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253U -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253U
KR19990014253U KR2019980026719U KR19980026719U KR19990014253U KR 19990014253 U KR19990014253 U KR 19990014253U KR 2019980026719 U KR2019980026719 U KR 2019980026719U KR 19980026719 U KR19980026719 U KR 19980026719U KR 19990014253 U KR19990014253 U KR 199900142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passenger car
sides
fixed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수
Original Assignee
강병도
이복수
아시아붸크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도, 이복수, 아시아붸크 유한회사 filed Critical 강병도
Priority to KR2019980026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253U/ko
Publication of KR19990014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253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응차의 후미에 소형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것으로, 견인중이나 제동시에 연결부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승용차 후미의 프레임 양측에 볼트로 고정되며 앞판과 뒷판 그리고 측판을 가진 양측의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양측 사이에 고정되며 일측에 브레이크등 및 전원 등의 전선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부착된 봉체와, 상기 봉체의 중간 하부로 양측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며 전방에 볼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구멍이 있고 외부로 조립용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 내부로 일측단이 끼워지고 볼베어링과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타측단에 트레일러의 훅(hook)과 결합시키기 위한 구형상의 고정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
본 고안은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용차의 후미에 화물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트레일러를 연결한 채로 운행할 수 있도록 승용차에 고정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승용차에 적재가 불가능한 소형화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화물차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화물차를 소지하거나 화물운반 전문업체에 의하지 아니하면 화물운반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상기 화물차는 화물운반을 전문으로 하되, 승용차에 비해 탑승인원이 적고 승차감과 기동력이 떨어지는 등 승용차와 화물차는 각각 분리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중소 상공인 및 자영업자들의 대부분은 승용차와 화물차 2대를 소유하는 비경제적인 폐단이 있다.
특히, 자동차 보급률과 도로체증이 높은 반면 자동차 연료를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실정으로 보아 소형화물차의 보급보다 이를 대치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동차안전규정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여 총 중량이 3.5톤 이하의 트레일러에 관성브레이크 장치를 장착한 소형트레일러는 일반 승용차에 견인할 수 있도록 하고, 750킬로그램까지는 브레이크장치를 장착하지 않아도 견인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승용차에 트레일러를 견인하는 목적을 가진 연결장치는 아주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승용차의 후미에 소형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견인중이나 제동시에 연결부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승용차 후미의 프레임 양측에 볼트로 고정되며 앞판과 뒷판 그리고 측판을 가진 양측의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양측 사이에 고정되며 일측에 브레이크등 및 전원 등의 전선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부착된 봉체와, 상기 봉체의 중간 하부로 양측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며 전방에 볼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구멍이 있고 외부로 조립용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 내부로 일측단이 끼워지고 상기 볼베어링과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타측단에 트레일러의 훅(hook)과 결합시키기 위한 구형상의 고정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승용차의 후미에 트레일러의 연결장치가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승용차에 장착된 연결장치에 있어서 연결고리 부분의 중앙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승용차에 장착된 연결장치에 있어서 범퍼와 고정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봉체 12 : 브라켓
14 : 프레임 20 : 고정체
30 : 연결고리 32 : 고정구
36 : 볼베어링 40 : 체결구
50 : 범퍼 110 : 프레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승용차용 트레일러의 연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승용차 후미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양측 고정체(20)와, 상기 고정체의 양측 사이에 고정되는 봉체(10)와, 그리고 연결고리를 탈 부착시키는 체결구(40)와, 상기 체결구와 조립되며 트레일러의 훅(hook)을 연결시키는 연결고리(30)로서 크게 구분된다.
먼저, 고정체(20)를 승용차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승용차(100)의 후미 프레임(110)의 양측으로 소정의 구멍(112)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고정체(20)는, 앞판(22)과 뒷판(24)의 형상이형태로서 앞판(22)에는 볼트(26)가 끼워지고 상기 프레임(110)의 구멍(112)에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고정체(20)의 내측으로 측판(16)을 부착하고 양 측판(16)사이에 원형 또는 사각의 봉체(10)가 고정되는데, 봉체(10)의 일측 하부에는 트레일러의 후미에 부착되는 브레이크등 및 후미등으로 연결되는 전선연결용 커넥터(18)가 프레임(1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봉체(10)의 중간하부로 양측의 브라켓(12)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2)사이에는 핀(12a)에 의해 체결구(40)가 조립되는데, 상기 체결구(40)의 내부로는, 상향으로 굴곡되면서 상단에 트레일러의 훅(hook)을 연결하기 위한 구 형상의 고정구(32)가 있고, 중간부분에 단면이 반원형의 홈(34)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고리(30)가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40)와 연결고리(30)를 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연결고리(30)의 홈(34)과 동일한 원주상 위치의 체결구(40)에 소정의 구멍(44)들이 있고 상기 구멍(44)으로 볼베어링(36)을 끼워 연결고리(30)의 홈(34)에 안치되게 하며 체결구(40)의 외부로 너트(46)를 조립한다.
상기 너트(46)가 체결구에 조립되었을 시, 너트(46)의 내부 일부분이 상기 볼베어링(36)을 커버하게 되며 손으로 쉽게 돌려 조이거나 풀 수 있는 나비너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립된 체결구(40)와 연결고리(30)는 브라켓(12)의 핀(12a)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됨으로서 트레일러와 연결시에만 후방의 수평으로 회전시켜 외부로 돌출 되게되고 항상 아래로 향할 수 있게 되는데 연결장치를 사용치 않을 때는 본체(200)로부터 연결고리(30)를 분리해 놓을 수도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승용차의 후미에 조립된 연결장치 본체(200)의 외부로 범퍼(50)가 장착되는데, 범퍼(50) 내부의 결착대(54)가 고정체(20)의 뒷판(24)에 체결되게 하고, 본체(200)의 커넥터(18)와 연결고리(30)부분의 범퍼(50)에 각각의 요입홈(52,52a)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용차 후미 범퍼(50)내부에 장착된 본체(200)가 범퍼에 의해 숨겨진 상태로서 외부로 돌출 됨이 없이 일반적인 승용차와 동일하게 운행이 되며 트레일러와 연결코자 할때, 본체(100)의 연결고리(30)를 범퍼(50)내부로 삽입하여 트레일러의 훅과 조립된다.
상기 트레일러의 훅은 연결고리(30)의 상단 고정구(32)를 감싸며 2개로 분리되어 볼트로 조립되게 한 통상의 구성으로 본 고안 설명에서는 생략되었다.
또한 트레일러 후미에 있는 브레이크등 및 후미등은 견인하는 승용차의 점등상태와 동일하게 작동되도록 연결전선 케이블이 본체(200)의 커넥터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으로 상기 트레일러의 각종 등은 점등과 소등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 승용차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장비 없이도 쉽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트레일러를 견인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연결부분의 분리현상이 거의 없이 견고하다.
따라서 본 고안을 장착한 승용차는 소형화물차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 어촌에서는 활어운반용, 농촌에는 각종 작물의 이송용, 등과 같은 적당한 트레일러만 구입하면 고가의 소형화물차를 구입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도로교통 체증 및 연료절감에서 커다란 효과가 있음이 예상된다.

Claims (1)

  1. 승용차 후미의 프레임 양측에 볼트로 고정되는 양측의 고정체와;
    상기 양측의 고정체 사이에 고정되며 일측에 브레이크등 및 전원 등의 전선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부착된 봉체와;
    상기 봉체의 중간 하부로 양측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며 전방에 볼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구멍이 있고 외부로 조립용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 내부로 일측단이 끼워지고 상기 볼베어링과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타측단에 구형상의 고정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
KR2019980026719U 1998-12-22 1998-12-22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 KR199900142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19U KR19990014253U (ko) 1998-12-22 1998-12-22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19U KR19990014253U (ko) 1998-12-22 1998-12-22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253U true KR19990014253U (ko) 1999-04-26

Family

ID=6950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719U KR19990014253U (ko) 1998-12-22 1998-12-22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25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523B1 (ko) * 2002-11-20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일러 토잉바의 장착구조
KR101404908B1 (ko) * 2012-11-22 2014-06-09 맹은정 후면범퍼의 하부(下部)에 장착되는 트레일러 견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523B1 (ko) * 2002-11-20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일러 토잉바의 장착구조
KR101404908B1 (ko) * 2012-11-22 2014-06-09 맹은정 후면범퍼의 하부(下部)에 장착되는 트레일러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9111A (en) Hidden trailer hitch
US7258359B2 (en) Trailer hitch assembly
US5873595A (en) Tow bar assembly
US5306037A (en) Mobile home trailer under-vehicle hitch
US9067468B2 (en) Underbed hitch mounting system
AU2005318490B2 (en) System for connecting supply lines
US7793968B1 (en) Integrated support structure for either a fifth wheel hitch or a gooseneck trailer hitch
US6742799B1 (en) Hitch adapter
US9290071B2 (en) Coupler assembly
US5246244A (en) Concealed frame mounted hitch assembly
US6443474B1 (en) High strength extended length trailer hitch
US3957286A (en) Sway control adaptor
US20050036869A1 (en) Vehicle hauling apparatus
US5108144A (en) Recreational vehicle with two rigidly coupled sections
US3342508A (en) Auxiliary universal tow-bar for boat trailers
KR19990014253U (ko) 승용차와 트레일러의 연결장치
EP1772358B1 (en) Trailer which can be coupled behind a passenger car, method for manufacturing or adapting such trailer
EP1609678B1 (en) Rear luggage carrier for vehicles
US5857692A (en) Towing apparatus for golf cars
US6572132B1 (en) Biased cable mechanism for trailer hitches
US20050158161A1 (en) Wheel-lift device with tongue for towing vehicles -(3)
US4154454A (en) Anti-sway device
US11878659B2 (en) Wheeled carrier for towing vehicle and method of use
RU21045U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прицеп
CA1052409A (en) Anti-sw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