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159A - Engine Alph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 Google Patents

Engine Alph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159A
KR19990015159A KR1019970037071A KR19970037071A KR19990015159A KR 19990015159 A KR19990015159 A KR 19990015159A KR 1019970037071 A KR1019970037071 A KR 1019970037071A KR 19970037071 A KR19970037071 A KR 19970037071A KR 19990015159 A KR19990015159 A KR 19990015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neck area
driving
resonance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강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3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159A/en
Publication of KR1999001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159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흡기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공명장치에 관한 것으로,특히 두 개의 공명상자의 입구의 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엔진흡기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nance apparatus for reducing intake noise of an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gine intake noise reduction apparatus configured to vary an area of an inlet of two resonance boxes.

본 발명은 엔진과,공기청정기와,흡기관과,상기 흡기관에 설치된 공명상자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엔진알피엠 검출수단과; 두개의 서로 다른 부피를 갖는 공명상자와;상기의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조정하는 목면적 가변수단과;상기 목면적 가변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와;상기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검출하는 목면적 검출수단과;상기 엔진알피엠 검출수단과 상기 목면적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엔진알피엠이 상승할수록 상기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를 제공한다.An automobile having an engine, an air purifier, an intake tube, and a resonance box installed in the intake tube, comprising: engine oil detection means; A resonance box having two different volumes, a neck area varying means for adjusting a neck area of the resonance box,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neck area varying mean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evice so as to increase the neck area of the resonance box as the engine temperature rises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engine temperature detection unit and the neck area detec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take air amount of the engine.

Description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Engine Alph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엔진의 흡기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공명장치에 관한 것으로,특히 공명상자의 입구의 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엔진흡기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nance apparatus for reducing intake noise of an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gine intake noise reduction apparatus configured to vary an area of an inlet of a resonance box.

본 발명은 두 개의 공명상자를 설치하고,공명상자의 입구크기를 제어하여,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변화하는 흡기소음의 상태를 지시하는 엔진의 분당회전수(RPM)를 관찰하여,최적의 공명주파수대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알피엠연동형 흡기소음감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wo resonance boxes and controls the size of the inlet of the resonance box to observe the revolutions per minute (RPM) of the engine indicating the state of the intake noise varying with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And to provide an engine noise-canceling intake noise damping device capable of setting a frequency band.

종래의 자동차는 엔진의 흡기밸브 입구에서 실린더내로 흡입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바,이때의 소음은 엔진의 회전주파수와 관련을 가지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automobile, noise is generated by the flow of the fluid sucked into the cylinder at the intake valve inlet of the engine, and the noise at this time is related to the rotation frequency of the engine.

엔진흡기소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파수 성분은 엔진의 분당회전수가 1500 RPM 내지 6000 RPM 의 영역 즉,50Hz 내지 200Hz 로서 엔진의 현재 분당 회전수가 변화함에 따라 소음의 영역도 변화한다.The frequency component that occupies most of the engine intake noise varies in the range of the engine revolution per minute from 1500 RPM to 6000 RPM, that is, from 50 Hz to 200 Hz, and the range of the noise also changes as the engine revolutions per minute changes.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는 차량의 정숙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전술한 엔진의 흡기소음을 줄이고자 도 1과 같이 공기청정기의 입구의 흡기 덕트에 공명상자를 두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intake noise of the engine, the conventional automobile has a resonance box in the intake duct at the inlet of the air cleaner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improve the quietness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공명상자에서 주로 저감되는 소음의 주파수는 공명상자의 물리적구조에 따라 결정되며 관련식은 다음의 식에 의해 결정된다.Generally, the frequency of the noise, which is mainly reduced in the resonance box, is determined by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resonance box, and the related equation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이 때,상기 수학식 1에서 f 는 저감주파수, c 는 음속, S 는 공명상자의 입구의 목면적, L 은 공명상자 입구의 길이, V 는 공명상자의 부피이다.At this time, in Equation 1, f Is a reduced frequency, c However, S Is the neck area of the entrance of the resonance box, L The length of the resonance box inlet, V Is the volume of the resonance box.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공명상자를 설치 하지 않은 경우의 흡기소음과 설치한 경우의 흡기소음의 상태를 흡기소음의 주파수대역에 대하여 표시한 도면이다.2A and 2B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s of the intake noise when no conventional resonance box is installed and the state of intake noise when the resonance box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intake noise.

도 2b는 감쇠주파수를 120Hz로 한 경우로서 120 Hz에서의 소음레벨은 이론상 0이되지만 동시에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 소음을 감쇠시키지는 못하므로 다른 주파수 영역에서의 소음레벨은 그리 많이 감쇠 된다고 할 수 없다.FIG. 2B shows a case where the attenuation frequency is set to 120 Hz, and the noise level at 120 Hz is theoretically 0. However, since the noise can not be attenuated over several frequency bands at the same time, the noise level in other frequency ranges can not be attenuated much.

즉,자동차의 흡기소음은 엔진의 회전수가 변함에 따라 흡입되는 유량도 변화하고,이에 따라 유속도 변화 하므로 저감시켜야 할 주파수대도 변화하게 된다.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무시한 채,엔진의 전 회전속력대에서 소음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주파수를 선택하여 그 주파수를 저감시키도록 전술한 공명상자을 설계한다.In other words, the intake noise of a car changes with the change in the flow rate of the engine due to the change i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and accordingly the flow rate also changes, so that the frequency band to be reduced also changes. The resonance box described above is designed to reduce the frequency by selecting a frequency that occupies the largest portion of the noise at the rotational speed band.

따라서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소음의 주파수도 변화하므로 소음을 줄이는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Therefore, the frequency of the noise chang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so that the effect of reducing noise is relatively low.

결국 변화하는 엔진의 속력에 따라 현재 상태의 흡기소음을 저감시키는 데 가장 적합한 주파수대에 맞추어 공명상자에 어떤 변형을 가져오도록 할 요구가 있어 왔다.Ultimatel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certain resonance box to be brought to the resonance box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band that is most suitable for reducing the intake noise of the current stat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changing engine.

본 발명은 전술한 요구에 따른 것으로서,부피가 다른 두 개의 공명상자를 설치하고 그 입구인 목부위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변화하는 엔진의 분당 회전수에 따라 공명상자의 입구면적이 소음감쇠에 가장 적합하도록 제어하는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ne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two resonance boxes having different volumes and to change an area of a neck portion as an entrance thereof, And an intake air amount of the engine is controlled to be most suitable for attenuation.

도 1은 종래의 공명상자의 단면개략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resonance box

도 2a는 차량의 흡기소음레벨을 엔진알피엠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2A is a graph showing the intake noise level of a vehicle in accordance with engine engine

도 2b는 종래의 공명상자에의한 흡기소음저감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Fig. 2B is a graph showing the intake noise reduction state by the conventional resonance box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개의 공명상자를 지닌 흡기소음저감장치의 제어구동부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control driving unit of an intake noise reduction apparatus having two resonance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RPM연동형 흡기소음저감장치의 사용에 따른 흡기소음저감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4A is a graph showing the intake noise reduction stat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ngine RP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RPM연동형 흡기소음저감장치를 2단으로 제어한 경우의 흡기소음저감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4B is a graph showing the intake noise reduction state when the engine RP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in two stages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RPM연동형 흡기소음저감장치를 3단이상의 다단으로 구성한 경우의 흡기소음저감상태를 보여주는 도면FIG. 4C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ine RP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by three or more stages of intake air noise reduction states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두개의 공명상자를 구비한 흡기소음 저감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어입력부와 제어구동부의 상세도면FIG.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take noise reducing apparatus having two resonance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etailed drawing of a control input unit and a control drive unit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소음저감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면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take nois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5에 따른 실시예의 흡기소음저감장치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면이다.Fig. 7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control of the intake noise reduc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5; Fig.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흡기덕트 2:공명상자1: intake duct 2: resonance box

3:목 4,8:목면적 가변판3: Neck 4, 8: neck area variable plate

5,11:왕복로드 6:구동장치5, 11: reciprocating rod 6: driving device

12,12':위치검출스위치 14:제 1 가변판12, 12 ': position detection switch 14: first variable plate

15:제 2 가변판 27:구동모터15: second variable plate 27: drive motor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으로 엔진과,공기청정기와,흡기관과,상기 흡기관에 설치된 공명상자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엔진알피엠 검출수단과; 두개의 서로 다른 부피를 갖는 공명상자와;상기의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조정하는 목면적 가변수단과;상기 목면적 가변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와;상기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검출하는 목면적 검출수단과;상기 엔진알피엠 검출수단과 상기 목면적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엔진알피엠이 상승할수록 상기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를 제공한다.An automobile having an engine, an air cleaner, an intake tube, and a resonance box provided in the intake tube, comprising: engine oil detection means; A resonance box having two different volumes, a neck area varying means for adjusting a neck area of the resonance box,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neck area varying mean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evice so as to increase the neck area of the resonance box as the engine temperature rises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engine temperature detection unit and the neck area detec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take air amount of the engine.

바람직하기로는 상기의 제어장치는 엔진알피엠이 가능한 모든 영역을 2개 이상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적합한 소음감쇠주파수를 사전 설정하여 현재의 엔진알피엠이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여,적합한 감쇠주파수를 얻기위하여 상기의 구동장치를 구동하도록하는 제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Preferably, the control device divides all the possible areas of the engine engine into two or more sections, pre-sets an appropriate noise attenuation frequency in each section to determine which section of the current engine engine corresponds to which section,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a control device for driving the drive device to obtain the frequency of the intake air.

더욱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알피엠연동형 흡기소음저감장치는 엔진과,공기청정기와,흡기관과,상기 흡기관에 설치된 공명상자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엔진알피엠 검출수단과;두 개의 공명상자와;상기의 두 개의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조정하는 목면적가변판과;목면적가변판과 일체되어 왕복운동하는 왕복로드와;상기왕복로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와;상기 왕복로드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엔진알피엠이 가능한 모든 영역을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적합한 소음감쇠주파수를 사전 설정하여 현재의 엔진알피엠에 따라 사전 설정된 목면적이 되도록 상기의 구동장치를 구동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Further preferably, the engine-air-intake-type intake nois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ngine, an air purifier, an intake tube, and a resonance box provided in the intake tube, A resonance box, a neck area variable plate for adjusting the neck area of the two resonance boxes, a reciprocating rod reciprocatingly integrated with the neck area variable plate,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eciprocating ro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reciprocating ro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reciprocating ro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reciprocating ro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reciprocating rod, And a control device for driving the engine-driven intermittent intake noise canceling device for an automobi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의 구성및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 engine noise-coupled intake noise canc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일반적으로 공명장치의 입구의 단면적인 목면적의 크기와 흡기소음의 저감주파수와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neck area, which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of the resonance apparatus, and the reduction frequency of the intake nois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공명장치의 물리적 요소와 저감주파수와의 관계식은 이미 식 (1)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이때 저감주파수는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공명상자의 목면적의 제곱근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component of the resonator and the abatement frequency is already described in Eq. (1),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batement frequency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he neck area of the resonance box when the other conditions are constant.

상기 수학식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공명상자 목면적을 최소로 했을 때( S=s )의 감쇠주파수가 f 라면,목면적을 2배로 했을 때( S=2s )와 목면적을 4배로 했을 때( S=4s )의 감쇠주파수는 각각 약 1.4 f 2 f 가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quation (2), when the resonance box neck area is minimized S = s ) ≪ / RTI > f If you double your neck area ( S = 2s ) And the neck area is quadrupled ( S = 4s ) Are about < RTI ID = 0.0 > about & 1.4 f Wow 2 f .

따라서 기본 감쇠주파수를 100 HZ 라고 설정한다면, 입구의 목면적을 2배로하면 144 Hz가 감쇠주파수가 되고,입구의 목면적을 4배로 하면 200Hz가 감쇠주파수가 된다.Therefore, if the fundamental attenuation frequency is set to 100 HZ, doubling the neck area of the inlet will result in 144 Hz being the attenuation frequency, and quadrupling the entrance area will be the attenuation frequency of 200 Hz.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목면적을 가변함으로서 소음감쇠효과를 가변적으로 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noise attenuation can be varied by varying the neck area.

즉 엔진의 현재의 RPM을 검출하고 이에 적합한 현재의 목면적을 연산하여 목면적을 적합한 수단으로 가변할 수 있다면 이상적으로는 전체 RPM영역에서 엔진의 흡기소음을 감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if the current RPM of the engine is detected and the current neck area suitable for the current RPM is calculated and the neck area can be changed by an appropriate means, the effect of damping the intake noise of the engine in the entire RPM region can be obtained.

한편,엔진흡기소음 감쇠영역은 공명상자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므로 공명상자 1개로는 여러영역에 걸친 동시적인 감쇠효과를 얻을 수 없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ngine intake noise attenuation region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resonance box, a single resonance box can not attain the simultaneous attenuation effect over various regions.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흡기소음을 감쇠하는 공명상자를 두 개 설치한다면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f two resonance boxes for attenuating the engine intake noise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3, such conventional disadvantages can be overcome.

즉,두개의 공명상자의 형상 중 부피만을 다른 것으로 2개 설치하면 두 개의 공명상자 각각이 감쇠효과를 발휘하여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다 넓은 영역에서 감쇠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wo resonance boxes having different volumes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the two resonance boxes each exhibit a damping effect, so that a damping effect can be obtained in a wider area as shown in FIG. 4A.

다만,두 공명상자의 부피차이는 두 개의 공명상자에 의한 공명주파수의 차이( f )가 10Hz 정도가 되도록 하여 두 공명주파수사이의 비감쇠영역이 너무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difference in volume between the two resonance boxe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resonance frequency due to the two resonance boxes f ) Is about 10 Hz so that the non-attenuated region between the two resonance frequencies is not too large.

도 3은 전술한 원리를 이용하여 가변식 엔진흡기소음 감쇠장치를 구성한 것으로서,목면적 가변판(4)을 왕복운동시키면서 목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영역에서 흡기소음감쇠효과를 얻을 있으며 또한 부피가 다른 두 개의 공명상자(3)(3')를 사용함으로서 각 영역에서의 소음감쇠의 영역을 보다 넓일 수 있다.FIG. 3 shows a variable engine intake noise damping device using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The neck area can be varied while reciprocally moving the neck area variable plate 4, thereby attenuating the intake noise in various areas. By using two resonance boxes (3) and (3 ') having different volumes, it is possible to widen the area of attenuation of sound in each reg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전술한 구성의 두 개의 공명상자를 설치하고 공명상자의 입구인 목의 면적을 기본 및 2배의 2단으로 제어하는 경우의 제어작동부인 목면적 가변수단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resonanc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wo resonance boxe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installed and the neck area, which is the control operation part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neck area as the entrance of the resonance box, FIG.

실시예에 따르면,2개의 목입구를 개페하는 제1가변판(7) 및 제 2가변판(7')과 이들을 왕복운동시키도록 하는 왕복로드(11)를 포함도록 하며,왕복로드의 단부에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가 체결되고,이들은 모터(미도시됨)와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10)에 의해 동작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variable plate 7 and the second variable plate 7 'that open the two throat openings and the reciprocating rod 11 that makes them reciprocate are included, and at the end of the reciprocating rod,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are engaged, and these are operated by a motor (not shown) and a drive gear 10 that transmits power from the motor.

왕복로드에는 스위치형식의 위치검출센서(12)(12')(13)가 설치되어 현재의 위치를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witch-type position detection sensors 12, 12 ', 13 are provided on the reciprocating rod to transmit the current position to the control device.

도 7은 전술한 실시예의 제어작동부를 갖는 엔진알피엠연동형 흡기소음감쇠장치의 제어를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전술한 두 개의 상한 및 하한스위치형식으로 구성한 위치검출센서(12)(12')와 엔진알피엠센서를 제어입력부로한다.7 is a circuit diagram for controlling the engine noise-coupled intake-air noise damping device having the control operation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s 12 and 12 'configured by the above two upper limit and lower limit switch types, And an engine ALM sensor as a control input unit.

엔진알피엠센서로 부터의 입력값은 비교기에서 비교되어 엔진알피엠이 기준값이상이면 하이 신호(H)를 발신하고 그 이외에는 로우신호(L)를 발신한다.The input value from the engine ALM sensor is compared in the comparator, and when the engine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high signal (H) is emitted and the low signal (L) is emitted.

가령 현재의 엔진알피엠값이 비교기의 기준값보다 작은데도 상한스위치(12')가 온되어 있지 않다면 구동모터를 정회전시켜 왕복로드를 전진시키고, 반면 엔진알피엠값이 기준값보다 큼에도 하한스위치(12)가 온되어 있지 않다면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왕복로드를 후진시킨다.If the upper limit switch 12 'is not turned on even if the current engine air temperature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of the comparator, the drive motor is rotated forward to advance the reciprocating rod. On the other hand, The drive motor is reversed to reverse the reciprocating rod.

이 결과 엔진의 전 소음영역을 두 개로 나누는 것에 의해서 도 4b와 같은 흡기소음 감쇠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intake noise reduction effect as shown in FIG. 4B can be obtained by dividing the entire noise range of the engine into two.

한편 이러한 단계를 보다 여러구간으로 나누어 다단으로 구성한다면 도4c와 같은 소음감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보다 바람직하다.If this step is furth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composed of multiple stages, the noise attenuating effect as shown in FIG. 4C can be obtained.

전술한 실시예에서 구동장치로는 전기식을 사용하였으나 디지탈제어에 적합한 스텝모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전자석 등을 이용한 구동장치를 사용할 수 도 있다.Although electric motors are used as driving device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tep motors suitable for digital control or driv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s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위치검출센서로는 2단 구성에 적합한 스위치 형을 제시하였으나 가변저항형,광전형,압전형 등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switch type suitable for the two-stage configuration is proposed as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ny of a variable resistance type, a photoelectric type, and a piezoelectric type may be used.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위치검출센서를 이용하여 목면적을 간접적으로 구하였으나 이는 목부위의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지닌다는 가정하에서이고,다른 형상이라면 또 다른 방식으로 목면적을 직 간접적으로 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eck area is indirectly obtained by using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However, the neck area is assum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if the shape of the neck part is rectangular, the neck area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obtained .

연속적인 제어를 통하여 가능한 한 넓은 흡기소음영역에 걸친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한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탈제어방식이 적합하다.A digital control method using a microcomputer as shown in Fig. 6 is suitable for carrying out control over a wide range of intake noise as much as possible through continuous control.

도 6에 따른 제어에서 제어입력부는 목면적 검출수단(16) 및 엔진알피엠N검출센서이고,제어작동부는 목면적 가변수단(24)구동하는 구동장치이며,전자제어장치(19)는 사전에 엔진알피엠별로 적합한 목면적 설정되어있는 설정부(22)와,현재의 엔진알피엠 값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어영역을 결정하는 비교부(21),그리고 현재의 목면적과 비교하며 공명상자의 목면적이 사전에 구분 설정된 제어영역에 적합하도록 구동장치(23)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6, the control input section is a neck area detecting means 16 and an engine N N detecting sensor, and the control operating section is a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neck area varying means 24.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9 is an engine A comparator 21 for comparing a current engine arpeggio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a control region, and a comparator 21 for comparing the present engine arpeggieter with a current neck area, And a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23) so that the neck area is adapted to the previously set control area.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공명상자를 설치한 엔진알피엠연동형 흡기소음저감장치는 공명주파수 대역폭( f )이 크므로 전술한 연속제어의 경우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ngine noise-coupled intake noise reduction apparatus having two resonance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resonance frequency bandwidth f ), Which is larger than the case of the continuous control described abov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엔진알피엠을 검출하고 이에 적합한 소음감쇠주파수가 형성되도록 공명상자의 입구크기인 목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두 개의 공명상자를 이용하여 각 구간의 공명주파수 대역폭을 넓게 할 수 있게되어 높은 흡기소음감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It is possible to vary the neck area, which is the size of the inlet of the resonance box, so that the engine noise is detected and the appropriate noise attenuation frequency is formed, and the resonance frequency bandwidth of each section is widened by using two resonance boxes So that the effect of attenuating high intake noise can be obtained.

Claims (10)

엔진과,공기청정기와,흡기관과,상기 흡기관에 설치된 공명상자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1. An automobile having an engine, an air cleaner, an intake pipe, and a resonance box provided in the intake pipe, 엔진알피엠 검출수단과; 두개의 서로 다른 부피를 갖는 공명상자와;상기의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조정하는 목면적 가변수단과;상기 목면적 가변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와;상기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검출하는 목면적 검출수단과;상기 엔진알피엠 검출수단과 상기 목면적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엔진알피엠이 상승할수록 상기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Engine oil detection means; A resonance box having two different volumes, a neck area varying means for adjusting a neck area of the resonance box,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neck area varying mean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evice so as to increase the neck area of the resonance box as the engine temperature rises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engine temperature detection unit and the neck area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take air amount of the engine. 제 1항에 있어서,상기의 제어장치는 엔진알피엠이 가능한 모든 영역을 2개 이상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적합한 소음감쇠주파수를 사전 설정하여 현재의 엔진알피엠이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여,적합한 감쇠주파수를 얻기위하여 상기의 구동장치를 구동하도록하는 제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The control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ntrol device divides all the possible regions of the engine engine into two or more sections and pre-sets an appropriate noise attenuation frequency in each section to determine which section of the engine engine corresponds to which section , And a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drive device to obtain a suitable damping frequency. 제 1항에 있어서,목면적 가변수단은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기본,2배,4배의 3단계로 가변시키도록 기능하는 목면적 가변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The engine noise interlocking typ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neck area varying means is a neck area varying means that functions to vary the neck area of the resonance box in three stages of basic, double, and quadruple Abatement device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구동장치는 전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The intake-air nois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rive unit is a drive unit using an electromagnet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구동장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4. An engine noise cancel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apparatus is a drive apparatus including a step motor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구동장치는 직류모터를 이용한 구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4. The intake-pipe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rive unit is a drive unit using a DC motor 엔진과,공기청정기와,흡기관과,상기 흡기관에 설치된 공명상자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1. An automobile having an engine, an air cleaner, an intake pipe, and a resonance box provided in the intake pipe, 엔진알피엠 검출수단과;두 개의 공명상자와;상기의 두 개의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조정하는 목면적가변판과;목면적가변판과 일체되어 왕복운동하는 왕복로드와;상기왕복로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와;상기 왕복로드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엔진알피엠이 가능한 모든 영역을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적합한 소음감쇠주파수를 사전 설정하여 현재의 엔진알피엠에 따라 사전 설정된 목면적이 되도록 상기의 구동장치를 구동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 저감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eciprocating ro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eciprocating rod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ciprocating ro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reciprocating ro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reciprocating ro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reciprocating ro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reciprocating rod, And a control device for driving the drive device so as to have a neck area. 제 7항에 있어서,상기의 위치검출센서는 2개의 위치를 검출하는 2개의 스위치로 구성된 위치검출센서이고;제어장치에 설정된 구간은 2개 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엔진알피엠 연동형 흡기소음저감장치The engine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a position detection sensor composed of two switches for detecting two positions, and the interval set in the control device is two. Device 제 1항 내지 3항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의 두 개의 공명상자는 서로 밀착되어 설치된 공명상자이고,각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가변하는 목면가변판은 일체되어 제어되는 목면적가변판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엔진 RPM 연동형 흡기소음저감장치9. The resonance box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7, and 8, wherein the two resonance box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engine is an area variable plate. 제 1항 내지 3항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의 두 개의 공명상자는 서로 독립되어 설치된 공명상자이고,각 공명상자의 목면적을 가변하는 목면가변판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목면적가변판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엔진 RPM 연동형 흡기소음저감장치9. The resonator box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7, and 8, wherein the two resonance boxes are independent resonance boxes, Wherein the engine is an area variable plate.
KR1019970037071A 1997-08-02 1997-08-02 Engine Alph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KR199900151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071A KR19990015159A (en) 1997-08-02 1997-08-02 Engine Alph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071A KR19990015159A (en) 1997-08-02 1997-08-02 Engine Alph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159A true KR19990015159A (en) 1999-03-05

Family

ID=6600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071A KR19990015159A (en) 1997-08-02 1997-08-02 Engine Alph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1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6733A (en) Reson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0111336A2 (en) Reson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7334663B2 (en) Variable resonator
KR19990015159A (en) Engine Alph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DE60233428D1 (en) ENGINE CONTROL
KR19990015167A (en) Engine Alph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JPH057553B2 (en)
KR100680788B1 (en) Continuous variable induction system
KR100284124B1 (en) Variable resonance device for reducing intake noise
KR19980038642A (en)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engine
JPS60182348A (en) Suction noise reducer for engine
KR19990041127A (en) Frequency variable device and method of resonator
KR20000038553A (en) Resonance device of vehicle
JPH05257482A (en) Silencer for intake duct
KR19990049960A (en) Variable Helmholtz Resonators
KR19980035842A (en) Variable engin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for automobile
JPH06137363A (en) Engine mount
KR20020094753A (en) A variable resonator respondent to intake air temperature of engine
JPS59105958A (en) Resonator
KR20020038217A (en) Device for reducing inlet noise using Helmholtz resonator in vehicle
KR100187406B1 (en) Variable intake apparatus for a vehicle
KR19980046177A (en) Intake noise reduction structure
JPH033068B2 (en)
KR19990034307A (en) Resonator of intake cylinder for vehicle
KR970044565A (en) Structure of Variable Serg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