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224A - 가스 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224A
KR19990015224A KR1019970037191A KR19970037191A KR19990015224A KR 19990015224 A KR19990015224 A KR 19990015224A KR 1019970037191 A KR1019970037191 A KR 1019970037191A KR 19970037191 A KR19970037191 A KR 19970037191A KR 19990015224 A KR19990015224 A KR 1999001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s
subfield
driving
subfields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택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7003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224A/ko
Publication of KR1999001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224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방전 디스플레이 소자에 (Plasma Display Panels :PDP)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지 펄스(maintain pulse)사이에 원하는만큼의 어드레싱 펄스 (addressing pulse)와 스캔 펄스 (scan pulse)를 가함으로써 종래의 구동방법에서 어드레싱 피어리어드(Addressing period)로 인해 생기는 표시실시간(duty cycle)의 단축을 없애는 가스 방전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동방법은 어드레싱 피어리어드(Addressing period)와 메인트넌스 피어리어드(Maintenance Period)를 구분한 방법이어서 표시실시간의 단축을 야기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전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구동 라인에 수개의 블록을 형성해 제어하는 방식이 아니라 전 라인에 대해 각 서브필드를 순차적으로 가하여 상기 단점을 극복하였다.

Description

가스 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본 발명은 가스 방전 표시 소자에 (Plasma Display Panels :PDP)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지 펄스(maintain pulse)사이에 원하는만큼의 어드레싱 펄스(addressing pulse)와 스캔 펄스(scan pulse)를 가함으로써 종래의 구동방법에서 어드레싱 피어리어드(Addressing period)로 인해 생기는 표시실시간(duty cycle)의 단축을 없애는 가스 방전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가스방전 표시소자(PDP:Plasma Display Panel)의 구조도이다. 상기 구조는 크게 전면유리(16)부분과 배면유리(17)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전면유리(16)부분에는 전면유리(16)밑에 유전층(14)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유리와 유전층사이에 X 전극(12)과 Y 전극(13)이 서로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배면유리(17)쪽에는 배면유리(17)위쪽에 데이터전극(11)이 상기 X 전극(12)과 Y 전극(13)의 방향과는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전극(11)위에 유전층(14)이 형성되고 그 위를 다시 형광층(15)이 격벽(18)에 의해 데이터 전극(11)이 길이방향으로 분리된다. 상기 데이터 전극(11)과 Y 전극(13)간에 방전 개시전압 이상의 전압을 가하여 방전에 필요한 하전입자를 생성시킨다. 그리고 X 전극(12)과 Y 전극(13)사이에 유지전압을 가하여 방전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시키는 구조이다.
도 2는 X 전극(22)과 Y1,Y2,Y3,...,Yn-1,Yn의 Y 전극들과 A1,A2,A3,...Am 의 데이터 전극들이 서로 만나는 부분이 방전 셀(cell)(25)을 이루는 구성도이다.
도 3은 PDP를 구동하기 위한 종래의 서브필드(Subfield)(34)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나의 서브필드(Subfield)(34)는 어드레싱 피어리어드(Addressing Period)(34a)와 메인트넌스 피어리어드(Maintenance Period)(34b)로 구성된다. 256계조를 표시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8개의 서브필드(34)를 하나의 필드(field)로 구성해서 각각 서브필드(34)의 유지펄스(32a)비를1:2:4:8:16:32:64:128로 구성하여 0에서부터 255 까지의 256계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구동라인(driving line)의 갯수가 512일 경우에 종래에는 64개의 라인을 하나의 블록(block)으로 형성하여 구동을 하여 1개의 블록(block)이 구동을 할 때 나머지 7개의 블록은 구동을 하지않아 표시실시간(Duty Cycle)이 단축되어 휘도가 작아지는 것이 종래 PDP의 단점이었다.
상기 단점을 계산으로 풀어보면 서브필드 1의 유지펄스(34) 수를 1로 한다면 첫 번째 서브필드(34)에서부터 여덟 번째 서브필드(34)까지 1,2,4,8,16,32,64,128개의 유지 펄스(32a)를 갖게 된다.
상기 유지펄스(32a)의 총합은 255개로 되고 어드레싱 펄스(31a)의 합은 64개의 라인에 8개의 서브필드(34)만큼 곱하면 512개가 되어 상기 유지펄스(32a)와 어드레싱 펄스(31a)와의 합은 767개로 계산됨을 알 수 있다.
이를 다시 모든 블록에 대해 생각해보면 유지펄스(32a)와 어드레싱 펄스(31a)와의 합인 총 펄스의 개수는 767에 8개의 블록만큼 곱한 6136개이고, 실제 유지펄스(32a)의 개수는 1개의 블록만 동작하므로 255개뿐이다.
표시 실시간은 동작하는 유지펄스(32a)의 수를 총 펄스수로 나누면 되므로 약 0.0416 정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어드레싱(addressing) 시간을 두지않고, 서브필드는 유지펄스 사이에 어드레싱 펄스(41a)를 가하고, 선택적으로 스캔펄스를 가하도록 함으로써, 가스 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브필드는 Y 전극을 이용하여 소거펄스를 가해 종료된다.
도 1은 통상적인 PDP의 구조도
도 2는 PDP의 셀구성도
도 3는 종래 PDP 서브필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구동파형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31,41 : 데이터 전극 12,22,32,42 : X 전극
13,23,33,43 : Y 전극 14 : 유전층
15 : 형광층 16 : 전면유리
17 : 배면유리 18 : 격벽
25 : 방전 셀 34,44 : 서브필드
31a,41a : 어드레싱 펄스 32a,42a : 유지 펄스
33a,43a : 스캔 펄스 34b : 메인트넌스 피어리어드
34a : 어드레싱 피어리어드 43b : 소거 펄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필드를 구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중 첫번째 서브필드는 제1 표시전극과 제2 표시전극간에 일정한 주기로 유지펄스를 계속 가하면서 상기 유지펄스 중간에 선택적으로 스캔펄스를 가하는 단계(S1); 상기 제1 표시전극의 스캔펄스와 데이터 전극의 어드레싱 펄스를 방전개시전압 이상의 전위차를 갖도록 대응시켜 하전입자를 만들어 데이터를 기입하는 단계(S2); 상기 제1 표시전극에 소거펄스를 가함으로써 하전입자를 제거하여 방전을 멈추고 두번째 서브필드로 넘어가는 단계(S3); 및 상기 두번째 서브필드에서도 상기 첫번째 서브필드의 구동과정을 반복한후 다음 서브필드로 넘어가는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구동방법의 동작원리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X 전극(42)과 Y 전극(43)사이에 일정한 주기로 유지펄스(42a)를 가하면서 유지 펄스(42a)의 사이사이에 선택적으로 스캔펄스(43a)를 가한다.(S1)
2) 각각의 서브필드(44)가 시작될 때마다 Y전극의 스캔 펄스(43a)와 데이터 전극의 어드레싱 펄스(41a)를 대응시켜 하전입자를 형성하여 데이터(data)를 기입한다.(S2)
3) 필요한만큼의 유지펄스(42a)가 가해져서 서브필드가 종료할 시점에는 Y 전극(43)을 이용하여 소거펄스(43b)를 가해 하전입자를 제거함으로써 다음 서브필드(44)로 넘어가게 된다.(S3)
본 발명의 서브필드(44)의 유지펄스(42a)의 비율을 1:2:4:8:16:32:64:128로 구성하여 본 발명과 종래의 방법과의 표시실시간을 비교해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첫 번째 서브필드의 유지펄스 개수 본 발명의 구동방법 종래의 구동방법
표시실시간 표시실시간
1 256/(512*8*2) 0.031 256/[64*8+256)*8] 0.042
2 512/(512*8*2) 0.063 512/[64*8+512)*8] 0.063
4 1024/(512*8*2) 0.125 1024/[64*8+1024)*8] 0.083
8 2028/(512*8*2) 0.250 2028/[64*8+2028)*8] 0.100
16 4056/(512*8*2) 0.500 4056/[64*8+4056)*8] 0.111
상기 표 1은 구동 라인이 512개의 경우를 예시하였다. 종래의 방법은 64개 라인을 한 블록으로 구성한 것이며, 본발명의 방법은 블록을 형성하지 않고 모든 라인에 대해 8개의 서브필드(44)를 순차적으로 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실시간을 구하는 식을 설명하면 첫 번째 서브필드(44)의 유지펄스(42a) 수가 한 개일 경우에 8개의 서브필드(44)는 각각 1,2,4,8,16,32,64,128개의 유지펄스를 갖게 되고 총합은 255개가 된다.
512 라인에 대해서 8개의 서브필드(44)가 존재하게 되고 각 라인마다 스캔 펄스(43a)와 어드레싱 펄스(41a)가 가해지므로 총 펄스 수는 8192 (512*8*2) 개가 되고 표시 실시간은 유지 펄스(42a) 수를 총 펄스 수로 나누면 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계산으로 첫 번째 서브필드(44)의 유지펄스(42a) 수를 증가시켜 보면 4개부터는 본 발명의 표시실시간이 종래의 것보다 훨씬 커짐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첫 번째 서브필드(44)의 유지펄스(42a) 수를 4개 이상으로 한다면 표시실시간이 크게 향상되어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구동방법에서 어드레싱 피어리어드(Addressing period)로 인해 생기는 표시실시간(duty cycle)의 단축을 없앨 수 있다.
종래에는 전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구동 라인에 수개의 블록을 형성해서 제어해야 했으나, 본 발명은 전 라인에 대해 각 서브필드를 순차적으로 가하여 상기 단점을 극복하였다.

Claims (5)

  1. 다수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필드를 구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중 첫번째 서브필드는 제1 표시전극과 제2 표시전극간에 일정한 주기로 유지펄스를 계속 가하면서 상기 유지펄스 중간에 선택적으로 스캔펄스를 가하는 단계(S1);
    상기 제1 표시전극의 스캔펄스와 데이터 전극의 어드레싱 펄스를 방전개시전압 이상의 전위차를 갖도록 대응시켜 하전입자를 만들어 데이터를 기입하는 단계(S2);
    상기 제1 표시전극에 소거펄스를 가함으로써 하전입자를 제거하여 방전을 멈추고 두번째 서브필드로 넘어가는 단계(S3); 및
    상기 두번째 서브필드에서도 상기 첫번째 서브필드의 구동과정을 반복한후 다음 서브필드로 넘어가는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 가운데 최다의 유지필드를 가진 서브필드의 사이사이에 스캔펄스를 두고, 상기 스캔펄스를 이용하여 어드레싱을 하고, 그 이하의 유지펄스의 개수의 합으로 구성하고 서브필드의 유지펄스의 개수는 소거펄스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것이 특징인, 가스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에서 Y전극을 사용해서 소거펄스를 가하는 것이 특징인, 가스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식.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화면을 완성하기 위해 8개의 서브필드로 나누는 것이 특징인, 가스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서브필드로 나눌 때 필요한 펄스수는 1:2:4:8:16:32:64:128의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인, 가스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식.
KR1019970037191A 1997-08-04 1997-08-04 가스 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KR19990015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191A KR19990015224A (ko) 1997-08-04 1997-08-04 가스 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191A KR19990015224A (ko) 1997-08-04 1997-08-04 가스 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24A true KR19990015224A (ko) 1999-03-05

Family

ID=6600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191A KR19990015224A (ko) 1997-08-04 1997-08-04 가스 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2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621B1 (ko) * 2002-11-28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113A (ja) * 1994-01-11 1995-08-11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113A (ja) * 1994-01-11 1995-08-11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621B1 (ko) * 2002-11-28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3452B1 (en) Plasma display panel, method of driving same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3719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082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264462B1 (ko)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구동장치
EP0488891A2 (en) A method and a circuit for gradationally driving a flat display device
JP200228769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駆動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US6489939B1 (en)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 same
US6677921B2 (e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2003007412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9133B1 (ko)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인가전압의 설정방법,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표시 장치
JPH11265163A (ja) Ac型pdpの駆動方法
KR19990015224A (ko) 가스 방전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KR1004684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500215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298932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구동방법
KR19990031734A (ko)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구동회로
JP510795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62334B1 (ko) 교류형 플라즈마 표시패널 구동방법
KR20020086035A (ko) 2전극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65831A (ko)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9990065836A (ko)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