩어리를 원료가루로 분쇄시키기 위한 원료분쇄용막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KR2019970028916U 1997-10-17 1997-10-17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KR199900156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916U KR19990015605U (ko) 1997-10-17 1997-10-17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916U KR19990015605U (ko) 1997-10-17 1997-10-17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605U true KR19990015605U (ko) 1999-05-15

Family

ID=6969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916U KR19990015605U (ko) 1997-10-17 1997-10-17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60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3343A (en) Sanitary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6116460A (en) Vending machine
US4359935A (en) Apparatus for cooking and dispensing food
EP1690481B1 (en) Beverage dispenser
US4974751A (en) Dual coffee, cream or product dispenser assembly
JPH11513260A (ja) 砂糖菓子のための販売機
US20020152896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vending pasta and sauce with powdered sauce
KR19990015605U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KR19990015606U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JP2000315280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KR200159357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KR19990016411U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KR19990016410U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KR200162570Y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투출통
KR19990028110U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JP2001250162A (ja) 飲料調合装置
KR100277189B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 장치
KR19990004350U (ko) 자동판매기
KR19990028952U (ko) 자동판매기의 컵이송장치
KR100234642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판매 방법
KR200151839Y1 (ko) 자동판매기의 컵공급장치
KR200238056Y1 (ko) 자동판매기의원료혼합장치
KR100274438B1 (ko) 복합자동판매기
KR100224299B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KR19990035749U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