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494U - 비료 살포기 - Google Patents

비료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494U
KR19990014494U KR2019970027651U KR19970027651U KR19990014494U KR 19990014494 U KR19990014494 U KR 19990014494U KR 2019970027651 U KR2019970027651 U KR 2019970027651U KR 19970027651 U KR19970027651 U KR 19970027651U KR 19990014494 U KR19990014494 U KR 199900144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hole
spreader
clos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이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규 filed Critical 이원규
Priority to KR2019970027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494U/ko
Publication of KR19990014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494U/ko

Links

Landscapes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료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즉, 비료가 수용된 호퍼 하부의 배출관과 펌프관 사이에는 플랙시블한 호스로 연결하고 상기 펌프관으로 유입된 비료는 펌프관 내부에 임시 저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작동되는 살포기몸통에 의해 배급판의 깔대기구멍으로 담아져 있던 비료가 살포기몸통 하부로 낙하되고 살포기몸통을 상측으로 복귀시킬 때에는 하부에 형성된 비료배출공으로 비료가 배출됨으로서, 수개의 가지식물에 일정한 양의 비료를 정확하게 살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료 살포기
일반적으로 비료는 질소, 인산, 칼리 성분 등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은 비료를 시비(施肥)할 때에는 일정양을 고르게 살포해야하는데, 기존에는 일정양을 살포하는 기계가 없어, 눈대중으로 살포하였다.
따라서 어느 부분에서는 많은 양이 또한 어느 부분에서는 적은양이 살포되는 결과로 살포의 불균형이되고 이에 따른 식물의 수확이 제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비료가 수용된 호퍼 하부의 배출관과 펌프관 사이에는 플랙시블한 호스로 연결하고 상기 펌프관으로 유입된 비료는 펌프관 내부에 임시 저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작동되는 살포기몸통에 의해 배급판의 깔대기구멍으로 담아져 있던 비료가 살포기몸통 하부로 낙하되고 살포기몸통을 상측으로 복귀시킬 때에는 하부에 형성된 비료배출공으로 비료가 배출됨으로서, 수개의 가지식물에 일정한 양의 비료를 정확하게 살포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 (가)(나)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의 경우에는 손잡이로 펌프관을 압압하면 배급판에 의해 비료가 살포기몸통하부로 낙하되는 것이며,
(나)의 경우에는 펌프관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의 압압힘을 상실시킨 상태에서 비료배출공으로 비료가 지면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퍼2 : 배출관
2' : 개/폐밸브3 : 펌프관
3a : 소경파이프3b : 손잡이
3c : 너트3d : 눈금판
4 : 호스5 : 살포기몸통
5a : 수나사5a' : 걸림턱
5b : 격벽 5c : 안내공
5d : 구멍5e : 개/폐봉
H : 비료저장실6 : 슬라이드홈
6a,6b : 안내돌기7 : 배급판
7a : 깔때기구멍7b : 장방형구멍
8 : 마감캡8' : 격판
9 : 하부캡9a : 나사공
9b : 원판9c : 간격홈
9d : 비료배출공10 : 인장스프링
11 : 스토퍼볼트12 : 차단판
13 : 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가)(나)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의 경우에는 손잡이로 펌프관을 압압하면 배급판에 의해 비료가 살포기몸통하부로 낙하되는 것이며, (나)의 경우에는 펌프관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의 압압힘을 상실시킨 상태에서 비료배출공으로 비료가 지면으로 배출되는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료 원료가 수용된 호퍼(1) 하부에는 배출관(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의 일측에는 배출되는 비료를 개방하거나 폐방시키는 개/폐밸브(2')를 형성하며, 그 배출관과 펌프관(3) 상부에 형성된 소경파이프(3a)사이에는 플랙시블한 호스(4)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관의 상부에는 펌프관을 하측으로 압압할 수 있는 손잡이(3b)을 형성하고, 상기 펌프관 끝단의 너트(3c)는 살포기몸통(5)의 중앙에 형성된 수나사(5a)와 체결하여 그 내부가 비료저장실(H)로 형성케하며, 그 비료저장실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눈금판(3d)을 펌프관 일측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살포기몸통의 상부에 형성된 격벽(5b)일측면에는 안내돌기(6a)(6b)를 갖는 슬라이드홈(6)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안내돌기 사이 공간에는 비료를 일정량 배급하게 되는 깔때기구멍(7a)을 갖는 배급판(7)을 삽입하되 상기 배급판의 하부에는 장방형구멍(7b)은 살포기몸통의 일측에 종으로 천공된 안내공(5c)과 일치하는 지점에 정지되며, 상기 격벽 타측면에 천공된 구멍(5d)은 상기 펌프관에서 유입된 비료를 상기 깔때기구멍에 담아지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을 마감하는 마감캡(8)내향 일측에 형성된 격판(8')은 상기 깔때기구멍에 담겨진 비료가 격판 상부에서 낙하되도록 하며, 상기 수나사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5a')과 하부캡(9)상단사이에는 인장스프링(10)이 탄설되고 상기 하부캡에 일측의 나사공(9a)에는 스토퍼볼트(11)가 체결되어 상기 안내공(5c)과 장방형구멍(7b)까지 관통되며, 상기 하부캡의 하부에 형성된 원판(9b) 일측에는 식물줄기와 비료가 일정한 거리에서 살포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홈(9c)을 형성하고 하부캡 끝단에 천공된 비료배출공(9d)에는 상기 살포기몸통 하부에 돌출된 개/폐봉(5e)이 출입구가 되며, 상기 비료배출공 주변의 여유공간으로 비료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판(12)이 볼트(13)로 체결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배출관(2) 일측에 형성된 개/폐밸브(2')를 폐방한 상태에서 호퍼(1) 내부에 비료를 가득담게 된다. 이어서 배출관과 펌프관(3) 사이를 호스(4)로 연결한 상태에서 개/폐밸브를 개방하게되면 호퍼에 있던 비료가 배출관을 통과하여 펌프관으로 유입되고 펌프관으로 유입된 비료는 비료저장실(H)에 임시 보관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눈금판(3d)으로 비료저장실에 저장된 비료가 어느정도 수용되어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료가 비료저장실에 있는 상태에서 살포기몸통(5)하부에 형성된 간격홈(9c)은 식물가지가 삽입되고 살포기몸통의 하부에 돌출된 비료배출공은 지면에 닿도록 한다. 그 후 손잡이(3b)를 이용하여 펌프관(3)을 하측으로 압압하면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관은 인장스프링(10)을 이기고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배급판(7)은 스토퍼볼트(11)에 의해 고정되지만 하측으로 이동하는 저장실(H)에 의해 비료가 자동적으로 깔때기구멍(7a)으로 담게되는 것이다.
이때 마감캡(8) 내향에 형성된 격판(8')에 의해 깔때기구멍에 있던 비료는 살포기몸통 하부로 비료가 낙하되는 차단하다가 계속 하측으로 이동되는 비료저장실이 격판 상단까지 도달하게되면 깔때기구멍에 담겨진 비료가 살포기몸통 하부로 낙하됨과 동시에 살포기몸통 하부에 돌설된 개/폐봉(5e)은 비료배출공(9d)을 임시 폐방하게된다.
이와 같이 비료가 살포기몸통(5)하부에 일정양이 모여있는 상태에서 펌프관(3)을 압압하던 손잡이(3b)힘을 상실시키면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10)의 탄발에 의해 펌프관과 살포기몸통(5)이 상측으로 복귀됨과 동시에 살포기 몸통 내부에 있는 비료저장실(H) 또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마감캡(8)에 형성된 격벽(8')은 비료저장실(H)일측을 차단하게 되며, 개/폐봉(5d)은 비료배출공(9d)을 개방시킨다.
이어서 살포기몸통(5)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 비료배출공(9d)으로 비료가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정양의 비료를 식물줄기에 살포함으로서, 수개의 식물이 일률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주며, 불필요한 비료가 낭비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비료를 각종 가지식물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띄운 상태에서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비료가 수용된 호퍼 하부에 개/폐밸브를 갖는 배출관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관과 펌프관 상부에 형성된 소경파이프 사이를 호스로 연결되며, 상기 펌프관의 상부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관 끝단의 너트와 살포기몸통 중앙에 형성된 수나사와 체결하여 그 내부가 비료저장실로 형성케하며, 상기 비료저장실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눈금판을 상기 펌프관 하부 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살포기몸통 상부에 형성된 격벽 일측면에는 양측으로 안내돌기를 갖는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안내돌기 사이 공간에는 깔때기구멍이 천공된 배급판을 삽입하되 상기 배급판의 하부에 천공된 장방형구멍은 살포기몸통의 일측에 천공된 안내공과 일치하는 지점까지 위치하며, 상기 격벽 타측면에 상기 깔때기구멍에 담아지도록 하는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을 마감하는 마감캡이 슬라이드식로 삽입되고 상기 마감캡의 내향 일측에 형성된 마감캡은 상기 깔때기구멍에 담겨진 비료가 격판 상부에서 낙하되도록 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나사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하부캡상단 사이에는 인장스프링이 탄설되고 상기 하부캡에 일측의 나사공에 스토퍼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안내공과 장방형구멍 까지 관통되며, 상기 하부캡의 하부에 형성된 원판 일측에 식물줄기와 비료가 일정한 거리에서 살포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홈을 형성하고 상기 살포기몸통 하단에 개/폐봉은 하부캡 끝단에 천공된 비료배출공을 개방하거나 개방시키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비료배출공 주변의 여유공간으로 비료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판이 볼트로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살포기.
KR2019970027651U 1997-10-06 1997-10-06 비료 살포기 KR199900144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651U KR19990014494U (ko) 1997-10-06 1997-10-06 비료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651U KR19990014494U (ko) 1997-10-06 1997-10-06 비료 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94U true KR19990014494U (ko) 1999-05-06

Family

ID=6969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651U KR19990014494U (ko) 1997-10-06 1997-10-06 비료 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4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011B1 (ko) * 2013-03-28 2013-09-03 송대환 다용도 살포기
CN116420452A (zh) * 2023-06-01 2023-07-14 东北农业大学 松土与施肥一体组合式作业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011B1 (ko) * 2013-03-28 2013-09-03 송대환 다용도 살포기
CN116420452A (zh) * 2023-06-01 2023-07-14 东北农业大学 松土与施肥一体组合式作业器
CN116420452B (zh) * 2023-06-01 2023-10-03 东北农业大学 松土与施肥一体组合式作业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5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a fertilizer, pesticide, fungicide, herbicide, insecticide, chemical, or the like material for dispensing above or below a soil surface
DE60101374T2 (de) Behälter für die Kultivierung von Pflanzen
US5170729A (en) Fertilizer dispenser with closure at pointed tip
US4246854A (en) Fertilizer injector tool
US75684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ensing a fertilizer, pesticide, fungicide, herbicide, insecticide, chemical, or the like material
US5178181A (en) Fertilizer dispenser
US7441369B1 (en) Device for efficiently dispensing fertilizer and other chemicals to the roots of a plant
KR19990014494U (ko) 비료 살포기
US4898202A (en) Fertilizer container for sprinkler system
US20200077606A1 (en) Self-watering planter
US5692338A (en) Water spike
GB2250171A (en) Plant pot
EP0245246A1 (de) Einrichtung zur steuerung der wasserzufuhr von pflanzen.
US4047642A (en) Spraying device
JP2587220Y2 (ja) 植木用の水等供給装置
US2948238A (en) Fluid injection device
KR101177676B1 (ko) 식물 재배기
KR102118416B1 (ko) 수목용 물주머니
RU2202174C1 (ru) Капельница
KR950004954Y1 (ko) 비닐하우스용 비료 정량투입기
US2713834A (en) Sub-irrigation and fertilizing device
US6003741A (en) Quantizer and dispenser of plant-growers' materials
CN106471959B (zh) 用于桃子播种的点种装置
KR19990004660U (ko) 비료 주입기
KR20030018716A (ko) 점파식 비료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