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117A -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117A
KR19990015117A KR1019970037022A KR19970037022A KR19990015117A KR 19990015117 A KR19990015117 A KR 19990015117A KR 1019970037022 A KR1019970037022 A KR 1019970037022A KR 19970037022 A KR19970037022 A KR 19970037022A KR 19990015117 A KR19990015117 A KR 1999001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station
party
base station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6451B1 (ko
Inventor
홍석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3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4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8Notifying a called subscriber of an incoming call during an ongoing call, e.g. Call Wa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화중일 때 제 3자로부터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는 통화 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화중 제3자의 착신 전화 알림 방법은 디지탈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이동국이 제2 이동국과 통화중일 때, 제3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제1 이동국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를 요구하면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이동국의 통화기간 중 통화음성이 없는 기간에 상기 제3 이동국의 전화번호를 문자데이터로 상기 제1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 디지탈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이면 기지국이 수신단말기로 사일런스 구간에 제3송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므로서 제3자로부터 전화가 왔음을 알려줄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본 발명은 디지탈 이동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통화중일 때 제 3자로부터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는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의 발달에 따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GMS(Globle System for Telecommunication)방식 등을 이용한 디지탈 전화가 일반화되었다. 이 디지탈 전화는 음성 전송에 더불어 문자 전송도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전화 시스템 중 기지국과 이동국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의 이동 전화 시스템은 디지탈 전화 단말기에 해당하는 다수의 이동국들(MS1 내지 MS3)과, 이동국들(MS1 내지 MS3) 사이의 통화 연결을 담당하는 기지국(2)을 구비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동 전화 통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1에서 제3 이동국(MS3)에서 제1 이동국(MS1)와 전화 통화를 위해 해당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기지국(2)에 전송한다. 단계 2에서 기지국(2)은 제1 이동국(MS1)이 통화중인가를 확인한다. 상기 2단계에서 제1 이동국(MS1)이 통화중이 아니면, 단계 4에서 기지국(2)이 이동국(MS1)에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고 통화가 가능토록 통화로를 연결하고, 단계 5에서 제3 이동국(MS3)과 제1 이동국(MS1)은 전화 통화를 한다.
한편, 상기 2단계에서 제1 이동국(MS1)이 통화중이면, 단계 3에서 기지국(2)은 전화 송신측, 즉 제3 이동국(MS3)에게 통화중(Busy) 신호를 전달하여 통화할 수 없음을 알리고 끝낸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전화 통화 방법은 상대방이 통화중이면 전화 송신측은 상대방의 전화 통화가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기지구을 통하여 다시 통화 요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중일 때도 제3자로부터 전화가 왔음을 알려줄 수 있는 통화중 제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의 관계를 보인 도면.
도 2는 통상의 이동전화 통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지국의 문자 데이터 전송 구간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디지탈 전화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기지국MS1, MS2, MS3:이동국
10:RF부12:음성 디코딩부
14:문자 디코딩부16:메모리
18:부저(Buzzer)20:디스플레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제3자의 착신 전화 알림 방법은 디지탈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이동국이 제2 이동국과 통화중일 때, 제3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제1 이동국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를 요구하면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이동국의 통화기간 중 통화음성이 없는 기간에 상기 제3 이동국의 전화번호를 문자 데이터로 상기 제1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과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통상의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지국으로부터의 문자 데이터 전송 구간을 보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통화 기간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일런스(Silince) 구간과 (Talk) 구간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여, 전화 통화 기간에는 통화 음성이 있는 구간과 통화 음성이 없는 구간이 존재한다. 그리고, CDMA 방식, GSM 방식 등의 디지탈 전화는 음성과 문자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중 제 3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기지국(2)에서 통화구간 중의 사일런스 구간에 송신자, 즉 제 3자의 전화번호를 수신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탈 전화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써, 디지탈 전화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고주파(RF) 신호를 입력하는 RF부(10)와, RF부(12)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디코딩부(12)와, RF부(12)로부터의 문자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20)나 메모리(16)로 출력하는 문자 디코딩부(14)를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를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10에서 제3 이동국(MS3)에서 전화 통화를 하고자하는 제1 이동국(MS1)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기지국(2)으로 전송한다. 단계11에서 기지국(2)은 제1 이동국(MS1)의 통화를 요구하는 제1 이동국(MS1)이 통화중인가를 확인한다.
상기 11단계에서 제1 이동국(MS1)이 통화중이 아니면, 단계 14에서 기지국(2)이 제1 이동국(MS1)에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고 통화가 가능토록 제3 이동국(MS3)과 제1 이동국(MS1) 간의 통화로를 연결하고, 단계15에서 제3 이동국(MS3)과 제1 이동국(MS1)은 전화 통화를 한다.
한편, 상기 11단계에서 제1 이동국(MS1)이 예를 들어, 제2 이동국(MS2)과 통화중인 경우 단계 12에서 기지국(2)은 제1 이동국(MS1)과 제2 이동국(MS2)의 통화구간 중에서 통화음성이 없는 사일런스 구간을 인식한다. 12단계에서 사일런스 구간이 인식되면, 단계 13에서 기지국(2)은 제1 이동국(MS1)에 송신측, 즉 제3 이동국(MS3)의 전화번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1 이동국(MS1)은 기지국(2)으로부터 수신된 고주파 신호에서 문자 데이터를 구분 및 인식하여 이 문자 데이터를 통화중에 LCD(Lig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화면에 직접 표시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해두었다가 제1 이동국(MS1)의 사용자가 원할 때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제1 이동국(MS1)은 통화중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기 위한 부저(Buzzer) 또는 LED(Light-emitting Diode)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제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에 의하면, 통화하고자하는 상대 디지탈 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이면 기지국에서 상대 단말기의 사일런스 구간에 제3송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므로서, 통화중인 상대 단말기에 전화가 왔음을 알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6)

  1. 디지탈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이동국이 제2 이동국과 통화중일 때, 제3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제1 이동국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를 요구하면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이동국의 통화기간 중 통화음성이 없는 기간에 상기 제3 이동국의 전화번호를 문자데이터로 상기 제1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제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를 검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제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은 상기 문자 데이터를 직접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제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은 상기 문자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제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은 사용자에게 부저를 사용하여 제3자로부터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제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은 사용자에게 발광소자를 사용하여 제3자로부터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제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KR1019970037022A 1997-08-01 1997-08-01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KR10028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022A KR100286451B1 (ko) 1997-08-01 1997-08-01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022A KR100286451B1 (ko) 1997-08-01 1997-08-01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117A true KR19990015117A (ko) 1999-03-05
KR100286451B1 KR100286451B1 (ko) 2001-04-16

Family

ID=3751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022A KR100286451B1 (ko) 1997-08-01 1997-08-01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64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12B1 (ko) * 1999-06-2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무선단말기의 통화중상태 알림방법
KR100641147B1 (ko) * 2004-04-07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중 서비스 방법
KR100716923B1 (ko) * 2005-07-22 2007-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중 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51082B1 (ko) * 2005-11-28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교환국 그리고 그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받아처리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58872B1 (ko) * 2003-05-14 2010-05-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중 발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364B1 (ko) 2004-08-03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착신 알림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587B1 (ko) * 1992-12-14 1995-10-19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12B1 (ko) * 1999-06-2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무선단말기의 통화중상태 알림방법
KR100958872B1 (ko) * 2003-05-14 2010-05-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중 발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41147B1 (ko) * 2004-04-07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중 서비스 방법
KR100716923B1 (ko) * 2005-07-22 2007-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중 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51082B1 (ko) * 2005-11-28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교환국 그리고 그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받아처리하는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6451B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777B1 (ko) 전화기에 있어서 선택적 통화 방법
KR920005907B1 (ko) 코드레스 전화기의 제어방법
EP1408711B1 (en) Wireless telephone and wireless telephone system
KR100286451B1 (ko)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KR1004501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KR100310846B1 (ko) 이동통신교환국에의한휴대용무선전화기착신거부서비스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KR10105826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 콜 차단방법
KR100288357B1 (ko) 휴대용전화단말기에서착신시안내방법
KR100831986B1 (ko) 다양한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 시스템 및방법
KR100407350B1 (ko)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100291479B1 (ko)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KR20010018704A (ko) 휴대폰의 메시지 자동 전송방법
KR100651937B1 (ko) 두 개의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3748329B2 (ja) 無線通信機
KR10111927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자 상황 표시 방법
KR20020040831A (ko) 통화 수락 전에 통화 통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장치
KR100194418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 국선 착신 응답 방법
KR100485076B1 (ko) 발신 단말기의 통화연결음 알람방법
KR20020021474A (ko) 회의 모드시 휴대폰과 이동교환국의 착신 호 처리방법
KR100521041B1 (ko) 휴대폰 재시작에 대한 정보 제공방법
KR2001004908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에게 수신자의 수신여부상태를 알려주는 방법
KR0155631B1 (ko) 키폰시스템의 호 서비스방법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